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서도 거론하였지만 言語의 대상인 意味와 소리로 실현된, 言語와의 關係는 자의적이어서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그러나 그. 槪念에 특정 지역의 사람들 사이

에서 어떠한 명칭이 부여되면 그 槪念과 명칭은 시간이 지나면서 관습이 되어

데 解에서 懈가 分化되어 나왔으며 解와 懈는 同源字라 하였다.102) 引伸에는 약 간의 어음의 變化가 따를 수 있으므로 形聲字의 聲符의 音은 引伸關係로 派生된

의 를 알게 해 준다.

字 關係

익 일

/yì/( ) /yì/( )

益 溢

은 에 의하면 /yì/(넉넉한

益 ≪說文≫ 饒也。从水、 。皿 皿,益之意也。伊昔切

것이다. 水를 따르고 皿을 따른다 그릇에 물이 가득한 것을 말한다. .) 즉 풍족하 여 남는 것이다. “水”가 “皿”위에 있는 것을 따르는 회의자이다 그릇에 물이 가. 득 차서 넘쳐흘러 나온다는 의미이다. 溢은 器滿也。从水益聲。夷質切 /yì/(그릇 이 가득 차는 것이다. 水를 따르고 益聲이다.) 즉 그릇에 물이 가득차서 넘친다 는 의미이다.

두 자는 의미가 서로 같은데 본래 益이 물이 넘친다 는 의미의 글자였으나 의‘ ’ 미가 인신되어 남는다 여유있다 의 의미를 갖게 되자 본래 물이 넘친다는 의미‘ . ’ 의 자를 만들기 위해 益에 의부인氵를 더하여 물이 넘친다 는 의미의‘ ’ 溢을 만들 었다. 益의 본의가 물 넘치다 이지만 본의와 인신의를 구분해주기 위해 본의를‘ ’ 나타내는 자를 나중에 만들었으므로 溢은 후기본자라 한다. 益과 溢은 본래 하나 의 글자였다가 두 개의 글자로 분화된 것이므로 두 글자는 의미에도 관계가 있 으며 字音에도 관계가 있다.

/hūn/ /hūn/

昏 婚

은 에 의하면 , :

昏 ≪說文≫ 日冥也。从日 氐省。氐者,下也。一曰 民聲。呼昆切 날이 어두워진 것이다 일을 따르고 를 따르는데 의 자형이 일부 생략

/hūn/( . 氐 氐

되었다. 氐라는 것은 낮다는 뜻이다 혹자는. 氐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民聲이라 하였다 이라 하였는데 즉.) 昏은 태양이 땅에 떨어지는 때인 저녁을 말한다. 日과

의 생략된 자형을 따르는 회의자인데 는 떨어지다 낮다 의미이다‘ , ’ .

氐 氐

은 에 의하면

婚 ≪說文≫ 婦家也。≪ ≫:禮 娶婦以昏時,婦人陰也 故曰婚, 。 从

102) 王 力,王力古漢語字典, 中華書局, 2005. 1255~1256 .

장가드는 것이다 에는 부인을 얻을 때는

/cán/,/jiàn/ /qi n/,/jiàn/ /jiàn/ /jiàn/

/chén/ /zhèn/

陳 陣

은 에 의하면 ,

陳 ≪說文≫ 宛丘,舜後嬀滿之所封。从 从木,申聲。直珍切 사방은 높고 중앙은 낮은 산언덕이다 임금의 후예인 이 토지를

/chén/ ( . 舜 嬀滿

받은 곳이다. , 을 따른 회의자이며 이다 라 하였고.) 은

分封 木 ,申聲 陣 ≪說文≫

에 보이지 않는다 단. ≪說文≫에 敶이 있는데 也。从攴陳聲。直刃切 /chén/, 진열하는 것이다 를 따르고 이다 라 하였다 에서 /zhèn/ ( . 攴 陳聲 .) . ≪古漢語字典≫ 는 陣은 陳 敶, 이라 하며 군대의 대열이라 하였다.107)

즉, 陣은 ≪說文≫에 보이지 않고 ≪古漢語字典≫에만 보이므로 다른 자보다 나중에 나온 자일 것이다 또한 그 의미가 군대의 대열 하나 밖에 없으므로 다. ( ) 른 자에서 분화되어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陳은 본의는 ≪說文≫에 따르면 나열 과 상관이 없는 지역이름이다 그러나 나중에. 陣의 의미로 가차하였을 것이다. 그런데 본의보다는 진열하다 나열하다‘ , /chén/’의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되었고 여 기에서 의미가 인신되어 진을 치다‘ /zhèn/’의 의미도 가지게 되자 두 글자로 구 분하기 위해 진을 치다 는 의미인‘ ’ 陣/zhèn/을 만들었다.108) 陳/chén/과 陣/zhèn/

은 가차와 인신의 방법이 모두 사용된 분화자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