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ORM 2014-27-7
2014 KICE 이슈페이퍼
ISSUE PA P ER
2014 KICE ISSUE PAPER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국외 교과 교육과정 동향 분석
- 도덕,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
2014 KICE 이슈페이퍼
국외 교과 교육과정 동향 분석
- 도덕, 실과(기술
・
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연구자료ORM 2014-27-7 발 행 일 2014년 9월 15일 발 행 인 김 성 훈 발 행 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 소 서울 중구 정동길 21-15 정동빌딩 전 화 (02)3704-3704
팩 스 (02)730-7487 홈페이지 http://www.kice.re.kr 인쇄업체 ㈜범신사(02-720-9786) I S B N 978-89-6687-851-2 93370
※ 본 자료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이 연구에서 제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등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공식 의견이 아니라 본 연구진의 견해임을 밝힙니다.
1. 배경 및 문제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조사 및 분석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정책 제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4. 기대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작성자: 진의남, 박소영, 장근주, 김기철, 김현수 교육과정본부장 이광우
내용 문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본부
Tel: 02-3704-3614, 3667, 5952, 3522, 3822
e-mail: enjin1@kice.re.kr, psyoung@kice.re.kr, kjchang@kice.re.kr, everkid@kice.re.kr, hkim8@kice.re.kr
차례
여백
국외 교과 교육과정 동향 분석
– 도덕, 실과(기술 ․ 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
관련 과제명교과 교육과정 쟁점 및 개선 방향
- 도덕,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
책임자 진의남(Tel: 02-3704-3614, e-mail: enjin1@kice.re.kr)
요 약본 글은 도덕,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교과의 국외 교육과정 동향 분석을 통해 세계적인 변화의 흐름을 확 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쟁점과 관련된 개선 방향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별 쟁점 과 관련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나라를 각각 선정하고, 교과 별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 가에 따른 각 나라 교육과정의 특징, 체제, 구성 내용, 구체적 인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교과별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과별 교육과정 관련 정책을 제안하 였으며, 이에 따른 기대 효과를 제시하였다.
- 핵심어: 도덕, 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 교육과정 동향,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관계부처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여백
1. 배경 및 문제점
교과 교육[도덕, 실과(기술
․가정), 체육, 음악, 미술과]의 세계적인 흐름과 특징을 살펴보고, 현행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과별 교육과정의 개선 방 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
교과[도덕, 실과(기술
․가정), 체육, 음악, 미술과]별 분석 대상 국가는 다음 과 같음.
◦ 도덕과의 분석 대상 국가는 핀란드, 독일, 싱가포르, 중국, 일본임. 핀란드는 삶의 철학과 세상의 이해에 관한 다양한 사고와 시각의 형성을 기본 교육의 핵심 내용으로 하는 차기 교육과정(2016)을 고시(FNBE, 2014). 2012년 기준 으로 독일 연방의 16개 주에서 윤리․철학 관련 교과는 필수의무 3개주, 선택 의무 3개주, 종교대체 10개주로 교과 편성․운영 중임(김남준, 2012). 싱가포 르의 2012 교육과정에서 도덕교육은 주요 가치․덕목 개념의 명확화와 더불어 실생활 기능 습득에 초점(MOE Singapore, 2014). 중국의 2012년 교육과정은 정치․이념적 성향으로부터 순수 도덕 문제를 다루는 쪽으로 중점 이동, 유교 적 가치․내용의 강조 추세를 나타냄(NCIC 중국 교육과정). 일본은 학습지도 요령의 개정으로 2015년부터 ‘특별교과 도덕’ 편성 예정(具塚茂樹, 2014).
◦ 실과(기술·가정)의 분석 대상 국가는 미국,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임. 미국은 국가 교육과정 체계화 측면에서 교과 교육의 영역, 내용 기준 등을 구체적이 고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으며, 영국은 교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단계별, 과정 중심으로 일관성 있게 제시하고 있음. 또한 뉴질랜드와 캐나다는 우리나 라의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 역량을 교 과 교육과정에 적용, 실행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
◦ 체육과의 분석 대상 국가는 호주, 프랑스, 미국, 뉴질랜드임. 이들 국가는 핵심역 량을 중심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음. 호주 NSW주의 체육과 교육과정은 1990년도에 제정된 교육법을 근거로 도출된 핵심학습영역에 기초함 (이경언 외, 2011). 프랑스는 2008년 체육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신체적 능 력 신장 및 학생들의 공통문화 체험을 강조함(양윤정 외, 2012). 미국 캘리포니 아주의 체육과 교육과정은 ‘체육교육모델내용수준’을 채택하며 체육교수능력의 향상을 꾀함(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2009). 뉴질랜드는 체육을 통 한 개인, 타인, 사회적 웰빙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 음악과의 분석 대상 국가는 독일, 프랑스, 호주, 미국임. 독일 헤센주는 교과 공통의 역량 중심의 통합적인 음악과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음(헤센주교육문 화부, 2011). 프랑스는 문화 예술 교육을 강화하면서 일반역량과 음악 역량을 결합한 역량중심의 교육과정(2008)을 제시하고 있음. 호주는 2010년에서 2013 년의 교육과정 개발을 통하여 2014년 교육과정이 공시되었고, 범교과적 역량 교육과정(2014)을 표방하고 있음. 미국은 NCCAS(the National Coalition for Core Arts Standards)에 의하여 개발된 핵심 교육과정이 2014년 6월에 공시 되어 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선정됨.
◦ 미술과의 분석 대상 국가는 중국, 독일, 프랑스, 미국임. 중국(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2011)은 우리나라와 유사한 교육과정 구성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소 양 교육 요구에 기반한 미술과 교육과정 표준을 제시함. 독일 헤센주(헤센주 교육문화부, 2011)는 이미지 능력에 기반하여 역량 중심의 미술과 교육과정을 제시하였고, 프랑스(Minist
è
re de I’È
ducation nationale, 2008)는 문화 예술 교육을 강화하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음. 미국(NCCAS, 2014) 은 올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핵심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있음.2. 조사 및 분석 결과
도덕과 교육과정 동향
◦ 도덕 교과의 성격
∙ 핀란드는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생성하고 창출하며 자신의 문화를 개선하 고 창조하는 행위자로서 학생을 이해, 학생들은 자신의 세계를 탐색할 수 있 는 능력과 자신의 삶을 활동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형성함(김은 수․정창우, 2013).
∙ 독일 연방 16개 주 윤리교육은 종교 교과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을 위한 대 체교과로서 공통적인 성격을 가지며, 도덕 판단 및 행위 실천을 지향함.
∙ 싱가포르는 사회 환경과 윤리 문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고자 함. 인성교육 및 시민성 교육, 사회적 및 정의적 학습을 통한 가치 및 역량 교육, 학생들의 발달 단계 고려, 공동체를 지향하는 가치들을 원리로 표방함 (추병완, 2011).
∙ 중국은 활동형 종합 과정을 지향하며, 생활성․개방성․활동성을 원리로 삼고 있음. 이와 더불어 생활 지향, 아동 권리 존중, 교육의 기초성․효과성을 추 구함.
∙ 일본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성격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음.
∙ 각국은 삶의 능력과 실천적 지혜로서 가치관 형성을 성격의 공통 요소로 설정.
◦ 도덕 교과의 목표
∙ 핀란드는 정체성과 삶의 철학 계발, 일상에서의 윤리적 판단과 결정을 위한 핵심 요인 계발, 인권․관용․정의․지속가능한 개발, 자신․타인․공동체․자연 에 대한 책임 등의 형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독일 연방 16개 주 윤리교육은 책임과 윤리적 가치의식에 토대를 둔 도덕적 판 단 능력과 행위 능력을 육성하는 것을 공통된 목적으로 삼고 있음. 동시에 현 사회에서 통용되는 가치관과 규범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및 그와 관련된 철학적, 세계관적, 종교적 질문들의 제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일반 목적으로 함.
∙ 싱가포르는 첫째로 자신의 가치와 신념 확인, 그 적용과 인격 수양, 삶의 목 표와 의미, 미래 준비, 타인 및 환경과의 관계 등을, 둘째로 가족, 공동체, 국가, 세계 속에서의 역할과 공헌, 셋째로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 소, 우리들에게 있어서 국가의 의미, 세계 속에서 우리의 역할 등을 목표로 추구함.
∙ 중국은 양호한 품덕 배양, 즐거운 탐구, 생활을 사랑하는 아동을 총괄 목표 로 하며, 바람직한 감정․태도․가치관․능력․지식 등의 형성을 하위 목표로 추구함.
∙ 일본은 전반적인 학교 교육활동을 통해 도덕적인 심성, 판단력, 실천의욕과 태도 등의 도덕성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함.
∙ 각국은 개인의 정체성과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중심으로 도덕과 목표를 구성.
◦ 도덕 교과의 내용
∙ 핀란드는 1~5학년에서 인간관계와 도덕적 성장, 자신에 대한 지식과 문화적 정체성, 공동체와 인권, 개인과 세계를 내용으로, 6~9학년에서 시민성과 좋 은 사회, 철학의 세계, 문화, 윤리와 좋은 삶, 미래를 내용으로 다루고 있음.
∙ 독일 연방 16개 주 윤리교육은 그 내용 구성의 원리에 따라 실천철학으로서 윤리교육, 삶의 지침으로서 윤리교육, 도덕적 교화 내지 가치교육으로서 윤 리교육, 윤리적 성찰로서 윤리교육 등의 네 유형으로 분류가능(김남준,2012).
∙ 싱가포르는 첫째로 좋은 가치의 형성과 관련하여 도덕적 지식․감정․실천을, 둘째로 6대 핵심가치로 존중․책임․성실․배려․자아 탄력성․조화를, 셋째로 사회적 및 정의적 학습으로 자아의식․자기관리․사회의식․인간관계관리․책 임 있는 의사결정을 내용으로 제시하고 있음.
∙ 중국은
‘품덕과 생활’에서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유쾌하고 적극적인 생활,
책임지고 사랑하는 마음을 갖는 생활, 머리를 쓰는 창의적인 생활을 내용으로,
‘품덕과 사회’에서 나는 성장해요, 나와 가정, 나와 학교, 나와 고향(지
역), 나는 중국인, 세계를 향해 등을 내용으로 다루고 있음.
∙ 일본은 자기 자신, 타인, 자연이나 숭고한 것, 집단이나 사회에 관련한 것으 로 내용 체계를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음.
∙ 각국은 공히 가치 지향적 내용으로 도덕 교과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으며, 윤리 이론을 실제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내용을 구성.
◦ 도덕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 핀란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법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으므로, 일반 교육학의 방법을 교과 상황에 맞게 적용하도록 운영됨.
∙ 독일의 경우 교사 역량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의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인식 및 설명, 이해 및 반성, 토론과 판단 중심의 교수․학습이 이루 어짐.
∙ 싱가포르는 문화적 유산으로 중요시되는 가치의 전달 학습과 학생 중심 학습, 그리고 왜? 그리고 어떻게? 에 초점을 둔 학습을 지향함. 내러티브와 스토리텔 링, 역할 교환 및 관점 채택, 공감 지향 학습, 프로젝트 참여 학습, 콜버그 도 덕적 추론, 사회적 가치 체계에 기반을 둔 책임 있는 의사 결정을 제안함.
∙ 중국은 토론, 자료 조사, 현장 조사, 모의 상황극과 역할극, 조작성․실천성 활동, 교수․학습 게임, 참관․방문, 감상, 연습, 이야기하기 등을 강의법과 더불어 교수․학습 활동의 형식으로 안내함.
∙ 일본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법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 으나, 지도 계획의 작성과 내용의 취급 방법을 원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각국은 일반 교육학의 교수학습 방법과 도덕과에 특화된 교수학습방법을 적 절히 조화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도덕과 관련 교수․학습상황에 있어서 서 교사의 역량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율성을 상당부분 인정하고 있음.
◦ 도덕 교과의 평가
∙ 핀란드는 5학년과 8학년 말 단계에서 각 내용 영역과 관련한 기준에 의거하 여 실천성과를 평가함.
∙ 독일은 일반적으로 역량 형성을 위한 내용 중심 평가 기준 제시, 니더작센주 에서는 학년말 도달점 행동을 영역별로 구분, 역량과 관련지어 서술(NK,2009).
∙ 싱가포르는 형성평가를 중심으로 평가가 학생 성장의 도구로 기능하도록 구 성함. 포트폴리오, 저널 쓰기, 자기 및 동료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법 제안.
∙ 중국은 주제․각도․척도의 다양화를 추구하며 학습 태도․능력과 방법․학습결 과의 평가를 시도함. 관찰, 탐방, 설문조사, 교사 관찰 기록, 자기 및 상호평 가 활용.
∙ 일본은 일반적인 평가 방법으로 형성평가, 표준(기준)평가, 규준평가를 제안.
∙ 각국은 평가의 원론적 지침을 제공하는 수준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의 연계를 탐색, 이는 수업 현장의 특성 고려 및 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정과 관련.
실과(기술ㆍ가정) 교육과정 동향
◦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내용 구성
∙ 미국의 기술과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별도로 두지 않고 있기 때문 에 각 주별 특성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기술 교과의 경우 ITEA(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주도하에 국가적 표준 교육과정을 만들고 각 주에서는 이를 참고하기는 하지만 그대로 반영하 지는 않고 있음(최유현, 2010). 대부분 주에서는 해당 주의 실정에 맞게 기 술 교육과정 기준, 기술 교육과정 구조, 교육과정 가이드, 교육과정 계획 등 을 교과 교육과정 기준을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음.
∙ 미국 가정과 교육과정 국가 기준(National Standards)은 1990년대에 Goals 2000: Educate America Act를 제정한 이후 1998년 처음으로 국가 수준에 서 교육과정 내용 기준이 개발되었고, 2008년에 제2기 국가 교육과정 기준
이 개발되었음.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 기준은 16개 내용 영역(1.0 진 로, 지역사회, 생활의 연관성, 2.0 소비자와 가족 자원, 3.0 소비자 서비스, 4.0 교육과 영유아기, 5.0 설비관리와 유지, 6.0 가족, 7.0 가족과 지역사회 서비스, 8.0 식품생산과 서비스, 9.0 식품과학, 식이요법, 영양, 10.0 관광과 여가, 11.0 주거, 실내 디자인, 가구, 12.0 인간발달, 13.0 인간 상호간의 관 계, 14.0 영양과 건강, 15.0 부모됨, 16.0 직물, 패션과 의류 등)과, 각 내용 영역별 1개의 포괄적 기준, 2-8개의 내용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각 내용 기준별로 3-6개의 수행기준(관련 역량)과 12개의 과정 질문이 각각 구체적으 로 제시되어 있음.
∙ 영국은 국가 교육과정의 교과별 편제의 주요 단계(key stage)는 4단계로 구 성되어 있는데, 기술 교과(D&T)는 1-3 단계에서 적용되고 있음. D&T 교과 에서 기술적 활동에 해당하는 내용은 학생들이 각 단계별로 설계하기, 만들 기, 평가하기, 기술적 지식의 4가지 영역에서 2~3개의 목표를 일관되게 제 시하고 있음.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 체제
∙ 미국의 미주리 주의 Rockwood 교육청에서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기술 교육의 임무, 목적, 학습자 기대 수준, 이론적 근거, 범위와 계열성, 안내, 차별성, 기회 평등, 기술 교육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Rockwood school district, 2009).
∙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제1부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나오게 된 맥락, 철학 뿐 아니라 과정중심 교육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자세히 기술 하였으며, 제2부는 16개 내용영역을 설명하고, 제3부는 국가기준 교육과정 각 주(州) 실행전략을 다루고 있음. 16개 내용영역은 진로 및 직업 준비를 위 한 내용영역(3.0, 4.0, 5.0, 7.0, 8.0, 9.0, 10.0, 11.0, 16.0)과 일상적인 가 정생활을 다룬 내용영역(1.0, 2.0, 6.0, 12.0, 13.0, 14.0, 15.0) 등으로 구분 할 수 있음.
∙ 뉴질랜드의 교육과정의 기본 원칙과 내용, 국가 수준 및 단위 학교에서 지향 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는 지식, 이해, 기 능, 태도, 가치 등을 더욱 세부적으로 명시하고 있음. 즉, 학업성취수준, 평 가 절차, 평가 문항 예시, 교수학습 전략에 관한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고 있음(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표 1> 미국, 뉴질랜드 기술과 가정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 비교
미국 뉴질랜드
기술
(Rockwood school distric)t 가정
(국가수준교육과정) 기술 가정1)
1. 임무(mission) 2. 목적
3. 이론적 근거 4. 범위와 계열성 5. 핵심 개념 목표, 평가 수준 안내
6. 교육활동 시설, 자료 7. 효과적인 수업 8. 핵심 개념 목표 9. 국가 기준과의 관련성 10. 평가 범위 및 체제
1부: 개관 1. 교육과정 소개 -변화가 필요한 배경 -비전과 미션
-가정과 국가기준 본질 -가정과 국가기준 개관 2. 과정지향교육과정 본질 -가정과 교육에서의 과정 -사회의 요구와 이슈 -세 가지 행동체계 -행동을 위한 추론 기준 -과정질문의 틀 3. 내용기준의 요소 -내용영역
-포괄적 기준 -내용기준 -역량 -기초학습능력 -과정질문
2부: 가정과 국가기준 4. 16개 내용영역을 위한 기 준들
3부: 실행전략
5. 각 주의 지도력 전략
1. 지침서 안내 2. 교육과정 구성요소 3. 교육과정 구조적 틀 4. 학습 영역(Strands) 5. 교육 목적
6. 핵심 개념 7. 교수‧학습 방법 - 교사 활동 - 학생 경험
8. 성취 또는 학습목표 - 교육과정(공통) 영역 - 전문(특수) 영역 9. 진로 지도
10. 학습프로그램설계 (계발)
11. 참고문헌(자료)
1. 서언 2. 교육목적
3. 교육과정 구조적 틀 4. 하위영역(Strands) 5. 성취 목적(aims) 6. 성취목표(objectives) 7. 내재하는 개념들
(안녕, 건강증진, 사회- 생태적 관점, 태도와 가치) 8. 핵심학습영역
(정신건강, 성교육, 식 품과 영양, 신체 안전, 체육활동, 스포츠, 야외 교육)
9. 핵심 기술
(신체적 기술, 자기관 리와 경쟁적 기술, 의사 소통 기술, 문제해결력, 사회적 협동적 기술, 정 보, 수, 일의 기술) 10. 교육과정 실행
(학습자의 요구, 학교 조직, 부모와 지역사 회와의 컨설팅, 긍정 적 학습 환경 조성, 계 획과 평가)
11. Glossary 12. 성취목표 차트
◦ 핵심 역량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 뉴질랜드에서는 자기 관리하기, 타인과 교류, 참여와 봉사, 사고하기, 언어·
상징·텍스트 사용하기 등과 같은 5개의 핵심역량이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되 어 있음.
<표 2> 뉴질랜드의 핵심 역량과 기술
・
가정 교과 내용 연계핵심 역량 기술 교과 내용의 연계(TNZCO, Technology) 가정 교과 내용의 연계(TNZCO, HPE) 자기 관리 •기술적 활동의 수행, 이해하는 능력은 광
범위한 사회, 물리적 환경을 고려
•학생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강한 자신감, 자기 자신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 인식
•개인적 목표, 계획과 그 결과물에 대한 반 성을 통하여 학습과정 관리
•자기 자신(self-awareness)을 계발하여 그들의 결정이 자신들과 타인의 건강,웰빙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
•영양가 있는 식품선택과 준비와 관련된 기 술, 지식 계발
타인과 교류 •기술 교육에서의 일반적인 활동은 사회 또는 산업 사회로부터 전문 기술을 활용
•학교 또는 다른 지역 사회의 그룹 또는 지역 서비스 업체 등에서 함께 일 수행
•가족, 지역사회, 더 큰 사회의 건강과 웰빙 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이슈를 토의하기 위하여 타인과 자신 있게 상호작용하기
•식품의 선택, 준비, 조리, 서빙과 관련된 일 즐기기
•건강식품의 선택에 대하여 타인과 적절하 게 의사소통하기 위한 전략과 인간관계 기술 참여와 봉사 •학생들은 다양한 영역의 사회적 그룹을
걸쳐서 수행할 수 있는 능력
•현대 사회에서 기술의 역할에 대한 광범 위하고 비판적 이해가 핵심
•자신들과 타인들의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에 대하여 실행에 옮기기 위한 전략 구상
•사회이슈에 대한 지적호기심과 관심 계발 사고하기 •기술적 결과물이나 개발 사례 탐색, 대안
시나리오의 설계 등을 통한 기술의 본질 이해
•기술적 모형의 평가, 시스템이나 과제에 대한 방법・이유 설명, 기술적 지식 개발
•비판적 행동 체계와 적절한 연구도구를 이 용하여 개인적,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과 웰빙에 관련된 사회이슈 탐색
•자신과 타인의 웰빙에 기여할 수 있는 문 제를 해결하고 행동에 옮김.
언어, 상징, 텍스트 사용
•교과에서 지식과 기능이 타 교과와 다르 다는 것 이해
•자신의 생활 속에서 언어, 기호, 문자 등 을 활용, 지원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위한 적절 한 구어와 문어 사용
•이슈관련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 한 추론과정 이용(예를 들어 기본적인 가 족의 요구들과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사회 정의와의 연관)
∙ 캐나다의
‘사회 과학과 인문학’
교과군 중 가정 교과의 9~12학년 대상 성취 목표에 나오는 지식과 이해, 사고, 의사소통, 적용 등이 핵심 역량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가정과 교육 내용과의 연계성을 제시하 고 있음.체육과 교육과정 동향
◦ 체육 교과의 성격
∙ 호주 NSW주의 체육과 교육과정은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건강과 운동의 다차원적 속성을 반영하며, 체육교육을 통한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 의 실천 및 자신감 향상과 역량 강화를 강조함.
∙ 프랑스는 체육을 전인 교과의 가치와 의무를 지닌 교과로 인식하고 체육교육 을 통해 운동 기능 및 건강 관련 지식을 습득하여 건강한 삶을 추구하도록 하고 있음. 또한 위험 상황 대처 역량 강화 및 사회성 함양에 초점을 둠.
∙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활동적이며 건강한 생활 유지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체육교육모델내용수준’을 기초로 하여 학생들이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영위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강조함.◦ 체육 교과의 목표
∙ 호주는 체육 교육의 지향을
‘가치와 태도’, ‘기능’, ‘지식’으로 구분하여 영역
별 도착점 행동을 기술함.∙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체육의 목표를 행정가, 교사, 학생으로 구분하여 제시함.
- 행정가: 높은 수준의 모델기반 체육수업 지원을 위한 8개의 목표를 설정함.
- 교사: 모든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모델 기반 체육수업 제공을 위한 8개의 목표를 설정함.
- 학생: 움직임과 운동기능의 역량 개발 및 이 둘을 조화시키는 역량 개발을 강 조함.
∙ 뉴질랜드 체육과 교육과정은 개념적 틀과 성취목표를 공유하는 3개의 교과로 구분하여 제시함.
- 보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해, 정신적 웰빙의 역량 개발, 안전 관리 등을 제시함.
- 체육: 움직임을 통한 개인과 공동체의 발달 도모 등을 제시함.
- 가정: 개인, 가족, 공동체의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해 등을 제시함.
◦ 체육 교과의 내용
∙ 호주 NSW주는 핵심역량을 포함한 주요 개념을 상세히 설명하며 내용 영역 은 대인 관계와 기술 영역에서 강조하는
‘의사소통’, ‘문제 해결’, ‘상호작용’
등 창의와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요소들로 구성함.
∙ 뉴질랜드는
‘사고 ’, ‘언어 ’, ‘상징’, ‘텍스트 사용’, ‘자기 관리’, ‘타인과 관계
맺기’,‘참여와 기여’를 핵심역량으로 설정하고 학습의 방향과 ‘정신 건강’,
‘성교육’, ‘음식과 영양’, ‘신체보호와 안전’, ‘신체활동’, ‘스포츠 탐구’, ‘여가
교육’을 학습영역으로 제시함.
∙ 프랑스는 초·중등 공히 체육과 고유의 4가지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초등 의 경우 내용 기준과 세부 활동으로 구분하였으며, 중등의 경우 성취 기준과 종목별 그룹, 종목, 레벨 1,2로 제시함. 초등은 4가지 성취 기준과 2~4개의 세 부 활동을, 중등은 8개의 종목별 그룹과 2~6가지의 종목을 각각 명시함.
◦ 체육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 호주 NSW주는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 단원 계획 등에 관한 일반적인 지 침을 제공하며, 초등의 경우 체육 교수·학습 상황에서 고려해야 할 시간 안 배, 안전, 지도상의 유의점 등을 명시함.
∙ 프랑스는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가운데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요소를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교수·학습 방법 항과 유사한 내용으로 중학교의 경우
‘체육 교육(EPS: Education physique et sportive) 학습 조건의 구성’에서 ‘체
육 수업의 계획’, ‘실행 조건’, ‘프로그램’ 등을 소개함.∙ 미국 캘리포니아 주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 음. ‘교수 모형’에서 부터 ‘안전한 환경 설계’, ‘교실 관리’, ‘효과적인 교수 행 동’, ‘운동학습의 원리’, ‘체육수업의 예시’, ‘교수 전략’ 등에 이르기까지 구체 적으로 소개함.
◦ 체육 교과의 평가
∙ 호주 NSW주는 다양한 평가의 종류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평가 유형, 평가 예시, 평가 결과의 통지 방법에 관한 지침 등을 소개함.
∙ 프랑스는 체육과 고유의 성취기준과 그에 따른 세부 활동을 수준별로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함. 성취 기준은 교수·학습 및 평가의 실질적인 근거로 볼 수 있으므로, 별도의 평가 항을 제시하지 프랑스 체육과 교육과정은 의도한 학습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체제로 볼 수 있음.
∙ 미국은 ‘평가 종류’, ‘평가 원리’, ‘평가 도구’, ‘습득한 기술과 개념에 대한 평 가’, ‘주 수준의 체력측정평가’,
‘평가와 첨단기법 활용 등’을 소개함.
음악과 교육과정 동향
◦ 음악 교과의 성격
∙ 독일 헤센주는 음악 교과는 음악을 즐겁게 인식하는 능력과 음악을 통해 스스 로를 표현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기본으로 함. 음악 수업에서는 인식력, 체험력, 표현력을 강화하는 기본 능력과 기술을 배우며, 상호간 인식, 관용, 통 합, 협동심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것을, 학습 목표는 음악적, 문화적 생활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생들이 음악 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는 능력 을 제시함.
∙ 프랑스는 음악 교육이 일반적인 지식과 역량의 습득에 공헌하고 있음을 강조함 으로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예술사, 합창, 연주 활동을 강조함.
∙ 호주의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시각예술, 드라마, 무용과 함께 창의 예술 교육과정 안에 제시되어 예술의 본질과 역할을, 중학교는 음악과 음악 교육의 본질과 역할을 중심으로 제시함(이경언 외, 2011).
∙ 미국의 성격은 음악의 개념적인 이해를 강조하며 창작, 연주와 반응의 예술적 인 과정을 학생들이 개인의 생활과 연관하여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으로 제시함.
◦ 음악 교과의 목표
∙ 독일 헤센주는 음악 교과 역량에 기반하여 역량별 목표를 제시함.
- 음악 듣기; 음악을 듣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
- 음악하기: 가창, 기악, 창작, 독보, 기보 등의 음악활동
- 음악 변환: 음악의 다른 표현 양식(신체 표현, 언어, 시각 등)으로 변환 - 음악문화 경험: 교내·외 문화 행사 참여, 다른 문화권의 음악에 대한 학습
∙ 프랑스 음악 교육의 목표는 음악 활동과 이해를 통하여 풍부한 사회적 인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음악을 인식하고 창작하는 두 가 지 역량으로 제시함.
∙ 호주는 목적에서 음악 자체에 대한 이해와 성취와 그것의 삶과의 관계를, 목 표에서는 초등학교는 지식, 기술, 이해의 측면에서, 중학교는 지식, 기술, 이 해와 함께 가치와 태도를 발전시키는 점을 제시함(이경언 외, 2011).
∙ 미국의 새로운 기준은 댄스, 미디어 아트, 음악, 연극, 미술을 예술로 종합하 여 목표를 제시, 이는 기초와 생애 목표를 기본으로 소통으로서의 예술, 창 의성의 개인적 실현으로서의 예술, 문화·역사·연결 장치로서의 예술, 행복 수단으로서의 예술, 공동체 참여로서의 예술임.
◦ 음악 교과의 내용
∙ 독일 헤센주는 핵심 영역, 교육과정 기준 및 내용 영역을 제시하고, 4학년 말, 6학년 말, 10학년 말 기대능력을 교육 기준에 제시함. 음악과의 만남, 음 악 구성, 음악 구분을 음악 듣기, 음악하기, 음악변화, 음악문화경험과 연관 하여 제시함.
∙ 프랑스 중학교는 전체적인 역량의 기준을 4단계로 설정하고, 목소리와 동작 분야, 음색과 공간의 분야, 음역 분야, 시간과 리듬의 분야, 연속과 동시의 분야, 형식의 분야, 스타일의 분야의 7 개의 학습 내용을 제시함.
∙ 호주의 중학교 교육과정은 내용의 조직과 개관으로 구분되며 내용의 조직에 서는 음악의 개념, 학습 경험, 맥락에서 학습해야 하는 내용을, 내용의 개관 에서는 조직의 3가지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시됨.
∙ 미국은 음악적 과정을 창조하기, 연주하기, 반응하기, 연결하기 4개로 구분 하고, 음악적 과정별 총 11개 핵심 기준을 지속적인 이해와 필수 질문과 함 께 제시함. 수행 기준은 총 13개 수준으로 Pre-K부터 8학년까지 고등학교는 숙달, 달성, 심화의 3부분으로 구분됨.
◦ 음악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 프랑스 중학교 교육과정은 4년간의 학습 진행 과정을 1, 2-3, 4학년으로 구 분하여 각 학년에 학습할 시퀸스 제시함.
∙ 호주의 교수·학습 방향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만 단계별 학습 내용과 함께 제시되며, 연주, 소리 조직, 감상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의 사례들을 제시함.
∙ 미국은 학생들이 알아야 할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수 전략을 평가의 초석이 되는 모델(Model cornerstone assessments)의 평가부분에 포함하고, 음악 재료와 자원, 수업 전략 등을 제시함.
◦ 음악 교과의 평가
∙ 프랑스는 평가에 평가 목표와 기본원리를 제시함.
∙ 호주는 초등학교에서는 일반적인 평가의 원리를, 중학교에서는 음악 영역별 평가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함(이경언 외, 2011).
∙ 미국은 2, 3-5, 8학년, 중학교 앙상블, 고등학교 앙상블에 대하여 평가 방 향, 평가 적용 시 유의점, 평가 과제 목록 등을 8개로 구분하여 악보와 예시
미술과 교육과정 동향
◦ 미술 교과의 성격
∙ 중국은 소양교육으로서 정서, 심미성, 문화 이해, 감각 지각 능력, 형상적 사 유 능력,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표현 능력, 개성, 전인적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미술 교과의 성격 제시
∙ 독일 헤센주는 인성 개발, 인지 능력, 상상력과 통찰, 감수성, 창의적 표현, 형상화의 즐거움, 상상력, 수행 의지, 조정하고자 하는 자세, 개방적인 태도, 작품에 대해 말하는 능력, 이미지 능력, 미디어 능력, 문화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교과로서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
∙ 프랑스는 감성과 지성 개발이라는 예술 교육의 역할, 창작과 개인적 표현의 취향, 예술적 특징 이해, 시각 세계 해석 및 이해를 제공하는 시각 교육으로 미술 교과를 정의
∙ 미국은 소통으로서의 미술, 창의성의 개인적 실현으로서의 미술, 문화·역 사·연결 장치로서의 미술, 행복 수단으로서의 미술, 공동체 참여로서의 미 술을 제시
◦ 미술 교과의 목표
∙ 중국은 기본적인 미술 언어 이해, 생각과 느낌 표현, 창의성, 표현 능력, 미 술 소양, 심미적 정서 함양을 목표로 제시
∙ 독일 헤센주는 미술 교과 역량에 기반하여 역량별 목표를 제시 - 보기, 인지하기, 경험하기: 시각적 인지, 체험, 소통, 비판적 고찰 - 계획하기, 구성하기, 행동하기: 인지, 성찰, 상상력
- 이해하기, 파악하기, 설명하기: 분석, 평가 능력
- 방향 설정하기, 정의하기, 제시하기: 문화 이해, 가치 수용, 비판 능력 - 다른 교과목과 연관성 있는 능력 개발: 다른 과목 역량과 연결
∙ 프랑스는 목표로서 인격 형성, 문화적 지표 제공, 사고 능력 및 표현 능력, 도구 활용 방법 습득, 예술에 대한 지식, 표현 능력을 제시하고, 미술 교과를 통해 기대되는 역량으로 실기 능력, 문화 이해, 이미지 의미 이해, 자율성과 책임감을 제시
∙ 미국은 철학적 기초와 연계하여 미적 소양 시민으로 갖추어야 할 생애 목표 로서 미적 소통 능력, 창조 능력, 문화 이해, 삶의 질 강화를 위해 미술에 참 여, 공동체 참여를 제시
◦ 미술 교과의 내용
∙ 중국은 학습 영역을 1) 조형·표현, 2) 설계·응용, 3) 감상·평가, 4) 종 합·탐색으로 구분하고, 학습 단계를 1단계(1-2학년), 2단계(3-4학년), 3단 계(5-6학년), 4단계(7-9학년)로 구분하여 내용 제시
∙ 독일 헤센주는 핵심 영역, 내용 영역, 교과 역량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로 내 용을 제시하고, 1-2학년, 4학년, 6학년, 8학년 종료 시 기대 능력, 그리고 개요에서 4학년 종료 시, 10학년 종료 시 교육 기준을 제시
∙ 프랑스는 교과 과정을 예술 실기, 예술 문화의 두 가지 기본 요소로 구분하고 초등은 기본 학습 과정, 심화 학습 과정으로, 중등은 학년별로 구분하여 제시
∙ 미국은 미적 과정을 창조하기, 발표하기, 반응하기, 연결하기 4개로 구분하 고, 미적 과정별 핵심 기준을 각각 제시(총 11개 기준), 그리고 핵심 기준별 로 지속적인 이해와 필수 질문을 제시함. 수행 기준은 총 13개 수준으로 Pre-K, K, 1, 2, 3, 4, 5, 6, 7, 8학년, 고등학교(숙달, 달성, 심화)로 구분 하여 제시하고, 평가 모델은 8학년의 미적 과정별 평가 초점을 제시
◦ 미술 교과의 교수·학습 방법
∙ 중국은 미술 수업 시 유의사항과 수업에서 시설이나 주변 환경 자원 이용 방 법 등을 제시하고, 부록에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는 수업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안 7개를 제시
∙ 프랑스는 내용과 관련하여 작품의 주요한 세 가지 축(오브제, 이미지, 공간) 을 중심으로 실행 원칙을 제시하고, 하위에 진로, 말하기와 글쓰기, 다른 교 과와 연계된 지도상의 유의점 등을 제시
∙ 미국은 평가의 전제로서 학생들이 알아야 할 지식과 기술에 대한 교수 전략 을 제시하고, 창작 재료와 자원, 전시 재료와 자원, 지원 재료와 자원 등을 제시
◦ 미술 교과의 평가
∙ 중국은 수업과 연계된 자기 평가 중시, 미술 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 다양한 평가 실시, 교사의 수업 평가와 관련된 평가 방향을 제시
∙ 프랑스는 평가 목적, 평가 횟수, 평가 내용, 평가 방법 등을 제시
∙ 미국은 평가 방향, 평가 적용 시 유의점, 평가 과제 목록 등을 예시하고, 부 록에서 평가 결과를 기록하는 평가표를 예시로 제시
◦ 기타
∙ 중국은 부록에서 주요 용어의 개념 해설을 제시하고 있음. 제시된 용어는 미 술, 미술교육, 심미, 미술사, 미술 언어, 형식감, 미술 재료, 감지, 체험, 미 술 창작, 미술 표현, 미술 비평, 예술 풍격 등 13개임.
∙ 미국 역시 평가 수행 부분에 핵심 용어 22개에 대한 설명을 함께 제시함.
3. 정책 제언
도덕
◦ 각국은 도덕과 관련 교육에서 삶의 능력으로서 행위실천을 강조, 우리 역시 윤리 이론의 현실 적용을 통해 실천적 지혜를 지향하는 성격 구성의 강화 필요.
◦ 각국은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도덕과 관련 교육의 주요 목표로 구성, 이와 관련된 가치 지향적 내용으로 내용 정합성의 추구 필요.
◦ 각국은 도덕과 관련 교육의 평가에서 원론적 지침을 제공, 우리의 경우 교사의 평가 역량 제고를 위하여 내용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연계 개발 원리를 중심으로 평가 설계의 구체적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선도적 역할 수행 가능.
실과(기술·가정)
◦ 각국의 교과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내용 영역 및 국가 기준 등 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음.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은 학년, 영역 별로 내용, 범위에 따른 학습 내용 기준을 제시되어 있고, 각 내용 기준별로 수행 기준과 과정 질문 등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음.
◦ 최근 각국에서 새로운 국가 교육과정 개발 시 특히 유의하고 있는 점은 빅 아 이디어(big idea), 핵심 개념, 핵심 역량 등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음. 뉴질 랜드에서는 교과의 핵심 역량으로 사고하기, 언어․상징 텍스트, 자기관리 하 기, 타인과 교류, 참여, 봉사 등의 핵심 역량을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하 고 있음.
◦ 각국의 기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는 교과 교육을 위한 지식, 이해, 기능, 핵 심 역량, 가치 등을 성격 및 목표 등에 반영하고 있음. 또한 교수학습 내용 기준, 성취 목표 및 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가이드라인, 평가 등의 내용이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지침 및 안내 자 료가 될 수 있음.
체육
◦ 신체활동가치와 핵심역량을 병렬 또는 포함관계로 설명하거나 총론 수준에서 제시한 핵심역량의 무비판적 수용을 지양하고 체육과 고유의 핵심역량을 선정 해야 함(서지영 외,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창의·인성을 핵 심역량과 비교하여 체육과 특성에 적합한 개념(용어)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
◦ 핵심역량을 내용체계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할 것인지, 핵심역량 강화를 위 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예시로는 어떤 내용이 적합할지에 대한 심층 논의를 거쳐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함. 선언적 수준에서 핵심역량을 다루는 것 에 그치지 말고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핵심 역량을 고르게 반영해야 할 것임.
음악
◦ 호주, 프랑스, 미국의 목표에서는 음악적 소양 외에도 가치와 태도를 공통된 사항으로 제시하며 음악 교육의 본질과 역할, 음악을 개인의 생활과 연관하여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제시함으로 이를 고려할 필요 가 있음.
◦ 나라별로 내용 영역을 비교하면, 1) 표현과 관련하여 음악하기/음악변환/창조 하기/소리 조직(K-6), 연주(가창, 기악, 신체 표현)/연주하기, 2) 감상과 관련 하여 감상․비평/음악 듣기/음악인식, 반응하기, 3) 생활화와 관련하여 음악 문화 경험/연결하기로 구분할 수 있어 내용 영역 재검토 시 참고할 수 있음.
◦ 교수․학습 방법의 구체화를 위해 프랑스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진적으로 많 은 역량을 결합하는
‘학습의 진행’, 호주의 단계별 학습 내용에 교수
․학습 방 향, 미국의 필요한 음악 재료와 자원, 수업 전략 등을 참고할 수 있음. 평가의 실제화를 위해서는 미국의 세부적인 평가 절차에 제시된 평가 방향, 평가과제 목록, 악보와 예시 평가 중점표, 평가표 등을 참고할 수 있음.미술
◦ 소양, 역량, 문화 등의 지향 방향 그리고 목표에서의 공통된 사항으로 전인적 인간(심미적 정서, 인격 형성, 미적 소양), 창의적 표현 능력, 문화 이해, 시각 적 인지 능력, 소통 능력, 판단 능력, 그리고 태도와 관련된 생활화, 참여, 자 율성, 책임감 등을 성격과 목표 재검토 시 고려함.
◦ 나라별로 내용을 범주화하면, 1) 작품 제작과 관련하여 창조/작품의 구성/조형
․표현, 설계․응용/예술 실기, 2) 작품 감상과 관련하여 감상․평가/작품과의 만남, 분류/예술 문화/발표하기, 반응하기, 3) 체험과 관련하여 종합․탐색/연 결하기로 구분할 수 있음. 내용 영역의 재검토 및 구체화를 위해 참고할 수 있을 것임.
◦ 교수․학습 방법의 구체화를 위해 중국의
‘과정 자원의 개발과 이용’, 부록의
‘예시안’, 프랑스의 실행 원칙, 미국의 필요한 재료와 자원 제시 등을 참고할
수 있음. 평가의 구체화를 위해서는 미국의 세부적인 평가 절차에 제시된 학 생 평가 과제 목록, 부록의 평가표 등을 참고할 수 있을 것임.4. 기대 효과
차기 교과 교육과정의 계획 및 정책 수립 시 활용함.
◦ 교과 교육과정 계획 수립 시 교과 공통 개정의 주안점으로 활용하며, 교과별 로 개정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함.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안점(안)>
∙ 역량을 명료화하여 이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함.
- 역량을 반영한 나라: 독일(도덕, 체육, 음악, 미술), 뉴질랜드(실과<기술‧가정>, 체육), 호주(체육, 음악), 싱가포르(도덕)
∙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교과 교육과정에 교과별로 함양할 수 있는 인성 을 강조함.
- 인성을 강조한 나라: 프랑스(체육, 음악, 미술)
∙ 교과별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 내용을 구성함.
- 기초 소양을 제시한 나라: 중국(미술), 미국(실과<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핀란드·독일·싱가포르(도덕)
차기 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쟁점 해결 및 구체적인 개선안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
◦ 앞서 ‘3. 정책 제언’에 제시한 교과별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시사점들을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함.
[ 참고문헌 ]
김남준 (2012), “독일의 윤리교육과『윤리』교과서 분석”,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도덕 윤리과교육연구』제36집, pp. 33-62.
김은수․정창우 (2013),
“핀란드의 윤리교육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도덕윤리과교육
연구』제38집, pp. 305-328.서지영․김기철․유창완․박상봉․홍석호․장용규 (2013).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체육-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CRC-2013-24.
양윤정․김기철․장근주 (2012). 체육, 음악, 미술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계에 관한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5.
이경언․양윤정․김기철․이승미 (2011). 체육, 음악, 미술 교과 교육과정 구성 체제 및 내용 국제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1-4.
추병완 (2011),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제24집, pp. 125-142.
具塚茂樹(가이즈카 시게키) (2014), “日本の道德敎育改革の動向と課題(일본의 도덕교육개 혁의 동향과 과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2014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국 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p. 9-24.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 중화인민공화국교육부 (2011), URL: http://www.moe.edu.cn (ac cessed 05/09/2014).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2009). Physical Education Framework for Califo rnia Public Schools, Kindergarten Through Grade Twelve. URL: http://www.cd e.ca.gov/ci/cr/cf/documents/peframework2009.pdf (accessed 05/09/2014).
FNBE: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2014), “Basic Education
”, URL: http://w
ww.oph.fi/english/curricula_and_qualifications/basic_education (accessed 02/09/2014).
Hessisches Kultusministerium: 헤센주 교육문화부 (2011), URL: http://www.kultusmin isterium.hessen.de (accessed 05/09/2014).
ITE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2000).
Standards for Techn 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 VA : Author.Minist
è
re de I’È
ducation nationale(2008). Programmes du collè
ge.MOE(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2014), “Primary School Curriculum
”, URL:
http://www.moe.gov.sg/education/primary/curriculum (accessed 02/09/2014).
NCCAS: National Coalition for CORE ARTS Standards (2014), URL: http://nccas.wiki spaces.com (accessed 05/09/2014).
NCIC: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국가 교육과정 정보센터), URL: http://
www.ncic.re.kr (accessed 22/08/2014)
New Zealand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New Zealand Curriculum. Wellington:
Learning Media Limited.
NK: Niedersachsisches Kultusministerium (니더작센주 교육문화부) (2009), Kerncurric ulum Werte und Normen, URL: http://db2.nibis.de/1db/cuvo/datei/kc_wun_igs _i.pdf (accessed: 01/09/2014).
Rockwood school district (2009), URL: http://www.rockwood.k12.mo.us/curricu lum/Pages/default.aspx (accessed 05/09/2014).
TNZCO, HPE: The New Zealand Curriculum Online, Health and Physical Education (2014) URL: http://nzcurriculum.tki.org.nz/Curriculum-resources/NZC-resource-bank/H ealth-and-physical-education/Supporting-materials#resource-1123 (accessed 01/0 7/2014).
TNZCO, Technology: The New Zealand Curriculum Online, Technology (2010), URL:
http://nzcurriculum.tki.org.nz/The-New-Zealand-Curriculum/Learning-are as/Technology (accessed 15/08/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