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 이 모음을 발음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 ʌ 국인들은 낯설어할까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다 . 이 모음을 발음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 ʌ 국인들은 낯설어할까 ?"

Copied!
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4주차.

언어학과 외국어교육

(2)

Q. 한국어 자음과 모음을 사전에 올리는 순서대로 가르치는 것은 좋은 방법일까, 아닐까?

Q. ‘네가 먹은 그릇은 네가 씻어라.’는 문장을 왜 외 국인들은 낯설어할까?

Q. ‘bus[b ʌ s]’의 모음은 한국어의 ‘ㅓ’ 모음과 다르

다. 이 모음을 발음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

까?

(3)

Q. 요사이 젊은 부부들은 다음과 같은 예를 자신들 의 아이들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는 말이 있다. 왜 그럴까?

① ‘명, 경, 혁, 향, 현’

② ‘석, 숙, 섭’

③ ‘석민, 경민, 남준’

(4)

 이번 주 주제

외국어교육에서의 언어학의 역할

(5)

1.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본다.

2. 외국어교육에서의 인지적 접근법의 필요성을 안다.

3. 외국어교육에서의 보편성과 유표성의 필요성을 안다.

학습목표

(6)

14주차.

언어학과 외국어교육

(7)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은 ‘사과, 집’과 같은 기초 적인 단어를 모른다. 이들에게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 는 것이 좋을까?

사과 그림이나 사진을 제시하면서 ‘사과’라고 알려

준다.

(8)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이것이 가장 쉬운 방법 중의 하나일까?

YES

이것이 가장 옳은 방법일까? 특별히 성인 학습자에게...?

???

(9)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은 한국어(한글 포함)를 모른다.

그렇다면 그들은 어린아이인가? 그들에게 어린아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옳은 일인가?

그들은 한국어(한글)를 모르지만 성인학습자이다.

그들은 한국어는 모르지만 자신들의 모국어에 대한 잠 재적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고, 그 모국어도 한국어와 마 찬가지로 자연언어의 하나다.

차별성 부각이 정도를 넘으면 모멸감을 느낄 수 있다.

(10)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그렇다면 가장 바람직한 외국어교육 방법은 무엇일까?

그들이 가진 언어에 대한 잠재적 지식을 최대한 활용

하는 것.

(11)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① survival Korean을 넘어선 유학생들의 학문적 차원의 한국어교육

②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육: 외국인 유학생 들이 자신들의 모국으로 돌아가서 후학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데 필요한 한국어교육

③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출발점과 도착점이

매우 높아야 한다.

(12)

솔직히 요즘은 대학에서 강의 준비하기가 전에 비해 쉬워졌다.

경희대 회기동 캠퍼스에서 가르칠 때만 해도 수업 준비와 진행을 한국어로 하다 보니 고충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물론 충분히 한글 을 읽고 쓸 수 있지만 서른한 살 때 배운 탓에 발음이 썩 좋지는 못 하다. 이제는 영어로 강의를 하게 되면서 토론도 더 활기를 띤다.

영어 강의가 부담스러운 일부 학생에겐 좀 미안한 얘기지만 말이 다.

국제대학원 학생들과 부대끼면서 그중 대다수가 한글에 대한 기 초가 거의 없어 한글 교재를 읽을 수 없음은 말할 것도 없고 한글로 된 자료를 이용한 연구조차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대학 측에선 국제대학원 학생이라면 영어를 통한 수업과 숙제를 당연시 하는 듯하다. 그러나 한국어 실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은 졸업 후 취 업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전적으로 한국어 실력 탓이다.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3)

내게도 그런 시절이 있었다. 1990년대 도쿄대 대학원에서 비교 문학을 공부하던 때로, 상당한 수준의 일본어 실력을 갖추려 전 과 목을 일어로 수강했고 석사 학위 논문도 일어로 작성했다. 도쿄대 에 갔을 때만 해도 내 일본어 실력은 볼품없었다. 그러나 매일 20~70쪽 가량의 독서량을 채워야 하다 보니 자연히 실력이 늘었 다. 이 매서운 시련이 일본 체류 시 수박 겉핥기로 일어를 배우는 대다수 미국인과 나 사이를 갈랐다.

경희대의 외국인 학생들은 혹독한 한국어 교육을 받지 못해 큰 피 해를 본다. 사실 국제대학원을 졸업하는 데는 고급 한국어가 요구 되지도 않는다. 한국에선 외국 학생들이 한국어를 마스터하거나 최소한 배워야 한다는 기대심리 자체가 없는 듯하다.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4)

외국 학생들이 특정 용어에 해당하는 한국어를 모른다는 이유로 한국인이 화를 낸 것을 본 적이 없다. 그러다 보니 외국 학생들은 한국어를 의욕적으로 배우려 들지 않는다. 한국에선 으레 외국인 하면 영어만 가능하며 비록 한글을 좀 익혔다 해도 그렇고 그런 수 준으로 여기는 듯하다. 만일 한국인들이 외국인은 한국어를 잘 구 사해야 하며 거의 내국인 수준의 글을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다면 외국인의 한국어 실력도 급속히 늘 것이다.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들은 영어를 쓰는 게 당연하고 또 영어를 써도 실생활에 불편이 없다는 인식이 퍼져 있는 듯하다. 그러나 한 국의 직장생활은 전혀 딴판이다. 외국 학생들이 한국어를 모르면 한국에서 취업이 불가능하다. 특유의 조직문화에서 살아남으려면 상당 수준의 한국어 구사가 필수적이다.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5)

비록 한국 회사가 아무리 국제화됐다고 해도 조직과 행정 측면에 선 여전히 한국적이다. 한국 회사가 더 국제화돼야 하며 영어를 잘 하는 한국인을 더 많이 채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자주 들린다. 물론 그런 움직임도 도움은 되겠지만 한국 기업에서 성공의 필수요소가 한국어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한국 기업들이 간혹 외국인을 대표로 영입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이때 그들의 한국어 실력을 중시하지 않을뿐더러 그들에게 한국어 를 가르치려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차세대 기업이라면 한국인 수 준으로 한국어를 구사하며 한국적인 환경에 잘 융화되는 외국인이 필요하다. 바로 그런 사람이 한국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돼야 제격 아닐까.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6)

기업이든, 대학이든, 정부기관이든 한국의 조직에선 상당한 수준 의 한국어 실력 없이는 일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 실내 간판은 영어 로 쓰여 있을지라도 시스템은 한글로 굴러간다. 수업 시 제1언어로 영어를 쓰도록 규정한 곳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배우라고 요구하지 못하 는 ‘슬픈 현실’은 해외 한국 전문가들의 어설픈 한국어 실력으로 이 어진다. 워싱턴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고문으로 일할 당시 나의 한 국어 실력이 얼마나 형편없는지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싱 크탱크들이 개최하는 세미나에 참석해 보면 한글로 된 신문과 책을 수시로 읽는 사람은 나밖에 없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곤 한다. 한글 자료 조사는 고사하고 “안녕”이란 말도 못하는 미국의 한국 전문가 들이 한국의 정치·안보·경제에 관해 장광설을 늘어놓는 모습을 자 주 봤다.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7)

혹자는 아마도 한국이 국력이 약해 외국의 한국 전문가들에게 한 국어로 말하고 한글로 된 자료를 읽으라고 요구할 힘이 없다고 생각 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미국·독일·프랑스·인도 등지의 한국 전문가 들에게 한국어를 잘 알아야 한다며 어릴 때부터 혹독한 한국어 교육 을 시켰더라면 사정은 달라졌을 것이다.

한국 정부는 대미 로비에 드는 자금을 늘리고 싶어 할 것이다. 하 지만 그런 돈은 낭비되기 십상이다. 한국에 대해 무지한 미국의 현 세대에게 로비를 하기보다는 한국을 잘 아는 차세대 집단을 기르는 데 투자하는 게 더 실속 있지 않을까.

한국인들은 완벽한 한국어로 학술 발표가 가능한 미국인 한국 전 문가를 기르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절대 그렇지 않 다. 엄격하게 외국인한테 고수준 한국어 실력을 요청해 봐야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겠다. /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경희대 국제대학 원 교수

외국어교육의 올바른 방법

1

(18)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1

습득 단계와 언어 영역에 따른

모국어와 외국어 습득의 차이

① 이론 학습과 언어 사용

어휘, 문법: 의미와 용법의 이론 학습 ≒ 언어 사용 능력 발음: 말소리의 이론 학습 ≠ 언어 사용 능력

어휘나 문법은 그 의미나 용법을 알면 사용할 수 있지만 발 음은 이론적으로 안다고 그 발음이 가능한 것이 아니다.

(예: pleasure [pléʒə(r)]의 [ʒ])

(19)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1

습득 단계와 언어 영역에 따른

모국어와 외국어 습득의 차이

② 개인적 vs. 집단적

어휘, 문법: 개인의 노력과 능력에 따른 차이와 학습 단계 에 따른 차이 존재(개인적)

발음: 개인적 차이라기보다는 모어에 따른 차이(집단적)

(예: 한국어 모어 화자의 유성장애음 습득)

(20)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1

습득 단계와 언어 영역에 따른

모국어와 외국어 습득의 차이

 모어 화자 수준과 같은 단계에 이르기 위한

난관

L1과 L2 사이에 존재하는 인지의 차이

(21)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다른 언어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은 가능할까? 그렇지 않 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연재훈, 2011)

__________________이 아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아니다.

_______________이 아니다.

_______________이 아니다.

(22)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다른 언어에서도 이와 같은 표현은 가능할까? 그 렇지 않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연재훈, 2011)

___________이 아니다.

______________________이 아니다.

__________________는 해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는 해석

(23)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 한국어의 관계절은 영어와 달리 표제명사와 관계절 사이의 의미화용적 관계가 성립 가능 한 연관성이 상정되면 OK!

대화 참여자 간의 언어외적 세계 지식, 배경지식, 등을 통해서 성립할 수 있는 연관성

왜 한국어와 영어는 다를까? 한국어와 영어는 무 엇이 다른가?

두 언어 사이의 문법 의식의 차이

(24)

두 언어의 문장의 차이(1)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언어에 대한 관심보다는 사실 맥락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지기 마련이어서 언어적 체계·언어연쇄 (speech chain, 통사의 축)에서 벗어나 버리기도 한다. 경어 법 등 화법 표현은 언어현실보다는 사태, 사실맥락에 대한 관 심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가 맥락으로서의 사태 쪽에 관심을 두는 데 비해 영어는 명제를 자율적인 언어표현으로서 정착시킨다. 한 국어와 일본어는 – 자기 소개를 하거나 편지에 주소를 쓸 때 소 속단체부터 밝히듯이 – 맥락이 주체가 되기 때문에 발화자가 맥락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편적인 언어를 선 택하여 ‘sign’을 보낸다. 문장구조는 불완전해도 괜찮으며 통 사구조는 약해진다.[히라코 요시오 저/김한식·김나정 역 <번역의 원리> p. 125]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25)

생각해 봅시다 1

 다음 문장은 어떤 해석들이 가능할지 생각해 보자.

(1) a. 나는 청첩장을 보낸 친구들에게 축의금을 보냈다.

b. 나는 청첩장을 보낸 친구들에게 확인 메일도 보냈다.

(2) a. 만나기로 한 여자는 집으로 가 버렸다.

b. 남자와 여자는 만나기로 했지만, 시간이 지나도 상대

방은 나타나지 않았다. 만나기로 한 여자는 집으로

가 버렸다.

(26)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다음 문장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연재훈, 2011)

“너는 어떤 차 가지고 있니?”

“나는 현대.” (≠ I am Hyundai.)

왜 영어에서는 비문이고, 한국어에서는 정문일까?

두 언어 사이의 문법 의식의 차이

(27)

두 언어의 문장의 차이(2)

한국어와 영어 문장 구조의 특징은 첫째 단선적(單線的) 구조이다.

단선적 구조란 순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성분 사이의 결 속력이 강한 구조이다(김한식·김나정 역 2007). 따라서 무엇 하나 생 략하면 문법적으로 파괴된 문장이 된다. 그리고 주어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달라지는, 즉 주어가 다른 성분을 지배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주어, 동사, 목적어’의 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 국어나 일본어는 그렇지 않다. 이 두 언어는 흔히 표현하는 주제중심 언어, 좀더 분명하게 표현하면 문맥 의존 언어이고 상황 의존 언어이 다. ‘그 사람은 아들이 의사다’와 같은 한국어 문장은 주지하는 대로

‘주제 + 명제(또는 서술)’로 구성되는 비단선적인, 계층구조이다. 계 층 구조에서는 격의 개념이 약하다. 주제는 단순히 화제 제시에 불과 하며 정보의 핵심은 서술 부분에 있다. 따라서 문장 구조가 약하고 결 속력이 약하다.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28)

두 언어의 문장의 차이(2)

따라서 주어, 목적어 등의 개념이 그리 중요하지 않고, 순서가 바뀔 수도 있고, 특정 문장 성분이 없어도 되며(이 경우 그 문장 성분이 ‘생 략’되었다고 말하는 것이 과연 바른 것인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일치가 없어도 된다. 영어의 문장은 논리적이 고 연역적인 데 비해 한국어의 문장은 상황 의존적이며 연역적이지 않다.

이러한 한국어의 특성을 알지 못하는 한 어떤 외국인도 한국어를 바 르게 습득하기 어렵고, 언어 간 이러한 차이를 알아야만 외국어를 바 르게 습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조언어학은 그것의 효용성이 크고 작 음에 관계없이 외국어 습득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학문이고, 교사는 이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갖추어야 한다.[허용 2008]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29)

두 언어의 문장의 차이(2)

*rheme(제술, 題述): 문장에서 독자나 청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1 문법

영어 한국어

예문 His son is a doctor. 그 사람은 아들이 의사다.

구조

1. ‘주어+동사...’의 단선적 구조 2. 성분 중심의 체계적·연역적 구조

1. ‘주제(기지 정보, theme) + 서술(미 지의 실질적 정보, *rheme)’ 중심의 계층적 구조

2. 문맥/상황 중심의 비체계적 구조

특징

1. 성분간의 강한 결속력(주어 중심) 2. 격 개념 중요

3. 어순 중요

4. 성분 생략의 어려움

1. 성분간의 느슨한 결속력 2. 격 개념 불분명

3. 자유 어순

4. 성분 생략 가능

(30)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2 어휘

다음 문장은 무슨 뜻일까?

The hunting dog worried the rabbit.

사냥개가 토끼를 물고 흔들었다/물어 죽였다.

언어의 다른 영역에 비해 접근이 어렵다. 그 이유는

어원, 문화와 관련된 말의 뿌리와 연결되었기 때문.

(31)

외국어교육의 방향

2

2.2

언어 영역에 따른 인지 양상의 모습 2.2.2 어휘

다음 ‘worry’가 갖는 ‘근심, 걱정’과 ‘물고 흔들다, 물고 늘어져 괴롭히다’가 의미상 어떻게 연결이 될까?

‘worry’의 어원: ‘목을 조르다, 숨이 막히다’(Online Etymology Dictionary) (의미 확장) ‘근심, 걱정’

영어권 화자들의 인지 속에 동일한 의미장 안에 존재.

언어의 다른 영역에 비해 접근이 어렵다. 그 이유는

어원, 문화와 관련된 말의 뿌리와 연결되었기 때문.

(32)

생각해 봅시다 2

 영어의 ‘interest’가 갖는 의미 중 한국어에서 연

결이 되지 않는 의미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

보고, 그 이유를 어원사전을 통해 알아보자.

(33)

생각해 봅시다 3

 한국어의 ‘종쳤다’와 영어의 ‘ring the bell’은

의미상 어떤 차이가 있는지, 왜 그런 차이가

생기는지 생각해 보자.

참조

관련 문서

저자는 수년 전 국제정치학 개론을 집필하며 한국인들에게 국제정치는 필수과목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었다. 동시에 한국 사람들은 그처럼 혹독한

주식회사 카스 회사소개서 미국 독일 폴란드 터키 인도 방글라데시 베트남

한국 영화가 이 틈에서 유의미한 시장을 형성하고 한국 영화를 즐기는 미국 관객을 만 들어 내기 위해서는 배우, 감독 등 탤런트 진출과 CG 등 기술 완성도 제고,

내용의 정확성 : 한글 맞춤법이나 문장부호를 잘 써야 텍스트의 내용과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

왼쪽에서부터 인도 산치 대탑, 중국 등봉 숭악사탑, 한국 경주 불국사 석가탑.. 불탑(佛塔)은

한국 행정연구의 특징과 문제점... 한국

커뮤니티형은 지역공동체가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6차산업화를 통해 농촌지역에서 다 수를 차지하고 있는 고령자나 여성 등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소득을 향상시켜 지역공 동체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인 살풀이춤의 일환으로서의 명인 조갑녀의 민 살풀이춤.. 을 중심으로 원형보존과 전승의 사실적 배경을 구체화하는데 문제의식을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