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Habitat)
몽산포 해수욕장 배후에 위치한 해송 군락 모래땅에서 발생하였다 바닥면에 얇게. 해송 낙엽이 깔려 있었고 주변에 키작은 초본류가 산발적으로 자라고 있었다 발생장. 소는 야영장 조성을 위하여 오랜 전 소나무 간벌이 시행된 지역으로 어린 해송이나 기타 수종은 보이지 않고 거대한 노송 집단만 분포하였다 여름철에는 방문객과 야영. 객에 의한 답압이 예상된다.
외형적 특징(Macroscopic features)
자실체 모양은 아구형이거나 부정형이며 직경은 15~40mm이다 등쪽 색깔은 전체적으. 로 오렌지색이나 얼룩진 부분은 붉은 오렌지색을 나타낸다 지면에 닿는 배쪽은 엷은 황색. 이지만 자실체 건조 시 전체적으로 짙은 적갈색으로 변한다. 맛과 향은 기록하지 못했다.
세포학적 특징(Microscopic features)
외피막은 얇고 단층이며 두께는 170-380 ,㎛ 균사층이 빽빽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연 결꺽쇠는 없다 기본체는 건조 시 딱딱하고 쉽게 부서지며 조직내 구멍의 크기는. 이며 아구형이거나 부정형이다 포자의 크기는 장타원형에서 원
100-160㎛ . 5.3-89 ,㎛
통형이고 얇은 세포벽과 약한 아밀로이드 반응19)이 나타난다. 담자기의 크기는 세포벽은 얇고 곤봉형이다
11.3-21.1 ,㎛ .
Description
Macroscopic features
Fruiting body subglobose to irregular, 15~40mm in diameter, peridium surface moderate orange with moderate reddish brown mottled, the base side yellowish white, dark grayish reddish brown when dry; scanty rhizomorphs, short, leading from base, light-colored. Peridium thin, simplex, 170-380㎛ thick, appressed-interwoven, compact, hyaline to pale brown under the microscope. Oder and taste not recorded.
Microscopic features
Gleba hard and brittle, warm buff when dry, cavities about 100-160㎛ broad,
A B
C D
그림 42.
Rhizopogon
세포구조 - A,B. 자실체 단면 C.외피막 D.담자기와 포자계통분류학적 분석(Phylogenetic anaylsis)
Rhizopogon속에 속한다고 추정되는 실험개체에 대한 동정을 위하여 ITS부위에 대 한 계통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개체들은 유전자은행에 등록되어 있는 동일속 개체들. 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으며 분석결과 해당실험 개체는
‧
, Rhizopogon속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같은 계통으로 묶였다 따라서 본 실험개체는. , Rhizopogon속에 속하는 종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개체와 동일 속내. , 27종에 대한 UPGMA, NJ, BI 계통 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근연관계로 추정되는 종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국내에서‧
. , Rhizopogon속에 속하는 종은 R. roseolus 붉은알버섯( ) 단 한종만 밝혀져 있는데, 해당 실험개체는 R. roseolus 종과는 분자생물학적 계통관계에서는 유연관계가 높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동일종이라고 결론짓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부위 ITS
□
계통수 1) UPGMA
그림 43. ITS 염기서열에 근거한
Rhizopogon
속의 UPGMA 계통수계통수 2) NJ
그림 44. ITS 염기서열에 근거한
Rhizopogon
속의 NJ 계통수분석 계통수 3) B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