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한 금속판 내고정술시 장골이 전방으로 전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판을 전굴곡(prebend)하였고 저자들의 경우 도 전굴곡(prebend)하여 고정하였으며 장골의 전방 전위는 발 견할 수 ...방 금속판 고정술이 외고정이나 후방 나사 고정보다 생역학적으 로 우수하다고 보고하였고, Leighton과 Waddell 9) 은 임상적으 로 1개의 전방 천장 관절 ...
... 결 과 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지연 유합이나 불유합 없이 1 평균 18.8 주 (12 ~24 ) 주 주 에 일차적인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감염성 불유합이 발생한 예는 타 병원에서 경비 . 1 골 골절에 대해 교합성 금속정 고정술을 실시 후 감염이 , 발생하여 개월 간 항생제 치료를 실시하였으나 호전되 , 5 지 않아 본원으로 전원 된 환자로 후 금속정 제거 및 피 질골 절골술 , ...
... 결 론 원위 요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후방 도달법에 의한 금속판-금속나사의 내고정은 후방의 수지 신전건 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적정한 수술 술기 로 후방으로 전위된 관절면을 포함한 심한 분쇄골절도 외 고정기기와 골 이식술을 동반한 금속판 내고정술로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고,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골 유합이 확인되면 조기에 ...
... , 아직 최선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이 견이 많으며, 그 결과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24) . 그 중 잠김 금속판은 고식적인 금속판에 비해 골절편 의 혈액 공급을 보존할 수 있고, 초기 견고한 각 안정 성 및 회전 안정성을 얻을 수 있어 조기에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어 최근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11,32) . 이에 저자들은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잠김 압박 ...
... 로 골절 양상을 확인한 후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을 시행하였다. 술 후 4일째 관절 운동을 시작하여 2.5개 월에 골유합을 얻었다. 최초 추시의 관절 운동 범위는 5∼ 120도였다. 14개월 후 최종 추시에서 이소성 골화증이 주 관절 주위에서 관찰되나 시행한 방사선학적 평가와 기능적 으로 우수의 결과를 보였다 (Fig. 2). ...
... — 20 — 서 론 쇄골은 인체 내 골절 중에서 5 ~ 1 0 %를 점유하 고 있으며 8자형 석고 또는 붕대 고정등과 같은 보존적 방법으로 양호한 유합을 기대할수 있으나 8 ) 불유합율이 약 0 . 1 ~ 1 . 9 %로 보고되고 있다 6 ) . 이 러한 쇄골 골절 후 불유합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 들로는 손상 정도, 심한 동반 손상, 초기 수술적 치료, 재골절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유합의 ...
... 다. 금속판 파열과 나사못의 이완, 불유합, 재탈 구 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금속판 갈고리에 의한 견봉상부의 피부자극을 3례에서 호소하였으며 1 예에서 피부를 뚫고 나와서 국소적인 피부봉소염 을 일으켜 표재성 감염이 있었으나 항생제의 사용 으로 소실된후 금속판을 조기제거하였고, 1예에서 는 금속 갈고리의 피부자극에 의하여 지속적인 동 통을 호소하였으며 금속판을 제거한 ...
... 해 금속판내고정술, 내과골에 대해 흡수성 나사못을 이용 한 15예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으며 18) , 2001 년 정 등의 저자들은 족관절 골절에서는 금속판내고정술 을, 족근 관절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서는 생체흡수성 나 사못을 이용한 10예에서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7) ...경우 금속판 내고정술을, 족근 관절 ...
...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2군에서 적게 나타났는데 이 는 피부절개의 최소화와 연부조직 박리 및 골막 박리가 관혈적 정복에 비해 적게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적 금속판 내고정술의 2군에서 수술 소요시간이 관혈적 정복 및 금속판 내고정술의 1군에 비해 짧은 것으로 ...고식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므로 술자에 따른 차이의 ...
... 수술은 천골의 중심선을 따라 절개 후 접근하여 골절부를 확 인하고 천골근 및 직장의 손상에 주의하며 elevator를 골절부로 통과시킨 뒤 elevator를 지렛대로 삼아 전위된 골절을 정한 다음 (Fig. 2), 클립으로 골절의 압박과 정복 상태를 유지하고 1/3 튜브 형 금속판을 이용하여 천골 중심선의 양측에서 천골각과 미골각 에 금속판 위치 후 나사못 고정술을 각각 ...
... 340 서 론 소아의 대퇴골 골절은 견인술, 고수상 석고 고정 등의 보존적인 치료에서 유연성 골수정, 금속판내고정술, 외 고정 장치, 교합성 골수정 등의 수술적 치료까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2,6,7,24) . 치료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골절의 위치와 형태 등에 따라 다르나, 최근 학동기 의 소아에서는 환아의 빠른 학교로의 복귀나 가족의 사회 적 ...
... 결 론 저자들은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최소 침습적 술식을 이용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여, 골절부의 연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인 골 유합율을 얻고, 관혈적 정복술에 상당하는 안정적 고 정을 얻음으로써 만족할만한 기능적인 슬관절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 결론 상완골 간부 골절은 전외측 접근법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판 내고정술로 골유합뿐만 아니라 견, 주관절의 운동 범위를 성공적으로 회복하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러한 접근법은 요골 신경의 탐색이 용이하고 요골 신경 손상 을 줄일 수 있으며 비교적 연부 조직의 박리가 적었다. ...
... 있다. 금속판 고정술은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최근에는 부피가 작고 낮 은 강성과 높은 탄성으로 보다 견고한 생역학적 고 정력을 가지는 잠김 금속판의 도입으로 많은 예에 서 이용되고 있으며, 우수한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 ...실패, 금속판 파손, 불유합, 상완 골두 무 혈성 괴사 등의 합병증도 보고되고 ...
... 편측의 금속판 고정은 고에너지 손상으로 일어나는 골절에 서는충분한골절의안정성을 얻기가어려워적절치 못한 경우가 자주 있으며 2 , 1 6 , 2 3 ) , 양측의 금속판 고정 은견고한고정을얻을수는있으나과다한연부조직 의박리로골절부위의혈액순환장애와연부조직의 손상이 자주 생길 수 있다 1 , 2 , 1 2 , 1 4 , 1 8 , 1 9 ) ...
... 다른 장골 골절의 치료와는 다르게 요척골 골절의 치료 는 주관절과 완관절의 기능과 함께 요척골 사이에 일어나 는 회내와 회외 운동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를 위해서는 요골 및 척골의 정상적인 길이 및 만곡의 유 지가 필수적이다. Matthews 등 4 의 연구에 의하면 10° 이 내의 잔존 각변형은 전완부 회전 기능에 큰 영향이 없으나 20° 이상의 잔존 각변형은 전완부 회전 ...
... 였으나 더 이상의 변화없이 술 후 2 0주 때 골유합이 이루어져1년후나머지 K -강선을제거하였다(Fig. 2). 1 1예에서는 K -강선을 제거할때까지 변화가없었다. 최종추시때동측견관절의운동장애가일어난예는 없었으며, Langer씨피부선을 따라 절개한수술반흔 은약 4 c m으로 1 1예에서는만족하였으나, 1예는이상 반흔이생겨성형 수술이요하였다. 그러나젊은 여 성에서수술후 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