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CO 2 소화약제는 산소농도가 15[%]이하로 저하될 경우 소화되는 질식소화가 소화 주체이며 CO 2 방출시 줄-톰슨효과에 의해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효과가 보조 적이다.
6. 분말 소화약제는 부촉매, 질식작용에 의해 B, C급 화재를 소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방진작용을 추가하여 A, B,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분말 소화약제를 다목적용 분말소화약제(제 3종 분말소화약제)라 한다.
3) 피난설비 : 화재가 발생한 경우 피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구 또는 설비
(1) 피난기구 - 미끄럼대, 피난사다리, 구조대, 완강기, 피난교, 피난용트랩, 공기안전매트, 다수인 피난장비, 승강식 피난기, 그 밖의 피난기구
(2) 인명구조기구 - 방열복, 공기호흡기 및 인공소생기 (3) 피난유도선, 유도등 및 유도표지
5. CO 2 소화약제는 산소농도가 15[%]이하로 저하될 경우 소화되는 질식소화가 소화 주체이며 CO 2 방출시 줄-톰슨효과에 의해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효과가 보조 적이다.
6. 분말 소화약제는 부촉매, 질식작용에 의해 B, C급 화재를 소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방진작용을 추가하여 A, B,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분말 소화약제를 다목적용 분말소화약제(제 3종 분말소화약제)라 한다.
2) 또 다른 말로 연소범위를 자력으로 화염을 전파하는 공간이라고도 한다.
3) 연소범위를 화염전파 가능한 범위라 하는 것은 연소하한계 이하에서의 반응은 용 이하게 산화되어 CO 2 와 H 2 O로 변하지만 화염전파는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계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열분해에 의해 물적 조건인 농도, 압력도 상승하게 되 는데 연소하한계 이하에서는 증기압 및 농도가 낮아 기상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못 하고 표면에서 산화반응을 하기 때문에 화염전파를 하지 못하고 불꽃이 없는 작열 연소를 하게 된다.
불활성 기체와 함께 가스계 소화약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유기물의 연소에 의해서 생기는 가스로 공기보다
2) 1.5 배 정도 무거운 기체이며
상온에서는 기체이지만 압력을 가하면 액화되기 때문에 고압가스 용기 속에서 액화시켜 보관 한다 액체 이산화탄소는 자체증기압이 . 21 ℃ 에서 57.8kg/cm 2 정도로 매우 높기 때문에 다른 가압원의 도움 없이 자체 압력으로 방사가 가능하다 방출 시에는 배관 내를 액상으로 흐르지 . 만 헤드에서는 기화되어 분사된다.
① 축열효과와 연돌효과가 있는 장소 로 무창층인 경우 와 다창층인 경우 로 나누어 서 생각할 수 있다 무창층인 경우 축열효과에 의한 불완전연소로 . CO 와 독성가스가 발생되어 패닉과 질식의 우려가 있고 다창층인 경우 연돌효과에 의한 상층으로의 연 소확대 위험이 있어 소화활동상의 장애를 준다 따라서 . , Active System 을 강화할 필 요가 있으며 수동식 보다는 자동식인 수계나 가스계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④ 연기는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충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저휘도 유도등 대신 고휘도 , 특수유도등을 설치하여 피난의 안정성 확보가 필요 .
⑤ 특수유도등에는 스트로브 유도등 , 음향장치 부가 유도등 , 광점멸 주행식 , 허스효과 이용 유도등 이 있으며 화재가혹도가 높거나 피난의 안전성확보가 필요한 장소에는 Passive System 인 피난 유도표지의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
2) 또 다른 말로 연소범위를 자력으로 화염을 전파하는 공간이라고도 한다.
3) 연소범위를 화염전파 가능한 범위라 하는 것은 연소하한계 이하에서의 반응은 용 이하게 산화되어 CO 2 와 H 2 O로 변하지만 화염전파는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계내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열분해에 의해 물적 조건인 농도, 압력도 상승하게 되 는데 연소하한계 이하에서는 증기압 및 농도가 낮아 기상에서 반응이 일어나지 못 하고 표면에서 산화반응을 하기 때문에 화염전파를 하지 못하고 불꽃이 없는 작열 연소를 하게 된다.
⑤ 고층 건축물 화재 시 흔히 나타나는 현상, 순발연소
⑥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넘어가는 분기점에서 발생
⑦ 영향요소
ㆍ화원의 크기 화원이 클수록 F.O 발생용이 ㆍ내장재료 보통합판>난연합판>석고보드>Flexible보드 ㆍ가연물의 발열량 가연물의 발열량이 클수록 발생용이 ㆍ개구율 1/8 가장 느리고 1/2~1/3일 때 가장 빠름 ㆍ실내 산소분압 실내 산소분압이 높을수록 발생용이
⑤ 고층 건축물 화재 시 흔히 나타나는 현상, 순발연소
⑥ 성장기에서 최성기로 넘어가는 분기점에서 발생
⑦ 영향요소
ㆍ화원의 크기 화원이 클수록 F.O 발생용이 ㆍ내장재료 보통합판>난연합판>석고보드>Flexible보드 ㆍ가연물의 발열량 가연물의 발열량이 클수록 발생용이 ㆍ개구율 1/8 가장 느리고 1/2~1/3일 때 가장 빠름 ㆍ실내 산소분압 실내 산소분압이 높을수록 발생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