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김통정 설화 연구 (페이지 78-84)

에서 영웅출현을 갈망하였으며, 그 영웅을 신이한 출생과 道術을 부리는 아기장수 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죽어가면서 샘물을 제공하는 수신적 존재로 나타나기도 하 고, 그의 죽음과 패배에는 안타까움이 담겨져 있다. 이는 당신화와는 달리 반체제 적이고 변혁을 바라는 민중의 심리가 강하게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당신본풀이나 전설에서 김통정의 부정적인 면모나 긍정적인 인식들 은 그 당시 민중들의 솔직한 표현이다. 역사적인 관점에서는 김통정을 나라를 반 역한 역적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민중들은 피지배층을 구원해주는 영웅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아기장수의 죽음으로 민중적 가능성이 좌절로 끝나고 말았지만, 아기장수의 출현은 지배질서에 막대한 위협을 주었다는 점에서 고착된 지배집단에 맞서려는 각성된 민중의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기초자료 >

《高麗史》

《高麗史節要》

《元史》

《新元史》

진성기(1991),「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民俗苑 현용준(1976),「제주도전설」, 서문당

제주도(1985),「제주도전설지」

「한국구비문학대계」(Ⅲ)9-3(제주편)(198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영돈․현용준․현길언(1985),「제주설화집성」Ⅰ,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임석재(1992), “희뿌리샘물”,「한국구전설화」9(제주도편)

애월읍 고성리향토지편찬위원회(1983),「고성리지」, 북제주군

고창석(외)(2002),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학술조사및기본정비계획」

<연구논문>

현용준(1964), “당신화의 구성과 배경”,「제대학보」,제6호, 제주대학교 ______(1963), “무속신화 본풀이의 형성”,「국어국문학」26집, 국어국문학회 ______(1963), “본풀이의 형성과 내용”, 「한국언어문학」, 한국언어문학회 현용준․현승환(1982), “제주도 뱀신화와 신앙연구”,「탐라문화」15집,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현길언․김영화(1980), “제주설화를 통한 제주도 정신고구”,「논문집」,제12집,제주대학교 현길언(1983),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인식”,「탐라문화」,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현승환(1982), “제주도 풍수설화의 이해”,「탐라문화」, 제주대학교탐라문화연구소 ______(1992), 「내 복에 산다」系 說話 硏究, 박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대학원 고창석(1984), “여․원과 탐라와의 관계”, 「논문집」, 제17집, 제주대학교 윤용혁(1994), “별초진도정권의성립과 그 전개”,「한국사연구」, 아세아문화사 ______(1994), “고려삼별초의 제주항전”,「제주도연구」, 제주도연구회

김윤곤(2004), “삼별초정부의 대몽항전과 국내외정세변화”,「한국중세사연구」, 한국중세사학회

김윤곤(1981), “삼별초의 대몽항전과 지방군현민”,「동양문화」20-21, 合輯, 영남대학교

이경희(1996), “삼별초고”,「연우연구론집」, 이화여자대학교녹우회 김상기(1938), “삼별초와 그의 난에 취하야”,「진단학보」, 진단학회

조동일(1970), “민담구조의 미학적 사회학적 의미에 관한 일고찰”,「한국민속학」

제3권, 한국민속학회

권태효(1999), “제주도 김통정이야기의 당신화 및 전설로의 변용양상”,「구비문학연 구」제8집, 구비문학회

권태효(1998), “호국여산신설화의 신격인식 양상 연구”,「한국민속학」30, 민속학회 오대혁(1997), “김통정관련 서사물에 투영된 역사인식”,「동원논집」, 제10집, 동국대학교 서대석(1985), “백제신화연구”,「백제논총」,제1집, 백제문화개발연구소

이혜화(1983), “아기장수전설의 신고찰”,「한국민속학」16집, 민속학회 유용대(1981), “설화와 역사인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나종우(1986), “고려무인 정권의 몰락과 삼별초의 천도항몽”,「원광사학」,제4집, 원광대학교 사학회

장주근(1986), “제주도 당신신화의 구조와 의미”,「제주도 연구」, 제3집, 제주도연구회 ______(1994), “제주도 무속과 당신앙”,「제주도연구」, 제11집, 제주도연구회

진성기(1985), “제주도 무속과 당신앙”,「한국문화인류학」,제17집, 한국문학인류학회 ______(1970), “제주도 신당과 당신”,「한국민속학」, 제2집, 민속학회

이정신(1991), “고려 무신정권기 농민,천민 항쟁 연구”,「민속문화연구소」,고려대학교 전혜경(1983), “인문전설의 구조와 사상배경에 관한 소고”,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표인주(1963), “민속현상에 나타난 말(馬)의 상징성(II)",「호남문화연구」,전남대학교 임철호(1996),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구비문학연구」,제3집, 한국구비문학회 ______(1987) “구비설화에 나타난 민족의식과 민중의식”,「논문집」,제16집, 전주대학교 조동일(1971), “영웅의 일생, 그 문학적 전개”, 동아문화 10집,「동아문화연구소」, 서울대학교

<단행본>

현용준(1985),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조동일(1982),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_____(1985), 「한국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현용준(1985),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김봉옥(1990), 「제주통사」, 제주문화 ______(2000), 증보「제주통사」, 세림

김태준․김승호 엮음(1994), 「우리 역사인물전승」1, 집문당

閔賢九(1991), “蒙古軍․金方慶․三別草”,「한국사시민강좌」제8집, 일조각 임재해(1982), “전설과 역사”,「한국문학 연구입문」, 지식산업사.

북제주군(1987), 「북제주군지」,경신

오대혁(1997), “김유신설화의 전승양상과 그 의미”,「우리 역사인물전승」2,집문당 장주근(1995), 「한국신화의 민속학적 연구」, 집문당

진성기(2005), 「무속학」, 제주민속연구소

최내옥(1994), 「구비문학론」, 학사고시방송교육본부 _____ (1984), 「한국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현길언(1981), 「제주도 장수설화」, 홍성사 _____(1985), 「제주문화론」, 탐라목석원

임재해(1991), 「설화작품의 현장론적 분석」, 지식산업사 변승규(1992), 「제주도略史」, 제주문화

이영권(2005), 「새로쓰는 제주사」

김선경(2003), 「한국문화와 제주」, 국립대학박물관, 서경 제주도(1982), 「제주도제주도지(상권)」

조동일(1985), 「한국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최운식(1991), 「한국설화연구」, 집문당,

장덕순(1981), 「한국 설화문학연구」, 서울대 출판부

<Abstract>

Study on Narrations of Kim Tong-Jung

Lee, Nam-Ok

Korean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yun, Seung-Hwan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Jeju Islanders' consciousness of Kim Tong-Jung. The main focus was placed on historical statements related to Kim Tong-Jung and oral tradition materials. References to Koryo government resistance against the Mongol invasion as well as the messengers' consciousness in the stories about Kim Tong-Jung orally hand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are included.

Historical books written from the view point of the ruling class regarded Kim Tong-Jung as a traitor while oral narratives didn't always depict him negatively. Therefore this study took an in-depth look at oral transmission and changes in myths village god and legends enjoyed by Jeju people to determine popular sentiment regarding Kim Tong-Jung that is hidden behind history. How a real person in history was popularly conceived i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From an analysis of Dangbonpuri related to Kim Tong-Jung at shamanistic ceremonies in Jejudo, Kim Tong-Jung is depicted negatively. According to the story, indigenous gods and gods from the mainland took disciplinary measures against Kim Tong-Jung. However shamans traditionally provided spring water to village residents belonging to a certain jurisdiction. This meant that the shaman was playing the role of a water god, thereby implying that people handing down the stories orally saw Kim Tong-Jung positively. The negative point of view against Kim Tong-Jung is revealed in brutalities the Sambyulcho militia committed after arriving in Jeju. Kim Tong-Jung forced the residents to build military facilities and stole from residents for funds to raise the

문서에서 김통정 설화 연구 (페이지 78-8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