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화단에서는 후기 산업사회라는 특별한 사회경제적 구성 틀 속에서 야기되는 심 각한 문제들을 작품의 주제로 서슴없이 선택한다. 현대화과정 속에서 방치해 두었던 인간성 상실, 문명의 이기, 환경문제, 성의 문제 등 욕망에 대한 해석은 또 다른 화두 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다양한 매체들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미술 환경에서 오브제의 역할과, 21세기 사회가 안고 있는 욕망이라는 문제를 어떻게 미학 적으로 접근 할 것인가를 논점으로 하였다.

인간의 욕망을 형상화 하는 과정에서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의 이론을 근간으로 제한 적으로 접근해 보았고, 그러한 주제와 표현매체로서 오브제를 통해 작품화한 현대작 가들을 동시다발적으로 도입하여 연구한 것은 본인 작업에 대한 분석 근거를 얻고자 함이었으며, 또 이를 기반으로 오브제의 개념정립과 더불어서 조형세계를 더욱 심화 시키고 복잡 다양한 현대미술을 좀더 깊게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인의 작품에서의 주된 화두는 채울 수 없는 욕망의 결핍으로부터 오는 억압된 욕 망의 분출과 이를 통한 주체의 인식이 지배적이다.

욕망이란 주제를 형상화하기위해 본인은 다양한 매체가 범람하는 현실에서 표현수단 으로 오브제를 선택하게 되었으며, 도18,「유통기한 2002」에서 보여 지듯이 이분화 된 화면 속에 확장된 콜라주기법과 산업사회의 부산물로서의 오브제, 그리고 상징화 된 기호들과 은유를 통해 주체와 욕망, 물질과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또한, 도22,「Body Landscape」에서는 각 장르의 구분이 희미해지고 순수성, 독창성, 유일무이성에 대한 반발로 복제와 차용이 빈번해지면서 고급지향이 아니라 대중문화 나 퇴폐문화까지도 미술 안으로 끌어들이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서의 효과적 매체 인 사진이미지를 차용함으로써 억압되고 결핍된 주체와 현대인의 욕망에 대한 조형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작품에서의 색채, 형태, 구성까지도 단순화시킴으로 써 개념적 요소들이 부각되었다.

본 논문은 인간의 욕망을 주제화 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배경과 표현형식으로 오브제 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본인 작품으로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21 세기 새로운 매체들이 범람하는 미술환경 속에 새로운 화두로 등장한 욕망이라는 주 제의 다변화와 표현형식으로서의 오브제의 무한한 확장가능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 다. 더불어 본인이 작업하는데 있어서의 표현의 범위를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아를 돌아보고 현대사회를 냉철하게 바라보는 예술가의 눈을 갖는 중요한 자리가 되었다.

아울러 표현매체로서의 오브제의 다양한 해석은 기존 미술양식의 차용이 아니라 재 해석을 위한 대안으로 계속되어질 것이며,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끊임없이 변모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주제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더할 나위 없는 매체임을 다시금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욕망의 인식과 주제화를 통한 형상표현은 한층 더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參考文獻

〈單行本〉

강은영, 「소호에서 만나는 현대 미술의 거장들」, 문학과 지성사, 2000.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현암사, 1997, 박찬국 외,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도서출판 재원, 1999, 서성록, 「한국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진사. 1993.

오광수, 「추상미술의 이해」, 일지사, 1988.

윤난지, 「현대미술의 풍경」, 예경, 2000.

윤현섭, 「추상미술과 지의 자아」, 인간사랑, 1997.

이영철,「상황과 인식」, 시각과 언어, 1993.

이일, 「현대미술의 시각」, 미진사, 1989.

이주헌,「미술로 보는 20세기」, 학고재, 1999,

전병석, 「우리시대의 욕망 읽기 정신분석과 문화」, 문예출판사, 1996.

정명환, 「주체의 변모」, 계간 문학동네, 1999, 봄호.

정병관 외, 「현대미술의 동향」, 미진사, 1987.

정한고․조인상,「사진 이론과 실기」, 시공사, 1996.

조용훈, 「탐미의 시대」, 효형출판, 2001.1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 휴머니스트, 2004.

최봉영, 「주체와 욕망」, 사계절, 2000.

〈飜譯書〉

Jack J. Spector著․신문수 譯 :「프로이트 예술미학」, 1998.

Jacques Lacan著․권택영 譯 :「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994.

Jeanne Siegel著․양현미 譯 : 「현대미술의 변명」, 1997.

Michael Lush著․심철웅 譯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3.

Philip Yenawine著․한국미술연구소 譯 :「현대미술 감상의 길잡이」, 시공사, 1994.

Roger Bordier著․김현수 譯 :「현대미술과 오브제」, 미진사, 1999.

Sigmund Freud著․김인순 譯 :「꿈의 해석」, 열린책들, 1997.

〈論文〉

김금녀, “한국 현대영화에서의 성적욕망 담론의 구성과 실천에 관한 연구”, 박 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이 준, “현대사회의식의 구조와 문명의 억압적 기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 교대학원, 2002.

김윤정, “기호와 상징 표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김혜선, “자아의 변형된 이미지에서 표출된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 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김희봉, “현대미술에 있어서 오브제의 유형과 의미”,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6.

문창배, “현대문명의 다중적 이미지를 통해 제시된 이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박봉춘, “매체에 따른 회화의 표현 방법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1.

임미령, “회화에 나타난 무의식과 욕망의 표현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 대학원, 2001.

주민정, “현대미술에 있어서 오브제 수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 육대학원, 2001.

홍은경, “욕망의 은유․환유적 전개를 통한 회화 표현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 학교 대학원, 2000.

參考圖版

도1,마네,「피리 부는 소년」,161×97cm, 도2, 모네, 「수련」, 89.5×93.3cm, 유화, 1906.

유화, 1886.

도3, 뒤샹,「자전거바퀴」, 도4, 뒤샹,「L. H. O. O. Q」, 도5, 뒤샹,「샘」, 1917.

128.3×63.8×42cm, 1913. 1920.

도6, 메레 오펜하임, 「모피 아침식사」, 오브제, 도7, 앤디 워홀, 「마릴린 먼로」, 실크스크린, 1936. 1962.

도8, 에곤쉴레,「수음하는 자화상」, 도9, 에곤쉴레, 「누드 자화상」.수채화, 수채화, 과슈, 연필, 1911. 과슈, 연필, 1911.

도10, 주디 시카고,「정찬파티」,설치 도11, 조엘 피터 위트킨, 「홀로코스트의 초상」

1979. 사진, 1982.

도12, 토니 크랙,「퇴적」,오브제, 1975 도13, 토니크랙, 「새로운 돌드-뉴튼의 색조들」, 오브제, 1979

도14, 존 밸드서리, 「피의 선디」. 도15, 존 체임벌린,「멋쟁이의아 사진위에 채색, 1987. 들」,1977

도16, 마르샬 래스「아메리카, 아메리카」,레온, 도17, 마우리치오 카텔란, 「비디비도비도부」

오브제, 1964. 설치, 오브제, 1996.

도18, 백유일, 「유통기한 2002」, 162×132cm. 혼합재료, 2002.

도19, 백유일, 「유통기한 2003」, 162×132cm. 혼합재료, 2003.

도20, 백유일,「유통기한2003-1」 도21, 백유일, 「The Wall-Ⅰ」, 43×43cm, 오브제, 2004.

162×43cm, 혼합재료, 2003.

도22, 백유일,「body-landscape」, 100×62cm, 사진기법, 오브제, 2004

도23, 토마스 스미스슨, 「나선형의 둑」, 1970.

도24, 백유일, 「유통기한 2003-Ⅳ」, 40.3×40.3cm ×5, 혼합재료, 2003.

도25, 백유일, 「Blue Island」, 43×43cm, 혼합재료, 2000.

<summary>

A Study on Formative Interpretation of Object's Desire

Baek, You-Il

Department of Fine Art

Graduate School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im, Yong-Hwan

Modern visual art has been developed into pluralistic art environment caused by the idea out of center in the post modern age. This phenomenon has been faced with a new turning point due to the disagreements caused by post capitalism;

environmental disruption,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materialism, and human reproduction by gene manipulation.

Modern people have some difficulty restoring relaxation owing to the desire of materials and conflict caused by innumerable visual materials including mass media, advertisement, and internet. Moreover, the idea based on time and space is being collapsed by the digital times. The endless desire behind the disharmony has created art works for many centuries and provided humans with the reasons for life. And it has provided arts with unlimited energy for creativity.

This study analyzes the desire highlighted by modern art, based on formative view, not on simple moral view. Specifically speaking, this study tries to recogniz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its structural conflicts through the topic of desire. And it tries to analyze desire's formative interpretation by comparing my work with the ones of the 20th century through object. In this view, the role of object is very important. The study backgrounds the theory of Sigmund Freud(1856~1939) and Jacques Lacan(1901~1981). The object, which i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