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4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2 0 2

2020년 2월 석사학위 논문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노드 배치 및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퀀

조선대학교 대학원

(3)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노드 배치 및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udy of Efficient Node Deployment and Quantizer Design Algorithms for Sequence-Based Localization (SBL) Systems

2020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박 현 홍

(4)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노드 배치 및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김 윤 학

이 논문을 공학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9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5)
(6)

목 차

도 목 차 ……… ⅱ

ABSTRACT ……… ⅲ

제1장 서 론 ……… 1

제2장 위치추정 시스템 ……… 4

제1절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 ……… 5

제3장 노드 배치 알고리즘 ……… 6

제1절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 ……… 9

1. 노드 배치를 위한 가이드라인 결정 ……… 9

2. 노드 위치 선택 ……… 11

제2절 시뮬레이션 ……… 13

제4장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 18

제1절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 19

1. 표본 추출 및 시스템 복잡도 감소 (SBL Q #1) ……… 19

2. 위치할 확률을 고려한 표본 추출 (SBL Q #2) ……… 20

3. 검색 알고리즘 ……… 21

제2절 시뮬레이션 ……… 23

제5장 결 론 ……… 29

Reference ……… 30

(7)

도 목 차

그림 2.1.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 분할 및 고유 시퀀스 표기 방법 … 4 그림 2.2.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 분할 및 고유 시퀀스 표기 방법 … 5 그림 3.1. 노드를 무작위로 배치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분할 …… 8 그림 3.2. 노드 배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노드를 배치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분할 ……… 8 그림 3.3.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찾은 각 클러스터 경계면 ………… 10 그림 3.4. 이분법을 이용하여 가이드라인 위의 노드 위치 선택 ……… 11 그림 3.5. 노드 개수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14 그림 3.6. 신호잡음의 크기()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15 그림 3.7. 목표물의 표준편차()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16 그림 3.8. 시스템 설계 복잡도 비교

: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 vs. 전역 탐색 방법 ……… 17 그림 4.1. 노드와 고유 시퀀스의 거리 ……… 19 그림 4.2. 고유 시퀀스에 위치할 확률을 고려한 표본 ……… 20 그림 4.3. 양자화 구간에서 위치 오차가 감소된 새로운 코드 워드를 검색 ………… 21 그림 4.4. 설계 복잡도 비교

: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vs. 표준방식 양자기 ……… 24 그림 4.5. 비트 수 변화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25 그림 4.6. 노드 수 변화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26 그림 4.7. 신호잡음의 크기()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 27 그림 4.8. 초기화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설계 복잡도 비교 ………… 28

(8)

ABSTRACT

Study of Efficient Node Deployment and Quantizer Design Algorithms for Sequence-Based Localization (SBL) Systems

Hyun Hong Park

Advisor : Prof. Yoon Hak Kim, Ph.D.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this thesis, we study two algorithms for the sequence-based localization (SBL) systems which have been recently used for in-door positioning.

The first is the node deployment algorithm for SBL systems. The existing node selection/deployment algorithms seek to place nodes in the centroid of the area where more targets can be found. However, it is observed that the boundaries separating these areas might be appropriate for node locations in SBL systems.

From this observation, we propose an efficient node deployment algorithm that determines boundaries using K-means clustering and finds potential node locations based on the bisection method for a low complexity design. The second is a low-complexity algorithm that allows us to design quantizers at sensor nodes by using the reduced number of training samples which are obtained from distance samples between targets and centroids, each centroid assigned to one of the sequences constructed by localization process in SBL systems. In addition, we further improve performance of the design algorithm by generating more training samples for the sequences with higher probability. We demonstrate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for node deployment and quantizer design at local nodes for SBL systems show a significant performance

(9)

제1장 서 론

현재까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1-6]. 그중 노드와 목표물 사이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에너지 기반 알고리즘이 있으며 [1], 노드에서 신호의 입사각 및 출 사각을 통해 목표물의 방향 및 위치를 추정하는 DOA (direction of arrival) 알고리즘 및 AOA (angle of arrival) 알고리즘이 있고 [2-3], 노드에서 송신된 신호와 노드로 수신된 신호의 시간 차이로 목표물과의 거리를 추정하는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알고리즘이 있다[4]. 그리고 다중 추정을 위한 CPS (collaborative signal processing)의 프레임 워크 기본 개념을 소개하였다 [5].

또한, 최근에 제안된 위치추정방식인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 (Sequence-based localization, SBL)은 위치추정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노드를 이용하여, 노드와 목표물 과의 거리 순서를 고유 시퀀스로 지정하고, 이를 통해 위치추정을 한다. 여기서, 거리 순서를 찾기 위해 위치추정공간을 분할하는 방식이 이용되며, 이 방식은 2개의 노드에 서 동일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집합인 영역 분할 선을 통해 위치추정공간을 분할하고, 모든 노드에 대한 영역 분할 선을 통해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한다. 나누어지는 영역은 영역 분할 선에 해당하는 선 영역과 영역 분할 선이 교차하는 점 영역, 영역 분할 선 으로 둘러싸인 면 영역으로 구분한다.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목표물과 노드의 거리 순서를 통해 고유 시퀀스를 찾고, 해당 고유 시퀀스의 중심 위치를 목표물의 위 치라고 추정한다 [6-7].

(10)

분산시스템이 적용된 위치추정 시스템에서 위치추정공간에 분포된 목표물이 어느 지 점에 밀집되어 있는지에 따라 위치추정 시스템의 성능 차이가 발생한다. 기존의 노드 선택 방법은 목표물의 밀집도가 높은 지점에 노드를 배치함으로써 위치추정의 정확도 를 향상하는 반면에,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은 목표물이 어느 시퀀스에 속하는 지를 찾고, 해당 영역의 중심 위치(centroid)를 목표물의 위치로 추정하기 때문에, 목 표물의 밀집도가 높은 지점에 다수의 영역 분할 선을 위치하여, 해당 지점을 다수의 시퀀스로 표기를 할 수 있고, 또한, 위치추정공간을 균일하게 분할하도록 설계할 필요 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밀집도가 높은 지점과 해당 영역의 경계면 위에 노드를 배치 하도록 설계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8].

또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특수성을 고려한 양자기 설계 기법에 관한 연 구를 진행한다. 위치추정 시스템에서 목표물과 노드 간의 거리는 분산시스템이 적용되 어 있으며, 이를 모든 표본의 거리에 대한 분산도를 고려한 양자기 설계방식으로 표준 방식 양자기 설계 방법이 있다.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경우 노드와 목표물 간의 거리 순서를 통해 위치추정을 하므로, 노드와 목표물 간의 거리 분산도보다 노드 와 고유 시퀀스 간의 거리 분산도에 집중한다. 이를 고려하여 표본의 수를 줄여 표준 방식 양자화 기법보다 작은 설계 복잡도를 갖는 양자화 샘플데이터를 제안하고, 각 고 유 시퀀스에 해당할 확률을 고려하여 표본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에 적합한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9]. 또한,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 리즘의 보완 및 성능향상을 위해 위치추정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검색하는 알고리즘이 사용되며, 이 검색 알고리즘을 사용할 시 시스템 복잡도 가 상승할 수 있다.

(11)

본 연구는 실내 환경에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노드 배 치 알고리즘과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특수성을 고려한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보이며, 연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 삼변측량 위치추정 시스템과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 템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3장에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노 드 배치 알고리즘에 대하여 소개 및 성능평가를 진행한다. 그리고 4장에서 시퀀스 기 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특수성을 고려한 양자기 샘플데이터를 찾는 방법과 샘플데이터 를 이용하여 양자기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성능향상을 위한 검색 알고리즘을 도 입하고, 이를 위한 성능 평가를 진행한다. 마지막 5장 결론으로 이어진다.

(12)

제2장 위치추정 시스템

기존의 위치추정 시스템으로 주로 이용되는 삼변측량법이 있으며, 이는 삼각형 기하 학을 기반하여 목표물을 추정한다. 이 방법은 그림 2.1.과 같이 3개의 노드와 목표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구성하고, 3개 원의 교점을 통해 목표물의 위치 를 추정한다. 하지만 신호잡음으로 인해 교점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가 있어서 위치 오 차가 발생하며, 실내 위치추정을 할 시, 실외 위치추정보다 신호잡음의 강도가 높아, 실내 위치추정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삼변측량법을 사용하며, 교점이 발생 하지 않는 경우를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0-13].

본 연구에서 이용하는 위치추정 시스템인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경우 그림 2.1.과 같은 교점으로 위치를 추정하지 않고,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만의 특수 한 위치추정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잡음에 대한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7].

그림 2.1.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목표물 위치 추정

(13)

제1절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은 노드 간의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의 집합으로 만들어 진 영역 분할 선을 통해 위치추정공간을 분할하며, 각 영역에는 노드와의 거리 순서를 기반한 고유 시퀀스를 배정한다. 그리고 목표물이 어느 고유 시퀀스에 위치하면 해당 고유 시퀀스의 중심 위치를 목표물의 위치로 추정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영역 분할 선을 통해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영 역 분할 선에 해당하는 선 영역, 2개 이상의 영역 분할 선이 교차하는 점 영역, 영역 분할 선으로 둘러싸인 면 영역으로 구성된다. 간단한 예시로 4개의 노드로 구성한 시 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그림 2.2.에서 보여주며, 면 영역의 예시로 고유 시퀀스 [4 1 3 2]는 거리 순서가 B, D, C, A로 점차 멀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선 영역의 예시로 고유 시퀀스 [4 1 3 1]는 B와 D에서 동일한 거리이고, C, A 순서로 멀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점 영역의 예시로 고유 시퀀스 [3 3 1 1]는 C와 D에서 동일한 거리 이고, A와 B에서 동일한 거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드가 증가함에 따라 영역 분 할 선이 증가하여, 위치추정공간을 다양한 고유 시퀀스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성능향 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림 2.2.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 분할 및 고유 시퀀스 표기 방법

(14)

제3장 노드 배치 알고리즘

분산시스템이 적용된 위치추정 시스템에서 노드의 위치는 시스템 성능에 대하여 큰 관여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성능의 향상을 위한 노드 위치를 선택 및 배치하 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8], [14-20]. 목표물 위치추적 (tracking)의 정확성 및 에너지 비용을 고려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동적 노드 선택 알고리즘이 제시되었 으며 [14], 목표물을 추적하기 위한 에너지 비용 및 계산 복잡성을 줄이고 정확성을 높인 노드 위치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적응 노드 선택 알고리즘이 제안되었고 [15], 센 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노드의 이웃 수를 제한하는 노드 선택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16]. 또한, 대규모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위해 노드 위치만을 이용하여 노드 사이의 평균 거리를 K-means 알고리즘을 통해 최소화하는 기 하학적 기반 노드 선택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17]. 그리고 센서 영역의 범위를 향상 하기 위한 그리드 노드 배치 알고리즘이 제안되었으며 [18], 클러스터링 기술을 이용 하여 클러스터 간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노드 배치 알고리즘이 제안되었고 [19], 에너지 최적화를 위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기반한 노드 배치 알고리즘이 제 안되었다 [20].

(15)

이번 장에서는 K-means clustering 방식을 통하여 최소 평균 거리가 되는 영역을 구 분하고, 각 영역에 대한 경계면 위의 노드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다. 또한, 시스템 설계 복잡도의 절감을 위해 경계면 위의 노드 위치를 찾는 방법으로 이분법이 사용되며, 전역 탐색 방법과 비교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스템 설계 복잡도의 차이 및 성능의 효용성을 보이고, 이를 입증한다 [8].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노드 위치에 대한 차이점은 그림 3.1.과 그림 3.2.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림 3.1.과 같이 노드를 무작위로 배치하면 영역 분할 선이 불규칙적이고, 고유 시퀀스마다 위치할 확률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 하기 위해 그림 3.2.과 같이 n개의 노드 중 n-1개의 노드를 이용하여, 위치추정공간을 둘러싸는 경계면(가이드라인)에 위치하고, n번째 노드를 n-1개 노드의 중심에 위치하 여 균등하게 공간 분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6)

그림 3.1. 노드를 무작위로 배치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공간분할

그림 3.2. 노드 배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노드를 배치한

(17)

제1절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

1. 노드 배치를 위한 가이드라인 결정

Clustering 방식 및 K-means clustering 방식은 기계학습 기술 중 하나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성능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9], [21-23]. 본 연구에서는 시 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목표물()이 위치하는 위치추정공간을 n-1개의 클러스터 그룹()으로 분할하기 위해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각 내에서 새로운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목표물과 각 클러스터와의 최소 평균 거리가 성립되는 공간 으로 분할한다. 이 과정을 수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

∥

(1)

   (2)

여기서, 번째 클러스터 그룹이며, 번째 클러스터를 나타내고, 는 반복횟수를 의미한다. 번째 목표물을 나타내고, 는 1,...,n-1인 상수이다. 이 와 같은 반복과정을 통해 최소 평균 거리를 성립한  간의 경계면 중 n-1개의 가이 드라인 를 선택한다. 만약, n개 이상의 경계면이 존재하는 경우, 각 경계면의 중심 에 노드를 총 n-1개를 배치하고, 최소 위치 오차를 나타낸 노드조합의 경계면이 로 활용된다.

(18)

그림 3.3.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찾은 각 클러스터 경계면

그림 3.3에서 노드 개수(=n)가 5인 경우, K-means clustering 방식이 적용하여 찾은

, , 를 보인다.

(19)

2. 노드 위치 선택

위의 노드를 효율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복잡도가 낮은 이분법을 이용하며, 노드 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분법과 전역 탐색 방법이 있으며, 이에 대한 성능 및 시스템 설계 복잡도를 2절 시뮬레이션에서 비교한다. 이분법은 를 이분하여, 노드가 각 구 간의 중심에 위치할 때의 위치 오차를 비교하며, 이에 따라 이분할 구간을 갱신하는 반복과정을 통해 노드를 선택한다. 또한, 구간의 길이가 기준거리에 미치지 못하는 경 우 반복과정을 종료한다. 그림 3.4.는 에 대한 효율적인 노드 위치를 찾기 위한 초 기 구간을 나타내며, [, ]전체구간을 [, ]구간과 [, ]구간으로 이분 하고, 각 구간의 중심을 로 표현하였다. 이때, 노드가 일 때 위치 오차가 작 을 경우, 다음 전체구간은 [  ,   ]=[, ]이 된다. 여기서 는 반복 횟수 이다. n-1개의 모든 노드의 위치가 정해지면, n번째 노드는 n-1개 노드의 중심으로 지 정한다.

그림 3.4. 이분법을 이용하여 가이드라인 위의 노드 위치 선택

(20)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노드 배치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단계 1 :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이용하여 경계면을 생성한다.

단계 1 : 이를 통해, 목표물의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다양한 영역 분할 선이 생성하 단계 1 : 게 된다.

단계 2 : 클러스터 그룹 간의 경계면 중 n-1개의 노드 가이드라인()을 선정한다.

단계 1 : n개 이상의 경계면이 존재하는 경우, 위치 오차를 최소화하는 n-1개의 단계 1 : 경계면으로 선정한다.

단계 3 : 이분법을 이용하여 노드 가이드라인 위의 최소 위치 오차를 나타내는 노드 단계 1 : 위치를 결정한다.

(21)

제2절 시뮬레이션

본 연구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위한 신호 모델로 log-normal shadowing 모델을 이 용한다. 이 모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실내위치추정을 위해 이용되며,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거리에 대한 감쇄 현상의 예측을 가능하게 해주며, 이를 통해 노드와 목 표물의 거리 추정이 가능하다 [7]. 이는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표현된다.

   log

(3)

 

    

(4)

여기서 은 거리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이며, 는 송신 신호 세기이고, 

는 기준거리(=1m)에 대한 경로손실량, 는 경로손실 지수, 는 신호잡음이다. 는 노드에서 목표물까지의 실제 거리로 수식(3)을 거리에 대하여 정리하면, 신호잡음 이 섞인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 는 다른 언급이 없을시, 실내 기반 위치추정을 위하여, 는 7, 는 4로 고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은 위치추정공간 을 평면좌표 100m x 100m로 제한하며, 공간 속에 1000개의 목표물을 배치하였고, 실험 에 따라 신호잡음의 세기, 목표물의 분포도는 다르게 진행되었다.

(22)

그림 3.5. 노드 개수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3.5.은 노드 개수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여주며, 여기서 목표물의 분포도는 균등분포(uniform distribution)를 따르고, 무작위로 분포된다. 무 작위로 노드를 배치한 경우는 효용성을 위해 매 회차에 노드의 위치를 무작위로 선정 하며, 100회 반복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비교하여 노드 배치 알고리즘 의 뛰어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이분법을 사용한 경우와 전역 탐색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 대한 차이가 미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3)

그림 3.6. 신호잡음의 크기()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3.6.은 신호잡음의 크기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여주며, 여기서 목표물의 분포도는 균등분포를 따르고,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분포된다. 이를 통해 신호잡음의 변화에도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24)

그림 3.7. 목표물의 표준편차()에 따른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3.7.에서 목표물은 위치추정공간의 중심(50, 50)을 평균으로 표준편차()를 가지는 정규분포를 따르며, 이를 통해 목표물의 분포도에 상관없이 제안 노드 배치 알 고리즘의 월등한 성능을 보였다.

(25)

그림 3.8. 시스템 설계 복잡도 비교 :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 vs. 전역 탐색 방법

그림 3.8.은 이분법을 사용한 제안 노드 배치 알고리즘과 전역 탐색 방법에 대한 비 교를 보였다. 시스템 설계 복잡도를 비교하기 위해 노드 위치가 변화하고, 시퀀스 기 반 위치추정 시스템이 적용된 횟수(cycle)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 설 계 복잡도가 상당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6)

제4장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수신 및 송신하는 통신 과정에서 신호의 길이에 비례한 에너 지 손실이 발생하고, 에너지 손실로 인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수명 단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시스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통신량 을 감소할 수 있는 저비용의 양자화 과정이 필요로 하고, 위치추정을 하는 데 있어서 양자화 과정은 시스템의 구성 및 성능에 큰 관여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양자기를 적 용한 연구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24-26], 또한 무선 센서 네트워 크의 효과적인 시스템 성능 및 비용 절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9], [27-31]. 대표적으로 양자화 구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양자기를 설계하는 균일 양자화 (uniform quantization) 방식과 양자화 데이터의 확률적 분포를 고려하는 클러 스터링 기법이 활용된 Lloyd 양자화 기법으로 표준방식이 있다. 또한, 분산 환경에서 최적의 양자기 설계 방법에 대한 조건을 제안하고 [27], 실용적인 양자기 설계기법의 접근방식을 제시하였으며 [28], RSS 및 양자화된 RSS를 기반하는 무선 센서 위치추정 시스템의 설계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29]. 또한, 히스토그램을 기반 한 적응형 스칼라 양자기 설계 방법이 제안되었고 [30], 표준방식에서 위치 오차를 줄 여가는 반복 과정을 통해 양자화 구간 및 코드 워드를 검색하는 독립적인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31].

이번 장에서는 고유 시퀀스를 활용하여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에 적합한 표본 을 추출하며, 표준방식보다 시스템 복잡도를 절감하고,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 의 특수성을 고려한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 션을 통해 시스템 복잡도의 차이 및 성능의 효용성을 입증한다 [9]. 또한, 검색 알고 리즘을 통해 효과적인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 선택을 한다.

(27)

제1절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1. 표본 추출 및 시스템 복잡도 감소 (SBL Q #1)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은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의 위치 추정하는 방식의 특수한 성질인 고유 시퀀스에 집중하며, 이를 고려하기 위해 각 고유 시퀀스와 노드 간의 거리 데이터를 표본으로 추출한다.

   (5)

수식 (1)에서  번째 노드()와 번째 고유 시퀀스()의 거리를 나타내 며, 이에 대한 예시로 그림 4.1.에서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이 적용된 일부분을 나타낸다. 노드 A에 대한 거리 를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적용하여 2R 개의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결정한다. 이는 위치추정공간에 있는 불특정 다수의 목표 물과 노드 간의 거리를 이용하는 표준방식 양자화보다 큰 폭으로 표본의 수가 감소한 다.

그림 4.1. 노드와 고유 시퀀스의 거리

(28)

2. 위치할 확률을 고려한 표본 추출 (SBL Q #2)

위치추정공간에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적용할 시 노드 위치에 따른 고유 시퀀스 변화로 각 고유 시퀀스에 대한 면적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각 고유 시 퀀스마다 목표물이 위치할 확률의 변화가 발생한다. SBL Q #1의 경우, 이러한 확률을 고려하지 않고 각 고유 시퀀스에 하나의 표본을 선택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본 연구에 서는 이와 같은 확률을 보완하기 위해 고유 시퀀스에 위치할 평균 확률을 초과한 경우 에 대하여 추가적인 표본을 배정한다. 추가되는 표본은 평균 확률을 초과한 배수만큼 적용되며, 각 고유 시퀀스마다 정해진 표본의 수를 K-means clustering 방식의 K로 이 용하여 클러스터의 위치를 표본의 위치로 지정한다. 그리고 SBL Q #1과 같이 표본을 이용하여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결정한다.

표본을 추가하는 예시로 고유 시퀀스의 수가 50개라면, 각 고유 시퀀스에 위치할 평 균 확률은 2%이고, 어느 고유 시퀀스를 나타낼 확률이 각각 1%, 3%, 6%라 할 때, 각각 1개, 2개, 3개의 표본을 배정한다. 이렇게 고유 시퀀스에 위치할 확률을 고려한 경우 를 그림 4.2.에서 확인할 수 있다.

(29)

3. 검색 알고리즘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검색하기 위해서 초기 코드 워드와 양자화 구간이 제안 되어야 하며, 초기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에 따라 성능 차이 및 시스템 복잡도에 영향이 발생한다. 검색하는 방법으로 양자화 구간에서 코드 워드를 이동하여 위치 오 차가 최소화되는 지점을 선택하고, 이어서 코드 워드 사이에서 위치 오차가 최소화되 는 양자화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그림 4.3.과 같이 양자화 구간 ,   에 대한 기존 코드 워드 의 전역 탐색 방 법을 이용하여, 위치 오차가 최소화되는 새로운 코드 워드()을 검색한다. 이 과정을 모든 코드 워드에 대하여 진행하고,   을 사용하여 을 검색한다.

본 연구의 표본으로 초기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선택함으로써, 검색 알고리즘 의 복잡도가 현저히 낮으며, 효율적인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선택한다.

그림 4.3. 양자화 구간에서 위치 오차가 감소된 새로운 코드 워드를 검색

(30)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단계 1 : 위치추정공간에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적용 후 고유 시퀀스에 단계 1 : 위치할 확률에 따라 표본의 수를 결정한다.

단계 2 : 표본의 수를 이용하여, 각 고유 시퀀스에 K-means clustering 방식을 통해 단계 1 : 표본을 추출한다.

단계 3 : 추출된 표본과 노드와의 거리에 K-means clustering 방식을 적용하여 단계 1 : 초기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을 결정한다.

단계 4 :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치 오차가 최소화되는 양자화 구간 및 단계 1 : 코드 워드를 선정한다.

(31)

제2절 시뮬레이션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3장 2절에서 언급한 log-normal shadowing 모델이 사용되며, 기존의 양자기와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의 성능 비교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 리즘의 뛰어난 성능을 입증하였다.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를 위해 위치추정공간을 평면좌표(100m x 100m)로 제한하며, 위치추정공간에 5000개의 목표물을 균등분포로 무작위 배치하였고, 100회 반복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고, 본 실험에서 균일 양자기와 표준 양자기,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을 비교하며, 또한 검색 알고리즘이 적용된 경우 초기화 방 법에 따라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SBL Q #1에서 사용된 표본을 이용하여 검 색 알고리즘이 적용된 양자기를 Prop Unif Q #1, Prop SBL Q #1로 나타냈으며, SBL Q

#2에서 사용된 표본을 이용한 경우 Prop Unif Q #2, Prop SBL Q #2로 나타내었다.

(32)

그림 4.4. 설계 복잡도 비교 :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 vs. 표준방식 양자기

그림 4.4.은 3개의 비트를 사용한 경우 표준방식 양자기와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 즘의 설계 복잡도를 비교하였으며, SBL Q #1과 SBL Q #2의 설계 복잡도 차이는 미약하 며, 표준방식 양자기와 비교하여 월등하게 낮은 복잡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33)

그림 4.5. 비트 수 변화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4.5.은 노드의 수가 6개 일 때, 비트 수에 따른 다양한 양자기의 성능 비교를 보여주며, 표준방식 양자기보다 SBL Q #1과 SBL Q #2의 뛰어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 며, 검색 알고리즘을 통한 성능향상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34)

그림 4.6. 노드 개수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4.6.은 3개의 비트를 사용할 때, 노드의 수에 따른 다양한 양자기의 성능 비교 를 보여주며,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뛰어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검색 알 고리즘을 통한 성능향상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35)

그림 4.7. 신호잡음의 크기()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성능 비교

그림 4.7.은 3개의 비트, 6개의 노드를 사용할 때, 신호잡음의 세기에 따른 다양한 양자기의 성능 비교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신호잡음의 변화에도 제안 양자기 설계 알 고리즘의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알고리즘을 통한 성 능향상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36)

그림 4.8. 초기화에 따른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설계 복잡도 비교

그림 4.8.은 3개의 비트, 6개의 노드를 사용할 때, 초기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 선택에 따른 시스템 복잡도 비교이다. 이를 통해 SBL Q #1과 SBL Q #2를 사용하여 검 색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적은 시스템 복잡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37)

제5장 결 론

본 연구는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을 성능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노드 배치 알 고리즘과 시퀀스 기반 위치추정 시스템에 양자화를 적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양자기 설 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노드 배치 알고리즘을 실현하기 위해 K-means clustering 방식을 통하여, 노드가 위 치할 가이드라인을 선택한다. 그리고 가이드라인 위에서 효율적인 탐색을 위해 이분법 을 이용하여 성능을 유지하면서 설계 복잡도를 크게 개선하였다. 이에 대한 노드 배치 알고리즘의 월등한 성능향상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

또한,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시스템 설계 복잡도를 감소하기 위해 고유 시퀀스와 노드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표본의 수를 절감하였고, 절감된 표본을 이용하여 코드 워 드 및 양자화 구간을 설계하고, 이를 검색 알고리즘을 통해 코드 워드 및 양자화 구간 을 검색함으로써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을 보완하였다. 이에 대한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양자기 설계 방법에 비교하여 제안 양자기 설계 알고리즘의 월등한 성능을 보였다.

(38)

Reference

[1] D. Li and Y. H. Hu, "Energy-based collaborative source localization using acoustic microsensor array", 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vol. 4, pp. 321-337, 2003.

[2] J. C. Chen, K. Ya, and R. E. Hudson. "Source localization and beamforming",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 19, no. 2, pp. 30-39, Mar. 2002.

[3] M. I. P. Jais Ehkan, R. B. Ahmad, I. S. T. Ismail, M. Jusoh, "Review of angle of arrival (AOA) estimations through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for wireless sensors network (WSN)",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and Control Technology (I4CT), pp.

354-359, Apr. 2015.

[4] P. W. Boettcher, G. A. Shaw, "A distributed time-difference of arrival algorithm for acoustic bearing estimation", Proc. 4th Conf. on Information Fusion, vol. 1, 2002.

[5] D. Li, K. D. Wong, Y. H. Hu and A. M. Sayeed "Detection, classification, and tracking of targets", IEEE Signal Processing Magazine, vol. 19, no. 2, pp. 17-29, Mar. 2002.

[6] K. Yedavalli, B. Krishnamachari, S. Ravula, B. Srinivasan, "Ecolocation: A sequence based technique for RF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processing in sensor networks, pp. 285-292, Apr. 2005.

(39)

[7] K. Yedavalli and B. Krishnamachari, "Sequence-based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vol. 7, no. 1, pp.

81-94, Jan. 2008.

[8] H. H. Park and Y. H. Kim, "Efficient Node Deployment Algorithm for Sequence-Based Localization (SBL) Systems", Journal of IKEEE, vol. 22, no.

3, pp. 658-663, Sept. 2018.

[9] H. H. Park and Y. H. Kim, "Quantizer design algorithm for sequence based localization", IKEEE 2019 Summer Conference, Aug. 2019.

[10] M. Dakkak, A. Nakib, B. Daachi, P. Siarry, J. Lemoine, "Indoor localization method based on RTT and AOA using coordinates clustering", Computer networks, vol. 55, no. 8, pp. 1794-1803, 2011.

[11] S. Pradhan, S.S. Hwang, "Mathematical analysis of line intersection algorithm for TOA trilateration method", 2014 Joint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 Computing and Intelligent Systems (SCIS) and 1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ISIS), pp.

1219-1223, 2014.

[12] S. Pradhan, S. Shin, G.R. Kwon, J.Y. Pyun, S.S. Hwang, "The advanced TOA trilateration algorithms with performance analysis", 2016 50th Asilomar Conference on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 IEEE, pp. 923-928, Nov. 2016.

[13] S. Pradhan, Y. Bae, J.Y. Pyun, N.Y. Ko, S.S. Hwang, "Hybrid TOA Trilateration Algorithm Based on Line Intersection and Comparison Approach of Intersection Distances". Energies, dec, 2019, 1668.

(40)

[14] Y. Wang and D. Wang, "Energy-efficient node selection for 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vol. 9, no. 1, pp. 127-137, Jan. 2013.

[15] J. Feng, H. Zhao and B. Lian, "Efficient and adaptive node selection for target track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Journal of Sensors, vol. 2016, pp. 1-9, 2016.

[16] A. Bel, J. L. Vicario, G. Seco-Granados, "Localization algorithm with on-line path loss estimation and node selection", Sensors, vol. 11, no. 7, pp. 6905-6925, 2011.

[17] Y. H. Kim, "Geometry-based sensor selection for large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vol. 12, no. 1, pp. 8-13, 2014.

[18] A. Rakavi, M. S. K.Manikandan, K. Hariharan, "Grid Based Mobile Sensor Node Deployment for Improving Area Coverag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2015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ICSCN), Aug. 2015

[19] G. Can and S. Wang, "A Novel Node Deployment and Clustering Schem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2009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nic Commerce and Security. Vol. 2. IEEE, 2009.

[20] M. R. Ingle and N. Bawane, "An energy efficient deployment of nodes in

(41)

[21] A.K. Jain, M.N. Murty and P.J. Flynn, "Data Clustering: A Review", ACM computing surveys (CSUR), Vol. 31, No. 3, 1999.

[22] A.K. Jain, "Data Clustering: 50 years beyond K-means", Pattern recognition letters, vol. 31, Issue 8, pp. 651-666, June. 2010.

[23] P. Sasikumar, S. Khara, "K-means cluster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2012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networks, pp. 140-144, Nov. 2012.

[24] F. Gao, L. Guo, H. Li, J. Liu, J. Fang, "Quantizer Design for Distributed GLRT Detection of Weak Signal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vol. 14, pp. 2032-2042, 2015.

[25] K. K. Patel, M. L. Fowler, "Vector quantizer design for speech signal compression", 2017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oud Computing, Data Science & Engineering-Confluence, June. 2017.

[26] L. Prangnell, M. Hernandez-Cabronero, V. Sanchez, "Cross-Color Channel Perceptually Adaptive Quantization for HEVC", 2017 Data Compression Conference (DCC), Apr. 2017.

[27] W. M. Lam and A. R. Reilbman, "Design of quantizers for decentralized estimation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41, no. 11, pp. 1602-1605, Nov. 1993.

(42)

[28] M. Longo, T. Lookabaugh and R. Gray, "Quantization for decentralized Hypothesis testing under communication constraint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36, no. 2, pp. 241-255, 1990.

[29] N. Patwari and A.O. Hero III, "Using proximity and quantized RSS for sensor localization in wireless networks", Proceedings of the 2n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applications, Sept. 2003, pp. 20–29.

[30] C. Diab and M. Oueidat, "A novel approach to design a robust and optimal scalar quantizer for any non-standard input density", 2010 XIth International Workshop on Symbolic and Numerical Methods, Modeling and Applications to Circuit Design (SM2ACD), Oct. 2010.

[31] Y. H. Kim and A. Ortega, "Quantizer design for energy-based source localization in sensor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 vol. 59, no. 11, pp. 5577-5588, Nov. 2011.

참조

관련 문서

컴퓨터 이용 설계 및 제작 Moon Ki, Jung..

•모집단의 모수나 분포특성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가정을 하고,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의 통계량(표본평균, 표본분산)을 산출 하여 이들의 표본분포를 이용하여

[r]

줄자를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두 점간의 거리를 재어보는 체험을 하고 느낀 소감을 기록해보세요.. 호수

고출력 극초단 펄스 레이저 시스템 제작을 위해 새로운 형태의 소형화된 펄스 확대기 설계, 펄스 피커 제작, Yb 첨가된 광섬유 전단 증폭 기, LMA 광섬유 증폭기

29는 고유번호가 321E B 6A 48인 태그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값을 보여주고 있다.위와 같이 국내외에서 실제 상용화되고 있는 태그를 이용하여 본 연구진에서 자 체 제작

비, 눈 등과 같은 제한적 환경에서 주어진 재료와 생체 모방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의 몸을 보호할 수 있는 방수의 원리를 이용한 신문지 옷을

본격적인 U-Heal th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 단할 수 있는 생체계측기술이 필요하다.현재 수준은 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