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사의 아기 사망 간호 스트레스

간호사는 죽음을 앞둔 환자를 돌보면서 육체적인 피로와 함께 환자 를 살리기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 환자가 죽을 경우 보상 없는 헌신과 절망감 등과 같은 심리적인 고통으로 일반 환자를 간호할 때와 또다른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안수민, 2017).

아기를 건강하게 출산하는 것에 큰 목적을 두고 있는 의료기관에서 이미 아기가 사망하였거나, 여타의 이유로 아기를 잃게 될 슬픔에 빠진 부모와 가족을 간호하는 것은 간호사에게 스트레스와 감정 소진이 발생 할 수 있는 상황이다(Gold et al., 2008).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에서 발 생하는 주산기 아기 사망의 형태는 사산 혹은 모자보건법에 의한 합법적 인 임신 종결로 인한 사망과 질환이나 선천성 기형 등의 이유 등으로 출 생 초기 사망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사망의 장소는 의료기관의 분만실과 신생아중환자실이 대부분이다.

특히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는 사망률이 높은 고위험 신생아들을 간 호하면서 빈번하게 임종 상황을 맞이하게 되는데 비해(강정화, 한숙정, 2013), 분만실 간호사는 아기 사망을 맞이하는 경험이 적으며, 분만실 이 아기 사망의 일어나는 곳이라는 인식이 저조하기 때문에, 분만실 간 호사들의 아기 사망관련 스트레스는 간과되고 있다(Wallbank &

Robertson, 2013).

분만실 등 산부인과 근무 간호사는 아기 사망과 관련된 다양한 심리 적 반응을 경험하게 된다(Wallbank & Robertson, 2008). 사산아를 경 험하게 되는 분만실 간호사는 죽은 아기를 마주하게 되면서 시각적, 촉

각적 충격과 공포를 느끼며, 아기를 지키지 못했다는 죄책감, 아기 보호 자의 책임 전가로 인한 속상함 등의 정서적 고통을 호소하게 된다(장혜 영, 정재원, 2017). 특히 모자보건법에 의거한 인공 임신 종결의 경우, 분만실 간호사는 출산 이후 아기가 생존해있는 상태로 아기의 사망까지 의 과정을 지켜봐야하므로 그 스트레스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주산기 아기 사망은 성인 환자 사망과 달리, 아기 사망 이전 에 산모의 치료 관찰이나 아기의 치료 과정을 통해, 간호사와 부모 간 자주 만나며 돈독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간호사는 자녀 사망 시 부모나 가족을 지지할 때, 심한 부담감을 느끼며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Almeida Fde et al., 2016; Ben-Ezra et al., 2014;

Mitchell, 2005). 그로 인해 아기의 사망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은 슬퍼하 는 부모의 심정을 헤아리고 위로하기를 원했으나 부모에게 선뜻 다가가 지 못하고 피하거나 짧은 대화만으로 대처하게 된다(강현주, 방경숙, 2013).

이스라엘에서 산부인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종적연구에서도 연속 적으로 2회의 주산기 아기 사망을 경험한 간호사는 높은 수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감, 심신증 증상을 나타냈다고 보고 하였다(Ben-Ezra et al., 2014). 또한, McCool 등(2009)의 연구에서는 주산기 아기 사망 을 경험한 간호사는 슬픔에서 우울에 이르는 감정 반응이 나타날 수 있 으며, 때로는 이러한 감정의 변화는 직업을 포기하게 하는 동기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Wallbank와 Robertson (2013)은 산부인과 부서에서 근 무하는 350명의 의료진(의사, 간호사, 조산사)을 대상으로 한 주산기 아

기 사망과 관련한 심리적 어려움(distress)의 관련 요인 연구를 수행하 였고, 대상자의 55%가 ‘높은’ 수준의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주산기 사망 간호의 부정적 경험’, ‘부모의 부정적 반응’, ‘누적 된 아기 사망 경험의 횟수’, ‘근무 환경에서 관리자의 지지 부족’ 등 이 심리적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관련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주산기 아기 사망과 관련된 간호 활동을 수행함 에 있어 슬픔, 스트레스, 예민한 감정 등에 부딪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스스로를 간호(self-care)하는 의미 있는 방법을 찾아내어, 슬픔을 맞 이한 부모들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자기 관리를 해야한다 (Limbo & Kobler, 2010). 또한 간호 교육자와 관리자는 주산기 아기 사망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노력하며, 정신적으로 건 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야한다(Hamama-Raz et al., 2016).

국내의 환자 사망과 관련된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한 연구는 대부분 사망의 대상자가 성인(김정희, 2009; 안수민, 2017; 우영화, 2012; 윤연 애, 2010; 이미영, 2012; 이연옥, 2004; 이향련, 이연옥, 최은영, 박영미, 2007; 장지영, 2016) 혹은 아동(박기영, 2019; 정소운, 2019)에 관련 된 연구로 한정되어 있었고, 신생아 대상의 장수현 (2013)의 연구도 신 생아중환자실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만실 등을 포함한 주산기 아 기 사망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주산기 아기 사망에 노출된 환경에서 간호사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는 곧 간호사의 업무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상황

이다. 그러므로 주산기 아기 사망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의 스트레스를 해 소하고, 아기 사망 간호와 관련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도록 하여 간호 대 상자들에게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과 교육기관의 실무적 노력이 필요하다.

제 3 장 연 구 방 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