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조사지점별 동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 가를 실시하였다.
가) 우점도지수(DI)
우점도는 각 군집의 단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조사지점의 개체수 현존량에 의 거하여 우점종과 아우점종을 선정하였으며, 우점도지수는 McNaughton's dominance index(DI)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McNaughton, 1967).
DI (Dominance index) = n1 + n2
N
( n1 : 우점종의 개체수, n2 : 아우점종의 개체수, N : 총개체수 )
나) 다양도지수(H')
다양도지수는 Margalef(1958)의 정보이론에 의하여 도출된 Shannon-Wiener function(H')을 Llyod and Ghelardi가 변형한 공식을 이용하였다(Pielou, 1969).
H' (Species diversity index) = -∑
[
Nni ․log2 nNi]
( ni : i종의 개체수, N : 총개체수 )
다) 종풍부도지수(RI)
종풍부도지수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이용하여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 서 지수 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여 환경의 정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 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지수인 Margalef(1958)의 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제 6 장
91
RI (Species richness index) = S-1 ln(N) ( S : 전체 종수, N : 총개체수 )
라) 종균등도지수(EI)
종균등도지수는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재치의 비로써 표현되며, 군집 내 종 구 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Pielou(1975)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EI (Evenness index) = H' log2S ( H' : 다양도지수, S : 전체 종수 )
마) 생물학적 수질평가
환경질의 평가와 생태환경 관리기준의 판정은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환경부, 2001)에 서 제안한 ESB지수를 적용하였다.
4
ESB =∑(Si․Qi) Kong (1997)
i=1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Qi: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 (개별분류군환경질점수) Si: Species frequency to i environmental quality (i 환경질에 대한 총출현종수 합)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에 대한 ESB의 평가구간 분석 및 개별분류군 환경질점수 (Qi) 분석은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환경부, 2001)에서 제시한 분류 기준표를 참조하여 수록하였다(표 6-3, 표 6-4).
표 6-3 ESB의 구간에 따른 환경질 및 오수생물계열 평가표
환경질의 평가 오수생물계열의 평가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수질등급 ESB 오수생물계열
81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Ⅰ 51이상 빈부수성
61~80 양호 우선보호수역 41~60 다소양호 보호수역
Ⅱ 21~50 β-중부수성 26~40 다소불량 개선수역
13~25 불량 우선개선수역 Ⅲ 9~20 α-중부수성
12이하 매우불량 최우선개선수역 Ⅳ-Ⅴ 8이하 강부수성
표 6-4.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를 위한 개별종의 환경질점수(Qi)
종명 Qi 종명 Qi 종명 Qi
Dugesia japonica 3 Amphinemura coreana 4 Goera japonica Banks 3 Semisulcospira libertina 4 Nemoura tau 4 Goerodes KUa 3 Semisulcospira forticosta 3 Rhopalopsole mahunkai 4 Goerodes KUb 3 Gyraulus chinensis 2 Pteronarcysmacra 4 Lepidostomatidae sp. 3 Limnodrilus gotoi 1 Stavsolus japonicus 4 Gumaga KUa 4 Hirudinidae sp. 2 Paragnetina flavotincta 4 Psilotreta kisoensis 4 Gammarus sp. 4 Neoperla coreensis 4 Calamoceratidae sp. 4 Caridina denticulata 2 Kiotina decorata 4
Palaemon paucidens 2 Oyamia nigribasis 4 Ameletus costalis 4 Kamimuria coreana 4 Procloeon pennulatum 3 Sweltsa nikkoensis 4 Baetis silvaticus 3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4
Baetis fuscatus 2 Elmidae sp. 4
Nigrobaetis bacillus 3 Eubrianax KUa 4
Baetis ursinus 3 Tipula KUa 3
Baetiella tuberculata 4 Hexatoma KUa 3 Procloeon maritimum 3 Hexatoma KUb 3 Acentrella sibirica 3 Hexatoma KUc 3
Caenis KUa 2 Antocha KUa 4
Uracanthella rufa 3 Dicranota KUa 4 Cincticostella castanea 4 Simulium sp. 4 Serratella setigera 4 Ceratopogonidae sp. 3 Ephemerella dentata 4 Chironomus sp. 1 Ephemera separigata 4 Suragina KUa 4 Ephemera orientalis 3 Suragina KUb 4 Ephemera strigata 4 Stenopsyche griseipennis 4 Ecdyonurus levis 3 Wormaldia KUa 4 Ecdyonurus kibunensis 4 Plectrocnemia KUa 3 Ecdyonurus bajkovae 4 Cheumatopsyche brevilineata 3 Epeorus pellucidus 4 Cheumatopsyche KUa 4 Ecdyonurus dracon 4 Hydropsyche orientalis 4 Ecdyonurus KUb 4 Diplectrona KUa 4 Heptagenia kyotoensis 4 Hydropsyche kozhantschikovi 4 Epeorus curvatulus 4 Rhyacophila nigrocephala 4 Paraleptophlebia chocolata 4 Rhyacophila brevicephala 4 Choroterpes altioculus 3 Rhyacophila KUa 4 Anisogomphus maacki 3 Rhyacophila shikotsuensis 4 Ictinogomphus clavatus 2 Glossosoma KUa 4 Davidius lunatus 3 Phryganopsyche latipennis 3
Taenionema KUa 4 Micrasema KUa 3
Taenionema KUb 4 Neophylax ussuriensis 4 Nemoura KUa 4 Hydatophylax nigrovittatus 4
Qi 4 : very clean, Qi 3 : clean, Qi 2 : polluted, Qi 1 : very polluted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제 6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