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이 시는 봄꽃이 피어나는 모습을 통해 성숙한 사랑의 아름다 운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겨울에서 봄으로의 계절 변화는 드러 나지만, 다른 대상과 대조한 내용은 드러나지 않는다.
4. ㉠에는 역설법이 사용되었다. ‘찬란한 슬픔의 봄’ 역시 모란이 피는 아름다움과 모란이 지는 슬픔을 강조하기 위해 역설법을 사용하고 있다.
가)문항 6번
+
의 개념 이미지 분석
이분모의 덧셈은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에서 등장한다.이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 바로 전 단원에서 ‘ 약수와 배수’ 를 공부하게 되는데 이는 이분모 분수의 덧셈에 쓰이는 ‘ 통분’ 의 개념을 익히도록 하는 데 있다.이러한 교육과정의 흐름 상 학생들의 이분모 분수의 덧셈에 대한 개념이미지는 형식적으로 ‘ 통분’ 의 개 념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6번 문항에서는 그림으로 64%,언어로는 23 %,그림 과 언어로 표현하는 경우가 10%가 된다.그림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직사각형으 로는 52. 6%,원으론 31. 1%,그 외 수직선,구역모양,물통으로 나타낸 것이 16. 3%이다.그림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오개념이미지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체 1 에서 부분을 나타내는 데 직사각형과 원이 사용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언 어로 표현한 경우는 분수의 통분을 통한 설명 방법이 60 %,문장제나 상황 만들 기 40%로 나타났다.이 문항에서의 특징은 그림과 언어를 동시에 표현하거나 언어로 표현하는 응답이 이전 문항보다 현저히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언어로 표현하는 경우 ‘ 통분’ 을 활용하여 설명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