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R1228 박희준 -2001R1236 전휘동 -2001R1237 이호석 -2002R1235 임득수
생태산업단지 생태산업단지
(2 (2 조 조 ) )
* 생태산업단지의 정의 및 도입필요성 * 생태산업단지의 목적 및 개발유형
* 생태산업단지의 국내사례 및 해외사례 * 생태산업단지의 향후 추진 방향
목 차
생태 산업단지의 정의
생태 산업 단지 정의 생태 산업 단지 정의
▷ 경제적 효율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조 및 서 비스업체의 공동체
▷ 단일 부산물 교환 패턴이나 네트워크 , 재활용 기업체 , 환경기술회사 , 그린상품 제조업체 , 단일의 환경목적으로 설계된 산업단지 , 환경친 화적인 하부구조나 환경친화적으로 건설된 단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
▷ 경제적 효율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제조 및 서 비스업체의 공동체
▷ 단일 부산물 교환 패턴이나 네트워크 , 재활용 기업체 , 환경기술회사 ,
그린상품 제조업체 , 단일의 환경목적으로 설계된 산업단지 , 환경친
화적인 하부구조나 환경친화적으로 건설된 단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
기존산업단지와 생태산업단지의 비교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필요성과 개발주체
11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필요성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필요성
▷ ‘ 매우 필요하다’ (59.5%), ‘ 필요하다’ (40.5%) 로 도입 필요성이 절대적임 향후 산업단지 개발이나 정비에 있어 생태산업단지의 도입을 주요 이슈로 부각 시킬 필요가 있음
▷ 시민단체나 학계보다 기업체와 공무원이 향후 국내 산업단지 개발방식에 있어서 생태산업단지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함
▷ ‘ 매우 필요하다’ (59.5%), ‘ 필요하다’ (40.5%) 로 도입 필요성이 절대적임 향후 산업단지 개발이나 정비에 있어 생태산업단지의 도입을 주요 이슈로 부각 시킬 필요가 있음
▷ 시민단체나 학계보다 기업체와 공무원이 향후 국내 산업단지 개발방식에 있어서 생태산업단지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함
22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타당성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타당성
▷ ‘ 환경문제의 해결’ (73.0%), ‘ 새로운 지역경제활성화 수단’ (18.9%), ‘ 산업단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8.1%) 로 국내 산업단지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가장 시급 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지역경제활성화 수단으로 활용됨이 필요함
▷ 환경오염에 대한 대응목표를 분명하게 명시 ,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정책 목표의 명확성 등의 측면 고려 , 반면 생태산업단지의 도입이 미분양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없다고 나타난 점이 특징적임
▷ ‘ 환경문제의 해결’ (73.0%), ‘ 새로운 지역경제활성화 수단’ (18.9%), ‘ 산업단지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8.1%) 로 국내 산업단지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가장 시급 하게 해결함과 동시에 지역경제활성화 수단으로 활용됨이 필요함
▷ 환경오염에 대한 대응목표를 분명하게 명시 ,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정책 목표의 명확성 등의 측면 고려 , 반면 생태산업단지의 도입이 미분양문제의 해소에 기여할 수 없다고 나타난 점이 특징적임
생태산업단지의 도입 필요성과 개발주체
33
생태산업단지의 개발추진주체 생태산업단지의 개발추진주체
▷ 생태산업단지의 추진주체로서
• ‘ 중앙정부 ( 환경부 , 산업자원부 등 )’
• ‘ 지방정부 ( 관련 기초 지방자치단체 )’
• ‘ 공공기관 ( 토지공사 , 환경관리공단 등 )’
• ‘ 민간기업 ( 산업단지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기업 )’
• ‘ 부동산 개발업체 ( 산업단지 관련 민간 부동산업체 )’ -
아직까지 전문가들은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생태산업단지를 추진 할 만 한 여건이나 능력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인식됨
▷ 향후 국내 생태산업단지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 중앙 및 지방정부 - ‘ 개발추진주체’
• 공공기관과 관련기업 , 대학 및 연구기관 - ‘ 협력주체’
• 지역주민 , 시민단체 , 노동조합 , 지역정보센터 등은 - ‘ 지원주체’
전체적인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함
▷ 생태산업단지의 추진주체로서
• ‘ 중앙정부 ( 환경부 , 산업자원부 등 )’
• ‘ 지방정부 ( 관련 기초 지방자치단체 )’
• ‘ 공공기관 ( 토지공사 , 환경관리공단 등 )’
• ‘ 민간기업 ( 산업단지내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기업 )’
• ‘ 부동산 개발업체 ( 산업단지 관련 민간 부동산업체 )’ -
아직까지 전문가들은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생태산업단지를 추진 할 만 한 여건이나 능력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인식됨
▷ 향후 국내 생태산업단지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 중앙 및 지방정부 - ‘ 개발추진주체’
• 공공기관과 관련기업 , 대학 및 연구기관 - ‘ 협력주체’
• 지역주민 , 시민단체 , 노동조합 , 지역정보센터 등은 - ‘ 지원주체’
전체적인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함
22
정보네트워크의 적정 공간적 규모 정보네트워크의 적정 공간적 규모
생태산업단지 정보네트워크 구축 방안
11
정보화 구축의 주체 정보화 구축의 주체
▷ “ 민간 + 정부 주체” (90.5%) 로 가장 높음
개별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 물질정보가 현행 법체제상 완전히 공개되기 어렵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네트워크는 민간과 정부가 단일의 협의체를 구성 , 추진함
▷ “ 민간 + 정부 주체” (90.5%) 로 가장 높음
개별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 물질정보가 현행 법체제상 완전히 공개되기 어렵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네트워크는 민간과 정부가 단일의 협의체를 구성 , 추진함
▷ 권역별 정보네트워크의 구축 (42.9%), 단지별 정보네트워크 구축 (19.0%) 로 생태산업단지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화 구축은 수계 ( 水系 ) 나 행정구역 등에 기초한 권역별로 정보네 트워크를 우선적으로 구축하되 , 필요할 경우 전국적인 정보네트워크로 발전시킴
▷ 권역별 정보네트워크의 구축 (42.9%), 단지별 정보네트워크 구축 (19.0%) 로 생태산업단지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화 구축은 수계 ( 水系 ) 나 행정구역 등에 기초한 권역별로 정보네 트워크를 우선적으로 구축하되 , 필요할 경우 전국적인 정보네트워크로 발전시킴
33
정보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환경정보 정보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환경정보
▷ ‘ 배출물 자료’ (39.5%), ‘ 에너지자료’ 와 ‘환경오염자료’가 각각 18.4% 로 나타남
배출물 자료를 먼저구축하고 ,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이용자료와 환경오염자료 등으로 점 차 확대하되 , 효과적인 환경오염관리와 자원절약을 위해서는 각종 1 차물질은 물론 2 차 물질 까지를 포함하는 환경정보의 구축이 바람직함
▷ ‘ 배출물 자료’ (39.5%), ‘ 에너지자료’ 와 ‘환경오염자료’가 각각 18.4% 로 나타남
배출물 자료를 먼저구축하고 ,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이용자료와 환경오염자료 등으로 점 차 확대하되 , 효과적인 환경오염관리와 자원절약을 위해서는 각종 1 차물질은 물론 2 차 물질 까지를 포함하는 환경정보의 구축이 바람직함
11
생태 산업단지의 목적
목 적 목 적 ▷ 새로운 산업시스템으로서 생태산업단지 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 요한 개발전략과 정책방향을 도출
▷ 새로운 산업시스템으로서 생태산업단지 개발사업의 추진을 위해 필 요한 개발전략과 정책방향을 도출
문헌분석에 의한 생태산업단지에 대한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 정리 문헌분석에 의한 생태산업단지에 대한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 정리
22 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산업단지 추진에 필요한 개발전략 도출 선진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산업단지 추진에 필요한 개발전략 도출
33 전문가 의식조사를 통한 생태산업단지 추진을 위한 개발전략과 정책방향 제시 전문가 의식조사를 통한 생태산업단지 추진을 위한 개발전략과 정책방향 제시
생태산업단지의 추진 경위
생태산업단지 개발유형
EIP
의 개발유형
EIP 의 개발유형기존
산업단지의 재정비
기존
산업단지의
녹 색 지 대 재정비
(Green Field) 에 신규개발 녹 색 지 대 (Green Field)
에 신규개발
갈 색 지 대 (Brown Field)
의 재개발 갈 색 지 대 (Brown Field)
의 재개발
미개발지역의 신규개발 미개발지역의
신규개발 노후화되고
낙후된 단지의 재개발
노후화되고 낙후된 단지의
재개발
미개발지역의 신규개발
1 1 새로운 접근법을 적용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고도의 자유를 제공 새로운 접근법을 적용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고도의 자유를 제공 2 2 계획 및 설계에서 통제점이 상대적으로 잘 정의되고 쉽게 이해 계획 및 설계에서 통제점이 상대적으로 잘 정의되고 쉽게 이해
3 3 참여 기업들에게 상당한 정도의 혁신을 유발 참여 기업들에게 상당한 정도의 혁신을 유발
1 1 녹색지대의 보존이라는 사회적 , 시대적 요구와 상치 녹색지대의 보존이라는 사회적 , 시대적 요구와 상치
2 2 환경친화적이라는 명목하에 무분별한 녹색지대의 개발을 조장 환경친화적이라는 명목하에 무분별한 녹색지대의 개발을 조장
3 3 환경보호단체 및 시민단체 등에 의한 강력한 개발반대에 직면 환경보호단체 및 시민단체 등에 의한 강력한 개발반대에 직면 4 4 녹색지대의 개발이 활성화될 경우 , 갈색지대의 재개발이나 기
존 산업단지의 환경친화적 재정비를 위축시킬 가능성
녹색지대의 개발이 활성화될 경우 , 갈색지대의 재개발이나 기 존 산업단지의 환경친화적 재정비를 위축시킬 가능성
점 단 점 단
장 점
장 점
기존 산업단지의 재정비
1) 산업단지 환경문제를 광범위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 제공
2) 기업들의 태도와 환경관행은 혁신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소지 3) 심각해진 오염 상황과 이에 대한 부담은 선택을 제한하는 요인 4) 변화의 과정에서 통제점은 신규 산업단지에서보다 덜 명확
5) 산업단지에 관련된 법 및 제도가 재정비 혹은 재개발에는 경험 이 많지 않아서 재정비에 따르는 정책적 지원이 어려울 가능성
점 단 점 단
점 장
점 장 2) 기존 산업단지가 갖는 입지상의 이점 , 이미 형성된 기반시설 , 재 개발 ( 재정비 ) 에 따른 사회적 , 환경적 , 경제적 편익이 유발
1) 기존 산업단지 기업들의 기본결합 상태에서 높은 제한요인 존재
노후하고 낙후된 단지의 재개발
이전에 이용되거나 개발되지 않은 그리고 비록 부분적으로 점유되거나 이용되고 있을 지라도 현재로 완전히 이용되지는 않는 어떤 토지나 부지
이전에 이용되거나 개발되지 않은 그리고 비록 부분적으로 점유되거나 이용되고 있을 지라도 현재로 완전히 이용되지는 않는 어떤 토지나 부지
인위적 개입이 없이는 즉시 이용할 수 없는 지대 인위적 개입이 없이는 즉시 이용할 수 없는 지대
상대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음 상대적으로 많은 제한을 받고 있음
기존의 태도와 환경관행이 혁신을 방해할 수 도 있음 기존의 태도와 환경관행이 혁신을 방해할 수 도 있음
오염과 법적 책임성 문제가 선택의 폭을 제한함 오염과 법적 책임성 문제가 선택의 폭을 제한함
변화의 과정에서 통제점은 녹색지대보다 명확하게 정의되기 어려움 변화의 과정에서 통제점은 녹색지대보다 명확하게 정의되기 어려움
카운트보르그 산업단지의 성공적인 예가 있음 카운트보르그 산업단지의 성공적인 예가 있음
계획가들이 장소 , 건물 , 설계 , 기업혼합 등에 대한 통제력을 발휘하기 어려움 계획가들이 장소 , 건물 , 설계 , 기업혼합 등에 대한 통제력을 발휘하기 어려움
우리나라 생태산업단지의 예 ( 울산 )
• 국가 산업 및 경제 발전의 중추적 역할에도 불구 하고 환경에 대한 배려 부족으로 인해 ‘공해 1 번지’ 또는 ‘공해백화점’ 등의 오명 .
•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 Eco 사업단은 개별기업 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 부산물 , 폐열 등을 재 활용하여 수요기업의 원료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기업간 자원네트워 (Econetworking) 이 갖 추어진 생태산업단지 개념을 도입 .
• 울산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를 오염물 무배출 (Zero emission) 이 가능한 생태산업단지로 전 환되도록 노력 .
• 국가 산업 및 경제 발전의 중추적 역할에도 불구 하고 환경에 대한 배려 부족으로 인해 ‘공해 1 번지’ 또는 ‘공해백화점’ 등의 오명 .
• 한국산업단지공단 울산 Eco 사업단은 개별기업 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 부산물 , 폐열 등을 재 활용하여 수요기업의 원료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기업간 자원네트워 (Econetworking) 이 갖 추어진 생태산업단지 개념을 도입 .
• 울산미포 및 온산국가산업단지를 오염물 무배출 (Zero emission) 이 가능한 생태산업단지로 전 환되도록 노력 .
추진경위
추진과정
추진목적
생태산업단지 중요선진사례 대상지 개요
구
분 추진
사례 소재
지
면적
(acres )
주요산업 추진방향 추진형태 및 방법
북미 및 유 럽
칼룬 보르그
덴마크 코펜 하겐
-
<발전소 >
화력발전소 , 정유 공장 , 제약공장 등
- 물질교환 - 기존 산업단 지의 재정비
- 1972년부터 기업간 협력에 의한 자발적 물질교 환
(산업공생 ) 추진
번사 이드
캐나다 핼리 팍스
1200
< 제조업체 >
1300 여 개 의 제 조 업체와 재활용업체 , 폐기물처리업체
- 물질교환 - 기존 산업단 지의 재정비
- Côté 교수의 연구에 기초하여 핼리팩스 지방정부 가 추진
페어 필드
미국 발티 모어
130 0
< 석유화학 >
석유와 유기화학산 업 60 여개
- 지역경제활 성화
- 쇠퇴 단지의 재개발
- EPA 의 PCSD 및 XL 프로젝트의 시범지역 , Empowerment Zone 으로 지정
- 발트모아 경제개발기업 (Baltimore Development Corporation) 과 빌트모아市 경제기구에 의해 추 진 , 코넬대학의 WEI(Work and Environmental Initiative) 협력
케이프찰스
미국 버지
니아 570 <농공단지 >
농업 및 공업
- 지역경제활 성화
- 쇠퇴 단지의 재개발
- EPA 의 PCSD 및 버지니아 업무지구 (Virginia –
Enterprise Zone) 와 유엔의 생물종보존과 국가해 양환경보존위원회 (NOAA) 의 특별관리지구로 지 정
- 버지니아대학교 건축대학과 코넬대학교의 WEI (Work & Environment Initiative) 의 협력
생태산업단지 중요선진사례 대상지 개요
구
분 추진사례 소재지 면적
(acre s)
주요산업 추진방향 추진형태 및 방법
일본
코쿠보 단지
일본 야나나시
현
150
< 전자단지 >
- 전자제품 및 관련 부품 ( 파나소닉 , 후지쯔 , 파이오니 아 등 )
- 폐기물의 무 배출 (Zero-
Emission)
- 산업폐기물에 대한 재활용처리시설이 없기 때문에 폐기물 순환방식을 고려하는 생태산 업단지 추진
- 입주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협동조합
(Cooperative) 을 구성하여 추진하였으며 , 최근 지방정부 ( 야마나시현 )- 기업 ( 코쿠보 단
지 )- 학계 ( 야마나시대학 ) 로 이루어진 연합 체
로 발전
카와사키 市
일본 카와사키
현
250
<중공업 >
- 석유정유산업 , 철
강 , 발전소 , 화학
공장 등
- 지역경제 활성화 - 쇠퇴 단지의 재개발
- 카와사키市의 ‘카와사키시 환경조화프로젝 트 (Project for Making Kawasaki City - Environmentally Harmonious)‘ 추진 - 중앙정부 ( 구제통상산업부 ) 의 기술적 , 재정 적 지원
아시이 맥주회사
일본 이바라키
현
- <맥주산업 >
- 폐기물의 무 배출 (Zero- Emission)
- 기업체에서 폐기물 무배출 (Zero Emission) 개념을 달성하기 위한 종합적인 프로그램의 자발적인 추진
외국 생태산업단지의 예 ( 덴마크 )
1)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서쪽으로 1 백 30Km 떨어진 공업도시 칼룬드버그엔 생태산업단지 .
2) 5 개의 공장들은 각각 자동차로 5~10 분 정도 걸리는 거리씩 떨어져 있지만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 .
3) 아스네스 화력발전소는 스타토일 정유공장과 노보 노르디스크 제약회 사에 스팀을 제공 . 인근 4 천 3 백여 주민에게 난방열을 공급 .
4)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사용된 따뜻한 물은 송어 양식에 재활용 .
5) 5 개의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는 모두 9 개 분야에 걸쳐 재활용되며 ,
에너지는 6 개 분야에서 교환된다 . 또 폐기물은 6 개 분야에서 재활용 .
( 연간 1 천여 만 달러 절약 )
( 칼룬버그 생태산업단지의 모습 ) ( 칼룬버그 생태산업단지 흐름도 )
생태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조성
지역환경을 개발계획 고려한 지역환경을
개발계획 고려한
칼룬보르그 , 번사이드 ( 물질교환에 기초한 생태산업단지 형성에 초점 ) - 기존 생산공정의 변화나 적절한 신규업종의 유치
페어필드 , 케이프찰스 ( 지역경제활성화를 강조하면서 환경과 미적 기능의 강화 ) - 재활용을 통한 폐기물의 적절한 처리를 강조
일본 ( 폐기물의 무배출 (Zero Emmssion))
- 재활용과 산업공생을 통해 폐기물의 완전한 활용
칼룬보르그 , 번사이드 ( 물질교환에 기초한 생태산업단지 형성에 초점 ) - 기존 생산공정의 변화나 적절한 신규업종의 유치
페어필드 , 케이프찰스 ( 지역경제활성화를 강조하면서 환경과 미적 기능의 강화 ) - 재활용을 통한 폐기물의 적절한 처리를 강조
일본 ( 폐기물의 무배출 (Zero Emmssion))
- 재활용과 산업공생을 통해 폐기물의 완전한 활용
협력 및 지원체계
협력 및 지원체계
번사이드단지 ( 지방정부 ), 페어필드 ( 지방 + 중앙정부 ), 케이프찰스 ( 중앙 + 지방정부 ), 카와사키市 ( 에코타운프로젝트 ; 카와사키市 + 국제산업통상부 ) 는 지방 혹은 중앙정부 가 적극 나서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도모하고 지역사회 , 노동연합 등과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 하고 있음
- 정부의 강력한 환경규제정책이 산업공생이나 생태산업단지 개발여건 조성에 기여
번사이드단지 ( 지방정부 ), 페어필드 ( 지방 + 중앙정부 ), 케이프찰스 ( 중앙 + 지방정부 ), 카와사키市 ( 에코타운프로젝트 ; 카와사키市 + 국제산업통상부 ) 는 지방 혹은 중앙정부 가 적극 나서서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도모하고 지역사회 , 노동연합 등과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 하고 있음
- 정부의 강력한 환경규제정책이 산업공생이나 생태산업단지 개발여건 조성에 기여
물질순환 및 정보체계 물질순환 및 정보체계
물질 , 에너지 , 폐기물 , 부산물에 대한 정보화와 이들의 교환이용 및 재활용을 가능 하게 해주는 물질정보네트워크을 구축 필요가 있음
• 칼룬보르그 - 산업정보네트워크 (Industrial Data Bases & Information Network) • 번사이드 - 생태정보센터 (Eco-Efficiency Centre)
물질 , 에너지 , 폐기물 , 부산물에 대한 정보화와 이들의 교환이용 및 재활용을 가능 하게 해주는 물질정보네트워크을 구축 필요가 있음
• 칼룬보르그 - 산업정보네트워크 (Industrial Data Bases & Information Network) • 번사이드 - 생태정보센터 (Eco-Efficiency Centre)
생태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계획요소
구 분 세 부 항 목 계 획 요 소
지역환경을 고려한 개발계획 수립
주변환경을 고려한 입지 주변환경을 고려한 단지의 입지 환경친화적 건설전략 친환경적 건축기술활용
단지의 친환경적인 토지이용
협력 및 지원 체계구축
협력체계
기업간 협력체계
정부 / 지역사회 / 산업단지간의 협력체계 대학 등 전문가집단의 기술정보지원 협력체계
지원 및 규제
환경시설보조금 , 세금감면 등의 경제적 지원이나 인센티브 제공 법 , 감독규제 지침 등 중앙정부의 환경 관리
지방정부의 관리행정 지원 관련 법률 및 제도의 개선 노력
물질순환 및 정보체계 구축
투입 및 산출의 최소화 폐기물이나 부산물의 발생 최소화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한 입주업종의 결합 순환체계 구성
폐기물이나 부산물의 교환이용체계
교환이용을 위한 재활용처리업체 또는 폐기물교환터미널의 입지 폐기물 , 재활용 공동처리시설
정보네트워크 물질 정보 및 재처리 기술정보체계 구축 단지내 정보센터 유지
3
단계 추진목표
2단계 추진목표
1
단계 추진목표
생태산업단지의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주변환경을 고려한 단지의 입지
단지의 친환경적인 토지이용
폐기물이나 부산물의 발생 최소화
환경시설보조금 , 세금 감면 등의 경제적 지원 이나 인센티브 제공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한 입주업종의 결합
폐기물이나 부산물의 교환 이용체계
폐기물재활용 공동처리 시설
정부 지역사회 산업단지∙ ∙ 간의 협력체계
관련 법률 및 제도의 개선 노력
친환경적 건축기술활용
교환이용을 위한 재활용처리 업체 또는 폐기물교환터미널 의 입지
물질 정보 및 재처리 기술정보 체계의 구축
단지내 정보센터 유지
기업간 협력체계
대학 등 전문가집단의 기술정보 지원 협력체계
법적 행정적 규제 등 중앙정부 의 환경 관리
지방정부의 관리행정 지원
註 ) 1 단계 추진목표는 표준화점수가 +1.0 이상인 항목을 , 2 단계 추진목표는 0.0-1.0 인 항목을 , 3 단계 추진목표는 0.0 이하인 항 목이 해당됨 .
생태산업단지의 향후 발전방향
본 연구에서는 생태산업단지 개발기법의 도입에 앞서 생태산업단지의 개
념 , 구성요소 , 개발 선진사례의 분석과 전문가 의식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생태산업단지 개발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
본 연구에서는 생태산업단지 개발기법의 도입에 앞서 생태산업단지의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