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으로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사실성과 ‘盲目’이라는 제재를 중심으로

『春琴抄』를 고찰해 보았다.

‘무엇을 쓸까’라는 소재면의 서구적인 모더니즘으로부터 탈피하여 ‘어떻 게 쓸 것인가’라는 묘사와 표현 방법 등 형식을 중요시하여 집필한 작품으 로, 다니자키는 『春琴抄』를 통해 소설 속의 인물로서가 아닌 독자들도 공 감할 수 있는 현실의 내 마음속의 여성으로 영원화하기 위해 소설이라는 전제하에서 현실감을 풍부하게 살려야만 했다.

작품의 주제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방법적인 연구를 요청하기에, ‘슌킨 을 기품이 넘치는, 희끄무레한 원광이 비치는 여인으로 영원화’한다는 주제 를 그것도 소설속의 인물이 아닌 현실에서 있을 법한, 아니 현실에 있어야

67) 탐미주의(眈美主義): 유미주의(唯美主義)라고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의 탐미주의는 미적 향수 및 미적 형성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인생관 ·세계관을 가리키며, 에피쿠로스의 이름과 함께 오랜 역 사를 갖고 있으며, 근대에 와서 셸링이나 니체에 의해 재확인되었다. 따라서 예술 사조로서의 유 미주의는 예술지상주의 한 지류로서 19세기 후반에 대두되었다.

만 된다고 생각되어지는 이상적인 영원한 여인으로 형상화하기 위해서 리 얼리티 획득을 위한 방법을 요청하게 되었다. 다니자키는 어떤 방법을 취 하면 현실감을 살릴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다음과 같은 방법에 귀착한다.

먼저 허구의 소설을 독자들에게 허구가 아닌 사실이라는 믿음을 주기 위 해 소설 내용 속에 다양한 제재를 이용하여 리얼리티 획득에 기여하였다.

가상의 『鵙屋春琴伝』이라는 소책자와 슌킨과 사스케의 묘, 슌킨의 사진, 만년에 슌킨과 사스케를 모셨다고 하는 테루 여인의 그럴듯한 설정을 통해 얻는 작품의 사실성은 그 존재 의미만으로도 리얼리티가 살아나고 있어 리 얼리티 기법으로 성공을 했다고 본다.

더불어서 서술자인 ‘내’가 이야기를 서술해 나감에 있어 『鵙屋春琴伝』

의 내용을 회의(懷疑)하면 할수록 서술자로서의 양심과 성실함에 신뢰감을 높여 독자들을 설득할 수 있었으며, 사스케와 동화된 시각에서 서술하고 있는 문장을 통해 리얼리티의 심화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제재들과 현재의 시간(쇼와 8년)과 풍토적 지역성과 역사적 사 실 등을 이용하여 허구와 현실의 융화를 통해 리얼리티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春琴抄後語』에서 밝혔듯이 지문과 대화문의 경계를 애매하게 하고, 구두점의 사용을 최소화는 등의 일본고전소설의 기법에서 배운 ‘모노 가타리풍(物語風)’의 형식을 선택했다. 그래서 일본문장의 아름다움의 하나 인 ‘농묘법(朧描法)’을 이용하여 기품있는 여성상을 ‘함축’을 통해 독자들에 게 ‘음영’의 미학을 느끼게 하는 등의 소설 속에 독작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는 점에서 독자의 심리적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다니자키가 의도한 ‘진짜 같은 느낌’은, 소설이란 예술은 사실의 기록이 아니기에, 허구의 이야기를 의심 없이 실화하고 느끼게 하는 심리적인 리 얼리티였다. 『春琴抄』를 읽은 독자들이 서술자인 ‘나’처럼 슌킨과 사스케

의 묘를 찾아가려고 한 독자들이 있었다는 것은 다니자키가 의도한 리얼리 티 수법의 완전한 성공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니자키가 두 남녀 주인공의 관계에 ‘盲目’이라는 요소를 부여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는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영원한 여인상의 형상화와 그 영원 한 여인과의 일체화를 통한 이상실현에 있었다. 현실의 미모의 ‘盲目’여인 을 자신의 희생을 통한 관념의 여인으로 승화시켜, ‘盲目’의 어둠의 세계에 서 일체화되는 지복(至福)을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라 생각된다. 『春琴抄』

는 다니자키 문학이 지닌 다양한 모티브를 폭넓게 수용하고 있는 작품으 로, ‘盲目’을 통해 느껴지는 관능미, 사디즘과 마조히즘, 여성숭배 등의 탐 미주의자로서의 예술관을 한층 뚜렷하게 표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스케 의 피학적 행동의 주된 동기들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는 것은 다니자키 문학 속에 나타나는 주된 탐미적 성향인 사디즘과 마조히즘을 적절히 배치 하고 있어 가능했던 것으로, 해석이 다양하다는 것은 작품성이 높다는 것 과 일맥상통하는 말로 다니자키 문학의 최고걸작으로 꼽히는 이유가 여기 에 있다고 보여 진다. 독자들마다 다양하게 읽고 해석하여 슌킨과 사스케 의 사랑을 어떻게 해석하든지 자신이 추구하는 탐미성과 예술애에는 변함 이 없다는 것을 알고 독자마다 다양한 판단을 하도록 한 것이 아닐까 생각 한다. 『春琴抄』는 관서지방 이주 후의 형식상의 고전적인 수법을 이용하 여 리얼리티를 획득하고, 일본의 고전적인 여인의 모습을 통해 이전의 서 구적인 사상을 그대로 표현하며 관능적인 미를 ‘盲目’을 통해 다채롭게 그 려내고 있었다. 다니자키 문학의 특징인 ‘사도마조히즘(sadomasochism)의 세계’와 ‘영원한 여인에 대한 희구(希求)’를 독자들도 공감하기를 희망한 다 니자키의 마음과, 미와 예술의 추구를 삶의 영원한 가치로 여겼던 다니자 키의 문학에 대한 자세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다.

참 고 문 헌

1. 한국문헌

【단행본】

김동인, 「眼瞳의痛覺」, 『東仁文學全集』, 韓國每日出版社, 1989.

김영옥,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문학과 여성』, 도서출판 지금여기, 2005.

김용기,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생애와 작품』, 도서출판 보고사, 2001.

김춘미, 『다니자키 즁이치로』,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나카무라 미츠오, 유은경 옮김, 『일본의 근대소설』, 도서출판 동인, 1995.

딜런에반스, 김종주 역, 『라깡 정신분석 사전』, 도서출판 인간사랑, 1998.

정인문, 『일본문학 키워드』, 제이앤씨, 2004.

【논문】

강동진, 「谷崎文學의 人物像 硏究 ­『刺靑』,『春琴抄』,『鍵』을 中心으로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3.

김진아, 「다지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郞〕문학과 노인의 性」, 동덕여자 대학교대학원, 2002.

문혜수,「한․일 근대 문학에 있어서의 탐미성」, 『군장대학논문집』제7집, 2000.

오병우, 「『春琴抄』의 「佐助犯人 」과「春琴自害設說」」, 『日本語文學』, 日本 語文學會, 1995.

장영순,「다니자키쥰이치로(谷崎潤一郞)의『슌킨쇼』(春琴抄) 소고(小考) - 나레이터 시점을 통한 작품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4.

2. 일본문헌

【단행본】

秋山虔, 三好行雄,『日本文學史』, 文英堂, 1983.

大里恭三郞,『谷崎潤一郞 ―『春琴抄』考―』, 審美社, 1993.

久保田 修,『『春琴抄』 究』, 双文社出版, 1995.

千葉俊二 編,「谷崎潤一郞」,『鑑賞 日本現代文學』第8卷, 角川書店, 1982.

中村光夫,『作家論集 2』, 講談社, 1968.

永榮哲伸,『谷崎潤一郞試論 ―母性への視點―』, 有精堂, 1988.

日本文學硏究資料刊行會 編,『谷崎潤一郞』, 有精堂, 1986.

橋本芳一郞,『谷崎潤一郞の文學』, 櫻楓社, 1972.

三島佑一,『谷崎潤一郞 『春琴抄』の謎』, 人文書院, 1994.

【논문․잡지】

明里千章,「獻身という れ蓑 ―「春琴抄」ノオト」,『金蘭國文』, 金蘭短期 大學國文硏究室, 1999.

秋山公男,「『春琴抄』 ―禁忌の構圖と美」, 『愛知大學大學論叢』, 愛知大 學文學會, 1999.

栗山香,『春琴抄』―語り手〈私〉とその語り―」, 『日本近代文 』, 日本近 代文 , 1990.

千葉俊二,「谷崎潤一郞 ―春琴抄」, 『國文學 解釋と敎材の硏究』第32卷9號, 學燈社, 1987.

辻本千鶴,「『春琴抄』を む その二 ―物語的文体をめぐって―」, 『近代 文 論創』, 論創近代文 究 , 2000.

長棟まお,「文 にみる障害者像谷崎潤一郞著『春琴抄』」, 『ノ〡マライゼ〡 ション障碍者の福祉』, 日本障害者リハビリテ〡ション協 行,

1996.

平野芳信,「「春琴抄」論―谷崎文芸に於ける<盲目>の意味―」,『 文 年次別論文集 近代2』, 術文 普及 , 1980.

前田久德,「物語の構造―谷崎潤一郞『春琴抄』」, 『國文學 解釋と敎材の硏 究』第34卷8號, 學燈社, 1989.

三枝香奈子,「谷崎潤一郞「春琴抄」論 ―語り手による歪曲化された春琴像 ―」, 『日本大 院紀要』第8号, フエリス女 院大 , 2001.

森案理文,「春琴抄 ―テ〡マの僞裝」, 『谷崎潤一郞あそびの文 』, 圖書刊 行會, 1983.

<Abstract>

Study on Tanizaki Junichiro's 『Syunkinsyo』

Focusing on the reality in the novel and on t he blindness

Kang, Kyeong-Rim

Japanese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Kim, Seong-Bong

Tanizaki Junichiro made a literary debut in 1910 with 『Sisei』. Even though the so-called naturalism was popular in those days he insisted his unique literary world for 55 years until he died in 1965. He wrote novels on voluptuous beauty which expressed his respect of motherhood and admiration of the fair sex.68)

In the view of contents, 『Syunkinsyo』, which was issued in the journal of 『Chuokoron』, was summing-up of Tanizaki Junichiro's western style, completion of his classical literary style in his works and his unique literary world with the sensitivity and his own value on literary. Therefore, it can be chosen as one of the greatest works.

『Syunkinsyo』 was completed through an awareness of the form such as description and expression which were suddenly changed from western-style modernism focused on subjects. The core of the novel is imagination of an eternal woman, that is, "Syunkin" is expressed as a woman who has to be adored and someone who should be respected with knees fallen.

68)※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d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6.

"Syunkin" was created as a woman who became blind in 『Syunkinsyo』 by Tanizaki Junichiro in order to create a noble woman. Furthermore, she was described not only as a character in a novel but also a woman in the heart who was an eternal lover in a real world.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reality which brings the sense for the real into 『Syunkinsyo』 and the blindness which strongly supports the reality in the novel. First of all, the reality of 『Syunkinsyo』was constructed by winning the sympathy of readers of the novel introducing several objects such as the artificial journal of 『Mozuyasyunkinden』, tombs of Syunkin and Sasuke, the picture of Syunkin and the lady named Teru.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fiction and nonfiction using climatic regional properties and historical facts was another effective method for the reality in the novel. In order to win the sympathy of readers Tanizaki Junichiro introduced another way that a noble woman was described by "implication" one of the beauties in the Japanese composition, and reader's sympathies could be obtained by acknowledge of aesthetic shade in the implication. The intentional settings in the novel successfully generated the reality of the novel.

The second, the blindness was the strong factor to create the imagination of an eternal lover and the unification with the lover and, consequently, the ideal could be realized. In other words, the beautiful blind woman, Syunkin, in the real world was sublimated into an ideal woman by self-sacrifice and the supreme bliss was achieved by the unification in the darkness of blindness.

The second, the blindness was the strong factor to create the imagination of an eternal lover and the unification with the lover and, consequently, the ideal could be realized. In other words, the beautiful blind woman, Syunkin, in the real world was sublimated into an ideal woman by self-sacrifice and the supreme bliss was achieved by the unification in the darkness of blindnes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