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축질병 관리에 영향을 주는 생산자 유인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94-200)

3.1. 바람직한 농가와 정부의 역할

OECD

는 효율적인 가축질병 관리를 위해 질병의 발생빈도

(

위험

)

와 경제적 파급효과에 따라 질병을

3

가지 범주

(

보통위험

:

고빈도

-

저피해

,

재해위험

:

저빈도

-

고피해

,

시장위험

:

중 빈도

-

중피해

)

로 구분하고 범주별 질병 관리 주체를 제안하였다

. OECD

의 질병 분류는 개념 적인 것으로 각 범주에 속하는 구체적인 질병명은 명시되지 않았다

.

보통위험에 속하는 질병은 발생 빈도는 높으나 가축 피해는 미미한 질병으로 농가 단위의 차단방역 등으로 예방 및 통제가 가능한 질병을 의미한다

.

보통위험에 속하는 질병의 관리 주체는 농가이며 정부는 농가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

재해위험에 속하는 질병은 주로 사회

·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전염성 가축질병으로 구제역

,

돼지열병

,

소해면상뇌증

,

조류 인플루엔자 등을 의미한다

.

재해위험에 속하는 질병의 관리 주체는 정부이다

.

재해위험 질병 발병 시 정부는 살처분

,

축사 비우기

(depopulation),

가축 이동 제한

,

백신 접종 등의 통제 조치와 농가에 대한 보상 조치를 시행한다

.

시장위험에 속하는 질병은 발생빈도나 피해가 재해위험과 보통위험에 속하는 질병의 중 간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정의된다

.

시장위험에 속하는 질병의 관리 주체는 민간 또는 정부와 민간이다

.

,

질병 피해는 보험이나 다른 형태의 민간 상품으로 보장하되

,

필요한 경우 정부가 상품의 개발 및 운용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

정부는 이 밖에도 모든 가축질병에 공통으로 대응하기 위해 질병 예방

,

통제

,

감시

,

규제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방역 시스템을 도입

·

운영해야 한다

.

또한 질병에 대한 연구 및 질병 위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질병과 정책에 관한 정보를 농가와 민간에 제공하는 것도 정부의 역할이다

.

3.2.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생산자 유인

3.2.1. 경제적 비용편익과 생산자의 의사결정

가축질병 관리 활동은 크게 예방 활동과 통제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예방 활동은 주로 질병의 유입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방역

(biosecurity)

활동을 의미한다

.

차단방

역 활동에는 가축 간

,

가축과 사람 간

,

가축과 야생동물을 포함한 질병 매개체 간 접촉 차단

,

농가에 들어오는 차량과 사람에 대한 소독 및 위생 강화

,

가축이나 사료의 구입 전 검사

,

병에 걸린 어미와 새끼의 분리 등이 포함된다

.

농가의 질병 통제 활동에는 소유 가축에 대한 관찰 및 검사

,

질병 발생 신고

,

약물치료

,

축사 비우기

,

살처분

,

조기 도태

(early culling)

등이 포함된다

.

생산자가 질병 예방 및 통제로 얻는 편익은 이환율

(morbidity),

폐사율

(mortality),

조기 도태 감소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대체 가축 구매 비용 절감

,

질병 확산 방지 및 퇴치에 따른 수의 서비스 비용 감소

,

경영 안정성 확보 등이다

.

반면

,

관련 조치의 시행에는 금전적인 비용 외에도 추가적인 시간과 노동이 요구된다

.

그렇다면 질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해 생산자는 얼마나 노력할까

?

경제학 이론에 따르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생산자는 한계비용과 한계수익이 같아질 때까지 방역 활동을 한다

.

문제는 질병 예방 및 통제에 따른 비용과 편익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

결국

,

같은 조건을 가진 생산자라도 자신이 인식하는 질병 발생 위험 및 질병 관리의 비용편 익에 따라 다른 수준의 방역 활동을 하게 된다

.

3.2.2. 생산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경제학적 요인

(1) 범위의 경제

축사 소독은 특정 질병의 유입만을 방지하지는 않는다

.

예를 들어

,

계사 소독은 뉴캐슬병 뿐만 아니라 조류 인플루엔자의 발병 확률도 낮춘다

.

,

질병 유입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소독

,

격리

,

수송수단 통제 등의 차단방역은 한 가지 질병이 아닌 다수의 질병 발생 확률을 낮춘다

.

이와 같은 현상을 질병 예방 조치 또는 차단방역의 범위의 경제 또는 확산 효과라고 한다

.

질병 예방 조치의 범위의 경제는 생산자가 인식하는 예방 조치의 편익을 증가시킨다

.

(2) 방역 활동과 질병 위험의 동태적 피드백

방역 활동과 질병 발생 및 전파 가능성은 서로 연관되어 끊임없이 변화한다

.

예를 들어

,

살처분 조치는 가축의 사육밀도를 낮추고

,

낮은 사육밀도는 질병 발생 및 전파 가능성을

낮춘다

.

하지만 위험의 감소는 생산자의 방역 노력을 감소시켜 다시 질병 발생 및 전파 가능성을 높인다

.

이러한 방역 활동과 질병 위험의 순환적 대응 관계를 동태적 피드백

(feedback)

이라고 한다

.

생산자의 방역 활동과 질병 위험의 동태적 피드백 고려 여부에 따라 생산자의 방역 전략도 달라진다

.

동태적 피드백을 고려하는 생산자는 장기적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역 전략을 채택할 것이고

,

고려하지 않는 생산자는 질병을 근절할 수 있는 방역 전략을 채택할 것이다

.

장기 이윤극대화 전략으로 질병이 근절되지는 않을 수 있다

.

하지만 농가의 이윤은 장기 이윤극대화 전략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

(3) 위험 및 불확실성

가축질병 특히

,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전염성 가축질병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생산자의 인지 정도

,

위험에 대한 생산자의 태도

(

위험 기피자

,

위험 선호자

,

위험 중립자

),

가축질병 관련 보험의 유무 등도 생산자의 질병 관리 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

(4) 생산자와 정부 간 정보의 비대칭성

인수공통전염병이나 무역에 영향을 주는 전염성 가축질병은 국가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 다

.

정부는 이러한 질병의 관리를 위해 농가에게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한다

.

살처분

,

농가 소독

,

경영 손실 등

(

간접 손실

)

에 대한 보상이 그 예이다

.

이와 같은 정부와 생산자의 관계는 일종의 주인

-

대리인 계약관계로 볼 수 있다

.

,

정부

(

주인

)

는 질병 발생 및 확산으로 인한 국가 차원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자

(

대리인

)

에게 질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시행하게 하고 그 대가로 다양한 수의 서비스 및 보상금을 지급한다

.

문제는 정부가 생산자의 방역 노력과 생산자가 소유한 가축의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점이다

.

생산자와 정부 간 가축 보건 관련 정보의 비대칭성은 가축질병 관련 정책의 효과를 왜곡시 키고 도덕적 해이 및 역선택 등 농가의 부적절한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

높은 피해 보상금은 가축질병 발생 시 생산자의 적극적인 질병 감시와 신고를 유도하지만

,

평상시 농가의 방역 활동을 약화시킨다

(

도덕적 해이

).

반대로 너무 낮은 보상금이나 벌금의 부과는 질병 발생 시 농가의 미신고 또는 지연 신고를 유도한다

(

역선택

).

(4) 농가 경영 형태 및 농가의 규모와 위치

일반적으로 특정 사업에 대한 투자액이 많을수록

,

특정 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위험 대비에 적극적이다

.

축산 농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

농가의 규모가 클수록

,

전업형 농가가 겸업형 또는 취미형 농가보다 방역 활동에 적극적이다

.

농가의 위치도 생산자의 방역 활동에 영향을 준다

.

농가의 위치에 따라 질병 발생 위험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만약 세 농가가 인접해 있다면 두 농가 사이에 위치한 농가가 방역 활동에 가장 적극적이다

.

가축 사육 밀집지역 가운데 위치한 농가의 질병 유입에 대한 위험 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

다른 예로는 질병 발생 확률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농가가 방역 활동에 오히려 소극적일 가능성이 높다

.

자신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인근 농가에서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

종합하면

,

농가의 경영 형태

,

규모

,

위치는 농가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질병 관리에 따른 기대 수익

(expected return)

에 영향을 준다

.

그 결과

,

농가의 방역 활동 수준에도 차이가 발생한다

.

3.3.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생산자 유인

3.3.1. 생산자의 질병 관리 행동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접근

일반적으로 경제학은 경제주체가 완전히 이성적이며

,

완벽한 자기 통제가 가능하고

,

일관 적으로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

하지만 실생활에서 모든 경제주체가 항상 이성적인 행동만을 하는 것은 아니다

.

이러한 경제주체의 비이성적인 행동을 설명하고 분석하기 위해 경제학에 심리학적

·

사회학적 관점을 접목한 학문이 행동경제학이다

.

농업 분야의 행동경제학 연구는 주로 계획적 행동 이론

(Theory of Palnned Behaviour, TPB)

에 근거한다

.

계획적 행동 이론에서 개인의 행동

(behaviour)

은 행위자의 행위 의도

(intention)

에 의해 이루어진다

.

따라서 개인의 행동을 예측 또는 설명하기 위해서는 행위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

행위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주로 행위에 대한 개인의 태도

(attitude),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

지각된 행동 통제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이다

<

그림

1>.

<그림 1> 계획적 행동 이론의 구조

자료: OECD(2017a).

행위에 대한 개인의 태도는 개인의 신념

(outcome belief)

과 평가

(outcome evaluation)

에 의해 결정된다

.

개인의 신념이란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주관적 믿음이다

.

개인의 평가란 행동의 결과에 대한 주관적 평가

(outcome evaluation)

이다

.

주관적 규범은 사회 규범적 신념

(social normative beliefs)

과 순응 동기

(motivation to

comply)

에 의해 결정된다

.

사회 규범적 신념이란 행위자에게 영향을 주는 주변 사람들 즉

,

준거집단이 행위자의 행동을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한 믿음이다

.

순응 동기란 준거집단에 순응하려는 행위자의 태도 또는 마음가짐이다

.

지각된 행동 통제는 통제신념의 강도

(control belief strength)

와 통제신념의 힘

(control belief power)

에 의해 결정된다

.

통제신념의 강도는 행동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자신이 가지고 있느냐

(

가용성

)

에 대한 행위자의 판단을 의미한다

.

통제신념의 힘은 필요한 자원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냐

(

중요도

)

에 대한 행위자의 인식을 나타낸다

.

이 밖에 행위자의 습관

,

도덕적 의무감

,

정체성

,

과거 행동 등도 행위자의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

계획적 행동 이론에서 생산자가 질병 예방 및 통제를 위해 특정 조치를 시행할지는 ①

특정 조치가 질병 위험을 줄이는 데 얼마나 효과적일지에 대한 개인의 인식

(

행위에 대한 개인의 태도

),

② 주변 농가들도 특정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한 개인의 판단 및 자신이 그러한 조치를 취하거나 취하지 않았을 때 주변 농가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

(

주관적 규범

),

③ 자신이 특정 조치를 할 능력이 있는지

,

제약 조건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생각

(

지각된 행동 통제

),

④ 질병 및 특정 조치에 대한 지식

,

자신과 주변인의 질병 및 특정 조치에 대한 경험

,

특정 조치와 관련한 본인의 습관 등

(

기타 요인

)

에 의해 결정된다

.

3.3.2. 생산자의 질병 관리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 및 정책

계획적 행동 이론의 행동 유발 요인들은 정책적 측면에서 외부적

(

또는 경제적

),

내부적

,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외부적 요인은 경제적 요인으로 행위자의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는 보조금

,

보상금

,

벌금

,

분담금 등이 있다

.

내부적 요인에는 개인의 현실 인식 및 습관이 있으며

,

여기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는 반복적인 교육

,

훈련

,

캠페인 등이 있다

.

사회적 요인에는 사회적 규범

,

인간관계

,

사회 자본 등이 있으며

,

여기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는 예시의 제공

,

공동체의 참여 유도

,

여론 주도자의 지지 유도 등이 있다

.

(1) 외부적 행위 유발 요인

생산자의 질병 관리 행동을 유발하는 외부적 요인은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다

.

경제적 손실은 다시 금전적 손실과 비금전적 손실로 구분할 수 있다

.

금전적 손실은 폐사

,

조기 도태

,

생산성 하락 등으로 인한 손실이며

,

비금전적 손실은 질병 예방 및 방역 활동에 투입되는 생산자의 시간과 노력 등이다

.

생산자의 금전적 손실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는 가축 피해 보상금

,

백신에 대한 보조금

,

벌금

,

생산자 분담금 등이 있다

.

비금전적 손실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는 규제

,

이동 제한

,

정보의 제공 등이 있다

.

외부적 요인은 계획적 행동 이론의 개인의 태도

,

주관적 규범

,

지각된 행동 통제에 영향을 준다

.

개인이 인식하는 경제적 손실은 질병을 예방 및 관리하려는 개인의 태도에 영향을 준다

.

또한

,

경제적 손실과 방역 활동에 대한 수의사와 주변 사람들의 의견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준다

.

마지막으로 방역 활동에 필요한 돈

(

금전적 비용

)

이나 시간과 노력

(

비금전적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94-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