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윤성민 - 한국 멜로드라마 계보에서의 로맨틱코미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윤성민 - 한국 멜로드라마 계보에서의 로맨틱코미디"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멜로드라마 계보에서의 로맨틱코미디

윤성민1)

Ⅰ.서론

Ⅱ.본론 1. 멜로드라마 2. 로멘틱코미디

3. 로맨틱 코메디의 사회/문화적 함의 4. 전복된 캐릭터

Ⅲ.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혼용을 통한 변주, 로맨틱코미디

Ⅰ. 서론

모든 영화들을 정해진 장르들로 명확하게 분류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다. 초창기의 영화들조차도 하나의 장르로 언급하는데 많은 논의를 낳는 것이 사실일지인데 복잡다단한 현대의 영화들을 장르라는 기준으로 분류 하는 것은 더욱 큰 어려움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아직까지도 장르는 유용한 분류 방식으로 인식된다. 왜냐하면 장르는 복합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영화 장르의 강점은 스타일적 도구나 메 타포를 통해서 대부분 나타나는데, 이는 영화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관 계에 연결점을 만들어주는 특별한 능력 이다. 장르는 물질이 제작자로부 터 감독에게로, 산업에서 배급자와 상영자, 그리고 관객들에게로 움직이

1) 경희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박사과정

논문투고일 : 2015.11.15 심사완료일 : 2015.12.05. 게재확정일 : 2015.12.14

108

게 하는 구조이다.2)

이러한 장르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영화에 대한 장르적 접근은 텍스트 와 컨텍스트를 아우르는 유용한 방법론이 아닐 수 없다. 장르적 접근이라 는 방법론을 통한 영화 연구에서 생산자와 관객, 그리고 영화 텍스트는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한때 영화를 장르 적으로 이해한다는 말은 다른 것과 비교해 한 작품에 어떤 공통적 요소 가 담겨있는지 살펴보는 것이기에 많은 비평가들에게는 ‘공식’을 적용한

‘기획영화’로 경멸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3) 그러나 알트만의 주장대로 장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장르를 텍스트 자체에만 집중한 방법론으로 폄하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생산자와 관객, 그리고 영화 텍스트의 복합적인 관계와 영화를 통해 사회적, 문화적 맥락 을 살펴보는 데에는 더없이 유용한 방법론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영화를 단순히 생산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장르의 개념이 생겨나게 된 계기와 발전시킨 결정적인 원인은 영화를 상 품으로 판단하고 상품에 대한 이익 창출을 위해 장르를 이용한 것은 누 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며, 이러한 장르의 용도는 다시 역으로 영화를 단순히 상품으로 취급하는데 한 몫 할 것이다. 그러나 장르는 시대 및 사 회 변화의 흐름에서 관객의 요구에 따라 변화해 왔다. 게다가 영화는 산 업과 문화의 복합적 산물이며 단순한 상품으로만 취급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한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

관객은 친숙한 관습을 인지하고, 그것의 반복을 즐기기4) 때문에 생산 자들은 이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객은 그 속의 혁신성과 독창성 을 발견하는 데서 새로운 스릴을 느끼며 장르 영화는 친숙함과 독창성, 반복과 혁신, 예측 가능성과 불가측성 사이의 매우 복잡하고도 미묘한 균 형을 성취해 나가면서 변화하고 진화한다.5) 이러한 변화와 진화에서 산 업적인 고려와 사회, 문화적인 영향을 빼놓고 영화 텍스트 자체만의 연구

2) Rick Altman , 『Film / Genre』, British Film Institute, 1999, p.14~p.15.

3) 조종흡, 「장르, 헤게모니 그리고 관객」,『영화연구』20호, 2000, p.344.

4) 김정현,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장르적 관습과 변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p.4.

5) 김정현, 위의 논문, p.5.

(2)

는 무의미 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장르가 변화하고 진화하는 것은 관객의 취향과 선호가 변하기 때문인 것이며 관객의 취향과 선호가 변하는 것은 시대와 문화가 변하기 때문인 것이다.

그렇다면 시대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한국의 관객의 취향과 선호는 어떻게 변하였는가?

그랜트(Barry Keith Grant)는 전 세계의 영화제작자들은 할리우드 장 르를 받아들이고 토착화 시키거나 그들 고유의 문화적 감수성에 따라 제 작업 함으로써 지배적인 미국영화에 반응해 왔다고 주장하며 한국의 경 우에 멜로드라마를 꼽고 있다.6) 그의 주장이 옳고 그름을 떠나 어떠한 장르 영화가 지속적으로 생산, 소비되는 것이 관객의 지지 여부에 달려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며 한국에서 멜로드라마는 한국 관객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제작되어진 장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처럼 한국 영화에서 멜로드라마가 지속적으로 관객과 소통하며 제작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시대가 변함에 있어서도 새로이 대중의 공감과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앞서 말하였듯 장르가 시대와 문화 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고 진화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멜로 드라마 뿐 만 아니라 모든 장르가 마찬가지일 것이다.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에서 다 층/다각화된 관객의 취향과 선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영화 장르가 활용 되는 부분은 바로 혼용을 통한 변주이다. 이미 오래전부터 장르가 하나의 범주로 규정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현대의 영화는 그 양상이 더 욱 뚜렷하며 오히려 그러한 장르의 혼용을 통한 변주를 의도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2000년대 이후의 한국 영화에서 멜로드라마의 장르 혼용을 통한 변주를 살펴봄으로써 영화연구에서 장르적 접근이 어떠한 의의를 지니며 또한 그런 접근을 통해 한국 영화 산업이 사회 문화적으로 어떠한 맥락 을 가지고 있는지 짚어보고자 한다.

6) Barry Keith Grant, Film Genre : From Iconography To Ideology, Wallflower Press, 2007, p.105.

110

Ⅱ.본론

1. 멜로드라마

한국의 멜로드라마는 주로 여성의 ‘사랑’, ‘희생’, ‘모성’ 등 관습적 장치 들이 사회적, 가부장적 지배이데올로기를 관통하며 ‘슬픔’, ‘운명’, 그리고

‘과잉’의 장치들로 귀결되는 경향을 보인다.7) 이러한 관습적 장치들만을 지닌 전형적인 멜로드라마는 90년대 후반 이후 찾아보기 힘들어 진다.

<편지>의 경우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의 공식들을 따라가고 있지만 오히 려 새로운 멜로드라마들의 시도에 비춰 퇴행이라는 평가를 받는다.8)

<편지>의 경우를 제외한다면 90년대 후반 멜로드라마는 확실한 변화를 갖게 된다.

많은 분석들에서 멜로드라마가 전형적인 관습적 장치에서 벗어나 있음 을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양상은 장르가 그 전형의 한 곳에만 머물 수 없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다. 멜로드라마의 계보에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멜로드라마의 관습적 장치들은 다른 장르에서도 나타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러한 양상이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에 활발하게 보여 지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50년대의 <자 유부인>(1956)에서 80년대의 <칠수와 만수>(1988) 까지 멜로드라마는 시대 상황에 맞게 그 양상을 바꾸어 가며 꾸준히 등장하였고 90년대는 본격적으로 멜로드라마가 변모를 하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90년대 멜로드라마의 변화는 멜로드라마의 계보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카테고리를 가질 수 있는 로맨틱 코미디라는 장르가 시도 된다.

2. 로맨틱 코미디

7) 김정현, 앞의 논문, p.12.

8) 김시무, 「한국 멜로드라마의 새로운 경향-<접속>, <편지>, <8월의 크리스마스>」,『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유지나 외, 뉴미디어 총서, 1999.

(3)

로맨틱 코미디는 용어상 연애담인 로맨스와 우스개라는 코미디의 합성 어지만 서양이나 한국의 영화용어 사전에 공식적으로 채택된 장르상의 용어는 아니다.9) 또한 90년대의 로맨틱 코미디는 단순히 시대적인 상황 과 관객들의 정서를 밑바탕으로 하여 탄생한 자생적인 장르는 아니었으 며 멜로드라마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멜로드라마는 1990년대에 이르러 코미디 장르와 결합하게 되었고 새로운 로맨틱 코미디라는 장르로 변형 되게 된 것이다.10) 90년대에 <결혼이야기>의 성공으로 <닥터봉>, <미 스터 콘돔>, <찜>, <미술관 옆 동물원>등 로맨틱 코미디가 연이어 제 작된다. 멜로드라마와 코미디의 장르적 결합은 비극적인 정서는 희극적인 정서로 변하고 ‘사랑’을 플롯축으로 하여 해피엔딩의 결말을 갖게 되었 다.11)

이후 2000년대를 넘어서며 멜로드라마와 결합하였던 코미디는 조폭이 라는 소재와 결합, 조폭 코미디라는 새로운 양상을 만들어 낸다. <신라의 달밤>(2001), <두사부일체>(2001), <달마야 놀자>(2001), <조폭마누 라>(2001) 등의 성공 속에서 로맨틱 코미디의 명맥을 이어온 작품이

<엽기적인 그녀>(2001)이다. 이후 한국 영화는 시장 점유율 50% 라는 성장가도를 달리며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지만 많은 관객들이 선택한 작 품은 멜로드라마와 코미디가 결합한 로맨틱 코미디가 주를 이룬다.

멜로드라마와 코미디적 요소의 결합이 로맨틱 코미디를 만들어 내었고 이러한 양상의 영화가 전형적인 멜로드라마 못지않은 장르적 영향력을 가진 다는 것은 2000년대 이후의 영화에서 더욱 명확하게 보여 진다. 조 폭코미디는 코미디에 단순히 조폭이라는 소재를 결합하였고 또한 지속적 으로 관객이 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조폭코미디는 2000년 초반 이후 급격히 줄어든다. 조폭이라는 소재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이는 역시 하나의 장르 카테고리로 다루기엔 부족한 감이 있다. 코미디와 결합하던

9) 유지나, 「90년대 로맨틱 코미디의 욕망기계 장치, 그 전략과 음모」,『영화연구』11호, 1996, p.120.

10) 최미숙, 「한국 기획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관한 연구-2001~2003년 한국영화 흥행작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p.31.

11) 서곡숙, 「2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좋은 사람 있으면 소개시켜줘>와

<오!해피데이를 중심으로-」,『영화연구』26호, 2005, p.211.

112

소재는 액션과 복고, 혹은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적 관습과 결합하는 것을 반복 할 뿐 관객들에게 커다란 호응을 얻어내지는 못하였다.

3. 로맨틱 코미디의 사회/ 문화적 함의

앞서 간략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로맨틱 코미디는 멜로드라마의 계보 에서 전통적인 관습들과 코미디적 요소의 결합으로 꾸준히 존재해 왔다.

이는 장르적 접근에서 영화가 관객과 어떻게 소통하며 어떻게 산업적 특 징을 드러내가를 보여주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로맨틱 코미디 가 지니는 가치가 단순히 산업적인 측면 하나일 뿐인 것인가이다. 영화가 단순히 상품으로써 이익 창출의 목적으로만 존재한다면 로맨틱 코미디는 충분히 가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덧붙여 로맨틱 코미디는 사회/ 문 화적인 함의를 가지는 것 또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로맨틱 코미디 가 관객에게 꾸준히 사랑받고 이에 따라 제작자들도 생산을 소홀히 하지 않는 데는 상품으로서의 가치만 있기 때문은 아니라는 것이다.

로맨틱 코미디가 재현해 내고 있는 여러 가지 양상들은 사회/ 문화적인 함의를 지니고 있다. 관객들은 이 점을 절대 간과하지 않았던 것이다. 50 년대 더글라스 서크의 일련의 멜로드라마들이 주목받게 되면서 이데올로 기적 갈등을 해결할 순 없지만 내부의 모순을 노출하는 텍스트 속에서 이에 대한 비판의 단서를 제공하고 있는 멜로드라마 장르의 가치가 재평 가 되었던 것처럼12) 지금 한국 영화의 로맨틱 코미디는 같은 기능을 해 내고 있다.

<결혼이야기>의 성공 이후 로맨틱 코미디는 남성 못지않은 사회적 욕 구를 가진 젊은 여성들의 심리화 젊은 세대의 일, 사랑, 성 등을 솔직하 게 담아낸 것이 관객들의 호응을 얻게 되었다.13) 이후 2000년대에 <싱 글즈>(2003)에 이르러서는 조금 더 대담해 진다. 사회가 정해놓은 성역 할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캐릭터들을 통해 동거, 싱글맘이라는 소재들을

12) 김정현, 앞의 논문, p.1.

13) 조종흡,『장르 혼합현상에 나타난 산업과 관객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영화진흥위원회,2004, p.34.

(4)

더욱 솔직하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싱글즈> 이전에 로맨틱 코미디의 절정은 <엽기적인 그녀>일 것이다. <엽기적인 그녀>의 경우 코미디 속에 수용되는 역전된 성역할은 가히 진보적이라 할 만 하다.

이 세 작품의 간략한 내용과 캐릭터 정보만을 보아도 단순한 상업적 결과물로 로맨틱 코미디를 다룰 수만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로맨틱 코 미디는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장 잘 담을 수 있고 또한 그 장르적 특성 때문에 어렵지 않게 사회 문제를 언급할 수 있는 장르가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관객에게 어렵거나 무겁지 않게 그러한 사안들을 소통할 수 있 는 장치라는 점에서 어떠한 장르보다 진보적일 수 있다.

<싱글즈>와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동갑내기 과외하기>(2003)의 경 우도 앞서 언급했던 영화들에서의 전복적인 캐릭터가 어김없이 등장한다.

동갑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자주인공인 수완은 고등학생인 동갑내기 남 자주인공 지훈을 가르친다. 영화에서 재현되는 둘의 모습은 기존의 가부 장제적 성역할을 유쾌하게 뒤집는다. 당차고 똘똘한 수완과는 다르게 철 없이 부모님의 카드에 의지하고 하는 지훈의 모습은 한심하고 마초적이 기만 한 남성의 모습일 뿐이다. 하지만 이 둘의 모습은 전혀 거부감 없이 웃음의 코드로 받아들이게 된다. 똘똘한 여성과 한심한 남성은 과장으로 보이지 않으며 유쾌하게 가부장제의 고정된 성역할에 비웃음을 제공한다.

멜로드라마와 로맨틱 코미디에서 성역할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어 왔 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달콤, 살벌한 연인>(2006)은 진보적 텍스트로 서의 로맨틱 코미디에 새로운 논의를 제공한다. 황진미의 경우, 죄의식도 모성애도 없는 여성킬러가 적극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며 처벌도 받지 않 는 이 영화가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매우 위협하고 있음을 지적한 다.14) 영화에서 미나의 캐릭터는 적극적으로 자기의 행복을 추구하며 죄 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라진 도덕적 비학을 대신하는 것은 행복에 대 한 욕구이며 <인디안 썸머>나 <로망스>에서와 같은 병적 자기학대주의 와 극명하게 비교된다.15)

14) 황진미, 「그녀의 무한한 자기 긍정에 경배를! 달콤, 살벌한 연인」,『씨네 21』548호, 2006.

실제로 영화가 개봉할 당시 『씨네 21』에서는 「마초잡는 여인들의 맞춤 병기」라는 기획 기사가 쓰여 지기도 하였다.

114

가장 최근의 작품을 살펴본다면 아마도 <뜨거운 것이 좋아> 일 것이 다.16) 이 작품은 앞서 언급했던 <싱글즈>의 권칠인 감독의 작품이다.

“내숭은 끝났다”는 메인 홍보 카피처럼 현대 여성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만 한 점은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의 목 소리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40대, 20대 후반 그리고 10대 여 성의 속마음을 거침없이 드러내고 있다. 40대 엄마의 일과 사랑, 20대 후 반 여성의 주체성과 결혼, 10대 여고생의 성적 판타지 등 각 세대만이 느낄 수 있을 법한 사건들을 통해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고 있는 이 사 회의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영미에게 찾아온 폐경이라는 사건은 이 시대의 어머니들에게 여성으로 써 존재할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일 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 영미 가 폐경을 경험하는 양상은 영미 세대의 관객들에게 마지막 보루로 다루 던 폐경과 그럴 수밖에 없는 사회 현실을 비판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20 대 후반의 능력 없는 영미에게 닥친 시련, 그리고 이 사회의 잣대가 재어 놓은 그럴 듯한 결혼 상대자의 등장은 영미를 고민에 빠뜨리지만 영미는 과감하게 모두다 떨쳐버리고 자신의 길을 찾는다. 그 과정에서 영미가 느 끼는 감정들이나 반응들은 이제는 진부해 져 버린 이 시대의 모든 여성 들이 한 번쯤은 꿈꾸던 모습이다. 그리고 10대인 강애의 부분에서는 조 금은 조심스러운 동성애적 코드가 등장하는데 영화는 10대 청소년의 성 적 판타지로 그려내면서 거부감 없이 다루고 있다.

영화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남녀 간의 사랑이라는 큰 플롯 축을 웃음이라는 코드로 다루고 있다. 게다가 웃음이라는 코드가 작동하는 곳 이 그 사랑이 이루어지는 사회/ 문화적 배경 안에서라는 것이다.

4. 전복된 캐릭터

15) 김정현, 앞의 논문, p.48.

16) 흥행 면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작품들과 많은 차이를 보이겠지만 최근의 한국 영화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이 작품이 진보적 텍스트로서 로맨틱 코미디를 예증하는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5)

몇몇의 텍스트를 간략하게 살펴 본 결과 로맨틱 코미디를 진보적인 것 으로 판단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남녀의 전복된 캐릭터일 것이다. 90 년대 후반부터 한국 멜로드라마에서 보여 지기 시작한 ‘남녀의 전복적 재 현’은 2000년대 중반에 와서는 관객이 눈치 채기도 전에 곳곳에서 다층 적, 다각적으로 작용한다. 어느새 멜로드라마의 필수 구성 요소가 되고 있는 남녀의 전복적 재현은 사회적,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약화시키고 개인 주체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수면위로 불러들였다.17)

멜로드라마의 계보에서 로맨틱 코미디는 이러한 전복된 캐릭터를 드러 내는데 효과적인 장치가 아닐 수 없다. ‘사랑’이라는 변함없는 인간의 주 제와 웃음이라는 코드는 멜로드라마가 이데올로기에 도전하는데 텍스트 만이 아닌 관객이라는 동반자를 맞이하는데 든든한 돌다리가 되어 주기 때문이다. 관객을 전복된 캐릭터를 웃음으로 받아들이며 현실에서와는 역 전된 상황과 적극적으로 드러난 개인의 욕망을 직면하지만 그 웃음으로 전혀 불편해 하지 않는다.

Ⅲ. 멜로드라마의 장르적 혼용을 통한 변주, 로맨틱 코미디

내러티브 정형과 장르 관습이 관객들에게 직접적인 사회적 메시지, 즉 이데올로기를 전달하고 강화하는 시기가 지나고 장르가 진화할수록, 관객 들은 자신의 입장과 관점으로 작품을 받아들이고 해석한다. 18) 이 점은 장르들이 기존의 가치관을 강화하는 만큼이나 그것을 비판하고 그것에 도전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음과도 상통하는데 장르들은 동일한 내러티브 컨텍스트 내에서 문화적 가치 체계와 믿음과 이상을 강화하기도 하지만 비판하기도 때문이다.19)

멜로드라마는 50년대 <자유부인>을 통해서, <미워도 다시 한번>으로

17) 김정현, 앞의 논문, 2007, p.63.

18) 김정현, 위의 논문, p.56.

19) 토마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 허문영 역, 한나래, 1996, p.66.

116

대표되는 60~70년대 멜로드라마 절정기를 통해서, 80년대 호스티스 영 화들을 통해서 새로운 시도와 변주를 통해 사회의 모습을 가장 적극적으 로 드러냈다. 이러한 흐름은 멜로드라마가 새로운 소재와 결합하여 변모 했지만 결국 멜로드라마라는 자체의 범주 안에서의 변주일 뿐이었다. 또 한 멜로드라마의 비합리적인 전개, 억지스러운 눈물 짜내기, 유치한 결말 들은 멜로드라마가 사회의 모습을 가장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관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소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저평가 된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90년대 말에서 2000년대를 넘어서며 한국 영화는 고도의 성장 을 보였고 더불어 늘어난 제작 편수는 더 이상 멜로드라마 내에서의 변 주로만은 감당 할 수 없는 배경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멜로드라마는 코미디라는 장르와 혼용되어 커다란 변화를 갖게 된다. 이러한 장르 혼용 을 통한 멜로드라마 장르의 변주는 코미디라는 장르적 요소를 다른 장르 와도 결합하게 하고 혹은 멜로드라마가 그랬던 것처럼 코미디 자체와 다 양한 소재를 결합하는 현상까지도 만들어 낸다.

멜로드라마는 한국 영화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영화들에서 공통 적으로 발견한 수 있는 부분이 아닐 수 없다. 특히 할리우드의 경우와 비 교를 하자면 시장 규모의 차이로 멜로드라마 이외 에도 다양한 장르가 공존 할 수 있는 배경을 지니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엔 아무리 성장했다 하더라도 할리우드처럼 시장의 크기로 인하여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기에 는 무리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초창기부터 꾸준히 관객들에게 소비 되었 던 한국의 멜로드라마는 그 의미가 할리우드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영화의 장르적 양상은 전통적인 관습들과 코미디가 결합한 로맨틱 코미디로써 멜로드라마의 계보를 잇고 있다. 게다가 과거 멜로드 라마의 비판적 요소들을 장르적으로 극복하고 있으며 오히려 더욱 진보 적인 텍스트로 평가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관객의 힘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전통적인 관습들로 이루어진 멜로드라마를 관객들은 원하지 않았고 이 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일련의 소재주의 영화들도 그 명맥을 오래 하진 못하였다. 대신 전복적인 캐릭터를 통해 관객들은 쾌감을 느끼고 그

(6)

러면서 자신들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영화 속에 자리 매김한 멜로드라 마의 관습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즉, 로맨틱 코미디는 멜로드라마의 계보 유지를 통해 안정성을 보장받고 전복적인 캐릭터를 통한 웃음은 관객을 통하여 사회/ 문화적 배경을 영화 속에 투영하는 장 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8

■ 참고문헌

<저서>

유지나 편저,『멜로 드라마란 무엇인가』, 뉴미디어 총서, 1999.

조종흡·영화진흥위원회,『장르 혼합현상에 나타난 산업과 관객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영화진흥위원회, 2004.

토마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 허문영 역, 한나래, 1996, Rick Altman , 『Film / Genre』, British Film Institute, 1999,

Barry Keith Grant, 『Film Genre : From Iconography To Ideology』, Wallflower Press, 2007.

<논문>

김정현,「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장르적 관습과 변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서곡숙,「200년대 전반기 로맨틱 코미디영화의 인지전략 분석-<좋은 사람 있 으면 소개시켜줘>와 <오!해피데이를 중심으로-」,『영화연구』26호, 2005.

유지나,「90년대 로맨틱 코미디의 욕망기계 장치, 그 전략과 음모」,『영화연 구』11호, 1996.

조종흡,「장르, 헤게모니 그리고 관객」,『영화연구』20호, 2000.

최미숙,「한국 기획영화의 장르적 특성에 관한 연구-2001~2003년 한국영화 흥행작을 중심으로-」,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그외 자료>

황진미, “그녀의 무한한 자기 긍정에 경배를! 달콤, 살벌한 연인”, 《씨네 2 1》,548호, 2006.

(7)

■ 국문초록

한국 멜로드라마 계보에서의 로맨틱코미디

윤성민

장르라는 특수한 특성을 감안한다면 영화에 대한 장르적 접근은 텍스 트와 컨텍스트를 아우르는 유용한 방법론이 아닐 수 없다. 장르적 접근이 라는 방법론을 통한 영화 연구에서 생산자와 관객, 그리고 영화 텍스트는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 한국 영화의 장르적 양상은 전통적인 관습들과 코미디가 결합한 로맨틱 코미디로써 멜로드라마의 계보를 잇고 있다. 게다가 과거 멜로드라마의 비판적 요소 들을 장르적으로 극복하고 있으며 오히려 더욱 진보적인 텍스트로 평가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관객의 힘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전통적인 관습들로 이루어진 멜로드라마를 관객들은 원하지 않았고 이 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일련의 소재주의 영화들도 그 명맥을 오래 하진 못하였다. 대신 전복적인 캐릭터를 통해 관객들은 쾌감을 느끼고 그 러면서 자신들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영화 속에 자리 매김한 멜로드라 마의 관습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즉, 로맨틱 코미디는 멜로드라마의 계보 유지를 통해 안정성을 보장받고 전복적인 캐릭터를 통한 웃음은 관객을 통하여 사회/ 문화적 배경을 영화 속에 투영하는 장 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주제어 : 한국영화, 장르, 멜로드라마, 로맨틱코미디, 변주

120

■ Abstract

Study on Romantic Comedy of Korean Film Industry

Yun, Sung Min

Romantic Comedy remains one genre where the film industry, the casual moviegoer, and film scholars all agree regarding classification.

That is producers overtly markets certain films as romantic comedies and we accept that label as an accurate description. Romantic comedy films are films with light-hearted, humorous plot lines, centered on romantic ideals such as that true love is able to surmount most obstacles. One dictionary definition is a funny movie, play, or television program about a love story that ends happily. Another definition states that its primary distinguishing feature is a love plot in which two sympathetic and well-matched lovers are united or reconciled.

Romantic comedy films are a certain genre of comedy films as well as of romance films, and may also have elements of screwball comedies and stoner comedies. Some television series can also be classified as romantic comedies.

Key words : korean movie, genre, romantic comedy, melodrama, variation.

참조

관련 문서

 you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Bernoulli equation for frictionless flows and should be able to apply to relevant fluid flows that are

Most submerged lamp system have a fundamental fouling problem and due to the absorption of UV light by fouling materials on the quartz sleeve, germicidal power of UV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whether student’s planned behaviors such as albeit, internship, getting some certification are to be related

international exchange of South Korean films, korean films in the 2000s, korean domestic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korean films in overseas film

Learning Korean is essential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ive in Korea with fewer obstacles. Fortunately, there are many institutions in Korea offering Korean language

The most important part of reading classes designed to foster critical literacy is to create student-centered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ould raise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school section that needs to be improved first and is the most basic out of the different issued related to the high school equalization such

As examined above, based on the type changes this study confirmed that &lt;Seoyukyonmunrok&gt; has plenty of 'aaba' type structures and most lines 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