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잔적토 (Residual Soil) § 풍화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 남아있는 경우 § 정적토 또는 잔류토 v 퇴적토 (Transported Soil) § 풍화된 흙이 자연적인 이동수단에 의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생성.. § 충적토(Alluvial or Fluvial soil) § 빙하 퇴적토(Glacial soil[r]
Introduction v 초기응력의 불확실 § 흙은 지질학적 과정에 의한 시간이력을 가진 자연재료 § 응력의 초기상태가 불명확하고 일정하지 않음 § 외부하중이 작용시 흙의 거동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 § 초기 수직응력은 흙두께(상재하중)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음 § 초기 수평응력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움 § 오래전 수평방향으로 압[r]
Flow nets in Seepage through an earth Dam 흙 댐을 침투하는 유선망 흙 댐을 물이 통과할 경우 유선망의 경계조건 불분명 가장 위에 있는 유선의 경로를 추정하기 어려움 가장 위에 있는 유선이 정해지면 이 경로에서의 응력은 항상 대기압과 같으므로 손실수두는 위치수두 뿐임 이러한 특성의 [r]
정규압밀점토와 과압밀점토 v 정규압밀(normally consolidation) 상태 : 현재 받고 있는 유효상재압력이 과거에 받았던 최대압력인 경우 v 과압밀(overconsolidation) 상태 : 현재 받고 있는 유효상재압력이 과거에 받았던 최대유효상재압력보다 작은 경우이다. 과거에 받았던 최대유효압력을 선행압밀압력이라 한다[r]
③ 말뚝직경보다 약간 큰 케이싱을 설치하여 부주면마찰력을 차단한다.
④ 말뚝표면에 역청재를 도장한다.
문 5. 단위중량이 20 인 점토지반 위에 지하 2층까지 주차장을 갖춘 건물을 건설할 때, 보상기초를 적용하여 건설할 수 있는 건물의 최대 층수는? (단, 한 층의 높이가 3 m이고, 층당 하중은 15 이다)
Flow nets in Seepage through an earth Dam 흙 댐을 침투하는 유선망 흙 댐을 물이 통과할 경우 유선망의 경계조건 불분명 가장 위에 있는 유선의 경로를 추정하기 어려움 가장 위에 있는 유선이 정해지면 이 경로에서의 응력은 항상 대기압과 같으므로 손실수두는 위치수두 뿐임 이러한 특성의 [r]
계산기 사용가능 여부 가능
토질역학 2 2
제 3 문. 다음 그림과 같이 물로 가득 차 있는 수로 근처에서 공사를 위해 작은 배수구를 굴착하고자 한다. 지반의 연직 및 수평투수계수가 각각 1 × 10 -5 cm/s와 2 × 10 -4 cm/s일 때, 배수구 1 m 당 유입되는 물의 단위시간당 유량(flow rate)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