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시장 전망

2020년 경제 현상유지

⚬ IMF는 사우디의 2019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2.2%로 완만하게 상승하며 현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

- 2018년 OPEC 증산합의와 유가 회복세, 부가세(5%) 도입 등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2017년 –0.9%에서 2.1%로 성장 전환

- 2019년은 유가회복 둔화로 소폭 감소 전망

- 2020년에도 2019년과 비슷한 수준의 경기 유지 전망

- GDP 대비 재정적자는 2019년 7.9%에서 2019년 5.7%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나. 주요 경제지표

주 요 지 표 단 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인 구 백만 명 30.8 31.0 31.7 32.4 33.2 33.9 34.6 명목GDP 십억 달러 756.4 654.3 644.9 683.8 782.5 762.3 790.1 1인당 명목GDP 달러 24,580 21,095 20,318 21,120 23,570 22,510 22,870

실질성장률 % 3.7 4.1 1.7 -0.7 2.2 1.8 2.1

실 업 률 % 5.7 5.6 5.6 6.0 6.1 -

-소비자물가상승률 % 2.2 1.3 2.0 -0.9 2.5 2.2 2.1

재정수지(GDP대비) % -3.5 -15.8 -17.2 -9.2 -4.6 -4.2 -3.7

총수출 백만 달러 342,433 203,550 183,579 221,835 294,550 -

-(對韓 수출) 〃 32,949 17,626 15,315 19,741 25,990 -

-총수입 〃 173,834 174,675 140,170 134,519 135,226 -

-(對韓 수입) 〃 8,623 9,934 6,221 5,263 4,300 -

-무 역 수 지 백만 달러 168,599 28,875 43,410 87,316 159,324 - -경 상 수 지 〃 73,758 -56,724 -23,870 9,680 65,160 27.04 21.92

환율(연평균) 현지국/US$ 3.75 3.75 3.75 3.75 3.75 3.75 3.75

2020 국별 진출전략 사우디

Ⅰ .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2 2020년 주요 이슈 및 전망

※ 중동 지역 정세 : 사우디 vs 예멘반군・이란 정세 불안 장기화

※ 현지화 정책 강화 : 현지 기자재 조달 및 사우디인 의무고용 비율 강화

※ 아람코 기업공개(IPO) : 2020년 지분 5%(약 1,000억 달러) 기업공개 추진

※ 대형 프로젝트 추진 : 네옴(NEOM) 신도시,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등

※ 여성 운전 허용 : 신차 및 중고차, 액세서리, 부품 수요 증가

가. 중동 지역 정세 불안 고조

사우디 vs 예멘반군 전쟁 장기화

⚬ 2015년 3월 26일 사우디는 중동 국가 위주의 연합군 결성, 후티 반군이 일으킨 예멘 쿠데타 타파를 위한 내전 개입

- 지상전 없이 공군 위주의 폭격으로 단기간 해결을 기대했으나 현재까지 진행 중

⚬ 예멘반군과의 전쟁에 따른 국방비 지출 증가로 정부재정 악화

- 2017년 기준 국방비는 767억 달러로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기록

- 스톡홀름 평화연구소(SIPRI)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사우디 무기 수입액은 38억 1,000만 달러로 세계 1위 차지

2017년 세계 국방비 상위 5개국

순위 국가 금액(억 달러) GDP 대비 비율(%)

1 미국 6,028 3.11

2 중국 1,505 1.26

3 사우디 767 11.3

4 인도 525 2.15

5 영국 507 1.98

자료 : The Military Balance 2018

⚬ 예멘전쟁이 사우디의 승리로 끝날 경우, 재건 프로젝트 수요 다대 전망 - 사우디-예멘 국경에 자유경제무역지대 설립 추진 계획

- 자유경제무역지대는 막대한 투자유치 및 일자리 창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 한국은 2018년 4월 예멘 인도적 위기 고위급 공약회의에서 4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공약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원 중

시장 평가 주요 이슈

사우디 vs 이란 충돌 심화

⚬ 사우디-이란 국교단절 지속

- 사우디 정부, 사우디 내 시아파 유력인사 47명 테러혐의로 사형 집행(2016년 1월 2일) - 이란 국민, 주 이란 사우디 총영사관 공격(2016년 1월 3일)

- 사우디 정부, 이란과의 국교 단절 선언(2016년 1월 4일)

⚬ 사우디의 이란 비즈니스 제재

- 사우디 정부의 이란 제재 관련 공식적인 규정은 없음

- 그러나 사우디 향발 선박이 이란 항구를 경유했다는 이유로 통관 거부, 대금지급 거절사례 다수 발생

- 명문화된 규정 없으나 관행적으로 이란 관련 제재가 이루어지고 있어 한국 수출자는 선박의 이란 경유 여부를 사전에 확인 필요

⚬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 복원

- 2018년 8월 7일 대(對)이란 제재 1단계(달러화 구매, 귀금속・자동차 등 거래 제한) 복원 후 2단계(금융 및 석유 관련 거래) 제재를 2018년 11월 5일부 부과 예정

- 미국은 유럽 및 한국, 일본 등 동맹국들에 제재 참여 동참 요청

⚬ 예멘반군, 사우디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 정유시설 드론 공격

- 예멘반군 드론 공격으로 아브카이크(Abqaiq) 및 쿠라이스(Khurais) 지역 정유시설 2개 피폭 (2019년 9월 14일)

* 아브카이크 : 아람코 본사(Dhahran) 서남쪽 60㎞에 위치한 세계 최대 석유 탈황・정제시설이며, 가와르 (Ghawar) 유전 생산원류 물류 기전

* 쿠라이스(Khurais) : 사우디 5대 유전 중 3위이며, 일 120만 배럴 생산

- 피폭으로 인해 원유 570만 배럴 및 천연가스 70만 배럴 생산 일시 중단

나. 현지 기자재 조달 및 사우디인 의무고용 비율 강화

현지 기자재 조달 비율 강화

⚬ 국영석유기업(ARAMCO), 자국 제조업 육성 위한 IKTVA 프로그램 시행 - 2021년까지 자국산 제품 구매 비율 70% 달성 목표

- ARAMCO에 제품 및 서비스 공급 모든 사우디 및 외국기업에게 적용

사우디인 의무고용 비율 강화

⚬ 사우디 정부, 사우디인 의무고용 비율을 지정하고 4가지 등급으로 분류하는 니타카트(Nitaqat) 제도 시행

- 제도 이행 여부를 상시 점검하며 이에 따른 처벌과 인센티브 제공

⚬ 니타카트 미이행 시 사우디인 초과 외국인 1인당 매년 최소 2,400리얄 부과, Block Visa(외국인 채용 Quota) 자격 박탈 등 각종 불이익 초래

오일・가스 분야 니타카트(Nitaqat) 비율

직원수 Saudization 비율

Red Yellow Green(Low–High) Platinum

10∼49 0∼10% 11∼17% 18∼65% ≥ 66%

50∼499 0∼10% 11∼29% 30∼80% ≥ 81%

500∼2,999 0∼15% 16∼34% 35∼90% ≥ 91%

3,000+ 0∼15% 16∼34% 35∼90% ≥ 91%

자료 : Ministry of Labor

⚬ 특히, 건설 부문 프로젝트 수행 계약업자 및 관련 기업 중 니타카트 조건을 충족하지 않을 경우 공공계약에 대한 입찰 참가 불허

⚬ Red 등급에 속한 기업의 경우 고용허가증 발행 및 갱신 제한

⚬ 니타카트 제도로 인한 기업 환경 악화 및 부담 증가

- 제3국 노동자에 비해 고임금 저효율의 사우디인 채용 불가피

- 현지 청년 실업률이 비공식적으로 20%에 달하는 바, 니타카트 제도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 - 사우디 내무부(MOI), 니타카트 제도 이행 여부 확인 위한 기업 사무실 불시점검 등 단속활동

강화

- 제도 강화 시 외국기업의 사우디 기업 환경은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분석

다. 국영석유회사 아람코(ARAMCO) 기업 공개

2018년 아람코 영업이익 세계 1위 기록

⚬ 영업이익 2,240억 달러(254조 원), 순이익 1,111억 달러(126조 원) 기록 - 아람코는 GDP의 70%를 차지하며, 세금・배당금으로 정부재정 87% 충당 - 애플・삼성전자・구글 영업이익 합쳐도(1,998억 달러) 아람코에 미달

시장 평가 주요 이슈

2018년 세계 주요 기업 영업이익

순위 기업명 영업이익(억 달러)

1 사우디 아람코 2,240

2 애플 818

3 삼성전자 776

4 로열더치셀 533

5 알파벳(구글) 404

자료 : 신용평가기관 피치

⚬ 사우디 왕실 100% 지분 소유 非상장회사로 80년 만에 최초로 재무재표 공개

⚬ 2020년 아람코 기업공개(IPO) 추진

- 빈 살만 왕세자, 아람코 기업공개 지연 책임으로 알-팔레 장관을 경질하고, 압둘아지즈 신임 에너지부 장관 임명(2019년 9월 8일)

- 2020년 상반기 지분 5% 공개 추진계획, 약 1,000억 달러 재원조달 전망 - 기업공개 성공 시 그간 중단 또는 연기했던 국가 대형 프로젝트 재개 전망

라. 국가 대형 프로젝트(NEOM, Qiddiya, Red Sea 등) 추진

네옴(NEOM) 신도시 프로젝트

⚬ Saudi Vision 2030 최대 규모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

- 북서부 타북(Tabuk) 주에 총 면적 26,500㎢(서울시 44배)의 NEOM City 건설

- 총 5,000억 달러(약 600조 원)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며, 사우디 정부예산 및 국부펀드(PIF), 국내외 민간투자유치 통해 조달 계획

⚬ 산업특구, 관광, 친환경 주거단지 등에 5G 도입 전망 - 글로벌 물류 허브,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산업특구 조성 - 홍해연안 관광산업 개발 및 국제공항 건설 등

키디야(Qiddiya)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 미국 플로리다 디즈니월드 2.5배로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복합단지

- 총 면적 334㎢ 규모로 사우디 남부 40㎞ 사막지대 주변에 건설 예정이며, 2022년 1차 완공, 최종 완공은 2035년 목표

⚬ 놀이공원, 테마파크, 워터파크, 실내 스키장 등 건설 예정

Red Sea(홍해) 관광 프로젝트

⚬ Red Sea(홍해) 관광 프로젝트 적극 추진

- The Red Sea Development Company(TRSDC) 설립, 홍해 관광개발 프로젝트 추진 중 - 사우디 서부 움루즈(Umluj)와 알-와즈흐(Al-Wajh) 사이 홍해에 위치한 50개 섬에 총 면적

28,000㎢ 관광단지 건설 예정

- 프로젝트 총 면적은 주거용(42%), 엔터테인먼트 및 쇼핑(35%), 사무실(12%), 호텔 및 관련 시설(11%) 등으로 구성

- 프로젝트 개발 및 도시 운영을 위한 58,000명 신규 주민을 위해 12,000호 주택 건설 프로젝트 추진 예정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