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에 발표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1997)에 따르면, 실제로 가출해 있는 소녀 들이 응답한 가출동기는 과반수가 가족요인 때문이다. 현재 가출 중에 있는 소년 들이 직접 진술한 가출 동기 중 57%가 가족요인 때문이고, 학교 및 또래 요인은 24%, 개인적 요인은 17%를 차지한다(표2-2)20)고 할 때 가정환경은 청소년 가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하겠다.

10대 커뮤니티 사이트인 엔티카(대표: 박수정, 홍성주)에서 지난 2003년 3월 31 일부터 4월 7일까지 일주일간 회원들을 대상으로 가출 동기에 대해 온라인 투표 를 실시한 결과 부모와의 갈등 이 61%로 가출 동기 1위로 꼽혔다. 총 9822명 이 참가한 이번 온라인 투표에서 가출을 생각했다면 그 이유는? 이라는 질문 에 투표 참가자의 61%(6,020명)가 부모와의 갈등 을 1위로 꼽았고 그 뒤를 이 어 청소년기의 반항심(18%), 학교에 가기 싫어서(11%), 성적부진으로(5%), 친구들 이 괴롭혀서(2%), 친구들의 유혹(1%)순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갈등 이 61%를 차지해 18%로 2위를 차지한 청소년기의 반항심 과 큰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볼 때 가정 외적인 요소보다는 가정 내 문제로 인해 청소년들이 가출 충동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21)

20) 한국청소년개발원(1998), 「가출청소년쉼터 운영모델」,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98-06, pp.12-13.

21) http://www.entica.com

<표2-2>가출소녀들의 가출동기

사회

첫째, 일반적으로 해체된 가족상황이 청소년가출의 기본 인자로 지적된다.

가출청소년의 부모들은 종종 별거상태에 있거나, 이혼상태, 법적 소송 중이며, 혹 은 알코올 중독 상태에 있음이 발견된다.

가출청소년과 학교무단결석자들, 비행범들 간의 특성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 에서 요보호성으로 판단된 가출청소년들이 심각한 가족위기에 있었고 명백한 부 모의 거부로 인해 보다 많은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족들은 역할기 대에서도 보다 혼란상태에 있는 듯이 보였다.

둘째, 가족의 구조가 문제 상태에 있다. 예를 들면 대가족 형태이거나 나이 어린 형제자매들이 많다면 청소년문제들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가족 상황이나 나이 많은 아이들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아짐에서 비롯하였음을 지적 한다. 즉 나이 많은 아이들에 대한 역할과 책임은 강요되면서 그에 대한 인정과 관심은 적기 때문에 가출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셋째, 가출청소년들은 자신이 가족으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거나 혹은 원치 않는 존재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부모-청소년간의 빈약한 의사소통이 일탈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한다. 부모들은 가출자녀들이 자신들에게 복종하지 않을 것 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자녀들과 협력할 것이며 제시각에 자녀가 집에 올 것이라 고 믿는 반면, 가출자녀들은 자신들이 비가출 또래들보다 부모의 거부가 더 심하 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보고한다.

넷째, 성적 및 신체적 학대가 일어날 수 있으며 혹은 경험한 적이 있다.

Rothman(1992)은 가출아의 약 40%가 자신의 상황의 주요한 요인으로서 신체적 학대를 이야기했고, 약 25%의 가출아들이 성적학대를 진술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나철25)은 외국의 경우 흔히 가출원인으로 의붓아버지의 성적 위협에 의한 탈출성 가출이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소수임을 지적하고 있지만, 최근의 연구들(권지영, 1991 ; 연진영, 1992 등)은 아동의 학대 및 청소년 학대의 주요한 실태들을 밝히고

25) 나철(1992), 『청소년 가출의 처방과 대처방안』, 한국청소년연구원, p.43

있으며, 더 이상 우리나라도 신체적 학대를 포함한 성적 학대의 제외국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근래에 안창규(1995)는 비행관계 가정환경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 고 학생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변인 척도를 표준화하여 부모의 과통제적 양육, 방임적 양육, 거부적 양육, 처벌적 양육, 애정관계적 양육, 비일관적 양육, 가 정의 안정성, 모의 양육기능, 부의 양육기능, 경제적 빈곤 등의 10개 가정환경변인 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비행이나 가출의 가능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거 부적 양육방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부모 자녀간의 애정관계 의 유대감 형성 내지는 가정의 안정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