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외국의기업도시개발사례와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4 외국의기업도시개발사례와시사점"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

머리말

기업도시(company town)란‘상업, 교육, 병원, 주거 등 주민들의 경제활동을 특 정 기업에 의존하는 도시1)를 말한다. 일종의 기업이 지배하는 도시를 기업도시라 고 할 수 있다. 실제 일본의 학자들은 기업도시를‘단일 혹은 소수의 거대독점체 제가 지역경제에 압도적 혹은 독점적인 지위(영향력)를 차지하며, 더욱이 그 지역 사회나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지배력을 갖고 있는 중 소도시2)’로 규정하고 있다.

기업도시는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국에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학자에 따라 다 양한 의미로 정의되고 있다. 갈란타이(Ervin Y. Galantay)는 기업도시에 대해‘사 회 변혁기(New Towns arises)’에 만들어진 도시 커뮤니티의 한 형태라고 말하였 으며, 골애니(Gideon Golany)는‘다양한 정주형태’가운데 하나로‘기업이라는 개발업자(company developer)에 의해 기업활동과 경제(company’

s activities and economy)를 위해 개발한 커뮤니티’

라고 정의3)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도시란 생산과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기업 주도로 개 발된 도시로서, 산업시설은 물론 종사자의 정주에 필요한 주택∙교육∙의료∙문

외국의 기업도시 개발사례와 시사점

장철순|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4

1)조명래. 2004. “기업도시, 성장의 기반인가, 재벌공화국인가”. 「경실련 정책위원회 간담회 발표문」

2)염미경. 2002. 「일본의 철강도시」. 서울: 경인문화사

3)김현아. 2003∙9. “주택가격 안정과 지방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Company City) 건설 방안”. 전국경제인연 합회

(2)

4

화 등 자족적 복합기능을 가진 도시(지구)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민간이 개발하는 복합도시(지구)라는 개념에 따라 외국의 기업도 시 사례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첫째, 미개발지에 대규모 공장이 입지 하면서 주변에 주거, 레저, 교육 등의 시설을 갖추어 복합도시(지구)를 형성한 사 례(미국의 Litchfield Park, 영국의 Port Sunlight), 둘째, 민간개발자(Developer)가 생산∙주거 등을 갖춘 복합단지 형태로 계획적으로 개발한 사례(일본 이즈미 파 크, 중국의 쑤저우공단, 미국의 어바인시), 셋째, 기존 도시에 대규모 기업이 입지 하여 특정 기업도시화한 사례(일본 도요타시)다.

주요 해외사례

1. 대규모 공장 건설 후 복합개발한 사례(선 공장, 후 도시개발)

1) 미국 리치필드 파크

애리조나(Arizona)주의 리치필드 파크(City of Litchfield Park)는 계획적으로 조성 된 주거 중심의 기업도시로, 피닉스(Phoenix)와는 서쪽으로 16마일 정도 떨어져 있으며, 10번 고속도로를 통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리치필드 파크는 1916년 굳이어타이어사(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에 의하여 농업관련 기업도시로 출발하였다. 굳이어타이어사는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타이어재료인 목화를 수입하기 어려워지자 직접 목화를 재배하기로 하고 리치필드 파크에 땅을 구입해 재배를 시작하였다. 이때 농장에 근무하는 근로자와 임직원들을 위한 주거시설을 공급하기 위해 농장 주변에 주 택, 학교, 교회 등을 건설하였다. 리치필드 파크는 굳이어타이어사의 사장이었던 폴 리치필드(Paul Litchfield)의 이름을 딴 도시로서, 굳이어 농장의 본사가 입지하 고 있다. 1931년부터 1944년까지 이곳에는 굳이어 자동차, 트럭, 트랙터의 타이 어 시험장이 자리잡고 있기도 하였다.

1960년대부터는 계획적인 기업도시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966년 로스앤젤

레스의 벡터 그루엔(Victor Gruen)사가 개발계획을 수립하면서 농업 중심의 기업 도시에서 현대적인 신도시(New Town)로 탈바꿈하였다. 이 신도시는 굳이어사 가족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1986년 선코르개발회 사(SunCor Development Company)가 굳이어 농장을 인수하면서 1987년에 일반 시로 합병되었다.

4

(3)

현재 리치필드 파크의 주요 시설로는 1918년 굳이어타이어사의 간부들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총 9.2만 평 규모의 위그암 리 조트(Wigwam Resort)가 있으며, 티에라 버디 (Tierra Verde) 비즈니스 파크는 지역의 중심지 로서 쇼핑센터와 서비스 산업체가 입지하고 있 다. 또한 현재까지도 주거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추가적인 개발 또한 계획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 공도서관, 수영장, 3개의 골프장, 야구장과 축구 장을 갖춘 6개의 공원 등 공공시설과 2개의 초등 학교, 1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등의 교육시설 을 갖추고 있다.

굳이어 농장의 근로자와 관리자들을 위한 주 거지로 개발되었던 리치필드 파크는 현재 1,500 세대, 인구 3,900여 명의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애리조나주에서 가장 매력적인 도시의 하나가 되었다.

2) 영국 포트 선라이트

1884년 레버(William Hesketh Lever)는 비누공

장을 세우면서 상표를 선라이트(Sunlight)4)라고 명명하였다. 비누판매가 증가하면서 추가적인 공장건설이 불가피하게 되자 새로운 공장을 위

리얼(Wirral)의 브롬브로그 폴(Brombrough

Poll) 지역에 건설하였다. 당시 레버의 비전은 단

순히 공장만을 짓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들을 위 한 주택도 세우는 것이었다. 1889년부터 새로운 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면서 공장 주변에 노동 자들을 위한 주택을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에는 독신자 여성을 위한 주택5)을 지었으나,

1890년 들어 본격적으로 노동자들을 위한 주택

을 건설하면서 도시이름을 포트 선라이트(Port

Sunlight)라고 하였다. 주택과 공장이 건설된 곳

은 주로 머세이(Mersey)강과 철로 사이로서 당 시 이 땅은 농사짓기에 부적합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1에이커당 200파운드)하였으며, 또한 머세 이강을 통하여 서부 아프리카의 농장에서 팜유 를 수입하고 철로를 이용하여 최종 상품을 소비 지까지 운송하는 등 편리한 교통요충지였다.

포트 선라이트는 직주근접을 실현하기 위해 개발된 가든빌리지(Garden Village)로서 30여 명의 건축가들이 참여하여 주택을 각 지역별 특 색을 갖출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또한 주택 사이에는 넓은 녹지가 있고, 주택 내부는 인도어 시설과 두 개의 침실(Two Bed Room)을 갖춘 최 고급 양식을 갖췄다.

4) 1885년 James and William Hesketh Lever(Lever형제)가 만든 Sunlight 비누는 1930년에 네덜란드의 Margarine Union사와 합작하면서

Unilever가 되었으며 현재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로 자리잡고 있음

5)현재 이 건물은 마을의 유물전시실로 이용되고 있음

리치필드 파크 3,303 3,810 3,870

마리코파 카운티 2,122,101 3,072,149 3,396,875 애리조나주 3,665,228 5,130,632 5,629,870

(4)

4

4

6)센다이시는 미야기현(官城縣)의 현청으로 인구는 약 90만 명(2000년) 임

처음에 40여 채로 시작한 주택이 1900년에는 400여 채로 늘어났으며, 1930년 대에는 현재의 규모인 15만 9천 평(130에이커)의 땅에 800채의 주택을 지어 4천 여 명이 거주하는 주거단지로 확대되었다. 주택 이외에도 2개의 학교, 도서관, 박 물관, 쇼핑센터, 수영장, 직업훈련소, 전시장 등을 갖추고 있다. 현재에도 건물의 대부분이 우체국, 박물관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등 산업건축 역사상 중요한 지역 이다.

2. 계획적 복합단지 개발사례

1) 일본 이즈미 파크타운(泉 park town)

센다이시(仙台市)는 1962년 신산업도시로 지정되면서 급격하게 성장하여 동북 (東北)지방의 거점이 되었다. 센다이시를 중심으로 센다이도시권이 형성되면서 주변의 각 시정촌은 주택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주택단지 등을 건설하였다. 이러 한 대규모 주택단지 중의 하나로 센다이시 북쪽에 인접하고 있는 이즈미시(泉市,

1987년에 센다이시로 합병)에 이즈미 파크타운이 건설되었다.

이즈미 파크타운은 센다이시6)중심에서 북쪽으로 약 8km 지점, 센다이 중앙역 에서부터 지하철로 약 12분, 버스로 약 20분 거리의 구릉지에 입지하고 있다. 이 즈미 파크타운의 조성목적은 주거, 직장, 휴식의 복합적 기능을 겸비한 민간 최대 규모의 주거중심 복합신도시로, 민간기업인 미쯔비시지쇼주식회사(三菱地所株 式會社)가 개발주체가 되어 계획∙개발∙분양의 모든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1968년 용지매수에 착수하여 1971년에 제1분기의 개발허가를 취득하고 같은 해

에 착공하였다.

이즈미 파크타운의 개발방식은 전매매수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착수 후 2 년 이내에 토지매수가 완료되었으며, 토지매수 작업과 동시에 마스터플랜 작성을 진행하였다. 1973년에는 센다이시와 개발업자가 기존의 호수나 구릉지 등의 지형 을 녹지로 보전하기 위하여‘자연환경보전협정서’를 체결하여 구역별 면적의

20%

이상, 전체 면적의 30% 이상을 녹지지역으로 보전하도록 하였다. 이를 준수 하기 위하여 개발행위 신청시마다 구역별 녹지비율과 전체 녹지비율을 체크하고 있다.

이즈미 파크타운은 동서 약 6km, 남북 2km로 구역면적은 약 323만 7천 평

(5)

(1,070ha)이며, 이 중 70%인 224만 7천 평이 주 택단지, 약 46만 3천 평이 공업유통단지, 그외에 골프장과 스포츠공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 속도로 IC에 인접한 북측에 산업단지를 배치하 고, 센다이시와 가까우며 전철이용이 편리한 남 측에는 주거단지를, 단지 중심에는 상업기능의 타운센터를 배치하였다. 주거단지와 산업단지 사이에는 골프장 등의 스포츠레크리에이션단지 를 배치하여 쾌적한 주거공간을 확보하였다.

주택단지는 계획호수 1만 3,700호, 계획인구

5만 명으로 전체 주거지구를 6개로 구분하여 순

차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4개의 주 거지구 개발이 완료되었고, 나머지 2개 지구가 개발되고 있거나 개발계획을 수립중이다.

주거지구는 1970년대부터 1주구에서 6주구 까지 순차적으로 개발중이며, 직주근접을 목표 로 하였으나 산단 근로자의 5% 정도만 주거단지 에 거주하고 나머지는 센다이 시내 직장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공업유통단지는 무공해산업을 유치하여 인근 주택단지와 조화를 도모하고 있 다. 기업유치는 제1기에서 제3기까지는 자유응 모 형태로 업종에 제약은 없었으나 제4기부터는

연구시설의 도입을 유도하고 있다.

센다이시의 이즈미 파크타운은 30년에 걸쳐 민간개발자에 의한 계획∙개발∙분양 등이 이루 어지고, 주거∙상업∙생산∙연구∙스포츠 등의 자족적 복합단지로 개발하고 있다.

2) 중국 쑤저우공단(Suzhou Industrial Park) 쑤저우(蘇州)는 기원전 6세기 무렵 춘추시대에 오나라가 수도로 정한 이래 2,500년이나 내려온 고도(古都)다. 쑤저우는 물의 도시로서 장강(長 江)이 흘러들어 도시 전체에 운하가 거미줄처럼 얽혀 있으며, 대부분의 교통수단을 배로 이용할 정도다.

쑤저우는 상하이에서 100km 거리에 있으며 고속도로나 열차로는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쑤 저우는 1994년부터 중국 - 싱가포르 합작사업의 일환으로 쑤저우공단(蘇州工業園區)을 건설하 면서 역동적인 현대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쑤저우공단은 1992년 12월 덩샤오핑이 싱가 포르의 주룽시를 방문하여 주룽시와 유사한 신 도시를 중국에 건설하고 싶다는 유치의사를 표 시한 후 본격적으로 개발이 추진되었다. 1994년

주거지구 2,247 69.4

∙계획호수 : 13,700호

∙계획인구 : 50,000명

∙교육시설 : 초∙중∙고교

공업유통지구 463 14.3 ∙전기, 전자, 통신기업

∙제한업종은 없음

레저지구 454 14.0 ∙야구장 , 다목적 운동장

∙골프장(18홀), 테니스장 등

중심지구 73 2.3 ∙중앙센터 1개소

∙상업시설, 공공시설 등

합계 3,237 100.0

(6)

4

4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합계

산업용지 919(20.2) 908(18.9) 4,584(42.5) 6,411(31.7)

상업용지 166(3.7) 81(1.7) 141(1.3) 388(1.9)

주거용지 1,032(22.7) 1,868(38.4) 1,813(16.8) 4,713(23.3)

공공시설 78(1.7) 310(6.2) 372(3.4) 760(3.7)

기반시설 623(13.7) 859(17.6) 2,275(21.2) 3,757(18.6)

창고시설 33(0.7) 43(0.8) 415(3.9) 491(2.5)

녹지 560(12.3) 651(13.3) 938(8.7) 2,149(10.6)

수역 97(2.2) 152(3.1) 256(2.4) 505(2.6)

골프장/유원지 1,037(22.8) - - 1,037(5.1) 합계 4,545(100.0) 4,872(100.0) 10,794(100.0) 20,211(100.0)

<표 3> 쑤저우공단의 토지이용계획

(단위: 천 평, %)

2월 26일 중국의 리란칭 부총리와 싱가포르의 리광요 수상이 중국과 싱가포르를

대표하여 베이징에서 쑤저우공단 건설에 대한 합의서를 체결하고 그해 5월 12일 개발에 착공하였다.

쑤저우공단은 개발면적이 개성공단(65.8km2)과 비슷한 규모인 68km2이며 예 상고용인구는 30만 명(소주시 인구 100만 명)으로 싱가포르의 개발과 관리기법을 도입하여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공단과 현대화된 주거 및 자연환경을 갖춘 신 도시를 건설할 계획이다. 사업시행은 싱가포르기업단과 중국국영기업단간 합작 기업을 설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총 200억 달러의 사업자금 가운데 싱가포르가

65%, 중국이 35%를 공동출자하였다. 싱가포르가 개발, 마케팅, 그리고 적극적인

외자유치를 추진하고, 중국은 행정관리를 뒷받침하는 등 쑤저우공단은 싱가포르 와 중국의 공동개발방식을 취하고 있다.

쑤저우공단의 토지이용계획은 전체 면적 2천여 만 평 중 31.7%가 외국기업 등 을 유치하기 위한 산업용지로, 23%는 주거용지로 개발하는데, 전체 면적을 3단계 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재 1단계 사업(450만 평)을 마무리하였 으며, 상수도, 교량, 가스관 등 기반시설은 3단계 사업까지 완료되었다. 지금까지 북미, 유럽, 일본,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홍콩 등 세계 500대 기업 중 50개를 포함한 1,300여 개의 외국인투자기업, 6,500여 개의 중국기업을 유치하였으며, 계약된 외자금액은 150억 달러이고, 중국 내 투자도 300억 원(元)을 유치하였다.

3) 미국 어바인 랜치(The Irvine Ranch)시

로스앤젤레스시 남쪽 53km 지점에 위치한 어바인 랜치시는 주거∙산업∙환경 등

(7)

역사는 1868년 제임스 어바인(James Irvine) 가 문이 이 지역에 대규모 토지를 매입하면서 시작 되었다. 당시 이 지역은 거대한 황무지로 관개를 하지 않고는 풀이 자라지 않는 버려진 땅이었다.

1893년 제임스 어바인의 아들인 어바인 2세(J.

Irvine, Jr.)가 신농업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농장

을 경영하기 위해 어바인 컴퍼니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상당 기간동안 이 땅은 농장과 목초지로 개간되었다. 한편 1950년대 로스앤젤레스의 교 외화가 진전되면서 시의 외곽인 오렌지카운티 지역에도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도시화의 확산 에 따라 제임스 어바인의 손자인 미포드 (Myford)는 어바인의 일부를 도시로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도시의 확장으로 대규모 개발여건 이 형성되면서 어바인 컴퍼니는 토지개발 방식 에 대해 고민을 하였다. 토지수요자들이나 도시 개발업자들에게 토지를 부분적으로 매각할 것인 지, 아니면 종합적으로 개발하여 분양할 것인지 를 결정해야 할 상황이었다. 이때 캘리포니아 대 학이 이곳에 분교 건설을 제안해오자 종합적으 로 개발하여 분양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당시 설계한 신도시 계획은 1963년 Time지의 표지를 장식하 였다. 어바인시는 크게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되 어 각각 특색 있게 개발하고 있다. 어바인시 북 부(로스앤젤레스에 근접하고 있는 어바인 분교 와 가까운 곳)의 어바인 비즈니스 콤플렉스와 북 서부의 유니버시티 리서치파크 지역인 Coastal

Sector(4,270만 평)가 먼저 개발되었으며, 어바

인시 남부지역에 위치한 어바인 스펙트럼의

Valley Sector(2,692만 8천 평)는 어바인시의 중

심지역으로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동부지역의 Mountain Sector(4,039만 2천 평)는 자연녹지 등으로 구성된 미개발 유보지다. 어바 인시 도시개발 규모는 총 1억 1,300만 평으로 이 중 주거가 67.4%, 산업 7.9%, 공원 및 녹지

11.2%로 개발되고 있다. 인구 5만 명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어바인시의 개발목표는 모든 주민이 즐겁게 삶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7개의 대형공 원과 80여 개의 소형공원을 갖춘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건설이다. 어바인 컴퍼니가 전체 면적

구분 계획상 면적(만 평) 점유율(%)

주거지구 7,600 67.4

상업지구 530 4.7

산업지구 890 7.9

업무∙교육지구 430 3.8

공원 및 녹지지구 1,290 11.2

순환 및 시설지구 565 5.0

합계 11,305 100.0

<표 4> 어바인 랜치시의 토지이용계획

(8)

4

4

의 70%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 중 50%만 개발중이고 나머지는 자연상태로 보존 되었다. 어바인시의 도시개발은 마스터플랜에 따라 진행되고 있으며 일반주택, 상 가, 주차장, 가로등의 색상까지 시조례로 통제하고 있다.

어바인시는 어바인컴퍼니가 개발하면서 토지를 분양하지 않고 개발된 주택이 나 상가 등을 분양함으로써 주택매매는 가능하나 토지소유는 불가능하며, 1971년 주민투표에 의해 시로 승격(The City of Irvine)되었다.

3. 특정기업을 위한 기업도시 사례: 일본 도요타(豊田)시

도요타시의 원래 지명은 고로모정(拳母町)이었다. 도요타의 창업자인 도요타 사 키치(豊田佐吉)는 이곳에서 도요타자동직기 공장을 운영하였으며, 그의 아들인 도요타 기이치로(豊田喜郞)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자동직기 특허권을 영국업체 에 양도하고 100만 엔을 받아 자동차공장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기이치로가 주변 의 땅을 물색한 끝에 선택한 곳은 고로모정이었다. 고로모정은 황무지가 많아 토 지와 노동력이 싸고, 바다와 떨어져 있어 소금 바람의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당 시만 해도 제철기술이 미미해 자동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금의 피해를 막 는 것이 급선무였다. 또한 고로모는 철로와도 가까웠다. 기이치로는 고로모 정장 (町長)에게 평당 20전씩, 6만 평의 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매입단가는 평당 30전에 달해 고로모정은 대신 세제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차액을 보전하였다.

1937년 11월 3일 도요타자동차회사가 설립되었고 1938년에 고로모정에 도요

타자동차 공장이 건립되었다. 도요타자동차 공장이 들어서자 1만 4천 명에 불과 하던 고로모정의 인구는 곧바로 2만 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전쟁을 계기로 트 럭수요가 크게 늘어나 공장을 증설하면서 고로모정도 발전해 1951년에는 고로모 시로 승격되었다. 도요타가 세계적인 자동차회사로 성장하면서 1959년 고로모시 는 도요타의 성공을 기념하여 이름까지‘도요타시’로 바꾸었다.

도요타시에는 일본 제1의 자동차회사인 도요타사의 본사와 자동차생산 공장

12개 중 절반이 넘는 7개 공장이 시내에 자리잡고 있다. 도요타가 들어서기 전 5

만여 명에 머물던 인구는 자동차부품공장 등이 들어서면서 최근엔 35만 명(2002 년말)으로 늘어났다. 도요타시 주변에는 자동차부품 등 관련 기업만 무려 4만 9천 여 개에 달한다. 도요타 자동차의 종사자수는 3만 5천 명으로 도요타 시민의 10%

를 차지하며 가족까지 합치면 24%나 된다. 협력업체 근로자를 포함하면 더 많다.

도요타시의 피고용자는 두 사람에 한 명 꼴로 자동차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9)

이 중 29.6%인 287억 엔을 도요타자동차가 납부 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는 1981년 도요타대학,

1987년에는 체육관, 병원을 설립해 직접 운영하

고 있으며, 이들 시설은 일반인에게도 개방하고 있다.

도요타시는 자동차회사의 성공으로 인구와 기업체가 증가하면서 도시가 성장하였으며, 풍 부한 재정을 바탕으로 체육∙문화∙복지 등의 주민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외국 기업도시(Company Town) 개발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1. 외국 기업도시 개발의 특징

이 글에서 살펴본 외국의 다양한 기업도시 사례 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 발주체는 기본적으로 민간이 개발하지만 해당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계획∙개발∙분양 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의 기업도시는 특정 기 업이 자체 생산시설을 개발하면서 수요에 따라 지원시설 등을 건설하지만 단지 형태나 도시 형

둘째, 기업도시의 개발과정을 살펴보면, 초기 기업도시 형태에서는 해당 공장이 필요에 따라 해당 기업의 근로자들을 위한 주거∙교육∙의료 시설 등을 자연발생적(약간의 계획적)으로 건립 하지만 대부분의 기업도시들은 주거∙생산∙복 지 등의 시설들을 사전계획에 의해 복합단지로 개발하고 있다.

셋째, 개발형태를 살펴보면, 기존 공장이나 기 존 도시를 이용하여 기업의 필요에 따라 개발하 기도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신도시나 단지형태로 개발하기도 한다.

넷째, 입지유형은 지구형(리치필드 파크, 포 트 선라이트)과 단지형(이즈미 파크, 쑤저우공 단)이 있으며, 어바인시와 같이 민간이 대규모 도시를 직접 개발하기도 한다.

2. 외국 기업도시 개발의 정책적 시사점

외국의 기업도시 개발사례를 통해서 다음과 같 은 몇 가지 기업도시 건설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토지투기를 방지하면서 대규모 토지확

구분 개발특성 개발주체 발생과정 개발형태 입지유형

리치필드 파크 자생적 기업도시

해당 공장 자연발생적 기존공장 활용형 지구형

포트 선라이트 해당 공장 자연발생적 기존공장 활용형 지구형

이즈미파크

계획적 기업도시

민간개발자 계획적 신개발형 단지형

쑤저우공단 민간 + 중앙정부 계획적 신개발형 단지형

어바인시티 민간개발자 계획적 신개발형 신도시형

도요타시 특정대기업 기업도시

지방정부

+대기업 자연발생적 기존도시 활용형 도시형

<표 5> 외국 기업도시 개발의 특징

(10)

4

4

참고문헌

김현아. 2003∙9. “주택가격 안정과 지방균형발전을 위한 기업도시(Company City) 건설 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염미경. 2002. 「일본의 철강도시」. 서울: 경인문화사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6∙15. “바람직한 기업도시 건설방안”.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정책포럼」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5. 「기업도시건설을 위한 기업과 지자체의 협력모델 방안」

조명래. 2004. “기업도시, 성장의 기반인가, 재벌공화국인가”. 「경실련 정책위원회 간담회 발표문」

문화일보. 2004∙7∙29. 세계 기업도시를 가다 蘇州工業園區. 2004. 쑤저우공업원구 투자안내 http://www.ci.irvine.ca.us/

http://www.litchfield-park.org/

http://www.portsunlightvillage.com/

보가 용이하여야 한다. 외국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업도시는 대규모의 부 지를 몇 십 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기업도시가 안정적으로 개발되 기 위해서는 대규모 부지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이 를 위해서는 우선, 대규모 토지를 일시에 매입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초기 비용 이 많이 소요된다. 개발계획 수립과 동시에 해당 지역을 개발구역으로 지정하여 규제를 가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는 토지소유자들의 재산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 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원활한 개발이 가능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기능간 연계개발이 동시에 시행되어야 한다. 기업도시는 산업단지를 개 발하면서 이에 종사하는 임직원들을 위한 주거∙교육∙의료시설 등의 지원시설 을 제공하는 데 본래의 목적이 있다. 그런데 개발계획을 발표하고 주거단지만 개 발할 경우 일반적인 주택개발에 그치는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따라 서 산업단지와 주거단지를 연계시켜 동시에 개발하여야만 진정한 의미의 종합적 이고 체계적인 기업도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지방으로의 기업이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시설의 건설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외국의 기업도시들은 개발자가 계획∙개발∙분양을 일괄적 으로 추진하면서 교육, 의료, 주거 등의 생활관련 시설을 완벽하게 구비하고 있 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교육, 의료, 문화시설 등의 부족이었다. 따라서 근로자들이 마음놓고 일할 수 있도록 자 녀교육과 관련한 우수한 교육시설과 완벽한 의료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각종 제 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국토의 균형발전과 기업의 투자의욕 활성화를 유도 하기 위한 기업도시가 개발되기 위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한국형 기업도시 개발방식과 유형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