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한 연구

발표자

중앙관세분석소 특수분석 T/F팀 화공주사 육 수 진

화공서기 강 승 현

화공서기보 임 성 준

(2)

목 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Ⅱ.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의 종류 및 특성 1. 발기부전치료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유사물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Ⅲ.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시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시료의 선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시료에서 유사물질의 분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4. HPLC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5. GC/MS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6. LC/MS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7. FT-IR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8. NMR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Ⅳ. 결과 및 고찰 1. HPLC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2. GC/MS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3. LC/MS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4. FT-IR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5. 질소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6. NMR를 이용한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Ⅴ.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3)

Ⅰ. 서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신약의 개발 등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한 기술분야도 더욱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회적인 분위기를 악용하여 식품에 첨가할 수 없는 의약품 성분이나 부정유해 물질 등을 일반식품에 불법적으로 첨가하여 특효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인 것처럼 유통하는 사례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발기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은 현재 국내 유통식품에 불법 첨가 되고 있는 부정유해물질 중 가장 많이 적발되고 있는 성분으로, 이들 물질을 불법적으로 첨가한 식품들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되지 않고 불순물이 들어 있거나 함량이 균질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오히려 국민 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 및 규제되고 있는 물질로는 시판 발기부전 치료제 성분인 실데나필, 타다라필, 바데나필, 유데나필 등 4종과 불법 합성 유사물질인 호모실데나필, 홍데나필, 하이드록시호모실데나필, 아 미노타다라필, 슈도바데나필, 하이드록시홍데나필, 디메칠실데나필, 잔 소안스라필, 하이드록시바데나필, 노르네오실데나필, 데메칠홍데나필, 피페리노아세틸데나필 등 12종이 있다.1) 이들 12종의 물질들은 식품위 생법 등에 의해 식품에 첨가하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나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으며, 관련 당국의 규제와 단속을 피하기 위해 새로 운 유사물질을 불법으로 합성하는 사례도 계속 적발되고 있다.

우리 소에서는 이들 발기부전치료제와 유사물질을 함유한 불법 물품 들이 여행자 휴대품 등으로 다량 반입되거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위장수 입되어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을 차단하고자 1998년 비아그라 표 준분석방법을 확립한 이래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관련 기관의 연구자료

1) 발기부전치료제 4종은 약사법 대상품목으로 1999년 비아그라(실데나필 함유), 2003년 시 알리스(타다라필 함유) 및 레비트라(바데나필 함유), 2005년 자이데나(유데나필 함유)가 국내 에 시판되기 시작하였다. 유사물질 12종은 식품에서 검출되어서는 안되는 유해물질로 식약 청고시에서 규제하고 있다.

(4)

등을 토대로 관세분석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법의 연구․개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이를 통해 많은 불법 물품들을 적발․차단 하는 실적을 거두었다.

최근 개정된 고시(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7-26호, 2007.5.7)의 내 용은 고시된 물질이 아니라도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과 구조가 근원적으로 유사하다면 이를 식품에 첨가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 는 구조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 알려져 있지 않은 물질이라도 규제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분석한 시료 중 현재까지 규명된 발기부전치료 제나 그 유사물질들과 그 특성이 다르나 (HPLC에서의 유지시간, UV spectrum) 정황상 유사물질로 의심되는 2가지 물질에 대하여 분리 및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5)

물질명 상품명 (제조사)

분자식

(분자량) 일반복용량 구조식

실데나필 (Sildenafil)

비아그라 (Viagra ,

화이자)

C22H30N6O4S (474.59)

25mg, 50mg, 100mg

<그림 1> 실데나필

바데나필 (Vardenafil)

레비트라 (Levitra,

바이엘)

C23H32N6O4S (488.62)

5mg, 10mg,

20mg

<그림 2> 바데나필

타다라필 (Tadalafil)

시알리스 (Cialis,

릴리)

C22H19N3O4

(389.40)

10mg, 20mg

<그림 3> 타다라필

유데나필 (Udenafil)

자이데나 (Zydena,

동아제약)

C25H36N6O4S (516.67)

100mg, 200mg

<그림 4> 유데나필

Ⅱ.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의 종류 및 특성

1. 발기부전치료제

(6)

물질명 분자식

(분자량) 구조적 특징 구조식

호모실데나필 (Homosildenafil)

C23H32N6O4S (488.62)

실데나필의 methylpiperazine을

ethylpiperazine

으로 변형 <그림 5> 호모실데나필

N N

S

O N HN

N N

O O

O

홍데나필 (Hongdenafil)

C25H34N6O3

(466.58)

실데나필의 sulfonyl기를

acetyl기로, methylpiperazine을 ethylpiperazine으로

변형 <그림 6> 홍데나필

O N HN

N N O

N

N O

하이드록시- 호모실데나필

(Hydroxy- homosildenafil)

C23H32N6O5S (504.62)

호모실데나필의 ethylpiperazine을

hydroxyethyl piperazine으로

변형 <그림 7> 하이드록시-호모실데

나필

N N

S

O N HN

N N

O O

HO

O

아미노타다라필 (Aminotadalafil)

C21H18N4O4

(390.39)

타다라필의 methyl기를 amino기로 변형

<그림 8> 아미노타다라필

N N

O N

O O

O

N H

2

H

하이드록시 홍데나필 (Hydroxy- hongdenafil)

C25H34N6O4

(482.58)

홍데나필의 ethylpiperazine을

hydroxyethyl piperazine으로

변형 <그림 9> 하이드록시홍데나필

슈도바데나필 (Pseudovardenafil)

C22H29N5O4S (459.57)

바데나필의 4-ethylpiperazine을

piperidine으로 변형

N S

O NH

N O

O O

N N

<그림 10> 슈도바데나필

2. 유사물질

(7)

물질명 분자식

(분자량) 구조적 특징 구조식

디메칠실데나필 (Dimethylsildenafil)

C23H32N6O4S (488.62)

실데나필의 methylpiperazine을 dimethylpiperazine

으로 변형

HN

N N N

S N

O O

HN

O O

<그림 11> 디메칠실데나필

잔소안스라필 (Xanthoanthrafil)

C19H23N3O6

(389)

기존 발기부전치료 제 성분과는 구조적 으로 상이하나 실데 나필과 유사한 작용 을 가진다는 보고가

있음 <그림 12> 잔소안스라필

하이드록시 바데나필 (Hydroxyvardenafil)

C23H32N6O5S (504.6)

바데나필의 ethylpiperazine을

hydroxy ethylpiperazine으

로 변형 <그림 13> 하이드록시바데나필

노르네오실데나필 (Norneosildenafil)

C22H29N5O4S (459.56)

실데나필의 methylpiperazine을 piperidine으로 변형

<그림 14> 노르네오실데나필

데메틸홍데나필 (Demethylhongden afil)

C24H32N6O3

(452.55)

홍데나필의 ethylpiperazine을 methylpiperazine으

로 변형

HN

N N N

O O

N

N O

<그림 15> 데메틸홍데나필

피페리디노- 아세틸데나필 (Piperidino- acetildenafil)

C24H31N5O3

(437.53)

홍데나필의 ethylpiperazine을 piperidine으로 변형

<그림16>피페리디노아세틸데나필

(8)

Ⅲ.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시약

가. 실험재료

본 연구의 재료로 대구세관과 인천공항세관에서 의뢰된 물품으로 캡슐에 충전된 분말상의 물질 2종을 사용하였다.

나. 시약

- Methanol : HPLC grade 사용

- 35% NH4OH : Extra pure grade 사용 - Dichloromethane : Extra pure grade 사용 - 3차 증류수

- Acetonitrile : HPLC grade 사용 - Formic acid : HPLC grade 사용

- Phosphoric acid : Extra pure grade 사용

- Sodium-1-hexane sulfonate : Extra pure grade 사용

다. 사용기기

- HPLC : Agilent 1200series with diode array detector - GC/MS : Shimadzu GC-MS QP-2010

- LC/MS : Waters Alliance 2695/Micromass ZQ - FT-IR : Nicolet instrument NEXUS

- 질소분석기 : LECO FP-528 - NMR : 건국대학교에 의뢰.

2. 시료의 선택

실험에 선택된 2종의 시료는 각각 대구세관과 인천공항세관에서 의 뢰된 시료이다. 대구세관에서는 4종의 시료를 인천공항세관에서는 17 종의 시료의 성분분석을 본 소에 의뢰하였다. 대구세관의 4종 시료 중

(9)

1종은 저담이, 2종에서는 실데나필이 검출되었고, 인천공항세관의 시료 에서는 2종에서 잔소안스라필과 아미노타다라필이 검출되었다.

대구세관의 나머지 1종 시료에서도 피크가 나타났으나 기존 발기부 전치료제 및 유사물질과는 다른 UV spectrum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유지시간이 다르긴 하지만 같은 spectrum을 나타내는 피크가 인천공항 세관의 의뢰시료를 분석하던 중에서 관찰되었다. 다른 근원에서 같은 spectrum이 나타난다면 이는 이런 구조의 물질을 일부러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하고, 이 2종의 시료가 신종 유사물질을 함유한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를 실험의 재료로 선택하였다.

3. 시료에서 유사물질의 분리

시료내의 유사물질을 free form으로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아 래와 같이 분리를 수행하였다. 대구세관 시료와 인천공항세관 시료를 각각 0.5144g과 1.4301g을 취하여 150ml의 3차 증류수를 붓고, NH4OH 를 가하여 pH를 10.2로 맞추었다. 이후 150ml의 dichloromethane으로 2회 추출하였다.(150ml×2회) dichloromethane층을 모아서 filter paper 로 거른 후 망초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감압증류기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이후의 실험에 수행할 유사물질의 샘플을 얻었다. 대구세관 시료에서 얻은 것(이하 compound A)은 methanol에 모두 녹았기 때문 에 그대로 사용하였고, 인천공항세관 시료에서 얻은 것은 일부가 불용 하였으므로 다시 filter하여 여액(이하 compound B)만을 사용하였다.

4. HPLC를 이용한 분석

- 기기 : Agilent 1200series with diode array detector - 컬럼 : Shiseido Capcellpak C18 (4.6mm×250mm, 5㎛) - 이동상 : A 및 B 용액을 기울기(gradient) 용리

A : 95% Acetonitrile2)

B : 0.1% Phosphoric acid and Sodium-1-hexane sulfonate3)

2) Acetonitrile : Water = 95:5 로 혼합한 용액

3) 0.1% Sodium-1-hexane sulfonate를 함유하는 0.1% Phosphoric acid 용액

(10)

Time(min) A% B%

Init 30 70

15 55 45

28 100 0

31 30 70

35 30 70

- 유속 : 1.2㎖/ min

- 검출기 : UV 291㎚ and DAD (190-400nm) - 시료주입량 : 20μL

- 컬럼온도 : 40℃

5. GC/MS를 이용한 분석

- 기기 : Shimadzu GC-MS QP-2010

- Column DB-5 MS (5% phenyl 95% dimethylpolysiloxane) 30m × 0.25mm × 0.25㎛

- Inlet temperature : 280℃

- Carrier gas : Helium

- Oven temperature : 100℃(3min hold) → 10℃/min to 150℃

→ 20℃/min to 320℃(40.5min hold) - Interface temperature : 290℃

- Ion source temperature : 200℃

- Ionization mode : EI4), 70eV

6. LC/MS를 이용한 분석

1) 기기 : Waters Alliance 2695/Micromass ZQ

2) Inlet 조건

- 컬럼 : X-terra MS C18 3.5um, 2.1mm×150mm - 이동상 : A 및 B 용액을 기울기(gradient) 용리

4) EI : 전자충격이온화(Electron Impact Ionization)

(11)

A : Acetonitrile with 0.1% Formic acid5) B : 0.1% Formic acid6)

Time(min) A% B%

Init 15 85

5 15 85

20 30 70

30 50 50

40 80 20

41 15 85

50 15 85

- 유속 : 0.2㎖/ min - 시료주입량 : 2μL - 컬럼온도 : 40℃

3) MS 조건

- 검출방식 : ESI+

- Ion Source Temperature : 120℃

- Desolvaton Temperature 350℃

- Nebulizing gas : N2

- Desolvation gas flow : 600L/hr - Capillary : 3.3kV

- Cone : 55V

- Extractor : 2.00V

7. FT-IR을 이용한 분석

- 기기 : Nicolet instrument NEXUS - KBr pellet으로 고체상에서 측정.

8. NMR을 이용한 분석

NMR 분석을 위하여 compound A, B의 샘플을 건국대학교에 의뢰 하여 1H-NMR, 13C-NMR, DEPT, HMQC 및 HMBC를 수행하였다.

5) Acetonitril에 Formic acid를 0.1% 비율로 혼합한 용액 6) 초순수에 Formic acid를 0.1% 비율로 혼합한 용액

(12)

Ⅳ. 결과 및 고찰

1. HPLC를 이용한 분석

주어진 분석조건에서 Compound A와 B 그리고 Sildenafil은 각각 12.847분과 13.780분 그리고 7.310분의 유지시간을 가진다.(그림 17) 그 림 18에서 보듯이 compound A와 B는 226nm, 295nm 그리고 355nm 에서 최대값을 가지는 매우 유사한 UV spetrum을 보이나 그림 19 의 Sildenafil의 UV spectrum과는 상이하다.

2. GC/MS를 이용한 분석

Sildenafil의 질량 스펙트럼(그림 20)과 compound A의 질량 스펙트 럼(그림 23의 맨 아래)을 비교하여 보면 99이하의 낮은 m/z값의 부분 은 매우 유사하고 100이상의 높은 m/z값에서는 compound A가 silde- nafil보다 약 16정도 큰 값들을 보인다. ( Ex. 404→420, 381→397, 311

→327, 283→299, 266→282)

Compound B의 경우(그림 25)에는 낮은 m/z값에서 99가 113이, 70 이 84가, 56이 70이 그리고 42가 56이 되면서 전체적으로 14정도 값이 증가하면서 homosildenafil, vardenafil(그림 21) 또는 dimethylsildena- fil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두 물질의 UV spectrum이 같고 compound A의 fragmentation 패 턴이 sildenafil과 유사한 것에서 이 두 물질이 발기부전치료제의 유사 물질일 수 있으며 compound A는 sildenafil보다 분자량이 16정도 크며 compound B는 여기에 다시 14가 더 커서 sildenafil 보다 30이 더 클 것이라 판단하고 이 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3. LC/MS를 이용한 분석

그림 27과 그림 29에서 compound A와 B는 각각 490.4과 504.4의 분자량을 가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sildenafil 보다 분자량이 각 각 16과 30이 더 클 것이라는 GC-MS 분석결과와도 일치한다. 이 후 에 분자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FT-IR과 NMR 분석을 수행하였다.

(13)

<그림 17. HPLC 크로마토그램>

<그림 18. UV Spetrum of compound A & B>

<그림 19. UV spectrum of sildenafil>

Sildenafil

A B

(14)

<그림 20. GC-MS spectrum of sildenafil>

<그림 21. GC-MS spectrum of vardenafil>

(15)

<그림 22. GC-MS chromatogram of compound A>

(16)

<그림 23. GC-MS spectrum of compound A>

(17)

<그림 24. GC-MS chromatogram of compound B>

(18)

<그림 25. GC-MS spectrum of compound B>

(19)

<그림 26. LC-MS chromatogram of Compound A>

<그림 27. LC-MS spectrum of Compound A>

(20)

<그림 28. LC-MS chromatogram of Compound B>

<그림 29. LC-MS spectrum of Compound B>

(21)

4. FT-IR을 이용한 분석

그림 31과 그림 32에서 보듯이 Compound A, B의 IR 스펙트럼에서 는 그림 30의 sildenafil의 IR 스펙트럼과 다르게 C=O에 해당하는 1700nm 부근의 강한 피크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로써 amide기의 O가 다른 것으로 바뀌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5. 질소원소분석

질소분석기를 이용하여 질소를 정량한 결과 compound A와 B에서 각각 17.8%, 16%의 질소가 정량 되었다. 각각의 분자량이 490.4, 504.4 이므로 질소분자의 개수로 환산하면 각각 6.24, 5.77이므로 둘 다 1분 자에 모두 6개의 질소원소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계산) 490.4 × 0.178 / 14 = 6.24, 504.4 × 0.160 / 14 = 5.77

6. NMR을 이용한 분석

가. Compound A

표 1에 compound A에 대한 1H-NMR, 13C-NMR, DEPT, 1H-1H COSY, HMQC 그리고 HMBC의 data를 정리하였다. 그림 33에서 그림 38까지 각각 compound A의 13C-NMR, DEPT, 1H-NMR, HMQC, HMBC 그리고 1H-1H COSY spectrum이다.

1H-NMR spectrum을 보면 sildenafil에서 amide에 해당하는 12.30(1H, br. s)에서 피크가 보이며, 이어서 벤젠고리에 붙어 있는 3개 의 proton에 해당하는 δH 8.68(1H, d), δH 7.69(1H, dd), δH 7.09(1H, d) 도 볼 수 있다. δH 2.98(4H, br, m), δH 2.38(4H, br, m)은 piperazinyl methylene이다.

13C-NMR와 DEPT 그리고 HMQC 스펙트럼을 종합해 보면 CH3가 4개, CH2가 7개, CH 3개, C가 7개 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우선 δC 13.9/δH 0.91(3H, t), δC 14.6/δH 1.61(3H, t), δC 39.2/δH

4.38(3H, s) 그리고 δC 45.6/δH 2.15(3H, s)이 짝지어 진다. 4쌍 모두 CH3 인데 앞의 두 쌍은 triplet이므로 옆에 H가 둘이 있어야한다. 이는

(22)

그림 50에서의 sildenafil의 13번과 21번의 위치에 해당하며 이는 대응 하는 자리의 sildenafil NMR data와도 통한다. δC 45.6/δH 2.15(3H, s)은 HMBC에서 δH 2.38(4H, br, m)와 짝지어지며 이것으로 보아 sildenafil 의 29번의 자리에 해당함을 그리고 나머지 한 쌍은 10번의 자리에 해 당함을 알 수 있다.

δC 27.5/δH 2.83(2H, t)와 δC 66.3/δH 4.29(2H, t)은 CH2이면서 주 변에 H가 각각 2개, 3개인 11번과 20번 자리에 해당한다. piperazinyl methylene인 δH 2.98(4H, br, m), δH 2.38(4H, br, m)은 각각 δC 45.8과 δC 53.9와 짝지어지는데 이는 sildenafil의 24/25, 25/27의 자리에 해당 한다. 이 들은 4개의 탄소지만 두개씩 대등한 관계이므로 피크는 2개만 나타난다. δC 22.0/δH 1.75(2H, m)은 나머지인 12번 자리에 해당하게 되 며 이때 H-NMR은 주변의 5개의 H에 의해 다수의 피크를 나타내게 된 다.

δC 113.2, δC 130.4, δC 131.8은 aromatic proton인 δH 7.09(1H, d), δH 8.68(1H, d), δH 7.69(1H, dd)와 짝지어지며 이는 sildenafil 분자내의 벤젠고리에 있는 18번, 15번, 17번의 위치와 대응된다. 나머지의 탄소 (quaternary carbon)들은 HMBC의 data에 근거하여 자리를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1에 정리된 내용임.) 그림 41과 그림 42에서 COSY와 HMBC 결과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sildenafil의 NMR data와 compound A의 data를 비교 하여 볼 때 Sildenafil에서 4번, 8번, 9번에 해당하는 자리에서 큰 화학 적 이동의 차이가 보이며 나머지는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더불 어 FT-IR 스펙트럼에서 C=O가 보이지 않고, 분자량이 sildenafil보다 16이 더 큰 것을 종합하여 compound A는 sildenafil의 C=O가 C=S로 바뀐 유사물질이라 추정할 수 있었다.(그림 40)

(23)

<표 1. NMR correlation of compound A>

No. 13C 1H COSY HMBC 13C(sildenafil) 1H(sildenafil)

1 146.2 - - H-11/H-12 145.0 -

4 171.5 - - - 153.8 -

5 - 12.3 (1H, s) - - - 12.16 (1H, s)

6 145.9 - - - 148.1 -

8 133.6 - - H-11 137.8 -

9 132.1 - - H-10 124.4 -

10 39.2 4.38 (3H, s) - - 37.9 4.14 (3H, s)

11 27.5 2.83 (2H, t) H-12 H-12/H-13 27.2 2.76 (2H, t) 12 22.0 1.75 (2H, m) H-11/H-13 H-11/H-13 21.7 1.73 (2H, m) 13 13.9 0.91 (3H, t) H-12 H-11/H-12 13.8 0.94 (3H, t)

14 128.7 - - H-18 126.3 -

15 130.4 8.68 (1H, d) - H-17 130.0 7.86 (1H, d)

16 119.5 - - H-18 123.7 -

17 131.8 7.69 (1H, dd) H-18 H-15 131.5 7.84 (1H, dd)

18 113.2 7.09 (1H, d) H-17 - 113.4 7.38 (1H, d)

19 159.4 - - H-15/H-17 160.0 -

20 66.3 4.29 (2H, q) H-21 H-21 65.0 4.21 (2H, q)

21 14.6 1.61 (3H, t) H-20 H-20 14.3 1.33 (3H, t)

24, 28 45.8 2.98 (4H, m) H-25/H-27 H-25/H-27 44.9 2.97 (4H, m) 25, 27 53.9 2.38 (4H, m) H-24/H-28 H-24/H-28 53.0 2.59 (4H, m)

29 45.6 2.15 (3H, s) - - 44.3 2.29 (3H, s)

나. Compound B

NMR data를 분석하기 전에 우선 살펴보면 compound B는 UV spectrum이 compound A와 매우 유사하므로 구조적으로도 유사하리라고 예측 할 수 있다. 여기에 GC/MS의 질량 스펙트럼이 낮은 m/z 값 부분 (piperazine부분)에서 homosildenafil이나 vardenafil, dimethylsildenafil과 유사한 점과 그 부분의 차이가 compound A와 compound B의 차이인 14 인 점으로 보아 compound B는 compound A의 methylpiperazine이 ethylpiperazine이나 dimethylpiperazine으로 변형된 것이라 추측할 수 있 다.

Compound B에 대한 1H-NMR, 13C-NMR, DEPT, 1H-1H COSY, HMQC 그리고 HMBC의 spectrum의 noise가 심하여 해석에 무리가 있었다. 이유로 compound B의 NMR은 추후에 다시 수행할 예정이다.

(24)

Ⅴ. 결론

최근에 개정된 식품중의 발기부전치료제와 그 유사물질에 관한 고 시는 기존에 고시된 물질이 아니라도 구조에 유사성이 있다면 그 물질 을 규제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처럼 의심되는 물질 을 외부에 의뢰하고 구조가 확인되어 그 결과를 통보 받은 후 규제를 하기에는 시간상 무리가 있다. 더욱이 개인이 휴대하여 들여오는 것이 아닌 대량으로 수입을 하려는 경우 규제하는데 시간이 걸릴 경우 문제 가 생길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신종물질이 포함된 물품이 관세 선을 통과하여 국내에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본 소 역시 신종 의 유사물질이 분석시료에 존재 할 때 그 존재 여부와 발기부전치료제 와의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발기부전치료제와 특성을 달리하여 신종 발기 부전치료제 유사물질로 의심되는 2종의 물질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분 석해 보았다. 1종은 sildenafil과 유사함을 다른 한 종은 homosildenafil 또는 dimethylsildenafil과 유사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대하여 는 앞으로 연구를 더 진행하여 그 구조를 완전히 밝히고 이 연구를 더 보완하여 본 소가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포함된 시료의 분석 의뢰가 있을 시 그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야 할 것이다.

(25)

<그림 30. FT-IR spectrum of sildenafil>

<그림 31. FT-IR spectrum of compound A>

<그림 32. FT-IR spectrum of compound B>

(26)

<그림 33. 13C-NMR spetrum of compound A>

<그림 34. DEPT spectrum of compound A>

(27)

<그림 35. 1H-NMR spetrum of compound A>

<그림 36. 1H-NMR spetrum of compound A>

(28)

<그림 37. HMQC spectrum of compound A>

<그림 38. HMBC spectrum of compound A>

(29)

<그림 39. 1H-1H COSY spetrum of compound A>

<그림 40. Compound A의 추정구조>

(30)

<그림 41. Compound A의 1H-1H COSY>

<그림 42. Compound A의 HMBC>

(31)

<그림 43. 13C-NMR spetrum of compound B>

<그림 44. DEPT spectrum of compound B>

(32)

<그림 45. 1H-NMR spetrum of compound B>

<그림 46. 1H-NMR spetrum of compound B>

(33)

<그림 47. HMQC spectrum of compound B>

<그림 48. HMBC spectrum of compound B>

(34)

<그림 49. 1H-1H COSY spetrum of compound A>

<그림 50. Sildenafil의 구조>

(35)

□ 참고문헌

1.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중 부정유해물질 분석메뉴얼, 2005

2. 식품의약품안전청, Anti-impotence Drugs and Analogues in Food, 2004

3. 최동미 외, 식품 중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 분석, 분석과학회 지, 17(6), 2004, p. 520~526

4. 식품의약품안전청, KFDA Library of IR, MS & NMR Spectra - Anti-impotence drugs and analogues 1st Ed, 식품의약품안전청, 2005

5. 한상범 외, 부정유해물질 탐색 및 확인 - 연구결과보고서, 식품의약 품안전청, 2005

6. 강태범 외, 식품중 부정첨가 유해물질 규명 - 연구결과보고서, 식품 의약품안전청, 2004

7. 한규희 외, 건강건강기능식품류에 함유된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 질 분석, 중앙관세분석소 분석기술연구발표집, 2005, p. 103~138 8. 윤도원 외,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

중앙관세분석소 분석기술연구발표집, 2006, p. 153~181 9. M. Hesse 외, 유기분광학, 1989, p. 41-277

10. T. w. Graham Solomons, 유기화학, 1992, p. 529-609

11. Peng Zou 외,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ynthetic phosphdiesterase-5 inhibitors found in a dietary supplement and pre-mixed bulk powder for dietary supplemen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2006

12. Kuo-Chih Lai 외,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ildenafil analogue illegally added in dietary supplements, 2006

13. Mei-Chin Lin 외, Identification of a sildenafil analogue adulterated in two herbal food supplements, 2006

14. L. Blok-Tip 외, Structure elucidation of sildenafil analogues in herbal products, 2004

참조

관련 문서

 정지운전 모드에서 장기 교류전원상실 사고 연구 수행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Operator Response to Extended Loss of AC Power in Modes 4, 5 and 6,

국내에서의 발파진동에 대한 연구 중 주파수와 관련된 발파진동의 연구 결 과를 살펴보면 임한욱( 1992) 등은 발파진동의 크기와 주파수 특성에 관한 연 구를 시행하였으며

3) 민성길 , 이창호 , 김주영 , 심은지.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 The total current in bulk solution is given by.. 4.3 MIXED MIGRATION AND DIFFUSION NEAR AN ACTIVE ELECTRODE. 2)

위한 코드(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Dangerous Chemicals in Bulk; IBC Code), 국제 액화가스 운송선의 구조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Effect of various sources of dietary additiv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1 challenge test survival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eevaluation

Simultaneous Measurements of the Wake Flow of a Circular Cylinder with a Flexible Film and Its Motions 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