•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논의 및 결론

2. 결론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고 과 제난이도 선호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중학생이 외로움 때문에 사용하는 스마트폰 의 중독 위험성은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으로 중독에 대한 차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학생의 외로움으로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증가한다면 그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을 향상시킬 필 요가 있다.

청소년시기에 이루어야 할 과제중의 하나는 신체발달과 함께 정서적으로 성장 을 해야 한다. 하지만 과도한 스마트 폰의 사용은 이러한 신체적, 정서적인 발달 을 방해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가정과 학

교, 지역사회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함께 대응하고 해결하여 변화를 이끌 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폰의 과몰입으로 인한 중독 위험성을 청소년 스스로 인식할 수 있게 학교 교과 과정과 연계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2014년 12월에 제정된 인성교육진흥법은 2015년 7월부터 시행되어 인성교육이 의무화 되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비롯한 인터넷과 미디어 중독에 대한 예방교육 과 디지털 사용예절 교육도 같이 병행해야 한다. 학부모는 가정에서 자녀의 스마 트폰 사용을 강제로 제지하기보다는 자녀와 함께 스마트폰의 과몰입과 중독에 대한 올바를 인식을 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도 필요하다. 또한 연구 결과에서 보 여지 듯 자녀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교육과 지지가 필 요하다. 학교는 물론이고 지역사회에 있는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혹은 청소년수련 관이나 청소년 문화의 집 등의 시설에서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 한 프로그램 개발과 청소년들이 적극 참여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 다. 청소년들을 가르치는 교사나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육과 상담프로그램도 개발 운영하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도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역 특성과 문 화, 생활수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인구학적 배경이 다른 곳이나 다른 지역 청소년들에게 일반화 시키는데 제약이 있다. 따 라서 연구대상의 연령, 지역적 특성과 문화 및 생활 수준 등을 고려한 추후 연구 가 필요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대한 응답이므로 조 사대상 전체 학생들이 성실하고 진실 되게 응답하였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으므 로 불성실한 대답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더라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추후 연구에 서는 면담과 관찰, 부모와 교사의 보고식 검사 등의 방법으로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해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하지만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변인은 매우 다양하며 각 변인들 간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 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로움으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에 있 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상담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다양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주연(2007).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방식, 충동성이 스마트폰 중 독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희양, 박창호(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63-580.

금창민(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용(2016). 스마트폰 중독 수준별 중독병리, 자기효능감,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연구: 중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교헌(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3.

김기범, 김미희, 최상진(2001). 정서적 고독감과 인터넷 효능감이 온라인 커뮤니 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여 성, 6(2), 39-57.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2012). 성인용 간 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기진단 척도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김민정(2004).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통제소재,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3), 67-89.

김보연(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 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아영, 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 대회논문집, 51-64.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 1-19.

김옥수(1997). 외로움(Loneliness)의 개념분석. 간호학과, 9(2), 28-37.

김종범, 한종철(2001). 인터넷 중독하위 집단의 특성연구: 자존감, 공격성, 외로

움,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심리치료, 13(2), 207-219.

250-281.

양유희(2014). 울산광역시 중학생의 스마트폰 이용특성, 외로움, 가족기능, 사

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연,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

임경미(2005). 중학생의 휴대폰중독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충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수진(2012).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존감, 충동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현옥(2012).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지 각된 스트레스의 차이.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다혜(2013).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심리학학과 석사학위논문.

최윤서(2013). 아동의 외로움이 인터넷 게임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 녀 의사소통 조절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수(201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에서 우울증상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2012).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K대 대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보과학회지. 23(5), 1005-1015.

한현지(2015). 대학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자 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 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현정석, 박찬정, 하환호(2013).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성별 시간간 차이 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3(6), 412-424.

한국정보화진흥원(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2015). 2014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3). 스마트폰 확산에 따른 청소년보호방안연구.

한겨레뉴스 2012. 9.3 보도 MBC보도 2015.7.6. 보도

Business Watch. 2015.4.22. 보도

Al Khatib, S. A.(2012).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gender in united Arab Emirates college students. Europe’s Journal of Psychology, 8(1), 159-181.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Bandura, A.(1986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Bandura, A.(1988b). Perceived self-efficacy: Exercise of control through self-belief. In J.P Dauwalder, M.Perrez, & V. Hobi(Eds.), Annual series of European research in behavior therapy(Vol. 2,pp.27-59)

Amsterdam/Lisse, Netherlands: Swets & Zeitlinger.

Bandura, A.(1993). Perceived self- efficacy in con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117-148.

Brennan, T.(1982). Loneliness at adolescence. In L. A. Peplau & D. Pe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pp. 269-290). New york: Wiley & Sons.

Cacioppo(2011).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40, 218-227

Douglas, A, C, Mills, J. E, Niang, M, Stepchenkova, S, Byun, S.,

Ruffini, C, Lee, S. K, Loutfi, J., Lee, J., Atallah, M., & lanton, M(2008).

Internet addition: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decade 1996-2006.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3027-3044.

Erickson, E.H(1968). Identify: Youth and crisis. Ny: W.W. Norton and Copany.

Hamburger, Y. & Ben-Artzi, E.(2003). Loneliness and Internet use.

Computer in Human Behavior, 19,71-80.

Heinrich, L. M. & Gullone, E.(2006).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26,695-718.

Hojat, M.(1987). A psychodynamic view of lonelines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s: A review of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empirical finding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 89-104.

Jones, W. H, & Caver, M. D(1991). Adjustment and coping implications of loneliness. In C. R. Snyder & D. R. Forsth(Eds), Handbook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New York: Pergamon Press.

Jones, W. H., Hobbs, S. A., & Hockenbury, D.(1982). Loneliness and social skill defici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4), 682-689.

Levy, D.M(2013). Mindful technology: Learning to use digital technologies more attentively and with less stress. Seattle, WA: Washinton University Press.

Morahan-Martin, J. & Schumacher, P.(2003). Loneliness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9(6), 659-671.

Peplau, L.A. & Perlman, D. (1982). Perspective on loneliness. In L. A. Peplau, L. A.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pp. 1-18). New York: Wiely

Qualter, P., Quinton, S. J., Wagner., & Brown, S.(2009). Loneliness,

Interpersonal Distrust, and Alexithymia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9(6), 1461-1479

Rokach, A(2012). Loneliness updated: An introduction. The Journal of Psychology, 146(1-2), 1-6.

Ryan, T.& Xenos, S. (2011).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658-1664.

Sahin, M.(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yberbullying/ cybervictmization

and loneliness among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4, 834-837.

Weiss, R. S.(1973). Loneliness :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 MIT Press.

Young, K. S(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3), 237-244.

<Abstract>

The Loneliness on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Jang, Jung Eun

Major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Bo 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aims to educate teenagers regarding the proper use of cellephones and to develop and spread the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and related hypothesis were made.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under that cond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oneliness causes

their smartphone addiction ?

Hypothesis 1. There will b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1-1. There will be a mediating effect on self-control efficacy, as

1-1. There will be a mediating effect on self-control efficacy, a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