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주도 중도탈락의 주 요인을 탐색하고 T교육원에서 3년 동안 실시해온 학교적응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중도탈락생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 는 지을 밝혀보고자 본 연구는 사회조사방법론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본 장에서는 연구대상 및 표집, 측정도구 및 자료의 처리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1. 硏究對象 및 標集

본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제주도내 28개 고등학교에서 ’95∼98학년까지 중도탈락 된 학생 중 T교육원에서 학교적응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250명을 상대로 하여 설 문1형을 조사하여 연구하게 되었다. 250명의 중도탈락생 모두에게 질문지를 배부하 고 불성실한 22부를 제외한 228부만을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설문2형은

’97학년도와 ’98학년도에 수료하여 학교에 복교한 뒤 1년 이상 생활한 인문계 고등 학교 103명과 실업계 고등학교 105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지와 출석부 및 징 계대장을 확인하여 그중 성실하게 답한 인문계 100명, 실업계 100명만을 조사 대상 으로 하여 학교적응도를 파악하였다.

지금까지 T교육원에서 학교적응교육을 수료한 각 지역별 인원을 보면 제주시 지 역 99명, 서귀포시 60명, 남제주군 40명, 북제주군 51명을 표집으로 하였고, 표집된 중도탈락생들을 대상으로 3개 영역으로 나누어 ① 학교탈락 이전의 생활 만족도 ② 중도탈락의 원인 ③ T교육원의 학교적응 프로그램의 효과를 설문1형을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으며, 설문 2형은 ④ 중도탈락생의 학교적응도를 중심으로 모두 4개 변인으 로 하여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표집 대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 <표Ⅲ-1>와 같다.

<표Ⅲ-1> 표집 분포도 성별‧학년별

지역구분

남자 중도탈락생 여자 중도탈락생

합 계

1학년 2학년 3학년 소계 1학년 2학년 3학년 소계

제 주 시 30 38 5 73 12 11 3 26 99

서 귀 포 10 24 12 46 5 8 1 14 60

남 제 주 군 5 15 0 24 14 5 1 20 40

북 제 주 군 12 15 5 32 13 4 2 19 51

합 계 57 92 22 171 44 28 7 79 250

2. 測定道具

본 연구에서는 T교육원의 학교적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중도탈락생들이 학교 에 복교하고 난 다음 학교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적 응 프로그램 투입 이후 학교적응에 대한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교마다 방문, 각 학교의 중도탈락에 대한 상담 및 각종 장부를 분석하여 사례연구와 조사연 구를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표Ⅲ-2>로 보면 쉽게 파악할 수가 있다.

<표Ⅲ-2> 측 정 도 구

구 분 연구방법 비 고

중도탈락전 학교생활 만족도 조사연구

․T교육원 교육기간 중 조사 연구

․T교육원 교육효과 사례연구

․학교 방문하여 상담․출석부 확인 등을 사례연구

중도탈락 요인 조사연구

학교적응 프로그램의 효율성 조사연구

학교적응도 조사연구

사례연구

위 내용 중에서 척도에 의한 자료수집은 4개 영역으로 크게 나누고 성별․계열 별․학년별로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99년 2월 2일부터 실시되는 T교육원에서 의 학교적응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에게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얼마나 학교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2월 달에 28개 제주도내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출석부 및 징계대장을 확인하고 담임교사와 만나 상담활동을 실시하였으 며, 상담실로 복교학생을 불러 편안한 마음에서 상담과 질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척도 내용을 각 영역별로 보면 <표Ⅲ-3>과 같다.

<표Ⅲ-3> 문항 구성표

구 분 하위구성요소 문항수 문항번호 합 계

중도탈락이전 생활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

4 1,2,3,4,

28문항 학교생활 만족

친구관계 만족 지역사회관계 만족

중도탈락 요인

가정불화 요인

4 5,6,7,8

교사 요인 나쁜친구 요인 나자신 요인

T교육원 프로그램 효율성

프로그램의 효율성 4 9,10,11,12

자아 정체감 형성 4 13,15,16,19

학교에 대한 인식변화 4 14,17,18,20

학교적응도 복교이후 생활의 만족도 4 21,22,23,24

학교생활 성실성 4 25,26,27,28

3. 資料의 處理

각 문항에 대한 반응은 ‘매우 불만족, 불만족, 그저 그렇다, 만족, 매우 만족’ 중에 서 선택하게 하여 표시하도록 하였고 각각 1,2,3,4,5의 점수를 부과하여 Likert형 척 도로 조사하여 산출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척도를 평균, 표준편차 등으로 나타냈었으며, 성별․계열별(인문계 와 실업계)은 t-test, 학년별은 F-test로 실시하였다. 또한 중도탈락이전과 중도탈락 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상관관계 분석자료로 이용하였 다. 또한 중도탈락생들이 복교 후 학교생활 만족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X2-test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와 p<.01로 제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