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도교수: 신 호 준) 토양과 담수에서 자유생활을 하는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는 인체나 실험동물에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을 일으킨다. 파울러자유아메바의 세포사멸기전은 표적세포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아메바의 분비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비접촉성기전과 식세포작용처럼 접촉성기전이 있다. 접촉성기전에 의해 표적세포가 용해되는 과정을 ...
... Pathogenic Naegleriafowleri Infection Pathogenic Naegleriafowleri causes a fatal disease, called as primary amoebic menigoencephalitis, in humans and experimental ...N. fowleri ...
... ( Naegleriafowleri )는 전 세계에 걸치는 다양한 서식 환경에서 발견되고, 사람과 실험 동물에서 급성 중 증의 출혈성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의 원인이 되며, 접촉성 또는 비 접촉성 병원성 기작에 의해 숙주 세포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알 려져 ...
... 적 요 자유생활아메바인 가시아메바(Acanthamoeba spp.)와 파 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fowleri)는 아메바성 뇌염 등 치명 적인 질병을 일으키며, 물을 포함한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한 다. 가시아메바와 파울러자유아메바가 한국의 주요 상수원수 에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배양법에 기초한 실시간 중합효 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2017년 7월부터 ...
... Naegleriafowleri and Acanthamoeba spp. are free-living amoebas that are widely distributed in natural environments. Although uncommon, infection with these protozoans can cause fatal disease in humans and ...
... N. fowleri using RNAi ...N. fowleri trophozoites transfected with synthetic dsRNA or sinfa1-1 did not highly induce in vitro cytotoxicity against murine macrophages as compared with normal ...
... N. fowleri가 표적세포에 접촉하기 이전에 분비되는 물질들에 의해 표적세포들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알 아보기 위해 N. fowleri와 표적세포를 tissue culture in- sert를 이용하여 비접촉 상태를 만들고 이때 표적세포 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표적세포는 30분이라는 매우 짧은 시간에서도 세포사멸이 유도되었으며, 특히 아 메바와 표적세포를 10:1의 비율로 배양하였을 ...
... N. fowleri infection is the nasal ...N. fowleri trophozoites undergo necrosis and some apoptosis, and were shown to produce the pro- 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and IL-6 (Oh et ...N. fowleri ...
... N. fowleri trophozoites penetrate the nasal mucosa and enter the brain through the cribriform plate. The organisms are capable of multiplying in the tissues of the CNS and may be isolated from spinal fluid. In ...
... N. fowleri compared with other parasitic protozoa such as Trichomonas ...N. fowleri however, need to be carried out to further verify if these enzymes are related to the amoeba’s pathogenesis as have been ...
... 본 연구자의 연구실에서는 병원성 파울러자유아메바의 cDNA l i brary를 구축 하여 파울러자유아메바에 대한 감염혈청 및 면역혈청으로 i mmunoscreeni ng과정 을 통해 항원성과 관련이 있고 특히,위족에 특이성이 있는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nf a1이라 명명하였다 (Shin 등,2001).이 유전자는 357개의 염기로 구[r] ...
... Ⅲ.결 과 A.파울러자유아메바의 비접촉 배양에 의한 U87MG 세포의 사멸 Ti s s uec ul t ur ei ns e r tpl at e 를 통해 파울러자유아메바와 U8 7MG 세포를 비접촉 상태에서 함께 배양한 후,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표적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특히 TRAI L은 세포사를 유도하는 TNF 가족군[r] ...
... - ii - 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 2C9 단클론항체는 파울러자유아메바의 전체세포 추출물(lysate)과 재조합 NfCPB 단백질에서 각각 28 kDa, 38.4 kDa에서 반응하였으며, 1C8 단클론항체는 파울러자유아메바의 전체세포추출물과 재조합 NfCPB-L 단백질에서 각각 24 kDa과 34 kDa에서 반응하였다. 또한, 종 특이성(species-specific)을 ...
... amoeba,Naegleriafowleri, causes fatal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in experimental animals and in ...fromN. fowleri is located on pseudopodia, especially amoebic food-cups and plays 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