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PE99574-11580-3
조간대 갯벌생태계 저서미세조류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 규명 연구
Ecological role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 for benthic animals in the intertidal flat
2018. 02. 28.
한 국 해 양 과 학 기 술 원
제 출 문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 조간대 갯벌생태계 저서미세조류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 규명 연구” 과제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8. 02. 28
총괄연구책임자 : 이 연 정 참 여 연 구 원 : 노 재 훈
“ : 안 성 민
“ : 이 호 원
“ : 김 은 영
“ : 김 지 훈
“ : 양 원 석
보고서 초록
과제고유
번호 PE99574 해당단계 연구기간
2017.03.01.
.- 2017.12.31. 단계 구분 없음
연구사업명 중사업명 창의사업
세부사업명 주요사업(신진연구자 및 창의적 아이디어 지원) 연구과제명 대과제명 신진연구자의 연구기반 구축 및 창의적 아이디어 지원
세부과제명 조간대 갯벌생태계 저서미세조류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 규명 연구
연구책임자 이연정
해당단계 참여연구원수
총 : 7 명 내부: 2 명 외부: 5 명
해당단계 연구비
정부: 50,000 천원
기업: 천원
계 : 50,000 천원 총연구기간
참여연구원수
총 : 7 명 내부: 2 명 외부: 5 명
총 연구비
정부: 50,000 천원
기업: 천원
계 : 50,000 천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태기반연구센터 참여기업명
국제공동연구 위탁연구
요약 보고서
면수 28
○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
- 여과섭식자는 해조류 기원 유기물보다 저서미세조류, 부유입자를 주요 먹이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민챙이나 게는 해조류 기원 유기물을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하고 있음
- 대형저서동물의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는 10~27%의 범위를 보임
○ 크기별, 서식 깊이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 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서미세조류가 함께 수층으로 공급됨을 확인하였음
- 본 연구에서 굴의 크기별, 서식 깊이별 먹이원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음. 그러나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는 28~30%로 수층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생물에게 저서미세조류가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
색인어 (각 5개 이상)
한 글 조간대, 저서미세조류, 재부유, 먹이망, 안정동위원소
영 어 Intertidal flat, Microphytobenthos, Resuspension, Food web, Stable isotope
요 약 문
Ⅰ. 제 목
조간대 갯벌생태계 저서미세조류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 규명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갯벌 저서동물의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규명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
- 근소만 갯벌, 연 3회 조사(2017년 5월, 7월, 9월) - 표층퇴적물 색소체(화학분류학적 지표) 분석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2. 크기별, 서식 깊이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 근소만 갯벌, 연 2회 조사(2017년 7월, 10월)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Ⅳ. 연구개발결과
1.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
근소만 저서미세조류는 늦겨울에서 봄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규조류가 주요 우점군으로 나타났다. 바지락이나 동죽, 띠조개와 같은 여과섭식자는 해조류 기원 유기물보다 저서미세조류나 부유입자를
- 4 -
길게, 칠게, 방게 등은 해조류와 유사한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는 이들이 해조류 기원 유기물을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대형저서동물의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는 10~27%의 범위를 보였다.
2. 크기별, 서식 깊이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수층 탁도가 증가할 때 chlorophyll-
a
농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서미세조류가 함께 수층으로 공급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굴의 크기별, 서식 깊이별 먹이원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는 28~30%로 나타났다. 이는 수층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생물에게 저서미세조류가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갯벌 유용생물자원의 먹이생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생태학적 중요도를 평가하는데 활용
- 갯벌생태계 내 저서미세조류기원 유기물의 거동 이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시 기반 자료로 활용
- 갯벌생태계 가치평가 시 활용 가능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
(KEYWORDS : 조간대, 저서미세조류, 재부유, 먹이망, 안정동위원소)
S U M M A R Y
Ⅰ. Title
Ecological role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 for benthic animals in the intertidal flat
Ⅱ. Objective of the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microphytobenthos to mudflat organisms as a food source
Ⅲ. Contents and scope of the study
1. Understanding of food web structure in mudflat ecosystem - Three sampling campaigns conducted in the intertidal flat
of Geunso Bay (May, July, and September, 2017)
- Pigments (as chemical taxonomic indicators) in surface sediments measured
-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carbon and nitrogen analyzed - Con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s to
benthic animals determined
2. Determination of the major food source of oyster by size and habitat depth
- Two sampling campaigns conducted in the intertidal flat of Geunso Bay (July and October, 2017)
-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carbon and nitrogen analyzed - Con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s to
oyster determined
- 6 -
Ⅳ. Results
1. Food web structure in the intertidal flat ecosystem
- Microphytobenthos showed the highest biomass in late winter and spring, and diatoms were the dominant group.
Filter feeders such as shellfish were found to use microphytobenthos and/or suspended particles as major food sources rather than macroalgae. While, gastropod and crabs showed similar δ13C values to macroalgae, indicating that macroalgae-derived organic matter could be important for them as a major food source. Overall,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 for mudflat animals was ranged form 10 to 27%.
2. Major food source of oyster by size and habitat depth
-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turbidity in water, indicating that microphytobenthos are resuspended together into the water column with sediment.In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sources by oyster size and habitat depth. The con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 on oyster is ranges from 28 to 30%.
Ⅴ. Application plan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ould provide 1) baseline information on evaluation of ecological importance of microphytobenthos as a food source on intertidal flat organisms and 2) scientific data for assessing ecosystem service values
(KEYWORDS : Intertidal flat, Microphytobenthos, Resuspension, Food web, Stable isotope)
C O N T E N T S
Summary ··· 5
Contents ··· 7
Chapter 1. Introduction ··· 9
Section 1. Necessities of the study ··· 9
Section 2.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study ··· 10
Chapter 2.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 12
Chapter 3. Results of the study ··· 14
Section 1. Understanding of food web structure in mudflat ecosystem 14 Section 2. Determination of the major food source of oyster by size and habitat depth ··· 19
Chapter 4.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outcomes ··· 24
Chapter 5. 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 25
Chapter 6. References ··· 26
목 차
요약문 ··· 3
Summary (영문요약문) ··· 5
Contents (영문목차) ··· 7
목차 ··· 8
제 1 장 서론 ··· 9
제 1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9
제 2 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10
제 2 장 국내외 연구동향 ··· 12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14
제 1 절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 ··· 14
제 2 절 생태 및 환경조건별 부착생물(굴)의 먹이원 규명 ··· 19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24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5
제 6 장 참고문헌 ··· 26
제 1 장 서론
1. 근소만 갯벌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 증가
- 근소만 갯벌의 생태계 조사는 원내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바 있으나, 먹이망 구조에 대한 정보는 부족함. 다양한 섭식형태를 갖는 저서동물과 그들의 잠재적 먹이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는 근소만 갯벌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음. 또한 여과섭식자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 조류의 기여도 파악은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에 의한 저층-수층 연결고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2. 저서미세조류기원 유기물의 거동 이해를 위한 연구개발 시 활용 가능한 기반자료 확보 - 저서미세조류는 갯벌 유용생물자원의 중요한 먹이원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
이들의 거동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임. 본 연구는 광합성 과정을 통해 생성된 저서미세조류 기원 유기물이 먹이망을 통해 전달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이들의 거동 파악을 위한 연구과제 개발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저서미세조류기원 유기물의 거동 파악은 갯벌이 블루카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3. 기관의 해양과학 경쟁력 확보
- 생태계 내 물질순환을 이해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여, 우리원의 연구기술 및 연구범위를 확장함
- 갯벌 먹이망 구조 및 물질순환 연구는 대학에 소속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주로 수행되고 있음.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 저서미세조류 기원 유기물의 거동 이해와 관련된 다양한 과제의 발굴은 해당 연구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 10 - 1. 최종목표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갯벌저서동물의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규명
2. 세부목표 및 연구내용
세부목표 연구내용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스크리닝
- 근소만 갯벌, 연 3회 조사(계절별)
- 표층퇴적물 색소체(화학분류학적 지표) 분석 -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생태 및 환경조건별
부착생물(굴)의 먹이원 규명
- 근소만 갯벌, 연 1~2회 조사 -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 굴의 서식 깊이별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3. 추진체계
4. 추진전략 및 수행방법
-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이용한 저서미세조류의 생태적 기능 이해 연구 추진
: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는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이용하여 갯벌 저서동물의 잠재적 먹이원을 파악하고, 각 먹이원의 기여도를 알아보고자 함 - KIOST 인프라 및 축적된 연구결과 활용
: 태안 근소만 갯벌에 설치되어 있는 갯벌타워를 활용하여 서식 깊이에 따른 굴의 먹이원 변화를 파악하고, 저서미세조류의 재부유 도달범위를 확인하고자 함.
또한 갯벌타워에 계류 해놓은 센서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먹이원으로서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활용하고자 함
- 12 -
제 2 장 국내외 연구동향
1. 저서미세조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 원내·외 연구진에 의해 곰소만, 광양만, 새만금, 강화도 갯벌 등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이 보고된 바 있음(오 등, 2004; 유와 최, 2005; 이 등, 2009; 이 등, 2012; Kwon et al., 2016). 주요 우점그룹은 규조류로 나타났지만, 일부 갯벌에서는 유글레나류와 은편모조류 역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보고되었음. 한편, 최대 생물량이 관찰되는 시기는 논문마다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물리·화학·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이 조절되고 있음을 의미함. 따라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갯벌생태계 근간이 되는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 및 군집조성의 계절에 따른 변화를 이해 할 필요가 있음
- 국제적으로도 저서미세조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상당히 진행된 바 있음(Brotas et al., 1995; Underwood and Kromkamp, 1999; Méléder et al., 2005; de Jonge et al., 2012).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의 계절변동성은 전 세계적으로도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연구지역 또는 연구정점 별 특이성에 의한 결과로 사료됨.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안정성(재부유 억제)과 관련된 퇴적물의 입도 이지만, 일부 논문에서는 대형저서동물의 섭식활동을 이들 생물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한 바 있음
2. 갯벌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
- 갯벌 저서먹이망 구조 파악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일부 연구진에 의해 수행된 바 있음(Kang et al., 2003, 2006, 2015; Park et al., 2015; 강 등, 2016).
그러나 먹이망 구조는 주요 먹이원의 종류 및 계절, 지역에 따라 상이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움. 다양한 국내 갯벌에서의 먹이망 구조 파악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
- 국제적으로 갯벌생태계 먹이망 구조 파악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유기물 기원 파악, 영양단계 추정, 물질순환 이해 등이 가능한 안정동위원소를 주요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음. 일부 연구자들은 동위원소 추적자 첨가실험을 통해
저서미세조류 기원 유기물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Middelburg et al., 2000; Oakes et al., 2014, 2016).
3. 저서미세조류 재부유에 의한 benthic-pelagic coupling
- 근소만 갯벌이 일부 계절에는 연안해역으로 영양염류 및 입자유기물을 공급하는 소스 역할을, 일부 시기에는 sink 역할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음(Kim et al., 2011). 또한 여자만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기원 유기물이 섭식자에 의해 조간대에서 조하대로 전달됨이 제시된 바 있음(Kang et al., 2015). 이는 갯벌생태계 내에서 benthic-pelagic coupling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임. 그러나 저서미세조류 재부유가 저층-수층 연결고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부유 기작, 재부유가 외해 탄소플럭스 및 수층 먹이망 구조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국내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함. 만조 시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의 30~40%가 수층으로 유입됨이 보고된 바 있지만(Koh et al., 2006), 이는 일본 아리아케 해 지역의 갯벌에서 수행된 결과임.
- 저서미세조류 재부유에 의한 benthic-pelagic coupling은 국제적으로도 관심이 높은 연구주제임. 저서미세조류는 물이 들어오면서 재부유되어 수층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퇴적물-수계에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음(de Jonge and van Beusekom, 1992, 1995; de Jogne, 1995; Lucas et al., 2000, 2001; Koh et al., 2006). 일부 해역에서는 수계 일차생산에 대한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가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크다고 보고된 바 있음(de Jonge, 1995). 그러나 지역에 따른 큰 차이 때문에 이들의 기여도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움
- 14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 현장조사
- 태안 근소만 갯벌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2017년 5월, 7월, 9월 3차례 현장조사를 수행함(그림 1)
그림 1. 연구지역 및 현장조사 수행시기
- 잠재적 먹이원 및 중·대형 저서동물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먹이망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시료 내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측정하였음
- 잠재적 먹이원으로는 부유입자(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및 저서미세조류 (microphytobenthos, MPB), 퇴적물 내 유기물(sediment organic matter, SOM), 잎파래(
Ulva linza
)를 채취하였으며, 중형저서동물은 현미경 하에서 요각류와 선충류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음. 채취한 대형저서동물 종은 조사시기별로 차이를 보였음(표 1)표 1. 조사시기별 채취된 대형저서동물 (G: Gastropoda, B: Bivalvia, C: Crustacea, P: Polychaeta, A: Actinopterygii)
조사시기 Species
2017.05 · Bullacta exarata (G) · Lunatia fortunei (G)
· Ruditapes philippinarum (B) · Mactra veneriformis (B)
· Macrophthalmus japonicus (C) · Macrophthalmus abbreviatus (C)
· Helice tridens (C) · Palaemon macrodactylus (C)
· Alpheus bisincisus (C) · Alpheus sp. (C)
· Neanthes japoica (P) · Glycera chirori (P)
· Lumbrineris sp. (P) · Eunicida sp. (P)
· Cirratulidae sp. (P)
2017.07 · Bullacta exarata (G) · Ruditapes philippinarum (B)
· Laternula marilina (B) · Macrophthalmus japonicus (C)
· Macrophthalmus abbreviatus (C) · Helice tridens (C)
· Hemigrapsus penicillatus (C) · Philyra pisum (C)
· Palaemon macrodactylus (C) · Pagurus minutus (C)
· Neanthes japoica (P) · Glycera chirori (P)
· Eunicida sp. (P) · Cirratulidae sp. (P)
· Synechogobius hasta (A)
2017.09 · Bullacta exarata (G) · Ruditapes philippinarum (B)
· Macrophthalmus abbreviatus (C) · Helice tridens (C)
· Palaemon macrodactylus (C) · Neanthes japoica (P)
· Glycera chirori (P) · Lumbrineris sp. (P)
· Eunicida sp. (P) · Synechogobius hasta (A) 2. 표층퇴적물 내 색소체 분석
가. 계절별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 변화
-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은 1월초에 약 60 mg m-2의 농도를 보였으며, 점차 증가하여 2월 말, 3월 초에 가장 높은 값을 보인 후 여름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그림 2). 낮은 생물량은 가을까지 지속되는 경향을 보임
- 16 - 나. 저서미세조류 군집조성
- 규조류의 지시색소인 fucoxanthin은 chlorophyll-
a
다음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두 색소의 농도변화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음(그림 3). 또한, 조사 기간 동안 두 색소의 비는 0.22~0.36으로 비교적 유사한 값을 보였음- 이는 규조류가 근소만 저서미세조류의 주요 우점군임을 의미함
그림 3. 규조류 지시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 변화(*: 먹이망 구조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 시기)
3.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가. 잠재적 먹이원 및 저서동물의 안정동위원소 비
- 잠재적 먹이원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δ13C)는 -23.34 ~ -10.95‰,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δ15N)는 1.55 ~ 8.16‰의 범위를 보였으며, 대형저서동물은 각각 -19.57 ~ -10.40‰, 8.27 ~ 14.69‰의 범위를 보임. 중형저서동물은 시료양이 부족하여 신뢰성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음
- 먹이원 중 SPM은 가장 가벼운 δ13C값을, 해조류(
Ulva linza
)는 가장 무거운 값을 보였음나. 먹이망 구조 파악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이나 동죽(Mactra veneriformis
), 띠조개(Laternula marilina
)와 같은 여과섭식자는 다른 저서동물에 비해 비교적 가벼운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해조류 기원 유기물 보다 저서미세조류나 부유입자를 주요한 먹이원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의미함(그림 4)- 반면, 민챙이(
Bullacta exarata
)나 길게(Macrophthalmus abbreviatus
),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
), 방게(Helice tridens
) 등은 비교적 무거운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나타냈으며, 이는 해조류 기원 유기물이 이들에게 중요한 먹이원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함그림 4. 잠재적 먹이원 및 대형저서동물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 18 -
- 갯지렁이는 가장 무거운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는 분해과정을 많이 거친 유기물의 이용에 의한 결과로 사료됨. 한편, 이들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다른 저서동물의 중간 값인 약 -15‰로, 저서미세조류 및 퇴적유기물, 해조류 기원 유기물 모두 이들의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판단됨
4.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가. 잠재적 먹이원의 기여도 파악
- SIAR 모델 결과 부유입자는 바지락(
R. philippinarum
), 민챙이(B.
exarata
), 길게(M. abbreviatus
), 칠게(M. japonicus
)의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반면, 방게(H. tridens
), 밤게(P. pisum
), 갯지렁이(Polychaeta) 먹이원으로서의 기여도는 1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남(그림 5)그림 5. 잠재적 먹이원의 기여도
- 저서미세조류는 방게를 제외한 대형저서동물에게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며, 기여도는 10~27%의 범위를 보임
- 먹이원으로서 해조류(Ulva)의 기여도는 20~46%로 나타났으며, 이는 근소만 갯벌 저서생태계에서 이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의미함
1. 현장조사
가. 연 2회 굴 시료 채취
-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가 수층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섭식자에게 중요한 먹이원으로 이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2017년 7월과 10월 두 차례 굴 시료를 채취함(그림 6)
- 부착생물의 먹이원 규명 시 갯벌타워에 자연적으로 부착한 굴을 이용하기로 계획하였으나, 작년에 실시한 굴 제거 작업 후 올해 4월까지 갯벌타워 프레임에 굴이 부착하지 않아 구입한 굴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함
-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을 파악하기 위해 크기가 다른 2개 그룹(평균 육중량 50g, 250g)을 구입하였으며, 서식 깊이 별 주요 먹이원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통발을 활용함
그림 6. 근소만 갯벌타워 및 설치된 굴망 사진
- 20 - 2.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가. 굴의 크기별, 서식 깊이별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및 비만도
-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의 경우 크기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두 그룹에서 유사한 범위를 보임(그림 7)
- 서식 깊이에 따른 안정동위원소 비의 차이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만도는 퇴적물에서 약 25~30cm 떨어진 높이에 서식하는 굴에서 두 그룹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보임. 이는 굴의 노출시간에 따른 결과로 사료됨
그림 7. 크기별, 서식 깊이별 굴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및 비만도(condition index). (T0: 굴망 설치 직후, T1: 2달 후, T2: 4달 후)
3.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가.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 굴 체내 동화시간을 고려하여 T2 결과를 이용하여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을 비교하였으며, 잠재적 먹이원으로 부유입자 및 저서미세조류, 퇴적유기물, 해조류(Ulva)를 고려하였음
- 두 그룹 모두 퇴적유기물과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조류(Ulva)는 매우 낮은 기여도를 보였음(그림 8)
- 크기가 큰 굴에 대한 부유입자의 기여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부유입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의 큰 변동성에서 기인한 결과로 사료됨.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시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그림 8.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4. 굴의 서식 깊이별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가. 수층 부유입자 및 chlorophyll-
a
의 농도 변화- 조석에 의해 표층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이 수층 chlorophyll-
a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갯벌타워에 바닥에 계류해놓은 센서자료를 활용하고, 이와 더불어 3회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음.현장조사에서는 만・간조시 30분 간격으로 표층수를 채취하여 부유입자 및 chlorophyll-
a
농도를 측정하였음- 갯벌타워 바닥에 계류된 chlorophyll-turbidity 센서자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탁도가 증가할 때 chlorophyll-
a
농도 역시 증가하였으며,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그림 9)- 22 -
그림 9. 만・간조시 수층 탁도, chlorophyll-a 농도변화 및 두 요인의 상관관계(chlorophyll-turbidity 센서자료, 2017년 2월 24일)
- 현장조사 결과, 모든 조사 기간 동안 밀물 또는 썰물 시 가장 높은 부유입자 농도를 보였으며, chlorophyll-
a
의 농도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음(그림 10).이는 퇴적물이 재부유될 때 저서미세조류가 함께 수층으로 공급됨을 의미하며,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 및 퇴적유기물은 수층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생물에게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음
그림 10. 수층 부유입자 및 chlorophyll-a 농도변화 (ND: not determined)
나. 서식 깊이에 따른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 굴의 크기에 상관없이 두 그룹(small, large) 모두 서식 깊이별 주요 먹이원의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음(그림 11)
-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는 28~30% 였으며, 크기별, 서식 깊이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그림 11. 서식 깊이별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 24 -
제 4 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 목표 달성도
연구기간 내 목표 대비 달성율(%)
성과목표 연구내용 가중치
(A) 달성실적
계획대비 연구실적 달성율(B)
(%)
1. 조간대 저서생태계 먹이망 구조 스크리닝
1-1. 근소만 갯벌, 연 3회 조사 (계절별)
0.5
- 연 3회 이상 근소만 갯벌 현장조사 수행
100 1-2. 표층퇴적물 색소체
(화학분류학적 지표) 분석
- 색소체 분석을 통해 저서미세조류 생물량 및 주요 우점군 파악
1-3.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을 통해 먹이망 구조 파악
1-4. 먹이원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 SIAR 모델을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먹이원 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2. 생태 및 환경조건별 부착생물(굴)의 먹이원 규명
2-1. 근소만 갯벌, 연 1~2회 조사
0.5
- 연 2회 시료채취 완료
100 2-2.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
- 굴의 탄소 및 질소 안정 동위원소 비 분석 수행 2-3.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파악
- 크기별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2-4. 굴의 서식 깊이별 재부유된 저서미세조류의 기여도 파악
- 서식 깊이별 굴의 주요 먹이원 비교
계 1.0 100
2. 대외기여도
- 근소만 갯벌의 생태계 조사는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바 있으나, 먹이망 구조에 대한 정보는 부족함.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지식적 공백을 채우는데 기여할 수 있음
- 다양한 섭식형태를 갖는 저서동물과 그들의 잠재적 먹이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는 국내 갯벌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갯벌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갯벌 유용생물자원의 먹이생물로서 저서미세조류의 생태학적 중요도를 평가하는데 활용
- 갯벌생태계 내 저서미세조류기원 유기물의 거동 이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시 기반 자료로 활용
- 갯벌생태계 가치평가 시 활용 가능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
2.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 가. 기술적 측면
- 갯벌생태 관련 학문분야의 기초 및 기반 지식제공
-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을 통한 갯벌생태계 먹이망 구조파악을 통해 해당 분야 연구 능력의 경쟁력 확보
나. 경제・산업적 측면
- 갯벌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축적/제공하여 환경 친화적 정책을 수행하도록 유도
다. 사회적 측면
- 갯벌의 개발 및 보존에 관한 국민적 관심 및 이해 증진
- 26 -
제 6 장 참고문헌
강수진, 최보형, 한용진, 신경훈, 2016. 영흥도 조간대 갯벌 저서미세조류의 생태적 중요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활용. 생태와 환경 49, 80-88.
오승진, 문창호, 박미옥, 2004. 한국 서해 새만금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에 대한 HPLC 분석. 한국수산과학회지 37, 215-225.
유만호, 최중기, 2005. 강화도 장화리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분포 및 일차 생산력. 바다 10, 8-18.
이용우, 최은정, 김영상, 강창근, 2009. 광합성색소 분석을 통한 광양만 갯벌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 계절변화. 바다 14, 48-55.
이용우, 박미옥, 윤지현, 허성범, 2012. 색소분석을 통한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 생체량과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바다 17, 87-94.
Brotas, V., Cabrita, T., Portugal, A., Serodio, J., Catarino, F., 1995.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microphytobenthic biomass in intertidal flats of Tagus estuary (Portugal). Hydrobiologia 300-301, 93-104.
de Jonge, V.N., 1995. Wind-driven tidal and annual gross transport of mud and microphytobenthos in the Ems Estuary, and its importance for the ecosystem. In: Dyer, K.R., Orth, R.J. (eds) Changes in fluxes in estuaries. Olsen & Olsen, Fredensborg, p 29-40.
de Jonge, V.N., de Boer, W.F., de Jong, D.J., Brauer, V.S., 2012.
Long-term mean annual microphytobenthos chlorophyll a variation correlates with air temperature. Mar. Ecol. Prog. Ser. 468, 43–56.
de Jonge, V.N., van Beusekom, J.E.E., 1992. Contribution of resuspended microphytobenthos to total phytoplankton in the Ems estuary and its possible role for grazers. Neth. J. Sea Res. 30, 91-105.
de Jonge, V.N., van Beusekom, J.E.E., 1995. Wind- and tide induced resuspension of sediment and microphytobenthos from tidal flats in the Ems estuary. Limnol. Oceanogr. 40, 766-778.
Kang, C.K., Kim, J.B., Lee, K.S., Kim, J.B., Lee, P.Y., Hong, J.S., 2003.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 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Mar. Ecol.
Prog. Ser. 259, 79-92.
Kang, C.K., Lee, Y.W., Choy, E.J., Shin, J.K., Seo, I.S., Hong, J.S., 2006. Microphytobenthos seasonality determines growth and reproduction in intertidal bivalves. Mar. Ecol. Prog. Ser. 315, 113-127.
Kang, C.K., Park, H.J., Choy, E.J., Choi, K.S., Hwang, K., Kim, J.B., 2015. Linking intertidal and subtidal food webs: consumer-mediated transport of intertidal benthic microalgal carbon. PLoS One 10, e0139802.
Kim, K.H., Kim, D., Noh, J.H., 2011. Tidal variations in concentrations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materials in a semiclosed bay of the Yellow Sea. J. Coastal Res. 27, 459-469.
Koh, C.H., Khim, J.S., Araki, H., Yamanishi, H., Mogi, H., Koga, K., 2006. Tidal resuspens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in a Nanaura mudflat, Saga, Ariake sea, Japan: flood-ebb and spring-neap variations. Mar. Ecol. Prog. Ser. 312, 85-100.
Kwon, B.O., Lee, Y., Park, J., Ryu, J., Hong, S., Son, S., Lee, S.Y., Nam, J., Koh, C.H., Khim, J.S., 2016. Temporal dynamics and spatial heterogeneity of microalgal biomass in recently reclaimed intertidal flats of the Saemangeum area, Korea. J., Sea Res. 116, 1-11.
Lucas, C.H., Banham, C., Holligan, P.M., 2001. Benthic.pelagic exchange of microalgae at a tidal flat. 2. Taxonomic analysis. Mar. Ecol. Prog.
Ser. 212, 39-52.
Lucas, C.H., Widdows, J., Brinsley, M.D., Salkeld, P.N., Herman, P.M.J., 2000. Benthic.pelagic exchange of microalgae at a tidal flat. 1. Pigment analysis. Mar. Ecol. Prog. Ser. 196, 59-73.
Méléder, V., Barillé, L., Rincé, Y., Morançais, M., Rosa, P., Gaudin, P., 2005. Spatio-temporal changes in microphytobenthos structure analysed by pigment composition in a macrotidal flat (Bourgneuf Bay, France).
Mar. Ecol. Prog. Ser. 297, 83-99.
Middelburg, J.J., Barranguet, C., Boschker, H.T.S., Herman, P.M.J., Moens, T., Heip, C.H.R., 2000. The fate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carbon: An in situ 13C-labeling study. Limnol. Oceanogr. 45, 1224-1234.
Oakes, J.M., Eyre, B.D., 2014. Transformation and fate of microphytobenthos carbon in subtropical, intertidal sediments: Potential for long-term carbon retention revealed by 13C-labeling. Biogeosciences 11, 1927-1940.
- 28 -
Oakes, J.M., Rysgaard, S., Glud, R.N., Eyre B.D., 2016. The transformation and fate of sub-Arctic microphytobenthos carbon reveled through 13C-labeling. Limnol. Oceanogr. 61, 2296-2308.
Park, H.J., Han, E., Lee, Y.J., Kang, C.K., 2016. Trophic linkage of a temperate intertidal macrobenthic food web under opportunistic macroalgal blooms: A stable isotope approach. Mar. Pollut. Bull. 111, 86-94.
Underwood, G.J.C., Kromkamp, J., 1999. In: Nedwell, D.B., Raffaelli, D.G. (Eds.),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Academic Press, pp. 9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