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범위 및 방법
연구의 내용 및 논문의 구성
따라서 이 경우 한쪽 측면에서의 가시성에 대한 규정이 충족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IACS UI SC139에서는 "선체 측면은 교량 날개에서 보여야 하며 행정부의 의견으로는 이 규칙이 인정됩니다. 만날 수 없다." "특수 건조 선박의 경우 이 규칙의 요구 사항에 최대한 가까운 가시성 요구 사항을 보장하는 시설이 있어야 합니다." 본 연구 대상 선박에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장착한 후 경량화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Fig. 2.1 Open loop exhaust gas cleaning system[2]](https://thumb-ap.123doks.com/thumbv2/123dokinfo/10481078.0/19.892.169.751.395.895/fig-2-open-loop-exhaust-gas-cleaning-system.webp)
배기가스 세정장치 개장 초기 설계 절차수립 및 모델선 검토
- 배기가스 세정장치 개장 초기 설계 절차수립
- 모델선 선정 및 검토
선박 검사 시에는 선박의 3D 사진을 촬영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 설치를 위한 선박 환경 조사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으로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설치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제조사에 따라 엔진룸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단부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관련 규정을 준수할 수 없으므로 재구축 후 변경된 스택 및 케이지의 구조가 기존 가시 범위를 보장하는지 확인해야 한다[10].
본 연구 대상 선박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개조에 따른 설계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 표 4.5의 도면 및 자료를 선급협회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았다. 설치 과정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 설치 후 스택 및 케이싱 증가로 인해 선박 조명 규정상 마스트 등의 가시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고정식 소화설비
다만, 연구 대상 선박의 경우 추가적인 실린더 개조를 피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용적을 확장하였으므로 다운로드 설치로 인한 추가 실린더나 노즐 개조가 필요 없도록 설계하였다. 가스 청소 장비. 따라서 특수한 실린더나 노즐의 추가 설치는 고려하지 않았다.

의장수
선교의 안전
설계 구조 안정성 및 선박 복원성 검토
- 선박 복원성
- 경하중량 검토 결과
선체 구조의 수정 범위를 설정한 후 유지 보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시스템 구성 요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검토 프로세스가 수행됩니다. 이후 구조해석 및 선박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장비 모델링 단계에서는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화재 감지기, 전기 부품, 조명 등을 구조적 변화에 따라 추가 및 재배치하고, 장비 배치에 따른 배관, 보강재 등의 장비 설계를 진행합니다. .
아래와 같이 스택과 하우징의 변형을 고려할 때, 배기가스 정화 장치 설치에 대한 구조적 강도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며, 구현 결과 허용 하중이 확인되었다. , 하중 및 전단 응력이 지정된 값을 충족했습니다. 구조해석은 MSN Nastran과 구조해석 전처리 프로그램인 Patran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조건에 따른 von Mises 응력, 전단응력, 변형량은 Table 4.3과 Fig.

선급 승인을 통한 신뢰성 평가
- 화재 탐지기 배치
- 전기 부하 해석 및 개정
- 해수시스템 계통도 개정
- 배기관 시스템 계통도 개정
본선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 사용을 위한 해수펌프 3대가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었으며, 씨체스트 용량 확인 당시 씨체스트와 해수흡입밸브 입구의 면적비가 선급규정을 만족하였으므로 확장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Scheme B 승인을 받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경우, 배기수 매개변수를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CMS)으로 모니터링하여 일정 기준 이하로 바다로 배출합니다. 그러나 대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해양오염을 고려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표 4.7>과 같이 일부 지역 및 국가에서는 개방형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세척수 배출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14].
연구선 배기시스템의 경우 주엔진과 발전기에 시스템을 부착하고 설치된 배기관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역류와 역류를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할 수 있었다. 압력. 다른 장비로의 배기가스 구조가 설치되었습니다. 또한, 운영 중인 처리장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고정장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에어 댐퍼를 추가하였으며, 체크밸브는 그림 1과 같다.

배기가스 세정장치의 세정수 배출요건 준수 검증
- pH 회복 이론
- 화학적 중화
즉, 해수의 알칼리도를 이용한 중화방법은 세척수의 pH에 명백히 영향을 미치며, 이는 pH가 낮은 세척수일수록 더욱 강하게 적용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세척수 배출 시 pH 중화 기능은 해수의 염기성 알칼리성을 이용하여 SOx가 흡수되더라도 자연적으로 중화되어 바다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에 앞서 실제 해수와 해수(주위변수)의 알칼리도를 이용하여 산성화된 세척수를 중화하여 pH 배출량 변화를 기록하였다.
이는 서로 다른 pH의 시험수에 서로 다른 알칼리도의 해수를 첨가하여 희석했을 때 pH = 6.5에 도달하는 희석비율을 설명합니다. 물리적 혼합과 화학적 중화 효과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 배출점의 pH 값을 알 수 있습니다. pH와 같이 한계를 결정할 수 있는 높은 선으로 해석됩니다. 즉, 배기가스 정화장치 설치와 관련하여 세정수 배출 시 pH 배출 한계를 결정하고, 최소 4m 지점에서 6.5로 회복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해고하다. 조사 대상 선박에 설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 등이다. 기기 시스템의 헹굼수는 DN250 직경 파이프의 원형 배출구를 통해 배출됩니다.
![Fig. 4.13 The principle of discharging wash water[15]](https://thumb-ap.123doks.com/thumbv2/123dokinfo/10481078.0/51.892.149.754.193.838/fig-13-the-principle-of-discharging-wash-water.webp)
해상 시운전을 통한 성능 검증
- 해상 시운전 실시
- 최종 설계 절차 수립
따라서 해상시험 결과 설계가 배출가스 요구사항을 충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행 과정에서 발견된 디자인 요소를 변경, 보완하는 절차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IMO 2020 규정'에 대응하여 기존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설치를 위한 최적화된 설계 절차를 수립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구조해석과 유동해석을 통한 성능해석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습니다. 동일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굴뚝 및 케이싱 구조를 설계할 때 선박 조명 규정 등 추가적인 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 프로세스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따라서 해상 시험을 기반으로 IMO가 설정한 배출 계수 제한을 충족하도록 설계가 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