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쉽고도 어려운 과민성 장증후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쉽고도 어려운 과민성 장증후군"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쉽고도 어려운 과민성 장증후군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질환연구소

류 한 승 · 최 석 채

서 론

과민성 장증후군은 기능성 장 질환 중 흔한 질환으로 복통 및 복부 불편감과 함께 배변 습관의 변화 등이 주 증상이다.

유병률은 서구에서 3-15%로 흔하며[1], 국내에서도 6.6-9.6%

로 보고하고 있다[2-4]. 본 질환은 높은 유병률과 만성 재발 성 경과를 가지기에 자주 병원에 방문하고 사회 경제적 문 제 및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진단은 증상을 기초로 한 로마 기준을 적용하며 유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기 질적 질환에 대한 배제 진단이 필요하지만 일차 진료기관에 서 정밀한 검사를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치료는 환자 와의 좋은 관계형성부터 다양한 약제들이 사용되지만 효과 는 다양하고 새로운 약제의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병태생리 및 증상을 알아 보고, 임상에 적용 가능한 적절한 진단과정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병태 생리

과민성 장증후군의 병인에 대한 개념적 모델은 유전적 소인과 가정환경 등의 초기 요인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및 개인의 심리 상태 등의 정신사회적 요인이 작용하고 장관 및 전신의 생리적 변화가 동반되며, 이 과정에 신경계의 상 호작용이 질병 발생에 관여할 수 있다[5].

염증과의 관련성은 급성 위장관염 후 호전된 6-17%의 환자 에서 과민성 장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데[6], 이러한 감염 후 과민성 장증후군(post-infectious irritable bowel syndrome) 에서 대장 점막에 경도의 염증 및 다양한 염증 세포가 침윤 되어 지속적인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병태생리 기전들로는 환자의 직장 내 림프구, 장크롬친화세포(enterochromaffin cell), 비만세포(mast cell) 등이 증가되는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7,8], IL-4, 13 [9], serotonin [10], histamine 및 tryptase [11] 등

의 염증 매개물질이 관여함을 제시하였다.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일부에서 소장 내 세균 과증식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이 동반되는 경우 가 있으며 4-78%로 다양하게 보고하고 있다[12,13]. 병인으 로서 장내 세균 변화의 연관성에 대한 이견이 있지만 비흡 수성 항생제 치료는 효과적이었다[14].

스트레스가 대장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은 과민성 장 증후군의 병태 생리 연구의 초기부터 알려져 왔으며 내장과 민성(visceral hypersensitivity)에 기여하여 통증의 한 기전으로 설명하고 있다[15]. 또한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와 functional MRI (fMRI) 등을 이용하여 뇌기능에 대한 영향을 영상학적으로 증명하고 있다[16,17].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호르몬인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는 장관 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수용체 차단제를 이용한 연구 등이 진행 중이다[18].

이외에 염증 및 신경 전달과정에 관여하는 물질들에 대한 여러 후보유전자(candidate gene) [19] 및 음식과의 연관성 연 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0,21].

증 상

본 질환의 진단을 내리는 주 증상은 만성 재발성 복통과 불편감이다. 증상의 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을 가져야 하는데, 이유는 감염성 질환의 경우 일과성 증상이고, 암의 경우는 증상 발현 6개월 내에 대부분 진단이 되기 때문이다 [22]. 부가 증상으로 배변 횟수, 대변 형태, 배변 후의 증상의 소실 여부에 대한 문진을 해야 한다. 만일 복통의 주 증상이 없이 변비 또는 설사가 오랜 기간 재발성으로 불편감을 주는 경우는 기능성 변비 또는 기능성 설사일 가능성이 높다. 두 질환의 차이점으로는 과민성 장증후군은 기능성 변비에 비해 여자에 많고, 변비의 지속기간이 길며, 위장관 이외 증상과 삶의 질이 저하된다. 또한 배변 습관의 변화나 다른 장 증상

(2)

Table 1. Rome III diagnostic criteria used to define irritable bowel syndrome. From Longstreth GF, et al [63]

Diagnostic Criteriaa)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Recurrent abdominal pain or discomfortb) at least 3 days per month in the last 3 months associated with 2 or more of the following:

1. Improvement with defecation

2. Onset associated with a change in frequency of stool 3. Onset associated with a change in form (appearance) of stool

a)

Criteria fulfilled for the last 3 months with symptom onset at least 6 months prior to diagnosis.

b) Discomfort means an uncomfortable sensation not described as pain. In pathophysiology research and clinical trials, a pain/

discomfort frequency of at least 2 days a week during screening evaluation for subject eligibility.

Table 2. Alarm signs and symptoms. From Videlock EJ & Chang L [30]

Age ≥ 50

Unintentional weight loss Family history of GI malignancy Severe unrelenting large-volume diarrhea Fevers, chills, recent travel to endemic region Nocturnal symptoms

Hematochezia

Relevant findings on physical examination (arthritis, skin lesions, lymphadenopathy, abdominal mass) 이 없이 보다 심한 복통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경우는 기

능성 복통 증후군(functional abdominal pain syndrome)을 의심 해야 하며 치료는 정신과적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전문 가의 도움을 얻어야 한다[23].

대변의 형태는 로마 기준에서 설사, 변비, 혼합형으로 쉽게 분류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지만 스트레스에 의해 빈번한 배변과 동시에 대변의 형태가 변화하는 경우 진단에 주의를 요한다[22].

일부의 환자에서는 상부위장관의 기능성 질환의 증상과 중복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며 국내 연구에서 과민성 장증 후군 환자의 21%에서 위식도역류질환, 14%에서 소화불량증 이 동반되었다[2]. 변비형은 설사형에 비해 상하부 복통과 복부 팽만감 등의 상부 위장관 증상의 중복이 많다[24].

위장관 이외의 증상으로는 두통, 피로감, 요통, 근육통, 성 교통, 배뇨장애, 어지러움 등 다양하다[25].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섬유근육통(fibromyalgia), 측두하 악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 환자에서 과민성 장증후 군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26]. 신체 증상을 보다 많이 호 소하는 환자는 기분 장애, 불안, 신경증(neuroticism)의 빈도 가 높다[27].

자연 경과에 대한 유럽의 한 연구에서는 7년 후까지 지속 되는 경우가 55%, 증상이 다소 호전되는 경우가 21%, 완전 관해는 13%였다[28]. 이처럼 증상의 지속기간이 길고 잦은 재발을 하고 1년에 29% 이상에서 설사형이 변비형으로 바 뀔 수 있기 때문에[29] 오랜 기간 동안 증상의 변화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로마 기준 즉 증상을 근간으로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자세한 병력의 청취는 진단을 내리는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진 단

진단을 위한 생물학적 표지자는 없고 증상을 바탕으로 한 로마 III 기준이 이용된다(Table 1). 이러한 증상들은 기질적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호소할 수 있기에 경고 증상(Table 2) [30]이 있는 경우는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고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로마 기준의 정확도에 대한 메타분석 에서 민감도 67%, 특이도 92%로[31] 비교적 정확하기에 모 든 환자에 대한 배제 진단을 위한 검사는 불필요하다. 한 연 구에서 본 질환에서 최소 1.65개의 경고 증상을 호소하고 이

(3)

Table 3. Summary of the recommendations for investig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From Spiller R, et al [22]

Intervention Quality of evidence Benefit/harm Strength of recommendation

Take a symptom history Low Net benefit Definitive

Assess psychosocial factors Low Net benefit Definitive

Physical examination Low Net benefit Definitive

Check for alarm symptoms Moderate Net benefit Definitive

Investigations

Full blood count Moderate Net benefit Definitive

Endomysial antibodies Moderate Trade-offs Qualified

Lactose breath hydrogen test Moderate Net benefit Qualified

Colonoscopy Moderate Trade-offs Qualified

Abdominal ultrasound Low Trade-offs Qualified

중 야간에 복통의 증상 발생과 나이 50세 이상의 경우는 기 질적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32].

진단을 위한 검사법으로는 혈액검사, 대변검사, 호기 수 소검사, 복부 및 대장 영상 검사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경 우에 따라서 더 많은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대변검사는 감염성 질환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여행한 경우에서 시행하며, 대변 기생충 검사는 경고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양성률은 0-1.6%로 진단적 유용성은 적다[33,34].

대장내시경은 50세 이상에서 대장암 등의 기질적 질환 발 생이 많기에 추천된다. 경고 증상이 없는 경우는 변비형을 제외한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 46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대장암이 있는 경우는 없었으며 기질적 질환의 빈도가 건강대상자와 차이가 없었다[35]. 설사형에서는 대장내시경 이 정상인 경우에도 70세 이상의 20%에서 현미경적 대장염 이 있기에[36] 설사의 원인이 설명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극 적인 조직검사가 필요하다.

유당 불내성(lactose intolerance)이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으며 국내 한 연구에서 과민성 장증후군 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25 g의 lactose를 이용한 호기 수소 검 사에서는 설사가 주 증상인 환자의 66.6%가 유당 불내성으 로 진단되었다[37]. 따라서 문진 시 환자에게 유당 섭취 여부 와 증상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소장의 세균 과증식은 본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일 수 있 으며 검사 방법은 lactulose 호기 수소검사 등을 이용한다 [38]. 하지만 제한된 연구 기관에서 주장하고 있고 장기 치료 의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진단의 과정은 각 검사법들에 대해 요약한 근거(Table 3) [22]를 바탕으로 각 환자마다 증상에 따라 적용 할 수 있다.

치 료

1. 일반적 치료

과민성 장증후군은 만성 재발성 경과를 보이며 삶의 질의 저하를 가져오기에 의사와 환자 간의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는 질병에 대한 이해 부족과 암에 대한 불안 및 빈번한 재발로 인한 불편감을 가질 수 있다. 의사는 약물 치료에 앞서 충분한 설명을 통해 질환의 이해도를 높 이고 치료 계획에 대한 상담을 하여야 한다. 3차 의료기관에 서 진단된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서 정신사회력의 청취, 원인 인자에 대한 문진, 진단에 대한 설 명과 환자와 검사 결과 및 질병에 대한 토의, 불필요한 침습 적 검사를 줄이는 것이 증상으로 인한 재방문을 줄일 수 있 다[39]. 과민성 장증후군에 대한 아시아 합의[40]에서는 가능 한 원인 인자에 대한 자세한 병력 청취, 적절한 비유를 통한 병인의 설명, 중증 질환이 아님을 주지하여 안심시키기, 합 리적인 생활습관 변화 및 약물치료에 동참하도록 유도함으 로써 좋은 의사-환자 관계를 형성할 것을 권유하였다. 이때 정신사회적 평가를 병행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차 진료에서는 환자가 충분한 설명 에도 진단 및 질병에 대해 불안해 하거나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및 경고 증상이 있다면 상급 의료기관으로의 전원을

(4)

Table 4. Agents available to treat irritable Bowel syndrome by predominant symptom. From Videlock EJ & Chang L [30]

Constipation

Drug class Generic name Dose

Bulking agents Psyllium 1-3 Tbsp qd First-line treatment for mild-moderate

constipation. Start

with 4 g/d, gradually increase over 2-3 weeks to 20-25 g/d

Methylcellulose 1-3 Tbsp qd Polycarbophil 2-4 tablets qd Laxatives

Osmotic Milk of magnesia 1-2 Tbsp qd to bid

Magnesium citrate 6-12 oz

Sodium phosphate 1 tspn in 8 oz fluid

Lactulose 1-2 Tbsp qd-bid

Polyethylene glycol 17 g in 8 oz fluid

Sorbitol 1-2 Tbsp qd-bid

Stimulants Cascara sagrada 325 mg or 1 tspn qhs

Senna 187-mg tablets; 1-2 tablets qhs

Riconleic acid 1-2 Tbsp qd Diphenylmethane

derivatives

10 mg 1-2 tablets qhs or 1 suppository qhs

Emollients Docusates 100 mg; 1-3 tablets qhs

Mineral oil 1 tsp-1 Tbsp qhs

5-HT4 agonist Tegaserod 6 mg bid Available only through restricted-use

program Diarrhea

Drug class Generic name

Antidiarrheals Loperamide 1 tablet qid Use prophylactically (start at 1 per day but

can use up to 8 per day) Diphenoxylate 1-2 tablets tid

Binding agents Cholestyramine 1 g bid to qid

5-HT3 antagonist Alosetron 0.5 mg-1 mg qd-bid For women with severe IBS-D who have failed conventional therapy. Available only through restricted-use program.

고려해 보아야 한다[22].

임상에서 경험적으로 환자의 증상과 특정 음식과의 관련 성을 중요시하여 식이 조절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음식과 본 질환의 연관성은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 증상 유 발 가능성이 있는 음식에 대한 제한식이(exclusion diet)로 12.5-67%까지 장 증상이 감소되었다는 긍정 보고는 있지만 [41] 잘 계획된 환자-대조군 연구는 부족하다.

2. 전통적 약제 치료

약제 치료는 복통, 변비, 설사 등의 환자의 증상에 따라 시도해 보지만 다양한 복합 증상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약제는 없는 실정이다. 증상에 따라 사용 가능한 약제는 Table 4에 기술한 바와 같다. 복통의 경우는 진경제, 변비는 식이 섬유나 부피형성 하제, 설사는 지사제를 사용하여 왔 다.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없으며 과거 연구들에 대한 메 타분석은 개별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고 진단 기준이 현

(5)

Tricyclic antidepressants

Amitriptyline 10-150 mg qhs Very sedating

Doxepin 10-150 mg qhs Very sedating

Imipramine 10-150 mg qhs

Clomipramine 25-100 mg qhs

Trimipramine 10-150 mg qhs

Desipramine 10-150 mg qhs Most empiric evidence for efficacy. Less

sedation and constipation

Nortriptyline 10-150 mg qhs Least sedating

Pain/Bloating

Antispasmodics Hyoscamine sulfate 0.125 mg sl/po qid prn, 0.375 mg po bid

Dicyclomine 10 mg po bid

Propantheline hydrochloride

15 mg tid a.c. and 30 mg qhs

Clidinium+

chlordiazepoxide

5-10 mg tid-qid

Hyoscamine+

scopolamine+ atropine +phenobarbital

1-2 tablets tid-qid

TCAs See above See above

SSRIs Fluoxetine 10-40 mg qd Long half-life; less withdrawal effects

Citalopram 20 mg qd Less side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Paroxetine 20-50 mg qd Short half-life; more likely withdrawal

effects. Greater anticholinergic effect; use in IBS-D

Sertraline 25-100 mg qd Requires dose ranging

Escitalopram 10 mg qd Less side effects and drug interactions

SNRIs Venlafaxine 37.5-75 mg bid-tid

Duloxetine 40-60 mg qd FDA approved for depression and diabetic

neuropathy. Unlabeled uses include chronic pain

syndromes, fibromyalgia, stress incontinence.

Ongoing open labeled trial for IBS.

5-HT4 agonist Tegaserod See above

Antibiotics Rifaximin 400 mg tid

Probiotics

Bifidobacterium infantis 1 tablet qd

VSL # 3 1 packet bid

Abbreviations: a.c., before meals; bid, twice daily; g, grams; mg, milligrams; oz, ounces; qd, daily; qhs, at night; qid, four times daily; Tbsp, tablespoon; tid, three times daily; tspn, teaspoon.

재와 달라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의 한 메타분석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진경제가 위약에 비해 증상이 지속될 비교 위험도가 0.65 (95% CI: 0.48-0.89), NNT (number needed to treatment)는 5로 효과적이며, 부피형성 하제 중 차전자피 (psyllium)는 비교위험도 0.78 (95% CI: 0.63-0.93), NNT는 6으

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42]. 차전자피는 밀기울(wheat bran)에 대한 무작위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도 차전자피를 사 용한 환자에서만 유의한 증상 호전을 보였다[43]. 지사제 중 loperamide는 소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위약대조 군 연구들에서 배변 형태와 배변 횟수 및 급박감의 호전을

(6)

보였으나 장기간의 치료 효과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 하다[44].

전통적 약제는 효과에 대한 잘 계획된 연구가 부족하지 만, 증상에 따라 개별 약제의 부작용을 감안하여 단기간 사 용할 수 있으며[44,45], 비교적 안전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일차 약물 치료로 고려할 수 있다[40].

3. 새로운 약제 개발의 임상 적용

새로운 약제의 개발은 최근 발전하는 분자 생물학적 기법 과 신경계와의 관련성 연구를 근간으로 다양한 약제의 임상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상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예상되는 약제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1) 세로토닌 수용체 관련 약물 (1) 설사형

Alosetron은 5-HT3 수용체 길항제로 심한 변비와 허혈성 대장염의 부작용으로 2000년도에 FDA에서 사용 중단된 후 2002년도에 통상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6개월 이상 지 속되는, 설사형, 여성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제한적으로 사용이 허가되었다. 최근의 메타분석에서는 상대위험도 0.79 (95% CI: 0.69-0.90), NNT는 8로 효과적이었으며[46], 8개의 대규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에서도 성별에 관계없이 효과 적인 증상 호전을 보이고 이 중 허혈성 대장염(0.16%), 변비 (0.08%) 등의 합병증은 드물었다[47]. 미국 소화기학회 가이 드라인에서는 중증의 합병증(허혈성 대장염) 발생이 가능하 기에 선별된 환자에서 신중히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45].

Ramosetron은 5-HT3 수용체 길항제로 1996년부터 일본에 서 항암제 투여 시 발생하는 구토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약제이다. 2008년도에 2상 임상 시험 및 일본에서 시행된 대 규모 3상 연구에서 alosetron에서 보였던 허혈성 대장염 등의 중증 합병증 없이 남, 여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증상 호전에 좋은 효과를 보고하였다[48,49]. 향후 다양한 인 종에 대한 적용 및 국내 임상 시험에 대한 좋은 결과를 기대 해 볼 수 있다.

(2) 변비형

Tegaserod는 5-HT4 수용체 작용제로 심혈관계 부작용 때 문에 2007년 FDA에서 일반적인 사용을 규제하였으며 55세

이하의 여자인 경우 제한적 사용만을 허용하고 있다. 최근 100개 의료기관에서 시행한 미국 및 유럽의 대규모 연구에 서 여성에서 변비형과 교대형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좋 은 효능을 보였으며[50], 11개 무작위 대조군 연구들에 대한 메타분석에서도 비교위험도 0.85 (95% CI: 0.80-0.90)로 증상 조절에 효과적이었다[46]. 최근까지도 이 약제에 대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이 약제를 대체할 약제가 없는 것도 하나의 이유일 수 있다.

2) 비흡수성 경구용 항생제

과민성 장증후군의 한 병인으로 SIBO가 제시된 바 있으나, 증상 발생과 관련성은 모호하며 장내 세균이 병태 생리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SIBO의 치료 제로 비흡수성 경구용 항생제인 rifaximin을 10일간 투여한 이중맹검 연구에서는 위약군에 비해 증상이 유의하게 호전 되었다[51]. 특히 최근 미주에서 시행된 대규모의 이중맹검 연구에서는 1,260명의 변비형을 제외한 환자에서 rifaximin 550 mg을 하루 세 번 2주간 투여하였을 때 전반적인 장 증 상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호전되었다[14]. 향후 약 물의 기전에 대한 실험실 및 임상 연구가 필요하며 약제의 국내 임상 시험 결과 및 적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생균제(probiotics)

장내 세균 조성의 변화가 과민성 장증후군의 가능한 기전 으로 제시되었는데, 임상 연구 결과는 사용된 균종에 따라 다르며 Bifidobacterium 및 동일 균종을 포함한 복합 균종에 대한 긍정적 보고가 있다[52,53]. 그러나 대규모 임상 연구가 없고 연구마다 사용된 균주가 다양하고 균의 농도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약제의 이상적 제형을 제시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인 임상 적용은 권고되고 있지 않다[22,44,45].

4) 염소통로 활성제(chloride channel activator) Lubiprostone은 선택적 염소통로 활성제로 2006년에 FDA 에서 만성변비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 작용기전은 위장관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제 2형 염소통로를 활성화시켜 많은 전해질이 포함된 수분을 분비한 후 소장으로 들어가 장관의 운동을 증가시킨다. 과민성 장증후군에서는 FDA에서 18세 이상, 여성의 변비형 환자에서 사용하도록 2008년 4월 허가 하였다. 이후 발표된 잘 계획된 2상 및 3상 임상 시험 결과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의미있는 증상의 호전을

(7)

보였다[54,55]. 하지만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가 부족하고 장 기간 사용시 안정성 문제 및 남성에서의 효과에 대한 연구 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Guanylate cyclase-C는 장관 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로 염 소통로의 하나인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를 활성화시켜 장내 분비를 촉진한다.

Linaclotide는 guanylate cyclase-C의 작동제로, 최근 진행된 대 규모의 3상 임상 시험에서 긍정적 효과와 비교적 적은 부작 용을 나타내고 있어 추후 임상적 사용이 기대된다.

5) 기타

Opioid 수용체는 장관세포에 존재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 되는 통증을 조절하는 경로이다. 이 중 말초에 작용하는 수 용체가 내장 과민성에 관여하여 약제 표적으로 유용하다.

Asimadoline은 말초성 kappa-opioid 작동제로 과민성 장증후 군의 통증의 조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596명을 대상 으로 12주간 치료한 2상 연구에서는 교대형, 설사형의 통증 에 긍정적인 측면을 보고하였다[56]. 2010년부터 3상 임상 시험이 미국에서 진행 중이다.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CRH)은 1형과 2형의 수용 체가 있고 스트레스와 연관된 장 운동, 내장 과민성, 자율신 경계의 반응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CRH를 과민성 장증후 군 환자에게 주면 대장의 운동을 악화시키고, ACTH 분비를 증가시킨다[57]. 길항제인 alpha-helical CRH (비 선택적 CRH 수용체 길항제)를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복통 및 불안정도 가 감소하고[58], 뇌전도의 파형을 정상화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였다[59]. 그러나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 환 자에서 경구 CRH 1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 무작위 이중맹 검 연구에서는 장관 운동과 관계가 없었다[18].

Dextofisopam은 정신과에서 불안, 스트레스 관련 자율신 경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로 동물연구 에서 위장관 운동과 내장감각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 한 이론을 토대로 설사형과 교대형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치료한 결과 위약에 비하여 좋은 효능을 보고한 단일 연구 가 있다[60].

4. 정신과적 치료 및 항우울제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는 불안 및 우울 등의 기분 장애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3차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의 40~90% 환자에서 다양한 정신과적 질병이 있을 수 있다[61].

정신과적 치료 및 항우울제(삼환계 항우울제 및 선택적 세 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증상 호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NNT = 4) [62]. 국내 및 미국의 가이 드라인에서는 인지-행동 요법(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역동정신요법(dynamic psychotherapy), 최면요법(hypnotherapy) 을 포함하는 정신과적 치료 및 항우울제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44,45].

요 약

과민성 장 증후군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만성 재발성 질환이다. 환자는 질병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불안 및 반복되는 증상으로 삶의 질이 저하된다. 서구 와 국내에서 유병률 및 사회적 비용이 증가되고 있고 병태 생리는 다양하다. 진단은 로마 기준을 적용하며 세심한 진료를 통해 적절한 검사와 배제 진단을 하여야 한다. 환자의 치료 에 있어 충분한 설명을 통한 좋은 의사-환자 관계를 수립하 는 것은 현재에도 유용하며, 충분한 대화를 통해 정신사회적 문제와 치료 또한 고려해야 한다. 약물치료는 증상의 조절을 목적으로 한 고식적인 약제 치료를 시도하지만 최근에는 병 태생리에 근거한 새로운 약제들의 임상 적용 및 연구가 활 발히 진행되고 있다.

REFERENCES

1. Choung RS, Locke GR, 3rd. Epidemiology of IBS.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1;40:1-10.

2. Lee SY, Lee KJ, Kim SJ, Cho SW.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overlaps betwee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yspeps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Digestion 2009;79:196-201.

3. Park DW, Lee OY, Shim SG, et al.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ccording to Rome II and Rome III. J Neuro- gastroenterol Motil 2010;16:186-193.

4. Han SH, Lee OY, Bae SC, et al.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the Rome II criteria. J Gastroenterol Hepatol 2006;21:1687-1692.

5.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2006;130:1377-1390.

6. Spiller RC. Role of infection in irritable bowel syndrome. J Gastroenterol 2007;42(Suppl 17):41-47.

7. Dunlop SP, Jenkins D, Neal KR, Spiller RC. Relative importance of enterochromaffin cell hyperplasia, anxiety, and depression in

(8)

postinfectious IBS. Gastroenterology 2003;125:1651-1659.

8. Barbara G, Stanghellini V, De Giorgio R, et al. Activated mast cells in proximity to colonic nerves correlate with abdominal pain in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04;126:693-702.

9. Akiho H, Deng Y, Blennerhassett P, Kanbayashi H, Collins SM.

Mechanisms underlying the maintenance of muscle hyper- contractility in a model of postinfective gut dysfunction. Gast- roenterology 2005;129:131-141.

10. Atkinson W, Lockhart S, Whorwell PJ, Keevil B, Houghton LA.

Altered 5-hydroxytryptamine signaling in patients with constipation- and diarrh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06;130:34-43.

11. Barbara G, Wang B, Stanghellini V, et al. Mast cell-dependent excitation of visceral-nociceptive sensory neuron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07;132:26-37.

12. Posserud I, Stotzer PO, Bjornsson ES, Abrahamsson H, Simren M.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Gut 2007;56:802-808.

13. Pimentel M, Chow EJ, Lin HC. Eradication of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reduces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2000;95:3503-3506.

14. Pimentel M, Lembo A, Chey WD, et al. Rifaximin therapy for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without constipation. N Engl J Med 2011;364:22-32.

15. Posserud I, Agerforz P, Ekman R, Bjornsson ES, Abrahamsson H, Simren M. Altered visceral perceptual and neuroendocrine respons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during mental stress. Gut 2004;53:1102-1108.

16. Ringel Y, Drossman DA, Turkington TG, et al. Regional brain activation in response to rectal distension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the effect of a history of abuse. Dig Dis Sci 2003;48:1774-1781.

17. Ringel Y, Drossman DA, Leserman JL, et al. Effect of abuse history on pain reports and brain responses to aversive visceral stimulation: an FMRI study. Gastroenterology 2008;134:396-404.

18. Sweetser S, Camilleri M, Linker Nord SJ, et al. Do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1 receptors influence colonic transit and bowel function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9;296:G1299-1306.

19. Saito YA, Talley NJ. Genetic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2008;103:2100-2104.

20. Saito YA, Locke GR 3rd, Weaver AL, Zinsmeister AR, Talley NJ.

Diet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Am J Gastroenterol 2005;100:2743-2748.

21. Akbar A, Yiangou Y, Facer P, Walters JR, Anand P, Ghosh S.

Increased capsaicin receptor TRPV1-expressing sensory fibre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their correlation with abdominal pain. Gut 2008;57:923-929.

22. Spiller R, Aziz Q, Creed F, et al. Guidelines on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mechanisms and practical management. Gut 2007;

56:1770-1798.

23. Sperber AD, Drossman DA. Review article: the functional abdominal pain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11;33:

514-524.

24. Talley NJ, Dennis EH, Schettler-Duncan VA, Lacy BE, Olden KW, Crowell MD. Overlapping upper and lower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with constipation or diarrhea. Am J Gastroenterol 2003;98:2454-2459.

25. Whitehead WE, Palsson O, Jones KR. Systematic review of the comorbidit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with other disorders:

what are the causes and implications? Gastroenterology 2002;

122:1140-1156.

26. Aaron LA, Burke MM, Buchwald D. Overlapping conditions among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fibromyalgia,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Arch Intern Med 2000;160:221-227.

27. Vandvik PO, Wilhelmsen I, Ihlebaek C, Farup PG. Comorbidit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general practice: a striking feature with clinical implications. Aliment Pharmacol Ther 2004;20:

1195-1203.

28. Agreus L, Svardsudd K, Talley NJ, Jones MP, Tibblin G. Natural histor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functional abdominal disorders: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Gast- roenterol 2001;96:2905-2914.

29. Drossman DA, Morris CB, Hu Y, et al. A prospective assessment of bowel habit in irritable bowel syndrome in women: defining an alternator. Gastroenterology 2005;128:580-589.

30. Videlock EJ, Chang L. Irritable bowel syndrome: current approach to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07;36:665-685.

31. Jellema P, van der Windt DA, Schellevis FG, van der Horst HE.

Systematic review: accuracy of symptom-based criteria for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primary care. Aliment Pharmacol Ther 2009;30:695-706.

32. Whitehead WE, Palsson OS, Feld AD, et al. Utility of red flag symptom exclusions in the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06;24:137-146.

33. Tolliver BA, Herrera JL, DiPalma JA. Evaluation of patients who meet clinical criteria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1994;89:176-178.

34. Hamm LR, Sorrells SC, Harding JP, et al. Additional investigations fail to alter the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subjects fulfilling the Rome criteria. Am J Gastroenterol 1999;94:1279-1282.

35. Chey WD, Nojkov B, Rubenstein JH, Dobhan RR, Greenson JK, Cash BD. The yield of colonoscopy in patients with non- constipated irritable bowel syndrome: results from a prospective, controlled US trial. Am J Gastroenterol 2010;105:859-865.

36. Olesen M, Eriksson S, Bohr J, Jarnerot G, Tysk C. Microscopic colitis: a common diarrhoeal disease. An epidemiological study in Orebro, Sweden, 1993-1998. Gut 2004;53:346-350.

(9)

37. Nah YH, Lyou JH, You KH, Choi SC.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irritable bowel syndrome-diagnostic value of the colorectal physiology test in the exclusion of organic disease. Korean J Med 1996;51:194-199.

38. Pimentel M, Chow EJ, Lin HC. Normalization of lactulose breath testing correlates with symptom improvement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Am J Gastroenterol 2003;98:412-419.

39. Owens DM, Nelson DK, Talley NJ.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long-term prognosis and the physician-patient interaction. Ann Intern Med 1995;122:107-112.

40. Gwee KA, Bak YT, Ghoshal UC, et al. Asian consensus on irritable bowel syndrome. J Gastroenterol Hepatol 2010;25:

1189-1205.

41. Park MI, Camilleri M. Is there a role of food allergy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atic review.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8:595-607.

42. Ford AC, Talley NJ, Spiegel BM, et al. Effect of fibre, antispasmodics, and peppermint oil in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2008;337:a2313.

43. Bijkerk CJ, de Wit NJ, Muris JW, Whorwell PJ, Knottnerus JA, Hoes AW. Soluble or insoluble fibre in irritable bowel syndrome in primary care? Randomised placebo controlled trial. BMJ 2009;339:b3154.

44. Kwon JG, Park KS, Park JH, et 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82-99.

45. Brandt LJ, Chey WD, Foxx-Orenstein AE, et al. An evidence- based position statement on the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2009;104(Suppl 1):S1-35.

46. Ford AC, Brandt LJ, Young C, Chey WD, Foxx-Orenstein AE, Moayyedi P. Efficacy of 5-HT3 antagonists and 5-HT4 agonist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Gastroenterol 2009;104:1831-1843.

47. Rahimi R, Nikfar S, Abdollahi M.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losetron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women and men: a meta-analysis of eight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12-week trials. Clin Ther 2008;30:884-901.

48. Matsueda K, Harasawa S, Hongo M, Hiwatashi N, Sasaki D. A phase II trial of the novel serotonin type 3 receptor antagonist ramosetron in Japanese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diarrhea- 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Digestion 2008;77:225-235.

49. Matsueda K, Harasawa S, Hongo M, Hiwatashi N, Sasaki D.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the novel serotonin type 3 receptor antagonist ramosetron in both male and female Japanese patients with diarrh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Scand J Gast- roenterol 2008;43:1202-1211.

50. Chey WD, Pare P, Viegas A, Ligozio G, Shetzline MA. Tegaserod for female patients suffering from IBS with mixed bowel habits or

constip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Gastroenterol 2008;103:1217-1225.

51. Pimentel M, Park S, Mirocha J, Kane SV, Kong Y. The effect of a nonabsorbed oral antibiotic (rifaximin) on the symptoms of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a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06;145:557-563.

52. Whorwell PJ, Altringer L, Morel J, et al. Efficacy of an encapsulated probiotic Bifidobacterium infantis 35624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2006;101:

1581-1590.

53. Zeng J, Li YQ, Zuo XL, Zhen YB, Yang J, Liu CH. Clinical trial:

effect of active lactic acid bacteria on mucosal barrier function in patients with diarrho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08;28:994-1002.

54. Johanson JF, Drossman DA, Panas R, Wahle A, Ueno R. Clinical trial: phase 2 study of lubiprostone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with constipation. Aliment Pharmacol Ther 2008;27:685-696.

55. Drossman DA, Chey WD, Johanson JF, et al. Clinical trial:

lubiprostone in patients with constipation-associated irritable bowel syndrome-results of two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ies. Aliment Pharmacol Ther 2009;29:329-341.

56. Mangel AW, Bornstein JD, Hamm LR, et al. Clinical trial:

asimadolin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08;28:239-249.

57. Fukudo S, Nomura T, Hongo M. Impact of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adrenocorticotropic hormone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Gut 1998;42:845-849.

58. Sagami Y, Shimada Y, Tayama J, et al. Effect of a 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e receptor antagonist on colonic sensory and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Gut 2004;53:958-964.

59. Tayama J, Sagami Y, Shimada Y, Hongo M, Fukudo S. Effect of alpha-helical CRH on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9:471-483.

60. Leventer SM, Raudibaugh K, Frissora CL, et al. Clinical trial:

dextofisopam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arrhoea- predominant or altern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08;27:197-206.

61. Drossman DA, Camilleri M, Mayer EA, Whitehead WE. AGA technical review on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02;123:2108-2131.

62. Ford AC, Talley NJ, Schoenfeld PS, Quigley EM, Moayyedi P.

Efficacy of antidepressants and psychological therapie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ut 2009;58:367-378.

63. Longstreth GF, Thompson WG, Chey WD, Houghton LA, Mearin F, Spiller RC. Functional bowe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130:1480-1491.

참조

관련 문서

Definition of patients presenting a high risk of developing peritoneal carcino- matosis after curative surgery for colo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oral hygiene status, oral care guidelines, and outcomes of oral care in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from a dental

The 1990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for Wegener’s Granulomatosis and Churg-Strauss Syndrome (Data obtained from ref. 12, 13).. Wegener'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Chronic kidney disease (partial updat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Clinical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HP based multi-criteria VHO algorithm decides priority of influencing factors and the decision criteria based on the location for different traffic types such

For the study of inhibitory synapse development, we analyzed the intensity, area, and density of Gephyrin or VGAT clusters in primary hippocamap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