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소리의 체계
1. 한국어의 음소설정 기본원리를 안다.
2. 한국어의 음운체계를 이해한다 목표 :
서론
• 음성
• 음소(음운) :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게 해 주는 소리의 최소단위로서, 여러 가지 음성적 환경 에서 다양하게 실현되는 음성의 공통적 특질들 을 추상화시킨 말소리의 심리적 실체
음소 설정의 기본원리
• 최소대립쌍-자유변이
• 상보분포- 음성적 유사성
• 동형성
음소 설정의 기본원리
• 최소대립쌍
1. 어떤 두 개이상의 단어가 같은 자리에 있는 소리의 음성적 차이때문에 그 의미가 달라진 경우, 이렇게 의미를 분화시켜 주는 두 소리는 최소대립, 이를 이루는 단어의 쌍을 의미한 다.
2. 단어쌍이 소리의 한 요소만 다르고 모든 것이 다 똑같다.
• 자유변이
: 같은 음성환경에서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 자유로운 소리의 변화([radio],[ladio])
음소 설정의 기본원리
• 상보분포와 음성적 유사성
1. 상보적 분포: 같은 환경에서 결코 함께 나타나지 않는다. 예) A-B: A가 나타나는 환경에는 절대로 B가 존재할 수 없다.
2. 상보적 분포를 가진 소리들은 대체로 한음소의 음성적 환경 에 따른 변이음인 경우가 많다 -> 이음
예) 다리(무기식+무성음), 같다(경음), 안다(유성음)
• 음성적 유사성 : 몇 개의 이음이 하나의 음소로 추상화되는 근거
예) 다리, 같다, 안다 : /ㄷ/ 치조폐쇄음
음소 설정의 기본원리
• 동형성
음소의 체계를 이루는데 있어 체계적 대칭 관 계를 선호하는 경향과 관계가 있다
음운자질
• 변별적 자질: A소리와 B소리가 구별되는 특징, 이분법적 자질
예) 김영희
- 생물학적 특질 [+ 여성] [-남성]
• 우리말 음운자질: 주요 부류자질, 자음분류를 위한 자질, 모음 분류를 위한 자질
음운자질 : 주요 분류 자질
▪ 공명성(sonorant)
공명성 자질을 가진 소리인 공명음은 자발적 유성성이 가능한 성도강 형태로 만들어짐. 공명성을 가지지 않는 장애음은 자발 적인 유성성이 불가능한 성도강 형태로 만들어짐.
▪ 자음성(consonantal)/ 성절성(syllabic)
자음성은 성도에서 심한 협착이 동반하면서 만들어짐.
성질성은 소리의 음절을 이루어 단독으로 하나의 음절로 만들어 짐. [모음성]을 수정한 것.
음운자질 : 자음분류를 위한 자질
1. 조음방법과 관련된 자질
▪ 지속성(continuant) : 기류의 흐름이 지속적
▪ 지연개방성(delayed release) : 성도 폐쇄 이후 개방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마찰음이 동반
▪ 설측성(lateral)
2. 조음위치와 관련된 자질
▪ 설정성(coronal) :
▪ 전방성(anterior) :
3. 발성유형과 관련된 자질
▪ 긴장성(tense)
▪ 기식성(aspirated) :
음운자질 : 모음분류를 위한 자질
• 고설성(high)
• 저설성(low)
• 후설성(back)
• 원순성(round)
음운 변화
▪ 음운변화 : 대치
▪ 음운변화 : 탈락, 축약, 첨가 ㄱ. 제약: 음운의 결합관계 때문 ㄴ. 축약, 탈락: 발음 편의
ㄷ. 첨가: 청취효과
음운변화 : 대치
• 평쇄음화
• 비음화
• 설측음화
• 양순음화
• 연구개음화
• 경음화
• 구개음화
✓음화-동화의 차이
음운변화 :
대치-평폐쇄음화• 격음, 경음, 마찰음, 파찰음, 성문음이 평폐쇄음으로 바뀌는 과 정
- 뒤에 어근이 오염 평폐쇄음화가 일어나고 그렇지 않는 경우 음 절화가 일어남(예, 겉옷[거돋], 앞도[압또])
-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 대표음 [ㄱ,ㄷ,ㅂ]로 바음한다(닦다[닥 따], 키읔과[키윽꽈], 옷[옫]
- 어말 또는 자음앞, 받침뒤에 모음 ‘ㅏ,ㅓ,ㅗ,ㅜ,ㅟ’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밭아래[바다래], 늪앞[느밥], 맛없 다[마덥따])
음운변화 :
대치-비음화• 장애음의 비음화
- 받침 평폐쇄음/ㅂ,ㄷ,ㄱ/가 비음/ㅁ,ㄴ/앞에서 조음점이 같은 비 음/ㅁ,ㄴ,ㅐ/으로 변하는 과정(낚는[낭는], 뽑는[뽐는])
• 설측음의 비음화
- 받침’ㅁ, ㅇ’ , ‘ㄱ,ㅂ’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막론[망 논], 십리[심니], 담력[담녁])
-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난로[날로])
- 한자음 ‘라,래,로,뢰,루,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때 두음법칙 적용
음운변화 :
대치-설측음화• 설측음이 아닌 소리가 설측음으로 변하는 현상
-/ㄹ/과 /ㄴ/의 연쇄: 겨울날[겨울랄], 잘나다[잘라다], 불능[불릉]
-간략[갈략], 난로[날로], 대관령[대괄령]
-예외: 단어와 접사의 경계 의견란/의견+란/[의견난], 신라면/신+라면/[신나면]
음운변화 :
대치-양순음화• 치경(경구개)음이 양순음으로 변하는 과정 - 신발[심발], 옛말[옘말], 몇몇[몀멷]
예시 : 몇몇 [멷멷] [면멷] [몀멷]
음운변화 :
대치-연구개음화• 기저의 /ㄴ,ㄷ,ㅌ,ㅅ,ㅆ,ㅈ,ㅊ,ㅁ,ㅂ,ㅍ/가 연구개음으로 변하는 과정
-손가락[손까락~ 송까락], 걷고[걷꼬~(걱꼬) 거꼬], 밥그릇[밥끄륻
~(박끄륻)바끄륻], 감기[강기]
음운변화 :
대치-경음화• 경음이 아닌 평장애음/ㅂ,ㄷ,ㄱ,ㅅ,ㅈ/가 일정한 환경에서 경음 /ㅃ,ㄸ,ㅋ,ㅆ,ㅉ/으로 바뀌는 현상
-밥도둑[밥또둑], 옆집[옆찝] 돋보기[돋뽀기]
평장애음/ㅂ,ㄷ,ㄱ,ㅅ,ㅈ/가 /ㅂ,ㅍ,ㄷ,ㅌ,ㄱ,ㅋ,ㄲ, ㅅ,ㅆ,ㅈ,ㅊ,ㅎ/
장애음뒤에서 경음으로 바뀜
-안다[안따], 안고[안꼬], 젊다[점따]
어간말 종성/ㄴ, ㅁ/ 뒤에 평음 /ㄱ,ㄷ,ㅅ,ㅋ/로 시작하는 어미는 경음으로 바뀜
음운변화 :
대치-구개음화• 우리말 어간의 끝자음/ㄷ,ㅌ/가 /이/로 시작하는 형태소앞에서 는 /ㅈ,ㅊ/로 바뀜
- 끝이[끄치], 밭이[바치], 굳이[구지], 닫히다[다치다], 묻히다[무 치다]
제약에 따른 음운현상
1) 어두’ㄹ’제약:두음법칙(노인/내일/예의) 2) 어두’ㄴ’제약:익명/여자/유대/역사/요금 3) 자음군단순화:
• ㄱ) 넋[넉] ㄴ)앉+고[안고] ㄷ)많네[만네]/많다[만타](유기음화 가 능 환경) ㄹ)닭[닥] 읽다가[익따가]/맑게[말께] 굵고[굴꼬] 붉거나 [불꺼나], 늙고[늘꼬](ㄱ어미 앞) ㅁ)굶다가[굼따가] ㅂ)여덟[여 덜] 넓고[널꼬]/밟고[밥꼬] 밟는데[밤는데] 밟지[밥:지] 넓적하다 [넙쩌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어휘에 따라 임의적) ㅅ)물곬[물 꼴] ㅇ)핥고[할꼬] ㅈ)읊고[읍꼬] ㅊ)뚫네[뚤레]/곯고[골코] ㅋ)값 [갑] 없고[업꼬]
4) 중화 : 넓지[널찌],
5) 자음 뒤 ‘ㄹ’제약:’ㄹ’은 다른 자음 뒤에서는 실현 불가 백리[뱅니], 담력[담녁], 강릉[강능]
축약
1) 반모음화: 그리어[그려], 두어라[둬라]
2) 단모음화(간음화): 사이[새], 보이다[뵈다]
3) 격음화: ㄱ/ㄷ/ㅂ/ㅈ+ㅎ
탈락
1) ‘ㄹ’ 탈락: 사니, 사신다
부나비,여닫이,싸전,화살,마소 2) 단음화: 감다[감:따]![감으니]
신다[신:따]![신어라]
밟다[밥:따]![발피다]
첨가
1) ㄴ 첨가: 좀약[좀냑], 한여름[한녀름]
나뭇잎[나문닙], 물약[물략]
2) 경음화: 폐쇄음 뒤/ 유음과 비음 뒤 업고/갑부/짚불/안다/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