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생한 악성흑색종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기간 은 평균 ...병리학적으로 악성 흑자(lentigo maligna), 표재 확장성 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말단 흑자성 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및 결절 성 흑색종(nodular ...
... =국문 초록= 폐에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흑색종은 극히 드물다. 46세 여자가 2개월간의 마른기침과 혈담을 주소로 내원 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상 우측 폐하엽에 4.5×5.0 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어 기관지내시경 하 및 경피 적 폐생검술을 반복 시행하였으나 정확한 진단이 되지 않았다. 악성 종양을 의심하고 시행한 술 전 검사에 서는 전이 소견이 없어 수술적 접근을 ...
... - 322 - 서 론 흑색종은 멜라닌세포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은 피부에서 발생하며, 안구, 수막, 호흡기 점막, 소화기 점막 등 전신의 점막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식 도의 원발성 악성 흑색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저자들도 식 도의 원발성 악성 흑색종을 1례 수술치험 하였기에 보고한다. ...
... 악성 흑색종의 위 전이는 부검례에서 약 20-40%로 보고 되는데,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이 늦어 지기 쉽다. 위로 전이된 악성 흑색종의 내시경 소견은 색소 가 있는 병변이 가장 흔하며 주로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정상 주름위에 산재된 흑색의 궤 양성 결절의 형태, 궤양을 동반하는 점막하종양의 형태, 색 소와 괴사를 ...
... 절제이다. 악성 흑색종의 광범 위 절제술을 시행할 때 침습된 깊이가 1 mm 이하일 경우 1 cm의 경계를 두는 것이 적당하고 1 mm 이상일 경우 는 최소한 2 cm 이상의 경계를 두어야 하지만 이러한 여유 경계의 정도가 국소 재발률이나 생존율에는 영향을 끼치지 ...두경부 악성 흑색종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가 생존율에 큰 영향 을 주지만, 7) 예방적 경부 곽청술이 ...
... 원발성 악성 흑색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문헌상으로 수 십 예의 결과만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는 우측폐중엽에 발생한 원발성 악성흑색종 1예를 치험하였는데 환자는 65세 된 남자 로 객담을 동반한 기침으로 내원하여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상 우측폐 중엽에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경 피적 폐생검상 악성 흑색종이 확인되었고 bone scan상 전이 ...
... 을 종료하였으며 현재까지 림프절 전이 등 타 부위로의 전이 및 원발병소의 재발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악성 흑색종은 외과적 광범위 절제술이 일차적으로 중 요한 치료법이며, 종양 제거 시 종양의 미세전이를 막기 위한 안전경계를 설정하여 절제한다. 종양의 침윤 정도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따른 안 전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8 과거에는 침윤 깊이 가 ...
... 통하여 하비도까지 연결 되어 있었다. 안와 골막과 는 피막으로 경계가 분명하였고, 수술 중 박리 시 잘 분리 되었다. 수술 후 조직 검사 상 종물은 다양 한 크기의 거대한 핵과 뚜렷한 핵소체 그리고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는 멜라닌 색소를 지닌 상피양 종 양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면역 조직 화학적 염 색 상 종양 세포들은 mucicarmine, cytokeratin (CK), ...
... 섭취는 악성 종양에 대 한 전신 염증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악성 흑색종에서 F-18 FDG PET/CT상 골 수의 FDG 섭취와 내장 및 피하 지방 조직의 특성이 가지는 예후적 가치에 대해 ...병리학적으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FDG PET/CT를 시행한 33명의 환자들을 진료차트를 분석하여 후향적으로 ...
... 뇌이다. 악성 흑색종의 유방 전이는 매우 드물지만 유방 전이를 일으킨 환자의 약 40%는 악성 흑색종의 첫 임상 증상으로 ...현재까지 악성흑색종 환자들은 여러 가지 전신적 인 항암화학요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매우 빠르게 전신 적인 전이가 진행되기 때문에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 았으며,(1-7) 또한 외과적인 절제가 시행한 경우에도 매우 ...
... 악성 흑색종은 백인에게 호발하고 유색인종에서는 발생빈도가 낮지만 여성의 폐암을 제외하고는 발생 빈도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종양으로 체내 어디에 서나 발생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피부에 발생하며, 특히 하지에서 잘 발생한다 6) . 호발 연령은 40~70세 이며, 전구병변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악성흑색종 의 위험 인자로 모반, 연령, 유전인자(p53), ...
... 등은 악성 흉막액의 진단에 있어서 비록 흉막액 CYFRA 21-1이 CEA보다 우수하지는 않 았지만 흉막액 CEA와 CYFRA 21-1을 병용 검사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 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악성 흉 막액 중 CEA가 cut off 값보다 낮은 10예(14%)에서 CYFRA 21-1 값이 cut off 값 이상으로 관찰되어서 CYFRA 21-1이 ...
... 370 서광일 등.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항문 흑색종 1예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Fig. 3. Follow-up colonoscopic findings at four-year follow-up. (A) There was no recurrence of malignant melanoma four years ...
... 6 관련이 있으며, iNOS 활성 저해가 흑색종 증식을 억제하고 화학치료 효과를 증진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13, 14, 15, 16]. 이와 더불어 2010년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 연구진에 의해 산화질소를 포함한 혈관활성화 분자들의 국소적 유리 조절이 암의 혈액 유입을 감소시켜 괴사를 유도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고, 최근에는 산화질소가 산화적 손상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
... 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4,10) 절제술 시행한 직후 발병한 예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유방절제술 전에 절개 생검 조직에서 육종으 로 진단한 후 시행한 양전자 단층촬영 결과 우측 액와부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어 액와부 곽청술까지 시행하였으나 림프절 전이 는 없었으며, 수술 후 보조적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저자들은 유방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악성 섬유조직구종을 치험하여 문헌 ...
... Fiig g.. 4 4.. Well-circumscribed and homogeneously tan-yellow colored solid mass without capsule invasion 악성 말초신경초종양은 진단 당시 평균연령이 70대이며,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경우는 30-40대로 젊은 나 이에 발생하고,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으로 알 려져 있다. 9 ...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원발성 폐 종양임을 알 수 있었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수술을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우측 여섯 번째 늑간으로 측방 개흉술을 시행 후 종괴를 절제하여 시행한 냉동 절편 조직검사 결과 악성 방추형세 포 육종(malignant spindle cell sarcoma)으로 진단되었다. 따 라서 완전 절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우하엽 절제술과 기관지 주위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