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설검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3-128)

4장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은 전국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을 방문한 일반 시민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표 4-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구분 빈도 비중(%)

전체 336 100.0

성별 남성 153 45.5

여성 183 54.5

연령

20대 이하 72 21.4

30대 103 30.7

40대 68 20.2

50대 52 15.5

60대 이상 41 12.2

학력

고졸 이하 73 21.7

대학재학 62 18.5

2년제 졸업 71 21.1

4년제 졸업 94 28.0

대학원 재학 이상 36 10.7

월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 106 31.5

400만원 미만 139 41.4

600만원 미만 56 16.7

600만원 이상 35 10.4

거주지

서울/인천/경기 134 39.9

부산/울산/경남 68 20.2

대구/경북 35 10.4

대전/충북/충남 47 14.0

광주/전북/전남 31 9.2

강원/제주 21 6.3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26일까지 22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오프 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설문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 기입법으로 실시하였다. 총 387명의 회수된 설문 응답에서 유효하지 않은 응답 건수 51건을 제외한 최종 336 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336명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4-1]과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이 183명(54.5%)으로 남성의 153명(45.5%)보다 30명이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103명(30.7%)으로 가장 많았으며 20대 72명 (21.4%), 40대 68명(20.2%), 50대 52명(15.5%), 60대 이상 41명(12.2%)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4년제 졸업이 94명(28.0%)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졸 이하 73명 (21.7%), 2년제 졸업 71명(21.1%), 대학 재학 62명(18.5%), 대학원 졸업 이상 36 명(10.7%) 순이었으며 월평균 소득은 400만원 미만 139명(41.4%), 200만원 미만 106명(31.5%), 거주지는 서울/인천/경기가 134명(39.9%), 부산/울산/경남이 68명 (20.2%), 대전/충북/충남 47명(14.0%) 순으로 나타났다.

4.2 기술통계 분석

응답자에 대한 박물관 전시, 행동의도, 추천의도, 관람만족도 수준은 주요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표 4-2]와 같다.

박물관 전시는 리커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M=3.55(SD=.72), 행동의도는 M=3.65 (SD=.48), 만족도는 M=3.86(SD=.74)로 나타났다. 박물관 전시의 하위요 인 중 가장 높은 평균 수준을 보인 요인은 ‘전시공간’(M=3.67, SD=.76)이었으며,

‘관람객’ (M=3.59, SD=.70), '전시매체‘(M=3.36, SD=.64)순으로 ’전시공간‘이 상 위변인인 ’박물관 전시‘에 비해 평균 수준이 높았으며 ’전시 매체‘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행동의도의 하위요인 중 가장 높은 평균 수준을 보인 요인은 ‘추천의 도’(M=3.87, SD=.37)이었으며 ‘재방문의도’(M=3.58, SD=.49), '구전의도‘(M=3.54, SD=.58)순으로 ’추천의도‘가 상위변인인 ’행동의도‘에 비해 평균 수준이 높았으며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는 ’행동의도‘의 평균 수준 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표 4-2] 주요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변인 하위요인 평균(M) 표준편차(SD)

박물관 전시

전시매체 3.36 .64

전시공간 3.67 .76

관람객 3.59 .70

박물관 전시(전체) 3.55 .72

행동의도

재방문의도 3.58 .49

추천의도 3.87 .37

구전의도 3.54 .58

행동의도(전체) 3.65 .48

관람만족도 3.86 .74

4.3 타당성 분석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박물관 전시, 행동의도, 만족도의 항목이 기존 연구 문헌에 서 제시한 내용과의 일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각 항목별로 주성분 분석을 통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법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을 조합해서 그 변수들의 정보를 가능한 한 많이 함축하고 있는 새로운 인위적인 변수를 만들어내 기 위한 기법으로 많은 자료를 단순화하고 요약·정리하기 때문에 자료축약기법이라 고도 한다(이경희, 2017). 주성분 분석에서의 요인회전방식은 베리맥스 방법을 사 용하였고 고유치가 1 이상인 요인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변수 간의 상관관 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를 나타낸 KMO 값을 통해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선정이 적절했는지를 판단하였다.

[표 4-3] 박물관 전시의 요인분석 결과

No 항목 요인

1 2 3

전시 매체

1 전시유물 .268 .157 .724

2 그래픽 매체 .239 .264 .717

3 입체매체(일반모형) .360 .070 .621

4 작동매체(작동모형) .360 .203 .765

5 음향매체 .367 .285 .739

6 일반영상매체 .367 .071 .683

7 특수영상매체 .474 .367 .854

8 정보시스템 .371 .386 .782

9 무형문화유산과 전시 매체 간 직접 재현성 .385 .082 .775 10 무형문화유산을 고려한 매체 활용성 .284 .378 .915

전시 공간

1 공간규모 .770 .328 .295

2 공간구성 .786 .266 .318

3 관람동선 .721 .304 .125

4 전시조명 .893 .436 .442

5 색채계획 .947 .274 .354

6 공간연출 .739 .352 .189

7 전시환경 .950 .458 .457

관람

1 관람객 특성고려(연령/ 학력, 직업, 교양/ 성별) .349 .715 .328

2 관람편의(안내사인) .137 .773 .334

3 관람 소요시간 .224 .814 .073

4 관람목적 .355 .840 .491

5 관람객 밀도(공간별 관람 인원수) .275 .937 .439

6 해설사 및 안내원의 친절도 .229 .942 .078

7 배리어프리 .342 .862 .413

고유값(eigenvalue) 3.417 2.134 1.963

요인적재량 35.42 53.97 72.36

· KMO측도(.842), Barlett의 구형성 검정(χ2=1,324.72, p<.000)

박물관 전시의 24개 측정항목에 대해서는 요인이 3개가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요 인은 박물관 전시의 세부요인인 전시매체, 전시공간, 관람객을 모두 수용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KMO값은 .842, 전체 총 분산에 대한 설명 비율은 72.36%로 요인 분석을 통해 추출된 3개의 요인이 박물관 전시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판 단되며 기존 연구 자료를 활용한 설문 구성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표 4-4] 행동의도의 요인분석 결과

No 항목

요인

1 2 3

방문 의도

1 나는 기회가 되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에 다시 방문할

것이다. .224 .081 .782

2 나는 다음 기회에 무형문화유산을 관람하기 위해

박물관을 다시 방문할 것이다. .353 .291 .776 3 나는 가격이 인상되더라도 무형문화유산을 계속 관람

할 것이다. .071 .478 .675

4 좋은 무형문화유산이 있다면 계속 관람할 것이다. .290 .089 .834

추천 의도

1 나는 다른 사람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권유

할 것이다. .465 .791 .181

2 나는 다른 사람이 조언을 구한다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추천할 것이다. .107 .942 .330 3 나는 타인에게 무형문화유산 장점을 공유할 의사가

있다 .330 .734 .090

4 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다음 세대까지

이어주고 싶다. .372 .863 .285

구전 의도

1 나는 다른 사람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것이다. .722 .340 .382 2 나는 다른 사람들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에 대해

묻는다면 가급적 말해줄 용의가 있다. .906 .285 .096 3 나는 내가 경험한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용의가 있다. .874 .420 .313 4 나는 가족과 친척, 주변 사람들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홍보할 의사가 있다. .880 .381 .167

고유값(eigenvalue) 2.926 1.854 1.488

요인적재량 27.55 42.05 60.15

· KMO측도(.792), Barlett의 구형성 검정(χ2=854.57, p<.000)

행동의도의 12개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 으며 추출된 요인은 행동의도의 세부요인인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구전의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모두 수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MO값은 .792, 전체 총 분산에 대한 설명 비율은 60.15%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3개의 요인이 행동의도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 연 구 자료를 활용한 설문 구성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표 4-5] 관람만족도의 요인분석 결과

No 항목

요인 1

1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은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767

2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을 관람하여 즐겁다 .760

3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을 잘 선택한 것 같다 .874

4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은 나에게 즐거움을 준다. .792

5 무형문화유산을 보는 동안 행복감을 느꼈다 .882

6 무형문화유산 관람은 투자비용 대비 만족감을 준다. .893

고유값(eigenvalue) 2.425

요인적재량 23.92

· KMO측도(.741), Barlett의 구형성 검정(χ2=504.86, p<.000)

관람만족도의 6개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총 1개의 요인이 추출되 었으며 추출된 요인은 만족도 항목을 모두 수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MO값은 .741, 전체 총 분산에 대한 설명 비율은 23.92%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1개의 요인이 관람만족도를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 연구 자료를 활용한 설문 구성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4.4 신뢰성 분석

[표 4-6] 박물관전시 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No 항목 α if item

Deleted

Cronbach‘s α

전시 매체

1 전시유물 .738

.829

2 그래픽 매체 .717

3 입체매체(일반모형) .754

4 작동매체(작동모형) .809

5 음향매체 .668

6 일반영상매체 .766

7 특수영상매체 .617

8 정보시스템 .617

9 무형문화유산과 전시 매체 간 직접 재현성 .702 10 무형문화유산을 고려한 매체 활용성 .744

전시 공간

1 공간규모 .783

.788

2 공간구성 .734

3 관람동선 .718

4 전시조명 .782

5 색채계획 .848

6 공간연출 .823

7 전시환경 .769

관람

1 관람객 특성고려(연령/ 학력, 직업, 교양/ 성별) .690

.795

2 관람편의(안내사인) .714

3 관람 소요시간 .625

4 관람목적 .685

5 관람객 밀도(공간별 관람 인원수) .638

6 해설사 및 안내원의 친절도 .813

7 배리어프리 .736

신뢰성(Reliability)은 동일한 개념에 대하여 측정을 반복하였을 때 나타나는 측정 값의 분산을 의미하여, 측정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 가능성, 정확성 및 의존 가능

성 등이 내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 간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α 계수를 이용하여 각 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이경희, 2016). 이 는 문항들 간의 응답이 일관성이 있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검증 방법으로서 Cronbach-α 계수가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도가 높다고 본다(이경희, 2016).

박물관 전시를 측정하는 항목에 대한 Cronbach-α 계수를 검증한 결과는 [표 4-6]에 제시하였다. 전시매체(.829), 전시공간(.788), 관람객(.795)은 모두 0.7 이상 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항목의 측정내용에 대한 Cronbach-α 계수도 최소 .617, 최대 .848로 박물관 전시의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도는 높다 고 할 수 있다.

[표 4-7] 행동의도 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No 항목 α if item

Deleted

Cronbac‘s α

방문 의도

1 나는 기회가 되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에 다시 방문할

것이다. .780

.894 2 나는 다음 기회에 무형문화유산을 관람하기 위해

박물관을 다시 방문할 것이다. .845 3 나는 가격이 인상되더라도 무형문화유산을 계속 관람할

것이다. .848

4 좋은 무형문화유산이 있다면 계속 관람할 것이다. .881

추천 의도

1 나는 다른 사람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권유할

것이다. .705

.802 2 나는 다른 사람이 조언을 구한다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추천할 것이다. .670

3 나는 타인에게 무형문화유산 장점을 공유할 의사가 있다 .799 4 나는 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다음 세대까지

이어주고 싶다. .602

구전 의도

1 나는 다른 사람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할 것이다. .688

.712 2 나는 다른 사람들이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에 대해

묻는다면 가급적 말해줄 용의가 있다. .783 3 나는 내가 경험한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프로그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할 용의가 있다. .772 4 나는 가족과 친척, 주변 사람들에게 무형문화유산 박물관

관람을 홍보할 의사가 있다. .752

행동의도를 측정하는 항목에 대한 Cronbach-α 계수를 검증한 결과는 [표 4-7]

에 제시하였다. 재방문의도(.894), 추천의도(.802), 구전의도(.712)는 모두 0.7 이상 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항목의 측정내용에 대한 Cronbach-α 계수도 최소 .602, 최대 .8881로 행동의도의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도는 높다고 할 수 있다.

관람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에 대한 Cronbach-α 계수를 검증한 결과는 [표 4-8]에 제시하였다. 만족도를 측정하는 항목 모두 0.7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으며 α 계수 최소 .729, 최대 .878로 관람만족도의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도는 높 다고 할 수 있다.

[표 4-8] 관람만족도 항목에 대한 신뢰성 검증 결과

No 항목 α if item

Deleted

Cronbach

‘s α

1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은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878

.884

2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을 관람하여 즐겁다 .807

3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을 잘 선택한 것 같다 .776

4 무형문화유산 박물관은 나에게 즐거움을 준다. .823

5 무형문화유산을 보는 동안 행복감을 느꼈다 .752

6 무형문화유산 관람은 투자비용 대비 만족감을 준다. .72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3-12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