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41, No.4, December 2014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류영철 (가톨릭대학교 입학처 입학사정관)

(2)
(3)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

Young-chul Ryu**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Received 30 October 2014; Revised 10 December 2014; Accepted 15 December 2014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competencies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to identify the required performance levels needed to select future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This model is also needed for use withi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evaluations for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a draft of 5 competency groups and a competency model with 19 competencies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interviews and open surveys. 58 competencies were derived from these activities and examined by an internal expert. Second, a draft comprised of 19 competencies was confirmed by subjecting it to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method. Third, a survey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was conducted. Lastly, the final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putting it through the second round of the Delphi method with an external efficiency expert.

This study produced several results. First, the study produced a competence model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composed of the following 3 competency categories: knowledge of theory, job execution, and attitude qualifications; and the following 12 competency elements: counseling skills, examination skills, guidance skills, program planning skills, program management skills, work administration handling skills, network skills, teaching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personal management skills, lifelong educ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Second, 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average of the required levels for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was 4.91 points a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s average was 3.93, demonstrating that on average performances are lower than the required levels. Third, the required levels and the performance lev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competence model grid which revealed that the skill most in demand was the counseling (empathy) skill. And finally, analysis showed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required and performance levels according to school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formation skills of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between the information skills and the network skills among high school types.

Keywords: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Competency model

* This article is the summarized doctoral dissertation of Young-chul Ryu (2014).

(4)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

류영철 (가톨릭대학교 입학처 입학사정관)**

■ 요 약 ■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을 개발하고, 현장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여 추후 진로진학 상담교사의 선발, (재)교육, 평가에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다음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 진로진학상담교사 면접, 개방형 설문을 이용하여 58개의 역량을 도출하고 내부 전문가 검 토를 거쳐 5개 역량군, 19개 역량을 초안으로 개발했다. 둘째, 역량모형 초안을 델파이 1차 내용 타당화를 이용 해, 역량모형은 5개 역량군, 19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델파이를 이용해 개발된 역량모형을 진로진학상 담교사들을 대상으로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했다. 넷째, 델파이를 이용해 개발된 역 량모형을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활용한 2차 내용 타당화와 외부 전문가의 평가를 활용하 여 최종 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은 이론지식, 직무수 행, 태도자질의 3개의 역량범주와 상담역량, 검사역량, 지도역량, 프로그램 기획역량, 프로그램 운영역량, 행정 업무처리역량, 네트워크역량, 강의역량, 정보처리역량, 개인관리역량, 평생학습역량, 커뮤니케이션역량의 12개 역량요소로 구성되었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필요수준은 평균 4.91점, 수행수준은 평균 3.93점으로, 필요수준이 수행수준에 비해 높았다. 셋째, 역량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분석은 역량모형 격자도를 활용했다.

필요수준은 높으나 수행수준은 낮아서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역량은 상담역량(공감역량)으로 나타났다. 다 섯째, 고교와 중학교, 고교유형에 따른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했다. 고교와 중학교는 정보처리역량 에서, 고교유형에 따른 차이는 정보처리역량, 네트워크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제어: 진로교육,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 이 글은 류영철(2014)의 박사학위논문을 재정리한 것임.

** 교신저자. 주소: (420-743)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지봉로 43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

E-mail: ksun072@naver.com;

(5)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로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교육당국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제 학교현장에는 진로교육을 전담 할 수 있는 전문가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전부터 진로를 담당하는 보직교사로서 진로상담부장이 있었으나 그 실질적 업무가 학년부장이나 타 행정부서와 중복되다보니 일선학교에서는 직무 중심의 진 로상담부장 역할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경력이 많은 교사에 대한 배려, 보직교사 중에 서 비교적 업무 부담을 줄여줄 목적으로 진로상담부장을 보직교사로 임명하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학 교현장에서 전문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이종범 외, 2010).

진학지도가 개인 및 소수의 정보나 노하우 차원을 벗어나 ‘진로진학상담교사 자격증’의 신설을 통해

‘공교육제도로의 흡수’라는 측면에서 진학지도는 제도권으로 들어오게 되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교육부는 2010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계획을 발표하고, 2011년 3월 교원자격검정령시행규 칙 개정을 통해 중등학교 교원자격에 ‘진로진학상담’을 신설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그러나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인식 및 실태 (김희대, 2013)연구가 중심이다. 그러나 인식과 실태연구는 현황분석위주의 연구로 행동적인 변화를 위 한 실질적인 결과도출에는 미약하다. 그러므로 신설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역할 과 직무기대를 명확하게 뒷받침 해줄 역량모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역량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여 수준간 차이를 통해 수행수준의 제고를 높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고등학교 유형별로 필요한 역량과 수행하는 역량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을 개발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과 직무,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의 필요 수준과 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특히 학교급별, 고교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여 추후 모형의 정교화, 고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셋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을 통해 추후 진로진학상담 교사의 선발, (재)교육, 연수, 평가에 활용하는 것이다.

2. 연구문제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군과 역량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역량모형(역량군, 요소의 집합)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학교급별, 고교유형별 역량모형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6)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교육과학기술부(2011)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을 단위학교의 진로지도를 총괄하는 것을 주요한 역할로 규정했다. 교육과학기술부(2011), 이종범 외(2010)와 인천광역시교육청(2011)의 진로진학상담교 사 배치 및 운영지침에 따르면 10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은 첫째, 학교의 진 로・진학교육을 총괄하는 것이다. 둘째, 진로진학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이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수 업이다. 만약 ‘진로와 직업’과목의 미 개설 시에는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지도(주당 10시간 이내) 이다. 넷째, 진로 진학관련 학생 상담(주당 평균 8시간 이상)이다. 다섯째,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활동 운영계획 수립 및 진로관련 에듀팟 관리이다. 여섯째,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및 상담이다. 일곱째, 자기 주도적 학습(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부종합전형(舊, 입학사정관전형) 지원이다. 여덟째, 외부 전문 인 력 활용 및 감독이다. 아홉째, 교내외 진로교육 관련 각종 체험 활동 기획・운영 및 네트워크 구축이다.

열 번째, 기타 진로 진학관련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전체적인 업무 비율은 진로(40%), 진학(40%), 상 담(20%)을 수행하되, 상담 업무의 경우 전문적인 진학상담은 진학지도부(3학년부) 또는 담임교사와 연 계하며, 학생의 진로・진학문제에 대한 보충 및 심화상담에 집중하여야 한다.

2. 역량과 역량모형의 개발

역량의 특성을 요약한 이홍민(2009)의 정리를 살펴보면, 역량은 첫째, 업무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능력은 일반적으로 지식, 기술, 지능, 성격특성 등으로 생각하지만, 역량은 직무수행 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행동특성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한 행동을 뒷받침하고 있 는 것이 전문지식과 기술이며, 역량은 그 사람의 요구와 근본적인 사고방식이 결합되어 발휘된 구체적 인 행동을 의미한다. 둘째, 조직의 변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역량은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조직에서 최 근 또는 미래에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중요성이 감소되고 있는 능력을 규명하여 배제시킴으로써 조직 의 경쟁력을 확보한다. 셋째, 개인의 역량은 2가지 요인, 즉 조직이 제시하는 성과기준과 직무수행 환경 에 따라 달라진다. 성과기준에 의해 탁월한 성과자가 규정될 수 있고, 상사와의 관계, 권한위양 정도, 팀 구성원의 팀워크와 정보공유 정도 등 직무수행 환경에 따라 개인의 행동은 달라진다. 따라서 같은 조직 내에서도 역량규명의 토대가 되는 행동은 당연히 다르게 인식되며, 동일한 역량명이라 할지라도 직무마다 다르게 정의되고 발휘된다. 넷째, 성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역량은 높은 성과창출의 근거 가 되는 행동특성으로서 탁월한 성과자로부터 일관되게 관찰될 수 있고, 다섯째, 육성 및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교육훈련, 코칭, 도전적 직무, 높은 목표설정, 유익한 피드백 등에 의해 역량은 개발 가능하고 학

(7)

습 가능한 것이다. 여섯째, 관찰과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역량은 행위 중심으로 기술되기 때문에 관찰이 가능한 것이다.

역량모형이란 조직에서 특수한 직무나 역할의 성공적인 수행에 요구되는 역량을 체계화한 것으로, 역 량모델링을 통한 결과물인 역량들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이홍민(2009)은 역량모형은 우수한 성과를 내는데 필요한 행동의 수준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지도로서 조직이 기대하는 성과수준을 높이고, 조 직의 핵심전략에 하위조직 및 개인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며, 구성원 개개인들에게 어떤 방법으로 기 대를 완수할지를 이해하기 쉽게 한다고 하였다.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과정을 역량모델링이라고 하는데 역량모델링은 특정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량을 규명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이홍민, 2009). 역량모델링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특정 직무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고성과자가 보다 자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통합체로서, 어떤 직무나 역할에 있어서 고성과자와 보통 성과자 사이의 결정적 특성 및 프로세스 차이 이며, 보다 경험적이고 간결, 명료한 고성과자의 특성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역량모형은 특정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성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가장 핵심적인 지식, 기술, 가치 및 행동을 기술하여 체계화해 놓은 것으로 모든 인적자원시스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준다(이홍민, 2009).

3.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에 관한 선행 연구

진로진학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연구(이종범 외, 2010)가 처음으로 진행됐다. 이 연 구는 역할과 직무기준, 진로교육 역할주체와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고 이후 직무와 구체적인 활동 연구 (박용호, 2011)의 매뉴얼이 시도교육청을 통해 보급되면서 이론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부전공 연수를 통 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현장에 배치되기 시작하면서 현황 및 연수실태 분석(고재성, 2010)이 수행되어 특성과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고, 자격, 전문성, 타교사와의 관계 등에 대한 문제가 제 기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김희대, 2013).

박용호(2011)는 외국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총 15개 역량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 는 진로진학상담교사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 구역시 기존의 연구들(이종범 외, 2010; 조대연・현영섭, 2008)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진로진학상담교 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분석과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것이 아니라 외국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서 도출한 역량이여서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실제적인 적용측면에서는 뚜렷한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른 측면에서 국내 유사 역량의 선행연구를 비교 검토하여 21개 역량을 도 출했다. 그러나 도출된 역량의 대부분은 유사군인 진로진학상담가, 보건교사, 일반교사의 역량을 연구한 것이다. 이에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은 첫째, 외국의 문헌연구분석과 유사군의 역량분석이 아니라 진로진 학상담교사만을 위한 역량모형을 새롭게 개발했다는 것이다. 둘째, 개발된 역량모형을 진로진학상담교

(8)

사를 대상으로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비교분석하여 선발, (재)교육, 연수, 평가에 활용토록 한 것이다.

특히, 학교급별(고교와 중학교), 고교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 모 형의 정교화와 고도화를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절차

Boyatzis(2008)의 역량 연구, Klein et al.(2004)의 교수자 역량모형 개발 연구, 진로상담전문가 역량모 형을 개발한 선행연구(유현실, 2009), 노인요양시설 관리자 역량모형을 개발한 선행연구(김지수, 2008), 역량모형개발 절차를 연구한 이홍민(2009)을 참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5단계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 행했다.

[그림 1] 연구절차

(9)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가. 진로진학상담교사 면접 및 개방형 설문 자료수집 및 분석

면접 분석을 위해 4개의 학교를 각각 찾아가서 면접을 진행했다. 사전질문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현직 진로진학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참여자들은 경력 2년 이상인 현직 진로진학상담교사 28명이었다.

나. 내부 전문가(진로진학상담교사) 협의회 검토 자료수집 및 분석

내부 전문가 협의회 검토는 잠정적 역량모형의 도출내용을 검토하고 초안을 확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서 진행했다. 면접과 개방형 설문에서 도출된 역량과 등을 합의를 통해 수정하고 초안을 확정했다. 내 부 전문가 협의회 검토는 석사급이며 경력 2년 6개월 이상의 진로진학상담교사 총 5명을 대상으로 진행 했다. 전문가 검토는 사전내용 안내에 대한 이메일과 회의를 통해 이뤄졌다.

다. 델파이 패널 1차 내용 타당화와 분석

델파이 패널 선정 조건은 (1) 박사수료이상 학력 소지자 또는 (2) 역량전공 교수 또는 박사이상 학력 을 가지고 있는 자 또는 (3) 진로상담경험이 3년 이상인 자로 했다. 최종적으로 델파이에 참여한 전문가 들은 역량전공 대학교수 1명, 역량전공 박사연구원 1명, 진로진학상담교사 8명 등 총 10명이었다. 델파 이 검증은 초안으로 개발된 19개 역량의 각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설문지로 의뢰했다. 내용타 당도는 평가기준(김지수, 2008)에 근거하여 4점 척도로 총 평가자 4명이 1~4점 중 항목별 3점 혹은 4점 점수를 준 항목의 비율로 내용타당도 지수(Index of ContentValidity; CVI)를 산출했다. 설문지 각 항목 에 대해 타당성을 4점 척도로 하여 ‘매우 타당함’ 4점, ‘타당함’ 3점, ‘타당하지 않음’ 2점, ‘전혀 타당하지 않음’ 1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고 ‘타당하지 않음’과 ‘전혀 타당하지 않음’에 응답한 경우는 그 의견을 기 술하도록 했다. 설문지를 통해 그 결과를 가지고 각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출하여 8인 이상이 3점 혹은 4점을 주어 80%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유의한 항 목으로 선정했다(Lynn, 1986). 80%미만인 항목에 대해서는 수정, 삭제, 통합 및 항목 간 이동을 거쳐 다 시 패널의 의견을 수렴했고 합의가 이루어지기까지 항목에 따라 3차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했다.

라. 폐쇄형 설문조사를 통한 2차 내용타당화와 분석

설문조사는 델파이를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이 된 역량모형의 2차 내용 타당화 및 역량모형의 필요수 준과 수행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진로진학상담교사 428명을 대상으로 역량의 필요 수준을 긍정응답률 75%이상과 표준편차 1.2이하는 역량으로 수용하고 그 외 사항은 삭제하는 기준(김 은자, 2007; 방재현, 2012)을 준용했다. 또한 역량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각각의

(10)

연번 역량명 역량정의 출처

면접 설문 선행연구, 연구자

1 진로상담 진로이론과 상담기술을 활용하여 상담한다

2 진로검사 진로탐색 검사를 통해 해석하고 피드백 한다 - -

3 진학(취업)지도 대입 전형별 지도, 취업에 대한 지도를 한다

4 기획운영 진로진학취업프로그램계획을 기획 및 운영을 한다

5 강의역량 진로와 직업, 창체 진로활동 강의한다 -

6 공감역량 내담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 -

7 리더십 진로진학상담업무관련 리더십을 가지고 수행한다 - -

8 긍정 강화 내담자에게 긍정력을 강화시킨다 - -

수준을 측정했다. 역량의 수준분석은 6점 척도를 활용했다. 역량의 필요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그 정도 를 ‘매우 중요함’ 6점, ‘중요함’ 5점, ‘비교적 중요함’ 4점, ‘비교적 중요하지 않음’ 3점, ‘중요하지 않음’ 2 점, ‘전혀 중요하지 않음’ 1점으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수행수준은 ‘매우 잘함’ 6점, ‘잘함’ 5점, ‘비교적 잘 함’ 4점, ‘비교적 못함’ 3점, ‘못함’ 2점, ‘전혀 못함’ 1점, ‘경험 없음’ 0점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한편, 중학 교와 고등학교 간, 고교유형별로 역량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고등학 교 특성별 구분은 일반고, 특목고, 특성화고로 구분했다.

마. 외부 전문가 평정 분석

외부 전문가 평정은 관련 분야 전문가인 대학교수 5명을 활용하여, 델파이의 1차 내용 타당화와 설문 을 통한 2차 내용 타당화를 통해 검증된 역량모형을 바탕으로 진행했다. 평정에 의해 일부내용의 삭제, 수정, 추가를 하여 역량모형을 종합적으로 수정했다. 최종적으로 연구자의 내용 검토를 통해 진로진학 상담교사 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개발

가.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요소 추출

선행연구, 진로진학상담교사 면접, 개방형 설문 등을 통해 58개 요소(역량명, 정의)를 도출하여 추출 했다. 구체적인 추출된 역량요소(역량명, 역량정의)는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요소 추출

(11)

연번 역량명 역량정의 출처

면접 설문 선행연구, 연구자

9 상호작용 내담자와 상담자 상호간 작용하여 이해한다 - -

10 소통 내담자와 상담자간 소통한다. - -

11 수용 내담자의 견해에 대해 수용한다 -

12 권면 내담자를 이해하고 권고, 격려한다 - -

13 발현 내담자의 잠재력을 발현시킨다 - -

14 자기평가 주기적으로 자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 -

15 연구수행 진로진학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

16 상호교섭 대인관계간 (갈등)조정 및 협조를 한다 -

17 정보수집 진로(직업), 진학(취업) 정보를 수집한다 -

18 코칭 진로마인드 제고 및 비전을 조언한다 - -

19 해석 학생 상담시 상황을 해석한다 - -

20 대응(상응) 내담자에 상응하는 이해한다 - -

21 상호소통 내담자간에 상호 소통한다 -

22 반편견 편견 없이 내담자를 이해한다 - -

23 유연성 불확실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한다 - -

24 성찰 끊임없이 자신을 반성한다 - -

25 자기주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삶의 태도를 갖는다 -

26 배려 타인을 이해, 존중하려는 태도를 갖는다 - -

27 분석활용 대입지원 및 취업결과 분석・활용한다 -

28 자료관리 상담자료, 인적풀을 관리한다 -

29 섭외역량 강사 및 전문인, 직업인을 섭외 한다

30 평생학습 평생학습노력, 지역사회학교를 운영한다 -

31 갈등관리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문제를 해결한다

32 관계지향성 사람간에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을 지향한다 -

33 의사결정력 다양한 상황에서의 결정능력이 있다. - -

34 문제해결 문제 분석 및 창의적 해결방안 제시를 한다 - -

35 공정성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대한다. -

36 자아탄력성 자신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한다 -

37 자아효능감 자기 자신에 대해 용기를 북돋는다 - -

38 행동실천력 일이 생기면 바로 행동으로 옮긴다 - -

39 협력 타인과의 공감 및 소통한다. -

40 책임감 직무나 업무에 책임을 진다. -

41 공동체성 좋은 공동체 형성을 위한 유지를 한다.

(12)

연번 역량명 역량정의 출처

면접 설문 선행연구, 연구자

42 조직 유사진로, 학습활동 모임을 조직한다. - -

43 행정 공문접수, 처리, 전산, 학생부 기록을 한다

44 자질 기본소양, 리더십, 책무성 능력을 갖고 있다.

45 학습검사 부진과목 학습방법 검사를 활용해 피드백 한다 - -

46 학습지도 학습방법의 다양화하고, 개선에 대해 지도한다 - -

47 기관연계 지역 내 대학, 기업, 기관간 연계해서 활동한다 -

48 주체성 삶을 주체적으로 실현하는 자율능력이 있다. - -

49 전체성 약자에 대한 우선적 사랑을 실천한다 - -

50 나눔 어려운 일에 솔선수범하는 태도를 가진다 -

51 가치관 신념과 소신, 봉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 태도를 가진다 - -

52 타인존중 다름에 대한 인정과 수용을 한다 - -

53 친화성 주변 사람들에게 쉽게 호감을 준다 - -

54 외향성 새로운 사람들과 어울림을 잘한다 - -

55 성실성 정해진 규칙을 지키고 책임감을 갖고 있다 -

56 개방성 문제에 대해 열린 사고로 사유한다 - -

57 다문화 상담 다문화 대상자에 대해 맞춤형 상담을 한다 - -

58 교육복지상담 교육복지 대상자에 대해 맞춤형 상담을 한다 - -

나. 진로진학상담교사 잠정적 역량모형 초안 개발

내부 전문가 협의회의 검토 기준과 관련하여 Grant와 Davis(1997)의 내용타당도 준거를 준용했다. 대 표성, 명확성, 포괄성의 세 가지 준거를 내부 전문가 협의회가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정의했다.

평가에 의한 결과는 긍정률(적합선택)이 전체 5명의 80%이상인 경우만을 선택하기로 사전 협의되었고, 논란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회의를 통해 합의하는 것으로 협의했다. 역량군은 5그룹을 도출했다. 첫 째, 이론지식, 직무수행, 태도자질. 둘째, 전문, 지원, 관리. 셋째, 진로, 진학, 상담, 행정. 넷째, 자아, 대 응, 다자. 다섯째, 창의역량군, 인성역량군, 직무역량군, 관리역량군, 관계역량군이다. 역량요소는 총 58 개에서 내부 전문가 검토를 통해 19개 역량요소로 정리했고, 역량군 5그룹도 같은 방식으로 수정하여 창의역량군, 인성역량군, 직무역량군, 관리역량군, 관계역량군으로 구성된 역량군으로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잠정적인 역량모형 초안을 개발했다.

(13)

<표 2> 내부 전문가 협의회 검토를 통한 ‘잠정적 역량모형 초안’ 개발

연번 역량군 역량명 역량명 정의

1

창의역량군

기획운영 프로그램, 연간 진로계획 기획운영능력

2 정보수집 진로(직업), 진학(취업) 정보수집능력

3 조직역량 유사진로, 학습활동 모임 조직능력

4 평생학습 평생학습노력, 지역사회학교운영능력

5

직무역량군

진로검사 진로탐색 검사, 피드백 능력

6 진학지도 대입 전형별 지도, 취업지도 능력

7 강의역량 진로, 창체활동 강의, 전달 연수능력

8 학습검사 부진과목학습방법, 검사활용, 피드백능력

9

인성역량군

공감역량 내담자의 상황을 공감하는 능력

10 상호교섭 대인관계간 (갈등)조정, 협상 능력

11 코칭역량 진로마인드 제고 및 비전 조언능력

12 자질역량 기본소양, 리더십, 책무성 능력

13

관리역량군

분석활용 대입지원 및 취업결과 분석・활용 능력

14 자료관리 상담자료, 인적풀 관리 능력

15 행정역량 공문접수, 처리, 전산, 학생부 기록 능력

16

관계역량군

진로상담 진로이론과 상담기술 활용 능력

17 섭외역량 강사 및 전문인, 직업인 섭외능력

18 학습지도 학습방법의 다양화, 개선 능력

19 기관연계 지역 내 대학, 기업, 기관 연계 능력

다.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1차 내용 타당화(델파이)

델파이에서는 1차 내용 타당화를 위해 내부 전문가 협의회의 검토를 거친 ‘잠정적인 역량모형 초안’을 내부 전문가 검토와 마찬가지로 Grant와 Davis(1997)의 내용타당도 준거를 준용하여 대표성, 명확성, 포 괄성의 기준으로 역량군과 역량요소에 대한 내용타당도(CVI)를 수정, 보완하여 역량모형을 개발했다.

CVI는 전문가가 3점과 4점을 준 항목을 계산하여 0.8이상인 문항을 타당도 검증기준(김지수, 2008;

Lynn, 1986)으로 하고, 집단이 합의 할 때까지 내용타당도 검증을 시행했으며, 구체적인 검증기준은 0.8 이상이면 검증완료로 처리하고, 0.5이상 ~ 0.7이하는 재검증 대상으로 처리하고, 0.4이하는 삭제하는 것 으로 했으며 의견명시를 필수적으로 하도록 했다. 역량군과 역량요소의 내용 타당도 검증과 이를 통해 개발된 역량모형은 아래와 같다.

(14)

<표 3> 역량군의 1차 내용 타당도 검증

연번 역량군 구분내용 M SD CVI

1 창의역량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전문가로서 새로운 것을 찾고, 유연하고 열린 사고로 기획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모임을 조직하고, 학교라는 틀을 뛰어넘어 새

로운 시각에서 지변을 넓히는 창의적 성격 3.4 .699 0.8

2 인성역량 학생, 학부모와 공감, 다른 교사들과 소통하며, 잠재력을 키워주고, 진로진

학상담에 대한 철학을 가진 인성적 태도와 자질 기반 2.9 .568 0.9 3 직무역량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 구체적으로 행해지는 검사업무, 강의와 연수전달,

진학에 대한 지도 등의 순수 직무적 성격으로 범주화 3.6 .699 1.0 4 관리역량 인적,물적자원의 관리, 데이터 정리,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공문처리와 학

생부 작성 등의 행정사항을 관리라는 성격으로 범주화 3.1 .568 0.8 5 관계역량 학생, 학부모를 상대로 한 진로상담, 강사와 전문인의 섭외, 학생에 대한

학습의 지도, 기관간 네트워크를 관계라는 성격으로 범주화 3.0 .471 0.8

<표 4> 역량요소의 1차 내용 타당도 검증

연번 역량명 역량명 정의 M SD CVI

1 기획운영 프로그램, 연간 진로계획 기획운영능력 3.9 .316 1.0

2 정보수집 진로(직업), 진학(취업) 정보수집능력 3.9 .316 1.0

3 조직역량 유사진로, 학습활동 모임 조직능력 2.8 .422 0.8

4 평생학습 평생학습노력, 지역사회학교운영능력 2.8 .422 0.8

5 진로검사 진로탐색 검사, 피드백 능력 2.8 .422 0.8

6 진학지도 대입 전형별 지도, 취업지도 능력 2.8 .422 0.8

7 강의역량 진로, 창체활동 강의, 전달 연수능력 3.9 .316 1.0

8 학습검사 부진과목 학습방법 검사활용, 피드백 능력 3.8 .422 1.0

9 공감역량 내담자의 상황을 공감하는 능력 3.1 .568 0.9

10 상호교섭 대인관계간(갈등)조정, 협상 능력 2.8 .422 0.8

11 코칭역량 진로마인드 제고 및 비전 조언능력 2.9 .568 0.9

12 자질역량 기본소양, 리더십, 책무성 능력 4.0 .000 1.0

13 분석활용 대입지원 및 취업결과 분석・활용 능력 2.9 .568 0.9

14 자료관리 상담자료, 인적풀 관리 능력 3.0 .471 0.9

15 행정역량 공문접수, 처리, 전산, 학생부 기록 능력 3.3 .483 1.0

16 진로상담 진로이론과 상담기술 활용 능력 2.8 .422 0.8

17 섭외역량 강사 및 전문인, 직업인 섭외능력 3.6 .699 0.9

18 학습지도 학습방법의 다양화, 개선 능력 3.1 .568 0.8

19 기관연계 지역 내 대학, 기업, 기관 연계 능력 4.0 .000 1.0

(15)

연번 역량명 역량명 정의 필요수준

긍정응답률(%)

M SD

1 진로상담 진로이론과 상담기술 활용 능력 5.26 .808 98.4

2 진로검사 진로탐색 검사, 피드백 능력 5.24 .810 98.1

3 공감역량 내담자의 상황과 환경을 공감하는 능력 5.12 .765 98.6

4 진학지도 대입 전형별 지도, 취업지도 능력 5.06 .860 96.5

5 자질역량 기본소양, 리더십, 책무성 능력 5.02 .780 98.6

6 기획운영 프로그램, 연간 진로계획 기획운영능력 4.98 .792 96.5

7 코칭역량 진로마인드 제고 및 비전 조언능력 4.98 .759 97.7

8 정보수집 진로(직업), 진학(취업) 정보수집능력 4.97 .806 95.6

9 강의역량 진로, 창체활동 강의, 전달 연수능력 4.95 .805 96.5

10 상호교섭 대인관계간 (갈등)조정, 소통 능력 4.87 .763 96.3

11 학습검사 학습방법 검사활용, 피드백 능력 4.85 .824 96.3

12 분석활용 대입지원 및 취업결과 분석・활용 능력 4.78 .782 96.1

[그림 2] 델파이 1차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친 역량모형 개발

라.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2차 내용 타당화

2차 내용 타당화는 델파이를 통해 개발된 역량모형을 진로진학상담교사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 해 역량모형의 필요수준을 긍정응답률 75%이상과 표준편차 1.2이하는 역량으로 수용하고 그 외 사항은 삭제하는 선행연구(김은자, 2007; 방재현, 2012)의 기준을 준용하였으며, 검증 결과 모두 기준을 만족하 여 역량모형으로 수용되었다.

<표 5>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2차 내용 타당화

(16)

연번 역량명 역량명 정의 필요수준

긍정응답률(%)

M SD

13 힉습지도 학습방법의 다양화, 개선 능력 4.80 .784 96.0

14 행정역량 공문접수, 처리, 전산, 학생부 기록 능력 4.76 .843 91.8

15 자료관리 상담자료, 인적풀 관리 및 정리 능력 4.74 .748 95.1

16 평생학습 평생학습노력, 지역사회학교운영능력 4.74 .875 91.8

17 섭외역량 강사 및 전문인, 직업인 섭외능력 4.67 .834 92.5

18 조직역량 유사진로, 학습활동 모임 조직능력 4.62 .826 91.6

19 기관연계 지역 내 대학, 기업, 기관 연계 능력 4.52 .856 89.3

마.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모형 최종 개발

외부전문가 평정과 연구자의 최종 검토과정을 거쳐 기존의 5개 역량군이 3개 역량군으로 조정되고, 19개 역량요소도 수정, 통합과정을 거쳐 12개 역량요소로 수정되어 역량모형이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그림 3] 진로진학상담교사 최종 역량모형 개발 2. 역량모형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 비교 분석

역량모형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의 비교를 위해 필요수준과 수행수준을 좌우축으로 하여 만든 역량 모형 격자도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7)

<표 6> 역량모형 필요수준과 수행수준 비교

연번 역량명 역량명 정의 필요수준 수행수준

M SD M SD

1 진로상담 진로이론과 상담기술 활용 능력 5.26 0.81 4.40 0.57

2 진로검사 진로탐색 검사, 피드백 능력 5.24 0.81 4.29 0.64

3 공감역량 내담자의 상황과 환경을 공감하는 능력 5.12 0.77 3.35 1.48

4 진학지도 대입 전형별 지도, 취업지도 능력 5.06 0.86 4.34 0.60

5 자질역량 기본소양, 리더십, 책무성 능력 5.02 0.78 4.42 0.52

6 기획운영 프로그램, 연간 진로계획 기획운영능력 4.98 0.79 4.38 0.70

7 코칭역량 진로마인드 제고 및 비전 조언능력 4.98 0.76 4.04 1.00

8 정보수집 진로(직업), 진학(취업) 정보수집능력 4.97 0.81 3.98 1.00 9 강의역량 진로, 창체활동 강의, 전달 연수능력 4.95 0.81 4.40 0.64 10 상호교섭 대인관계간 (갈등)조정, 소통 능력 4.87 0.76 4.46 0.70

11 학습검사 학습방법 검사활용, 피드백 능력 4.85 0.82 3.34 0.76

12 분석활용 대입지원 및 취업결과 분석・활용 능력 4.78 0.78 3.46 1.46

13 힉습지도 학습방법의 다양화, 개선 능력 4.80 0.78 3.39 0.71

14 행정역량 공문접수, 처리, 전산, 학생부 기록 능력 4.76 0.84 4.17 0.47 15 자료관리 상담자료, 인적풀 관리 및 정리 능력 4.74 0.75 4.43 0.65

16 평생학습 평생학습노력, 지역사회학교운영능력 4.74 0.88 3.44 1.43

17 섭외역량 강사 및 전문인, 직업인 섭외능력 4.67 0.83 3.48 1.42

18 조직역량 유사진로, 학습활동 모임 조직능력 4.62 0.83 3.35 1.44

19 기관연계 지역 내 대학, 기업, 기관 연계 능력 4.52 0.86 3.52 0.61

[그림 4] 역량모형 격자도

(18)

역량군 역량요소  학교급별 필요수준 수행수준

M SD t M SD t

역량군창의

기획운영 고등학교 4.95 0.83

-0.946 4.4 0.70

중학교 5.03 0.76 4.34 0.69 +0.8

정보수집 고등학교 5.1 0.72

+3.346*** 4.05 1.00

+2.106*

중학교 4.82 0.89 3.84 1.00

조직역량 고등학교 4.63 0.82

+0.18 3.36 1.44

+0.251

중학교 4.61 0.88 3.32 1.43

평생학습 고등학교 4.74 0.82

-0.188 3.42 1.46

+1.496

중학교 4.75 1.01 3.2 1.37

직무 역량군

진로검사 고등학교 5.38 0.73

+4.501*** 4.26 0.66

-1.265

중학교 5.03 0.82 4.34 0.59

진학지도 고등학교 5.14 0.88

+2.536** 3.83 1.03

-0.95

중학교 4.91 0.80 3.73 0.97

강의역량 고등학교 5.00 0.81

+2.291* 4.38 0.66

-0.84

중학교 4.81 0.81 4.44 0.61

학습검사 고등학교 4.81 0.78

-0.632 3.3 0.79

-1.705

중학교 4.87 0.93 3.43 0.71

인성 역량군

공감역량 고등학교 5.15 0.73

+1.249 3.46 1.49

+2.074*

중학교 5.05 0.83 3.15 1.45

상호교섭 고등학교 4.88 0.79 -0.071 4.45 0.70 -0.174

<표 7> 역량모형 격자도(Competency model grid)용 역량

1 2 3 4 5 6 7 8 9 -

진로

상담 진로

검사 공감

역량 진학

지도 자질

역량 기획

운영 코칭

역량 정보

수집 강의

역량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상호교섭 학습

검사 분석

활용 힉습

지도 행정

역량 자료

관리 평생

학습 섭외

역량 조직

역량 기관

연계

3. 학교급별과 고교유형별 역량모형의 필요수준과 수행수준 비교

비교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각각의 역량군 평균을 비교한 그림을 이용하여 학교급별, 고교유형 별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8> 학교급별 역량요소 필요수준과 수행수준 비교

(19)

역량군 역량요소  학교급별 필요수준 수행수준

M SD t M SD t

중학교 4.88 0.77 4.46 0.70

코칭역량 고등학교 5.03 0.74

+1.903 4.17 0.99

+3.592***

중학교 4.88 0.82 3.81 0.99

자질역량 고등학교 4.98 0.74

-0.289 4.45 0.52

+1.847

중학교 5.01 0.83 4.36 0.52

관리 역량군

분석활용 고등학교 4.8 0.77

+1.403 3.46 1.49

+0.124

중학교 4.69 0.83 3.44 1.41

자료관리 고등학교 4.71 0.73

-0.203 4.5 0.60

+3.159***

중학교 4.73 0.80 4.29 0.73

행정역량 고등학교 4.72 0.89

-1.631 3.92 0.46

-2.883**

중학교 4.87 0.83 4.06 0.47

관계 역량군

진로상담 고등학교 5.42 0.72

+5.021*** 4.42 0.58

+0.836

중학교 5.03 0.82 4.37 0.54

섭외역량 고등학교 4.71 0.80

+1.378 3.49 1.46

+2.225**

중학교 4.59 0.95 3.17 1.33

학습지도 고등학교 4.83 0.77

+1.752 3.35 0.74

-1.723

중학교 4.69 0.83 3.47 0.64

기관연계 고등학교 4.61 0.80

+3.056*** 3.55 0.64

+1.373

중학교 4.33 0.98 3.46 0.55

*p<.05, **p<.01, ***p<.001

[그림 5] 학교급별(고교와 중학교) 역량군별 수준 평균 비교

(20)

역량군 역량요소 고교특성별 필요수준 수행수준

M SD M SD

창의역량군

기획운영

일반고 5.1 1.00 4.41 0.69

특성화 4.95 0.66 4.57 0.50

특목고 4.94 0.81 4.05 0.97

정보수집

일반고 5.38 0.50 4.11 1.00

특성화 4.78 0.85 3.59 0.90

특목고 5.07 0.74 4.24 1.00

조직역량

일반고 4.58 0.82 3.33 1.42

특성화 4.59 0.64 3.3 1.51

특목고 5.14 0.66 3.76 1.58

평생학습

일반고 4.86 0.96 3.29 1.45

특성화 4.68 0.63 4.27 1.24

특목고 4.73 0.81 3.24 1.45

직무역량군

진로검사

일반고 5.38 0.73 4.28 0.69

특성화 5.19 1.08 4.08 0.55

특목고 5.38 0.74 4.33 0.48

진학지도

일반고 5.11 0.86 3.84 0.99

특성화 5.14 0.92 3.32 0.75

특목고 5.38 1.07 3.38 0.81

강의역량

일반고 4.95 0.79 4.39 0.70

특성화 5.19 0.70 4.49 0.51

특목고 5.57 0.75 4.14 0.36

학습검사

일반고 5.24 0.70 3.28 0.84

특성화 5.05 0.62 3.32 0.58

특목고 4.77 0.77 3.48 0.51

인성역량군

공감역량

일반고 5.38 0.81 3.58 1.49

특성화 5.27 0.73 3.22 1.49

특목고 5.12 0.72 2.71 1.31

상호교섭

일반고 5.05 0.92 4.43 0.71

특성화 4.78 0.53 4.62 0.64

특목고 4.86 0.78 4.38 0.67

코칭역량

일반고 5.02 0.74 4.11 1.00

특성화 5.19 0.81 4.51 0.87

특목고 5.00 0.58 4.1 0.94

자질역량

일반고 4.94 0.73 4.49 0.53

특성화 5.35 0.75 4.32 0.48

특목고 5.43 0.75 4.29 0.46

<표 9> 고교유형별 역량요소 필요수준과 수행수준 비교

(21)

역량군 역량요소 고교특성별 필요수준 수행수준

M SD M SD

관리역량군

분석활용

일반고 4.75 0.74 3.95 1.45

특성화 5.03 0.60 3.45 1.49

특목고 5.38 0.81 2.71 1.31

자료관리

일반고 4.67 0.72 4.47 0.62

특성화 4.95 0.62 4.62 0.49

특목고 5.14 0.66 4.57 0.51

행정역량

일반고 5.00 0.95 3.89 0.48

특성화 4.59 0.50 4.14 0.35

특목고 4.69 0.88 3.86 0.36

관계역량군

진로상담

일반고 5.42 0.72 4.43 0.57

특성화 5.19 1.08 4.38 0.68

특목고 5.38 0.74 4.33 0.48

섭외역량

일반고 5.29 0.46 3.32 1.44

특성화 4.68 0.48 4.03 1.42

특목고 4.66 0.80 4.29 1.31

학습지도

일반고 4.78 0.75 3.32 0.79

특성화 5.03 0.60 3.43 0.50

특목고 5.38 0.81 3.52 0.51

기관연계

일반고 5.00 0.71 3.58 0.65

특성화 4.73 0.45 3.43 0.65

특목고 4.57 0.80 3.48 0.60

[그림 6] 일반고와 특성화고 역량군별 수준 평균 비교

(22)

[그림 7] 일반고와 특목고 역량군별 수준 평균 비교 4. 논의

첫째, 역량군 개발이다. 역량군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문헌에서 5개 역량군을 도출했다. 하지만 선행 연구는 대부분이 유사직군인 진로상담전문가나 경영학의 역량군, 또는 간호사의 역량을 구분(김지수, 2008; 방재현, 2012; 유현실, 2009)한 것이라서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적확한 역량군은 아니였다. 따라 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5개 역량군을 도출했다. 이를 내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창의역량군, 인성역량 군, 관계역량군, 직무역량군, 관리역량군의 역량군의 초안을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델파이 내용타당 화를 통해 창의역량군, 인성역량군, 관계역량군, 직무역량군, 관리역량군의 역량군을 개발했다. 그러나 외부 전문가 그룹은 내부 전문가 검토와 델파이의 역량군은 역량요소와 섞여있어 독립적인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역량군과 역량간 위계성립이 어려워지는 점을 들어 합리적 역량군으로 보기 어렵다고 했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론지식, 직무수행, 태도자질(유현실, 2009)의 3역량군으로 재도출하여 최종적인 역량 모형을 개발했다.

둘째, 역량개발과 역량군과의 결합이다. 역량은 먼저, 진로관련 이해, 진로상담, 진로검사, 진로정보, 전문가 윤리, 테크놀로지 활용, 고용 가능성 개발의 선행연구(김수향, 2011; 김은경, 2013; 유현실, 2009) 를 참고하여 면접과 개방형 설문을 거쳐 58개 역량을 도출했다. 이를 평가기준을 통해 39개를 삭제, 통 합을 거쳐 19개 역량 초안을 정리했다. 19개 초안을 델파이를 통해 내용타당화를 거쳐, 19개 역량을 개 발했다. 이를 통해 개발된 역량과 역량군의 결합은 내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분류를 확정하고 델파이 내용타당화를 거쳐 5개 역랑군별로 역량을 포괄하는 형태로 개발됐으며, 외부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 확정됐다. 최종 개발된 역량은 상담, 검사, 지도, 프로그램기획, 프로그램운영, 행정업무처리, 네트워크, 강의, 정보처리, 개인관리, 평생학습,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12개다.

프로그램 이해・기획은 진로교육과정 편성, 지역자원 연계기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행정 및 경영 역량(김은경, 2013; 김진실, 2007), 사무처리 역량(방재현, 2012), 교무분장처리능력(강석주, 2003), 조직

참조

관련 문서

Firs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SW education was improved in planning performance and career behavior

A A A A Study Study Study Study Analysis Analysis Analysis Analysis of of of of the the the the J. Bach,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Baroque period. Compo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First, SW-related career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SW education improved SW education preference and SW career information depending

First, one of the coaching factors perceived by superior hurdlers is guidance authority.. The subcategories of guidance authority consisted o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egative thoughts changing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on the negative automatic thoughts

The results show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ink tha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school athletic teams is to give opportunities of various career

Web-based network of career counseling includes the CareerNet develop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Worknet of the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