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한다(Fig. 4). 비구 내측에서의 절골은 비구의 내측 벽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며 골반의 내측 피질골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구 내 측 벽의 관통을 막기 위하여 절골술 중 비구 전내측을 통 하여 골반 내에 술자의 인지를 삽입하여 촉지함으로써 비 구 내측 벽의 관통을 막을 수 있다. 절골이 끝나면 비구 골편을 전외측으로 회전시키는데, 심한 비구 이형성증의 경우 내측 벽이 두꺼워 ...
... 비구 내측에서의 절골은 비구의 내측 벽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 며 골반의 내측 피질골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구 내측 벽의 관통 을 막기 위하여 절골술 중 비구 전내측을 통하여 골반 내에 술자 의 인지를 삽입하여 촉지함으로써 비구 내측 벽의 관통을 막을 수 있다. 절골이 끝나면 비구 골편을 전외측으로 회전시키는데, 심한 비구 이형성증의 경우 내측 벽이 두꺼워 대퇴골 두가 외측 으로 ...
... 신 파급형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낮은 발생 빈도와 비 특이적 증상으로 진단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1,2 충수돌기 염, 천공성 장질환, 복부 수술 후 및 체내 삽입물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진 복부-골반 방선균증은 무통성이거나 비 특이적 20) 증상을 가지는 만성 경과를 보이고 방사선학적 소 견은 복강내 종양성 질환과 유사하여 수술 후에 확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궁내 ...
... 입원 및 수술경과 : 2007년 3월 8일, 부인과 초음파와 골반 및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의 결과들로써 좌측 난소 로부터 기원한 종양, 혹은 해면상 혈관종, 섬유조직구종, 평활근육종 등의 가능성 있는 수술 전 진단명을 가지고 전신마취하에 시험적 개복술(Explorative laparotomy)을 시행하였다. 자궁 및 양측 부속기는 정상 소견이었고, 좌 측 골반의 후복강내 좌측 ...
... 탈구가 1 4예, 천장 관절의 골절 탈구가 1 3예, 장골 골절이 1 1예, 천골 골절이 9예 있었으며 후방 골반환 손상이 없었 던 경우도 2예 있었다. 저자들은 골반의 전후면 사진, 입 구상(inlet view), 출구상(outlet view),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전방 골반환의 경우에는 후방 골반환 불 안정성을 동반한 치골 결합부의 분리, 2.5 cm 이상의 치 골 결 합 부 ...
...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단일 연구 기관에서 2010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입원 또는 외래 방문한 골반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 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기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 운대백병원 임상시험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이루어졌다 (2017-08-004). 연구 대상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골 반 골절이 진단된 환자, 2) 폐경 후의 ...
... 요도 손상이 있는 환자에게 응급실에서 도뇨관 삽입을 하는 것은 금기로 되어 있는데 이는 감염이 발생할 가능성 이 높고 요도의 부분 파열을 완전 파열로 만들 수 있기 때 문이다. 그러므로 요도구에 출혈이 있거나, 방광이 가득 차 있으면서 소변을 보지 못하거나, 직장 검사상 전립선의 위 치나 가동성에 변화가 있는 등의 요도 손상 소견이 있거나 골반 환의 복잡골절, 특히 측방 압박에 ...
... 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천골미골인대를 뚫었을 것으로 오인 할 수도 있고, 주사침이 천골미골인대까지 미치지 못했다 고 판단하여 더 긴 주사침으로 바꿔서 다시 찔러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서 천골미골 인대까지의 거리와 천골열공의 깊이를 평가하여 원하는 지 점에 약물을 주입하는 것이 미추 경막외 주사의 치료효과 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
... 외상 환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 다 1,4~6) ; 1) 고령, 2) 3일 이상의 침상 안정, 3) 혈전증의 병 력, 4) 척추골절 5) 혼수 상태, 6) 사지마비 혹은 하지마비, 7) 골반골절, 8) 하지골절, 9) 하지의 중요 정맥의 봉합, 10) 하지의 복합 상처(complex wound), 11) 수상 후 24시 간 동안 수혈량, 12) 장시간의 수술 시간, 13) ...
... 이용하여 골반 내로 유입되어 생성되는 것으 로 생각된다. 첫째는 비구 골용해로 골 결손이 발생한 곳 을 통해 마모입자가 쉽게 골반 내로 유입되어 골반 내 종 물을 생성한다 3,9) ...입자가 골반 내로 쉽게 유입되어 종물을 생성하 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비구컵을 고정하는 데 사 용한 나사못을 통해 마모 입자가 골반 내로 ...
... 2). 천골의 골절편이 10 mm 이상 전위된 불안정성 골절이 있 으며 혈종으로 인해 신경근이 압박되고 있었기 때문에 수술 적 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환자의 생체 징후가 안정된 수 상 후 2주째에 복와위 자세에서 제4 요추-제1 천추 간 감압 술, 척추경 및 장골 나사못을 이용하여 제4, 5 요추, 제1 천추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척추-골반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감압술을 ...
... - 골반 안정성 집중훈련 시 체간의 근활성도 및 균형능 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골반 안전성 집중훈련을 실 시하였다 ...- 골반 안정성 집중훈련은 체간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증명하였고 , 균형에 있어서 체간 - 골반 안정화 및 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Rasterstereography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Rasterstereo- graphy는 1989년부터 임상에서 사용되었으 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측정 기법으로 방사선 노 출이 없는 할로겐 전구 및 적외선 촬영의 방식을 사용한 다[22]. 최근에는 6~11세의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 한 연구[23] 뿐만 아니라, 요통[24], 척추측만증[25] 등의 질환군을 ...
... 있다 1 ) , 3 ) - 7 ) . 이 수술은 일종의 관절낭 성형술( c a p s u- lar arthroplasty)로 새롭게 형성된 관절지붕밑으 로 관절낭이 접혀 들어가 섬유연골화 함으로서 관절 연골의 역할을 하게된다. 대퇴골두의 내측 전이는 체중 중심의 지렛대를 짧게 함으로써 둔부 외전근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대퇴골두에 가해지는 관절 압 력(joint pressure)의 총량을 ...
... 불안정성 골반 골 절은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타 장기의 손상, 특히 복부나 골반강 내의 여러 장기들의 손상 과 함께 많은 출혈을 동반하기 때문에 사망률이 8 ~ 2 0 %에 이르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불유합 및 부정유합으로 인해 만성 요통, 앉는 자세 불편, 보행 장애, 하지길이 부동, 비뇨생식기계 동통 등의 만성 합병증을 남길 수 있다 3 , 6 , ...
... 서 론 W.C. RŐntgen이 1895년 X선을 발견한 이후 엑스선은 의료분야에서 100여년 동안 진단 방사선 분야 및 방사선 종양학 분야에 크게 기여해왔다. 의료 방사선의 사용은 국제적으로도 의료피폭의 특수성을 인정하여 환자 개인이 받는 이득이 많으므로 환자가 받는 선량한도(dose limit)를 정하지 않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건강검진 등과 방사선 의료기기의 사용 증가에 따라 ...
... 혈소판 증가증이 악성 종양과 관련이 있다는 보 고는 1872년 Reiss가 처음 보고한 이래 간헐적인 연 구가 되어오고 있다1). Chalas 등은 상피성 난소암 환 자의 56%에서 혈소판 증가증이 나타난다고 하였으 며, 골반 종괴의 악성 유무를 감별 진단 하는데 민 감도 56%, 특이도 84%, 양성예측율 83%, 음성예측 율 59%를 보고하였다2). 최근 Menczer 등은 ...
... The current case involves a 26-year-old man who experienced a lateral compression force to his pelvis and knees, and suffered a symphysis pubis disruption (locked symphysis pubis, i.e., [r] ...
... Tel : 82-2-2224-2240, Fax : 82-2-2224-2394, E-mail : don@hallym.or.kr 서 론 상둔신경은 제 4,5 요수신경근 및 제 1천수신경근으 로 이루어지며 대좌골공(greater sciatic foramen)의 외측으로 주행하여 둔부의 근육들에 분포한다. 임상적 으로 상둔신경의 손상은 대부분 골반부에서 다른 신경 들의 손상과 동반되어 발생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