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하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급풍토의 하위 구성 요인이 각각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 다. 학급의 응집성, 경쟁성, 갈등도, 곤란도, 만족도와 학생의 성별, 해외거 주 경험, 외국어 능력, 해외여행 횟수가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표 Ⅳ-4>와 같다. 독립 변인들이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을 설명하는 정도는 40.9%(R2=.409)이며,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df=9,457=35.141, p=.000).
변인
비표준화계수 표준화
계수 t p
공선성통계량 회귀계수
(B) 표준오차 Beta 공차 VIF
(상수) 2.977 .187 15.959 .000***
응집성 .052 .009 .267 5.611 .000*** .571 1.751 경쟁성 -.019 .008 -.107 -2.348 .019* .625 1.600 갈등도 -.027 .010 -.149 -2.861 .004** .474 2.111 곤란도 -.027 .008 -.134 -3.298 .001** .785 1.274 만족도 .041 .011 .182 3.843 .000*** .577 1.735 성별 .028 .044 .023 .630 .529 .973 1.028 해외거주경험 .059 .084 .027 .705 .481 .857 1.167
외국어
능력 .187 .050 .144 3.748 .000*** .872 1.147 해외여행
횟수 .011 .006 .073 1.825 .069 .803 1.246
<표 Ⅳ-4> 다문화 감수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R R 제곱 수정된 R 제곱 추정값의 표준오차
.640 .409 .397 .473
<모델 요약>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회귀모형 70.862 9 7.874 35.141 .000***
잔차 102.393 457 .224 합계 173.255 466
(*: p<.05, **: p<.01, ***: p<.001)
학급풍토의 하위구성요인이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가설 1은 학생이 그의 학급 동료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서로 돕 고 있다고 지각한다면 타인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긍 정적인 정서를 형성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설정되었다. 실제 학급풍토의 응집 성의 회귀계수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0). 그러므로 하위가설 1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의 응집성은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즉 학급의 높은 응집성은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주장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학급 응 집성의 회귀계수는 .052로, 학급 응집성이 한 단위 증가함에 따라 학생의 다문 화 감수성은 .052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급 경쟁성의 회귀계수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p=.019). 즉 학급의 경쟁성은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 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급 경쟁성의 회귀계수가 -.019인 것으로 보아 학급의 경쟁성과 다문화 감수성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성립하고 있었다. 즉 학급 경 쟁성이 한 단위 증가함에 따라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019 감소함을 보인다.
이는 학급의 경쟁성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즉 동료와 협력적 관계를 형성했다
고 지각할수록 개인의 다문화 감수성은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위 가설 2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의 경쟁성은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채택되었다.
셋째, 학급의 갈등도는 학생들 간의 긴장 정도와 다투는 정도를 반영한다.
갈등도의 회귀계수는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p=.004). 즉 학급 의 갈등도는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따라서 하위 가설 3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의 갈등도는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 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또한 학급 갈등도의 회귀계수가 -.027인 것으로 보아 학급 갈등도가 한 단위 증가함에 따라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027 감소한다.
즉 갈등도를 낮게 지각할수록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높아지는 경향을 해석 할 수 있다. 학급 내 갈등이 빈번하다고 느끼는 학생은 학급 내 관계 형성에 있어 더 긴장하게 된다. 이러한 긴장감은 나와는 다른 생각, 다른 가치관을 대 하는 데에 적대적이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학급 곤란도의 회귀계수는 -.027로, p<.0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 다(p=.001). 이에 따라 하위 가설 4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의 곤란도는 다문 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학급의 곤란도는 다문화 감수 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 결과에 따르면 학급 곤란도가 한 단위 증가하면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027 감소한다. 즉 학생이 학급의 일을 수행 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낄수록 다문화 감수성은 낮아지며 학급에서 자신에게 주어지는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 비교적 수월하다고 지각할수록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높아진다.
다섯째, 하위 가설 5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급의 만족도는 다문화 감수성 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다. 이 가설은 소속된 공동체에 느끼는 만족감이 심 리적 안정으로 이어지며 이는 곧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로 발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설정되었다. 학급 만족도의 회귀계수는 .041로, 소속된 학 급에 대한 만족도가 한 단위 증가하면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은 .041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p=.000). 따라서 하위 가설 5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표준화된 계수(β)를 통해 학급풍토의 각 하위구성요인이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다문화 감수성에 가장 큰 영향 을 미치는 변인은 학급의 응집성이었으며(β=.267, p=.000), 그 뒤를 이어 만족 도(β=.182, p=.000), 갈등도(β=-.149, p=.004), 곤란도(β=-.134, p=.001), 경쟁성 (β=-.107, p=.019)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