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의 일·여가 형태별 행복도. ㆍ1인가구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파악한다.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개인의 가정에서 일과 여가의 종류에 따른 행복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행복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설정한 연구의 범위와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연구의 절차
김행신·이형호 1998 1인가족 ㆍ노인 혼자 사는 가족. ㆍ별거(이혼 전 단계)를 선택하여 한 가족을 이룬 가족.
일·생활 균형의 등장배경과 개념
이 세 영역은 노동과 생존, 여가를 중심으로 한 '필수적 시간'이다. 일 이외의 영역은 육아 등 가사노동을 하는 가정뿐만 아니라 '여가'까지 포함하도록 확대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보도록 하고자 한다.
일·생활 균형에 대한 관점
만족이나 성취감이 다르다면 객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 가족, 돌봄이라는 맥락이 아닌 개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여가와 생활을 포함하는 보다 폭넓은 접근을 하고자 한다.
다음은 쾌락 적응 및 대처 이론입니다. 특정 욕구가 충족되면 빨리 익숙해지고 지속적인 행복을 느끼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객관적 목록론은 이전 이론과 다른 개념으로 행복의 객관적인 기준에 초점을 맞춘다.
행복의 영향 요인
당신이 그것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현재 1인 가구의 삶에서 일과 삶의 균형 정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즉 행복의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설계 근거
따라서 1인 가구가 속한 환경과 가용 자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여가자원, 인프라자원, 사회활동원, 제도적 자원으로 분류하고 관련변수를 통해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모형
둘째, 1인 가구의 만족도에는 사회기반시설 자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공공시설과 여가 프로그램도 이용한다. 셋째, 사회활동의 원천이 1인 가구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사회성(자원봉사 등)을 여가활동에 적용하였다.
연구자료 및 대상
1회 이상 참여한 여가활동 - 여가활동의 종류. 사회 여가 활동 - 자발적인 경험.
연구가설 및 분석방법
수준연구가설 1 1인가구는 일과 여가의 종류에 따라 행복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여가활동에 대한 사회적(자발적) 참여는 1인 가구에서 일과 여가의 종류에 따라 행복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집단구분
본 연구는 일의 종류와 여가에 따라 개인가정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일과 여가의 균형 정도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따른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남녀 모두 높은 수준의 일과 여가 균형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일중심형과 달리 중졸 이하와 고졸 이하의 비율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종속변수 : 행복수준
독립변수 : 여가자원, 인프라자원, 사회활동자원, 제도자원
시설이용, 인지도, 적정성, 서비스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공공레저서비스 인지도 및 적정성을 변수로 사용하였다. 사회활동의 일부로 볼 수 있는 사회성(자원봉사)과 여가활동 참여도를 변수로 사용하였다.
통제변수 : 인구통계학적 특성
여가자원
인프라자원
이용(1점)과 미이용(0점)은 공공휴양시설의 이용 여부로 이분화하여 기준변수 이용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사회활동자원
제도자원
전체 1인가구
요컨대, 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이 많고, 청년·장년층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고 결혼 경험이 없는 사람도 많고, 이들은 평범한 직장인과 월 평균 소득이 200만~300만 미만인 등 중상위 소득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이상 300만원 이상.
일·여가 유형별 1인가구
연구가설 검증 결과
사교성(자원봉사) 여가 활동 참여. 사교성(자원봉사) 여가 활동 참여.
전체 및 일·여가 유형별 분석 결과
ㆍ여가활동 참여빈도 ㆍ여가비용의 적정성 여가중심형은 자유시간이 가장 적었지만 행복지수는 가장 높았다.
이론적 함의
한편 본 연구는 인간생태학적 관점에서 1인 가구를 복잡한 환경 속에 존재하며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유기체로 보았다. 즉, 1인 가구의 행복은 단순히 개인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과 가정환경, 직장환경, 지역사회 환경 및 자원과의 관계가 상호의존적이며 통합적이라는 점에서 이치에 맞습니다.
실천적 함의
개발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작은 생활환경을 구축하여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는 1인 가구가 유형에 관계없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모든 자원을 균형 있게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에의 제안
한국인의 행복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관계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