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 과목의 STEAM 교육 방향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첫째, 융합교육 관련 단원의 비중을 확보해야 한다. 교과서에 융합교육 관련 단원 비율의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판사별로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하는 만큼 교육의 변화를 여실히 느끼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바가 교과서 에 잘 드러나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 융합교육 관련 내용의 단원명과 학습목표에 ‘융합’ 관련 단어 가 명확히 표기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에서도 창의ㆍ융합 능력을 강조하는 만 큼, 명확한 표기를 통해 학습의 초점이나 해당 단원의 목표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융합교육 관련 활동의 제시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융합 된 사례나 예시를 보여주지만, 관련 활동에 대한 제시가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교과의 틀을 벗어난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창의성과 능동적인 사고 및 영역의 이해를 넓히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STEAM 영역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분야의 융합 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STEAM 영역이 일부 요소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STEAM 교육 분석 결과 교과서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STEAM 교육의 개발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으며, 교육 상황에 맞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 고 문 헌

<교 과 서>

김용주 외 8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씨마스.

김정희 외 6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지학사.

김형숙 외 7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교학도서.

서예식 외 7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해냄에듀.

심영옥 외 6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와이비엠.

안혜경 외 6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미래엔.

장선화 외 5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동아출판㈜.

정현일 외 5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비상교육.

최정아 외 7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아침나라.

최찬경 외 5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금성출판사.

현은령 외 7인(2018), 『중학교 미술』 1, 2권, ㈜리베르스쿨.

<단 행 본>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신재한(2013), 「STEAM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학술논문 및 정기간행물>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AM 교육의 탐색”, 한 국기술교육학회지.

심재호 외 2인(2015),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 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이효녕(2011), “STEAM교육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고찰”, 「월간과학창의 2월호」, 한국과학창의재단.

조희형(1995), “STS의 의미와 STS 교육의 속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학 위 논 문>

김현미(2015), “STEAM 교육에 근거한 2009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박진(2013), “융합인재교육(STEAM)개념에 근거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배선아(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ㆍ전자ㆍ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공업교육전 공 박사학위논문.

안신영(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의 STEAM 요소 분석”, 서울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이동윤(2011),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충남대 학교 교육대학원 공업교육(기술)전공 석사학위논문.

<기 타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11),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 호[별책 13].

교육부(2015), “미술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3].

교육부(2020),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가는융합교육 종합계획(안)[2020년

~2024년]”.

박현주, 백윤수(2012), “STEAM 총론적 고찰”, 한국과학창의재단 융합인재교육 파이오니어 양성과정 연수 자료집.

한국과학창의재단(2011), “STEM 교육 국제세미나 및 STEAM 교사 연구회 오 리엔테이션 자료집”.

Yakman, G.(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74th annual conference of ITEEA Long Beach.

<참 고 사 이 트>

STEAM Education, www.STEAMedu.com

<ABSTRACT>

An Analysis of STEAM Educational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Ha-Young Kim

Department of Art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Il-sam Son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posed ‘STEAM education,’ in which science (S), technology (T), engineering (E), art (A) and math (M) are merged,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and self-directed talents according as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capable of responding to rapidly-changing society and creating new values are required.

At this time when STEAM has been embodied in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a school education setting since its introduction and the art subject receives attention as the key to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bility, it is very important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the art subjec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how STEAM education is reflected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reby grasping the actual status of the education. Textbooks of 11 publishers among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were selected as objects of analysis, and results of analyzing them as to STEAM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re concept of connection, which deals with linkage to and merge with other learning domains and diverse disciplines, was presented by means of experience domain, and thus the contents of convergence were concentrated in the experience domain in all the textbooks investig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ain of convergenc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ations in textbook contents according to publishers and that sometimes ‘convergence’ was not properly marked in the units or activities of convergence education domain in the textbooks.

Third,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textbooks showed various cases of convergence, the suggestion of related activities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analyzing STEAM elements by domain showed that there were also wide variations in domains according to textbook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more efforts and research are needed to develop textbooks in consideration of STEAM education.

Improvements suggested as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domain in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a fixed proportion of convergence education-related units should be secured, for the need for convergence continuously comes to the fore and is also reflected in the curriculum.

Second, considering that the curriculum also stresses the abilities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words related to ‘convergence’ need to be marked definitely in the unit nam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convergence education-related contents.

Third, plans that suggest various activities breaking away from the framework of textbooks and widen creativity, active thinking, and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