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거리공간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

59) 마오둔, 「고령으로부터 동경까지(鏦牯岭到東京)」, 『문학운동사료선(文學運動史料選)」(제 2권), p147, 상해교육출판사(上海敎育出版社), (1979).

60) 마오둔, 「고령으로부터 동경까지(鏦牯岭到東京)」, 『문학운동사료선(文學運動史料選)」(제 2권), p148, 상해교육출판사(上海敎育出版社), (1979)년.

61) 판보췬, 『토요일의 호접꿈(禮拜六的蝴蝶夢)』, p11, 북경인민문학출판사(北京人民文學出版 社), (1999).

1930년대의 상해에는 중국과 서양인들이 함께 지내고 있었다. 서방의 각 종 문예사조와 현대적 분위기는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하여 상해에 들어올 수 있었 는데, 예를 들면 상업적이고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출판기구와 각종 신문, 잡 지, 서책 및 서양에서 전해 들어온 여러 가지 생활과 사상문화관념 등이 있었 다. 이런 문화형태는 생동한 시민생활분위기와 재미있는 신도시 공공공간을 메 우고 있다. 호화로운 별장, 해수욕장, 상가…… 그리고 여러 가지 새로운 사유 방식과 사상관념으로 이루어진 도시 공공공간은 소설의 창작영역에 특유한 방 식과 내용을 제공하였다.

류나오우의 소설집 『도시의 풍경(都市風景線)』, 무스잉의 「거리풍경(街 景)」, 「흑모란(黑牡丹)」, 스저춘의 「해질 녘의 무녀(薄暮的舞女)」, 「자동 차길(汽車路)」이라는 소설제목으로부터 독자들은 오색영롱하고, 번화하고, 현 대적이고, 도시적이고, 동양과 서양이 뒤섞인 상해를 상상해 낼 수 있을 것이 다. 신감각파의 작품 속에서의 상해는 욕망을 표출하는 곳이 되었다. 도시생활 의 빠른 리듬과 외부물질의 자극 하에 사람들의 마음은 억압되고 왜곡되며 변 형되고 소외되었다. 각양각색의 새로운 경쟁과 재부를 긁어모으려는 여러 가지 방식이 출현했고, 이것은 또 일련의 관념의 소외를 가져왔다.

스저춘의 「쓰시쯔의 장사(四喜子的生意)」는 인력거꾼62)이 서양 여인을 인 력거에 태우고 상해 거리를 지나다니면서 겪는 이야기를 진술하는 것이 소설의 주요한 형식이다. 스저춘은 꼼꼼하게 상해의 주요 장소와 도로의 문화 지도를 소설 속에 재현하였는데, 그곳들은 소북(蘇北)63) 출신 인력거꾼의 시선을 통해 묘사된다. 쓰시쯔라고 불리는 이 인력거꾼은 먼저 인력거 상점에서 새 인력거 를 구경하고, 이어서 신신, 영안, 샨시와 같은 백화점을 지나간다. 이후 그는 보석점 옆에 있는 카메라점으로 간다.

류나오우의 유일한 단편소설집 『도시의 풍경』에 실린 여덟 편의 소설에서 는 계속해서 도시의 풍경이 조명된다. 각 편에는 모두 상해 도시 생활의 친숙

62) 인력거(Jinrikisha)는 통속적으로 黄包车이라고 부르다. 1870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출현하였 다. 1874년 프랑스 미라(米拉)는 인력거를 상해조계로 전파하였다. 상해사람들이 최초 동 양차 이라고 불렀다. 조계에 있는 인력거는 노란색을 포장을 쳐서 황포차라는 속칭을 얻었 다. 하란평(何蘭萍), 「(인력거와 상해도시 시민생활)人力車與上海都市居民生活」, 『(강서행 정학원학보)江西行政學院學報』, (2006).

63) 강소성(江蘇省) 북부로 상해의 노동자 계급 대부분이 여기 출신이다.

한 장소로서, 댄스홀, 고속으로 질주하는 열차, 영화관, 어느 거리, 어느 꽃집, 경마장의 관람석과 영안백화점 등이 나온다. 따라서 그의 소설과 시각적인 읽 을거리들 사이에는 모종의 유사성이 있다.64)

무스잉의 단편소설은 공간적 수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소설이 단편인 이 유는 시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장면들을 연결시켜 놓았기 때문이다. 때문 에 「상해 폭스트롯」은 진정한 의미에서 공간 형식 65)의 현대적인 실험이 되는 것이다.66) 상해. 지옥 위에 지어진 천국이여! … 경마장 옥상 위에는, 풍향계에 달린 금빛 말이 붉은 달을 향해 네 말굽을 힘차게 내지른다. 그 넓은 초지의 사방으로 빛의 바다가, 죄악의 파도가 너밀댄다. 무어 기념 교회는 어둠 속에 잠기어, 무릎 꿇고 이들 지옥에 빠진 남녀들을 위해 기도한다. 그레이트 월드 오락장의 첨탑은 참화를 거절한 채, 고지식한 목사를 교만하게 내려다보 며, 둥그런 불빛을 퍼뜨린다. 67)

장아이링은 철두철미한 영화광이었다. 그녀의 이러한 취미는 소설로 흘러 들 어가 소설 기교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녀의 이야기 속에서 영화관은 이미 공공의 장소였다. 장아이링의 소설 「원망(多少恨)」을 예로 들 수 있다. 현 대의 영화관은 본래가 가장 대중화된 왕궁이며, 전체가 유리, 우단, 모조석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 건물로 들어가면 바닥이 담황색이라, 그것 전 체가 노란 유리잔을 천만 배 확대해 놓은 것 같으며, 특히나 그처럼 광채가 나 는 화려함과 정결함이 있다. 영화가 시작되어 얼마쯤 지나고 나면 빈 복도는 휑뎅그렁하고 궁궐 내의 원한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전환되고, 별궁의 피리와 북소리가 아득하게 들려온다. 68) 따라서 현대의 영화관은 확실히 텍스트 속에 서 리얼하면서도 상징적인 공간이었고 도시와 문학 사이에서 교량의 역할을 하 였다.

64) 리오우판, 『상해 모던』, p320,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65) 공간 형식 이라는 용어는 현대 서구 소설 연구인 Joseph Frank, The Idea of Spatial Form(New Bruswick, N.J, Rutgurs University Press, 1991)에서 취한 것이다.

66) 리오우판, 『상해 모던』, p365,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67) 무스잉, 「상해 폭스트롯」, 『공동 묘지(公墓)』, p214, 상해서점출판사(上海書店出版社), (1986).

68) 장아이링, 「원망」, 『망연기(惘然記)』, p97, 대련출판사(大連出版社), (1996).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2-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