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갑상선암의 핵의학 영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갑상선암의 핵의학 영상"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RTICLE Vol. 2, No. 1, May 2009

논문접수일: 2009년 4월 1일 / 심사완료일: 2009년 4월 7일

교신저자: 김태성,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마두동 908, 󰂕 411-769, 국립암센터 연구소, 부속병원 핵의학과 Tel: 031-920-0164, Fax: 031-920-0179, E-mail: tsangel@ncc.re.kr

갑상선암의 핵의학 영상

국립암센터 연구소, 부속병원 핵의학과

김태성, 김석기

Nuclear Medicine Imaging of Thyroid Cancer

Tae-Sung Kim, MD and Seok-Ki Kim, MD

Hospital and Research Institute, National Cancer Center, Goyang, Korea

In the field of thyroid cancer diagnosis, radioiodine scintigraphy with serum thyroglobuli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llow up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It is difficult to localize anatomic location using planar scintigraphy, but with the advent of SPECT/CT, differentiation of uptakes has become easier through precise localization. FDG PET is helpful for finding lesion in the patient with increased serum thyroglobulin level but negative radioiodine scan. The degree of FDG uptake is related to prognosis of patient.

Radioiodine scintigraphy as well as SPECT/CT and FDG PET scan will help treatment planning for thyroid cancer patients.

Key Words: Thyroid carcinoma, Radionuclide imaging, SPECT-CT, PET

서 론

핵의학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특이한 성질을 이용하 여 질병의 기능적 상태를 진단한다 . 요오드를 특이적 으로 섭취하는 갑상선의 특성은 이러한 핵의학적 방법 을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대상이다. 따라서 오래 전 부터 각종 갑상선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핵의학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분화성갑상선암세포가 정상갑상선세포보다는 요오 드를 집적하는 능력이 떨어지지만 다른 조직의 세포에 비하면 월등히 높은 요오드 집적 능력이 있어서, 방사 성요오드는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전이 또는 재발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전신스캔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악성종양세포에서 포도당대사가 증가하 는 현상을 이용하여 포도당 유사체인

18

F Fluorodeoxy- glucose (FDG)를 이용하는 PET가 여러 악성종양의 진 단에 사용되고 있는데, 갑상선암 역시 분화도에 따라

FDG 섭취의 증가를 보여 진단에 사용될 수 있다.

FDG는 정상갑상선의 경우 높지 않은 섭취를 보이므 로 , 방사성요오드스캔과 달리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 하기 전에 병기결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

방사성요오드나 FDG와 같이 질병 특이적인 방사성 약품을 이용하는 전통적인 핵의학 영상검사들은 병리 생태를 영상화하는 데에는 탁월하나 해부학적 정보는 많지 않다 . 전통적인 핵의학영상에 CT를 동시에 시행 하여 융합하는 PET/CT나 SPECT/CT는 해부학적 영 상을 핵의학 영상에 융합하여 병변의 위치파악과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이 글에서는 갑상선암의 진단, 병기 결정 및 재발 진 단에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핵의학적 영상방법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방사성요오드를 이용한 갑상선암 진단

갑상선암세포는 정상갑상선세포에 비해 요오드를

(2)

집적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어 갑상선스캔에서 갑상 선암 결절은 냉소로 보인다 . 이러한 성질을 이용해서 갑상선결절의 감별진단에 이용되었었으나, 최근 들어 초음파기기의 발달로 우수한 질의 초음파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세침흡입생검술이 보편화되면서 악성 결절의 감별을 목적으로 갑상선스캔이 이용되는 경우 는 드물어졌다. 또한, 체내에 투여된 방사성요오드들은 대부분 정상갑상선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갑상선암 원발부위 뿐만 아니라 전이세포에도 거의 집적되지 않 는다 . 따라서 갑상선절제술을 받기 전에는 림프절전이 병기결정이나 원격전이의 진단 목적으로 방사성요오 드 스캔이 사용되지 않는다 .

고위험군의 분화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갑상선전절 제술을 시행한 다음 ,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시행하여 잔 류갑상선세포을 완전히 제거하면 정상 잔존 갑상선 조 직에서 배출되는 갑상선글로불린이 측정되지 않아 , 혈 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와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이 재발병변을 찾는 데 예민도와 특이도가 증가되어 진단 적 가치가 높아진다. 갑상선전절제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 때 시행하는 전신스캔에서는 잔류갑상선과 함께 전이림프절이나 폐전이 , 골전이 등을 발견할 수 있는 데 , 원격전이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예후를 향 상시키는데 도움될 수 있다.

1-3)

하지만, 전이림프절의 경우 평면전신스캔에서 잔류갑상선과 구분하기 어려 워 , 수술 후 림프절 병기결정에는 제한이 있으며, 림프 절전이만을 따로 떼어 평가한 문헌도 드물다 .

방사성요오드치료로 잔류갑상선이 제거가 된 후에 는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와

131

I 또는

123

I을 이용한 전신스캔이 높은 진단 특이도를 갖게 된다. TSH 자극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와 저용량의 방사성요오드 를 이용한 진단적 전신스캔을 비교한 논문들은 많이 나와있는데 stimulated thyroglobulin 수치의 민감도가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보다 높아 stimulated thyroglo- bulin이 양성인 경우 추가적인 진단율의 향상을 위한 진단적 방사성요오드 스캔의 가치는 낮다고 하였다.

4-8)

하지만 ,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병변의 국소화를 목적 으로 방사성요오드스캔이 도움되며, 혈중 갑상선글로 불린 항체가 존재하여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의 신 뢰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추적검사를 위해서 방사성 요오드 전신스캔이 필요하다 .

9)

박 등은 6.3%의 환자에 서 혈중 갑상선글로불린과 그 항체가 음성인 경우임에 도 갑상선암전이에 의해 전신스캔에서 양성소견이 보 여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이 보완적으로 필요함을 강 조하였다 .

10)

기능적 영상과 해부학적 영상과 융합:

SPECT-CT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31

I 전신평면스캔은 해부학적 정보가 부족하여 보이는 섭취의 해부학적 위치를 정확 히 판정하기 어렵다. 경부섭취가 잔류갑상선에 의한 것인지 전이에 의한 것인지 정확히 감별하기는 쉽지 않으며, 잔류갑상선에 섭취된

131

I의 높은 방사능에 의 해 림프절전이의 방사능이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경 우도 있다 .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있을 수 있는 침샘 이나 비구강점막에 의한 섭취도 전이림프절과 혼동될 수 있으며 , 폐야나 복부의 국소적 섭취가 폐 또는 골전 이에 의한 섭취인지 염증이나 생리적 장관에 의한 소 견인지 평면스캔만으로 감별해내기는 쉽지 않다.

11,12)

131

I 섭취 부위의 해부학적인 위치를 알기 위해 단일 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술 (Single photon emission com- puted tomography, SPECT)을 시행할 수 있으나,

131

I의 물리학적 성질 때문에

131

I SPECT의 영상의 질이 좋지 못한 편이다 . 이로 인해

131

I 섭취 부위의 정확한 국소화 와 감별에 추가적인 도움을 얻기 어려워

131

I SPECT의 통상적인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

13)

하지만, 최근에 보급이 증가하는 SPECT/CT 기기로 SPECT과 CT을 동시에 시행하여 영상을 융합하여 표시하면 SPECT에 서 발견한

131

I 섭취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CT 영 상에서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여 정확한 감별진단에 도 움이 된다.

131

I 평면스캔 후 추가로 시행하는 SPECT/CT으로 경부의

131

I 국소섭취를 잔류갑상선과 림프절전이, 침 샘의 섭취 , 오염 방사능으로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다.

폐야의 섭취는 폐전이와 늑골전이, 림프절전이 및 유방 의 생리적섭취 등으로 감별될 수 있고 , 복부의 섭취는 뼈전이나 간전이, 국소적 장관내 섭취로 해부학적 위치 를 정확히 국소화함으로 감별될 수 있다 (Fig. 1).

13-17)

또 한 CT 소견을 참조하여 폐 섭취가 폐전이인지 염증에 의한 섭취인지 바로 감별해낼 수 있다 .

이 등이

131

I 평면스캔에서 보이는 소견의 판정이 어 려웠던 26명에 대해 추가로 SPECT/CT를 시행하였는 데 58%에서 진료방향의 변화되었으며, 전이가 의심되 었던 사람 중 6명이 추가적인 방사성요오드 치료가 시 행되었다.

14)

Schmidt 등은 수술 후 시행한

131

I 치료스캔에서 경부

SPECT/CT를 추가로 시행하여 143개의 경부섭취 중

28개의 병변의 판정이 변하여서 35%의 환자에서 림프

(3)

Fig. 1. A 38-y-old woman with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ncer (pT3N1M0)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lymph node dissection. (A) Planar scintigraphy shows 131I avid foci on left lower neck area (arrow head) and left lower lung field (arrow).

SPECT/CT shows that those foci correspond to (B) left supraclavicular LN metastasis and (C) left breast parenchyma.

절병기 결정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 며 , 25%의 환자에서 치료방침을 변경하게 되었다고 한 다 .

15)

Wang 등이 94명의 환자에서 추가로 SPECT/CT 을 시행하여 21%의 환자에서 병변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의 국소화에 도움을 받고 13% 환자의 SPECT/CT 에서 새로운 병변을 찾아내어 23%의 환자에의 병기를 upstaging 또는 downstaging 하였고 치료방침의 변화를 고려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

17)

Spanu 등은 SPECT/CT 시행을 한 35.6% 환자에서 보이는 섭취소견들에 따른 치료방침을 변경하게 되었다고 했는데 , 20.3%의 환자 의 소견을 양성 병변 또는 생리적 섭취로 판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추가적 치료를 피할 수 있었다 하였다.

이렇듯

131

I 스캔에서 높은 민감도로 찾아낸 섭취소 견을 SPECT/CT로 해부학적 위치를 국소화하여 정확 한 감별진단을 시행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방침을 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직 국내 SPECT/CT의 보급률이 높지 않으며 검사시간이 길다는 제한점이 있 기는 하나, 최근에 성능이 우수한 기기들이 보급되고 있어 환자들의 정확한 치료방침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FDG PET을 이용한 진단

방사성요오드의 집적을 보이지 않는 분화성갑상선 암의 전이병변을 발견하기 위해

99m

Tc-sestamibi,

18,19)

99m

Tc-tetrofosmin,

20)201

Tl

21)

등이 연구되었으나, 평면스

캔이나 SPECT의 낮은 해상도로 널리 쓰이지는 않는 다 . 최근 들어 악성종양 진단에 많이 쓰이는 FDG PET 이 갑상선암환자에서 많이 시행되면서 기존의 방사선 추적자들과 비교되었는데 PET/CT의 우수한 해상도가 우수하여 보다 높은 진단률을 보이고 있어 앞서 언급 된 방사선추적자들을 대신하여 널리 쓰이게 되었 다 .

22-25)

갑상선암의 FDG의 섭취

일반적으로 악성종양세포의 높은 포도당의 섭취는 포도당운반체 (Glucose transporter, GLUT) 발현의 증가 및 hexokinase의 활성의 증가 또는 glucose-6-phos- phatase의 활성 감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갑 상선암에서의 포도당대사 증가는 GLUT-1 발현의 증 가에 의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

26-32)

여러 보고들에 의하면 전이성 또는 재발갑상선암의

FDG 섭취양상은 방사성요오드섭취의 정도와 반비례

한다는 ‘flip/flop 현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즉, 분

화가 좋은 갑상선암의 경우 방사성요오드스캔에서 양

성을 보이고 FDG PET 스캔에서는 음성인 반면, 상대

적으로 분화가 나쁜 갑상선암은 방사성요오드스캔에

서 음성소견을 보이는 반면에, FDG PET 스캔에서는

양성소견을 보인다는 것인데 ,

33)

독일의 222명의 환자

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연구에서 방사성옥소스캔에서

양성인 경우 FDG PET 스캔의 민감도는 65%, 방사성

옥소스캔에서 음성인 경우는 85%으로 나타나서 전이

(4)

Fig. 2. A 39-y-old women with breast cancer. (A)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metastatic LNs are found incidentally during FDG PET scan for known breast cancer staging (arrow head). Thyroid car- cinoma (B) and metastatic lymph nodes (C) show in- creased FDG uptake (arrow head: breast cancer, long arrow: papillary thyroid cancer, short arrows: metastatic lymph nodes).

암 또는 재발암의 경우 갑상선암의 분화도에 따라 방 사성옥소의 섭취와 FDG 섭취가 반비례하여 나타난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34)

이 현상은 갑상선암에서의 GLUT-1 발현은 상대적으로 분화가 낮은 경우에 증가 되지만, 방사성요오드를 섭취하는 분화가 좋은 경우에 는 sodium iodine symporter (NIS)의 발현이 증가되고 GLUT-1의 발현은 감소되기 때문으로 설명되고 있 다 .

31,32)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양성 환자에서 FDG PET 스캔

FDG PET의 이용은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가 높으나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에서 병변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가장 관심이 모아졌고 많은 연구들이 이 루어졌다 .

Schluter 등은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양성, 방사성요 오드전신스캔 음성 환자에서 FDG PET스캔을 시행하 여 44%의 환자에서 전이병변을 찾아내어 수술이나 방 사선치료의 시행으로 치료방침이 변하였다 하였다 .

35)

또한, 같은 보고에서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에 따라 FDG PET에서 진양성병변이 발견될 확률이 높아진다 하였다고 하였으며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 <10, 10∼20, >100μg/L에서 각각 11%, 50%, 93%의 진양성 FDG PET병변 발견), 다른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혈중 갑상선글로불린의 수치가 10 또는 15μg/L인 경우, FDG PET의 민감도가 높다고 하였다.

36-39)

이상의 결과 를 종합해 볼 때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가 높지만 방사성요오드스캔에서 병변이 보이지 않는 환자들에

대해 FDG PET을 선택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환자에 게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된다 하겠다 .

예후인자로서의 FDG PET

분화도가 나쁜 갑상선암은 방사성요오드를 집적하 는 능력을 떨어지고 , 떨어진 방사성요오드의 집적은 나쁜 예후와 연관된다.

40)

분화도가 나빠 요오드를 섭취 하는 능력이 감소되면 FDG 섭취는 증가하는데, 증가 된 FDG 섭취로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Wang 등은 이미 발견된 전이병변에 방사성요오드에서 섭취 가 보이지 않으나 혈중 갑상선글로불린 수치가 증가된 125명의 FDG PET 스캔을 시행하고 다분량분석을 시 행하여, FDG 섭취용적이 가장 강력한 연관인자라 하 였으며 , 125 mL 이상인 경우 유의하게 단기생존률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41)

또한 Robbins 등이 400명 환자에 대해 시행한 후향적 연구에서도 나이와 PET 소견이 다변량분석에서 유의한 예후 예측인자라 하였으며, FDG 섭취의 정도에 따라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것인지를 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42)

수술 전 평가

김 등은 수술 전에 시행한 갑상선 유두상암의 FDG

PET 40예를 분석하여 이중 1 cm 이상 크기의 결절들

은 모두 증가된 섭취소견을 보인다 하였다 .

43)

하지만,

갑상선결절의 경우 악성뿐만 아니라 양성종양에서도

FDG 섭취의 증가를 보여 FDG PET이 결절의 감별진

단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44)

(5)

림프절의 경우 크기에 따라 1 cm 보다 큰 경우는 높 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지만 (여 등, 95.7%, 80%

45)

), 일반적으로 작은 크기의 림프절의 경우 민감도가 낮으 며 , 고해상도 초음파나 조영증강 경부CT와 비교할 때 추가적인 도움은 되지 않아 림프절병기결정을 위한 목 적으로 이용되기는 어렵다 .

46)

하지만, 초음파나 경부 CT에서 평가하기 쉽지 않은 종격동 림프절전이나 원 격전이에 대해서 진단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

FDG PET/CT에서 발견되는 갑상선우연종

약 2%의 FDG PET에서FDG 섭취를 보이는 갑상선 우연종을 발견하게 되는데 , 이 중 14∼50%에서 갑상선 암으로 진단된다(Fig. 2).

47-51)

따라서 FDG PET에서 발 견되는 FDG 섭취를 보이는 갑상선우연종은 초음파 및 세침흡입생검술을 시행하여 갑상선암을 감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

결 론

현재까지 갑상선암의 진단영역에서는 방사성요오드 를 이용한 전신스캔이 혈중갑상선글로불린과 함께 갑 상선암 환자의 추적검사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 . 전신평면스캔으로 섭취의 해부학적 위치를 국소화 하기 어려우나 , SPECT/CT를 이용하여 발견된 섭취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 올바른 감별 진단에 도움 이 된다 . 방사성요오드에서 섭취되지 않는 분화가 나 쁜 전이의 경우 FDG PET 스캔으로 영상화할 수 있으 며 , FDG 섭취의 정도는 예후와 관련이 있다.

방사성요오드 전신스캔 , SPECT/CT 및 FDG PET/CT 스캔 등 핵의학영상은 갑상선암의 진단 , 재발판정, 치 료방침 결정 및 예후예측에 사용되고 있다.

중심 단어: 갑상선암, 핵종영상, SPECT-CT, PET.

References

1) Mazzaferri EL, Kloos RT. Clinical review 128: Current

approaches to primary therapy for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ncer.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4):1447-63.

2) Hindie E, Melliere D, Lange F, Hallaj I, de Labriolle-Vaylet C, Jeanguillaume C, et al. Functioning pulmonary metastases

of thyroid cancer: Does radioiodine influence the prognosi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3;30(7):974-81.

3) Hindie E, Zanotti-Fregonara P, Keller I, Duron F, Devaux JY, Calzada-Nocaudie M, et al. Bone metastases of differen-

tiated thyroid cancer: Impact of early 131I-based detection on

outcome. Endocr Relat Cancer 2007;14(3):799-807.

4) Cailleux AF, Baudin E, Travagli JP, Ricard M, Schlumberger M. Is diagnostic iodine-131 scanning useful after total thyroid

ablation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1):175-8.

5) de Geus-Oei LF, Oei HY, Hennemann G, Krenning EP.

Sensitivity of 123I whole-body scan and thyroglobulin in the detection of metastases or recurrent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2;29(6):768-74.

6) Baudin E, Do Cao C, Cailleux AF, Leboulleux S, Travagli JP, Schlumberger M.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serum

thyroglobulin levels, measured during the first year of follow-up after thyroid hormone withdrawal, in thyroid cancer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3):1107-11.

7) Menéndez Torre E, López Carballo MT, Rodriguez Erdozáin RM, Forga Llenas L, Goni Iriarte MJ, Barberia Layana JJ.

Prognostic value of thyroglobulin serum levels and 131I whole-body scan after initial treatment of low-risk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2004;14(4):301-6.

8) Schlumberger M, Berg G, Cohen O, Duntas L, Jamar F, Jarzab B, et al. Follow-up of low-risk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 European perspective. Eur J Endocrinol 2004;150(2):105-12.

9) Spencer CA. Challenges of serum thyroglobulin (Tg) measure-

ment in the presence of Tg autoantibodi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8):3702-4.

10) Park EK, Chung JK, Lim IH, Park do J, Lee DS, Lee MC,

et al. Recurrent/metastatic thyroid carcinomas false negative for serum thyroglobulin but positive by posttherapy I-131 whole body scan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9;36(2):172-9.

11) Mitchell G, Pratt BE, Vini L, McCready VR, Harmer CL.

False positive 131I whole body scans in thyroid cancer. Br J Radiol 2000;73(870):627-35.

12) Shapiro B, Rufini V, Jarwan A, Geatti O, Kearfott KJ, Fig LM, et al. Artifacts,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variants, and

unrelated diseases that might cause false-positive whole-body 131-I scan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Semin Nucl Med 2000;30(2):115-32.

13) Tharp K, Israel O, Hausmann J, Bettman L, Martin WH, Daitzchman M, et al. Impact of 131I-SPECT/CT images

obtained with an integrated system in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4;31(10):1435-42.

14) Lee JW, Lee HY, Oh SW, Kim SK, Jeong KW, Kim SW,

et al. Evaluation of usefulness of radio-iodine SPECT/CT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Nucl Med Mol Imaging 2007;

41(5):350-8.

15) Schmidt D, Szikszai A, Linke R, Bautz W, Kuwert T. Impact

of 131I SPECT/spiral CT on nodal staging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t the first radioablation. J Nucl Med 2009;50(1):18-23.

16) Spanu A, Solinas ME, Chessa F, Sanna D, Nuvoli S, Madeddu G. 131I SPECT/CT in the follow-up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incremental value versus planar imaging. J Nucl Med 2009;50(2):184-90.

17) Wang H, Fu HL, Li JN, Zou RJ, Gu ZH, Wu JC. The role

of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computed

(6)

tomography for precise localization of metastases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lin Imaging 2009;33(1):49-54.

18) Casara D, Rubello D, Saladini G, Mazzarotto R, Sotti G, Tomasella G, et al. Clinical approach in patients with

metastatic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nd negative 131I whole body scintigraphy: Importance of 99mTc MIBI scan combined with high resolution neck ultrasonography. Tumori 1999;85(2):122-7.

19) Rubello D, Mazzarotto R, Casara D. The role of technetium-

99m methoxyisobutylisonitrile scintigraphy in the planning of therapy and follow-up of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after surgery. Eur J Nucl Med 2000;27(4):431-40.

20) Wu HS, Liu FY, Huang WS, Liu YC, Chang CT, Kao CH.

Technetium-99m tetrofosmi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to detect metastatic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patients with elevated human serum thyroglobulin levels but negative I-131 whole body scan. Clin Radiol 2003;58(10):787- 90.

21) Ramanna L, Waxman A, Braunstein G. Thallium-201 scinti-

graph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with radioiodine scintigraphy and serum thyroglobulin determinations.

J Nucl Med 1991;32(3):441-6.

22) Iwata M, Kasagi K, Misaki T, Matsumoto K, Iida Y, Ishimori T, et al. Comparison of whole-body 18F-FDG PET,

99mTc-MIBI SPET, and post-therapeutic 131I-Na scintigraphy in the detection of metastatic thyroid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4;31(4):491-8.

23) Wu HS, Huang WS, Liu YC, Yen RF, Shen YY, Kao CH.

Comparison of FDG-PET and technetium-99m MIBI SPECT to detect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in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with elevated serum HTG but negative I-131 whole body scan. Anticancer Res 2003;23(5b):4235-8.

24) Wu YJ, Wu HS, Yen RF, Shen YY, Kao CH. Detecting

metastatic neck lymph node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by 18F-2-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Tc-99m tetrofosmi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Anticancer Res 2003;23(3C):2973-6.

25) Shiga T, Tsukamoto E, Nakada K, Morita K, Kato T, Mabuchi M, et al. Comparison of (18)F-FDG, (131)I-Na, and

(201)Tl in diagnosis of recurrent or metastatic thyroid carcinoma. J Nucl Med 2001;42(3):414-9.

26) Higashi T, Saga T, Nakamoto Y, Ishimori T, Mamede MH, Wada M, et al. Relationship between retention index in

dual-phase (18)F-FDG PET, and hexokinase-II and glucose transporter-1 expression in pancreatic cancer. J Nucl Med 2002;43(2):173-80.

27) Aloj L, Caracó C, Jagoda E, Eckelman WC, Neumann RD.

Glut-1 and hexokinase expression: Relationship with 2-fluoro-2- deoxy-D-glucose uptake in A431 and T47D cells in culture.

Cancer Res 1999;59(18):4709-14.

28) Haberkorn U, Ziegler SI, Oberdorfer F, Trojan H, Haag D, Peschke P, et al. FDG uptake, tumor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glycolysis associated genes in animal tumor models.

Nucl Med Biol 1994;21(6):827-34.

29) Matsuzu K, Segade F, Wong M, Clark OH, Perrier ND, Bowden DW. Glucose transporters in the thyroid. Thyroid

2005;15(6):545-50.

30) Matsuzu K, Segade F, Matsuzu U, Carter A, Bowden DW, Perrier 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in

normal and pathologic thyroid tissue. Thyroid 2004;14(10):

806-12.

31) Schonberger J, Ruschoff J, Grimm D, Marienhagen J, Rummele P, Meyringer R, et al. Glucose transporter 1 gene

expression is related to thyroid neoplasms with an unfavorable prognosis: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Thyroid 2002;12(9):

747-54.

32) Haber RS, Weiser KR, Pritsker A, Reder I, Burstein DE.

GLUT1 glucose transporter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thyroid nodules. Thyroid 1997;7(3):363-7.

33) McDougall IR, Davidson J, Segall GM.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of the thyroid, with an emphasis on thyroid cancer.

Nucl Med Commun 2001;22(5):485-92.

34) Grünwald F, Kälicke T, Feine U, Lietzenmayer R, Scheidhauer K, Dietlein M, et al. Fluorine-18 fluorodeoxy-

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thyroid cancer: Results of a multicentre study. Eur J Nucl Med 1999;26(12):1547-52.

35) Schluter B, Bohuslavizki KH, Beyer W, Plotkin M, Buchert R, Clausen M. Impact of FDG PET o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ho present with elevated thyro- globulin and negative 131I scan. J Nucl Med 2001;42(1):71-6.

36) Ruiz Franco-Baux JV, Borrego Dorado I, Gómez Camarero P, Rodriguez Rodriguez JR, Vazquez Albertino RJ, Navarro Gonzalez E, et al. F-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o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ho present elevated human serum thyroglobulin levels and negative I-131 whole body scan. Rev Esp Med Nucl 2005;24(1):5-13.

37) Giammarile F, Hafdi Z, Bournaud C, Janier M, Houzard C, Desuzinges C, et al. Is [18F]-2-fluoro-2-deoxy-d-glucose (FDG)

scintigraphy with non-dedicate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useful in the diagnostic management of suspected metastatic thyroid carcinoma in patients with no detectable radioiodine uptake? Eur J Endocrinol 2003;149(4):293-300.

38) Shammas A, Degirmenci B, Mountz JM, McCook BM, Branstetter B, Bencherif B, et al. 18F-FDG PET/CT in patients

with suspected recurrent or metastatic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J Nucl Med 2007;48(2):221-6.

39) Iagaru A, Masamed R, Singer PA, Conti PS. 2-Deoxy-2-

[18F]fluoro-D-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posit- 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diagnosis of patients with recurrent papillary thyroid cancer. Mol Imaging Biol 2006;8(5):309-14.

40) Schlumberger MJ.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N Engl J Med 1998;338(5):297-306.

41) Wang W, Larson SM, Fazzari M, Tickoo SK, Kolbert K, Sgouros G, et al. Prognostic value of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canning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3):1107-13.

42) Robbins RJ, Wan Q, Grewal RK, Reibke R, Gonen M, Strauss HW, et al. Real-time prognosis for metastatic thyroid carcinoma

based on 2-[18F]fluoro-2-deoxy-D-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ning.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2):498- 505.

43) Kim TS, Yun MJ, Cho A, Lee JD. FDG uptake in the

pathologically proven papillary thyroid cancer. Nucl Med Mol

(7)

Imaging 2007;41(1):22-9.

44) Joensuu H, Ahonen A, Klemi PJ. 18F-fluorodeoxyglucose

imaging in preoperative diagnosis of thyroid malignancy. Eur J Nucl Med 1988;13(10):502-6.

45) Yeo JS, Chung JK, So Y, Kim S, Lee E, Lee DS, et al.

F-18-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s a presurgical evaluation modality for I-131 scan-negative thyroid Carcinoma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in cervical lymph nodes. Head Neck 2001;23(2):94-103.

46) Jeong HS, Baek CH, Son YI, Choi JY, Kim HJ, Ko YH, et

al. Integrated 18F-FDG PET/CT for the initial evaluation of cervical node level of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mparison with ultrasound and contrast-enhanced CT. Clin Endocrinol (Oxf) 2006;65(3):402-7.

47) Kang KW, Kim SK, Kang HS, Lee ES, Sim JS, Lee IG, et

al. Prevalence and risk of cancer of focal thyroid incidentaloma identified by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for metastasis evaluation and cancer screening in healthy

subjec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9):4100-4.

48) Ishimori T, Patel PV, Wahl RL. Detection of unexpected

additional primary malignancies with PET/CT. J Nucl Med 2005;46(5):752-7.

49) Chen YK, Ding HJ, Chen KT, Chen YL, Liao AC, Shen YY, et al. Prevalence and risk of cancer of focal thyroid

incidentaloma identified by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cancer screening in healthy subjects.

Anticancer Res 2005;25(2B):1421-6.

50) Kim TY, Kim WB, Ryu JS, Gong G, Hong SJ, Shong YK.

18F-fluorodeoxyglucose uptake in thyroid from positron emission tomogram (PET) for evaluation in cancer patients: High prevalence of malignancy in thyroid PET incidentaloma.

Laryngoscope 2005;115(6):1074-8.

51) Choi JY, Lee KS, Kim HJ, Shim YM, Kwon OJ, Park K,

et al. Focal thyroid lesions incidentally identified by integrated

18F-FDG PET/CT: Clinical significance and improved

characterization. J Nucl Med 2006;47(4):609-15.

수치

Fig.  1.  A  38-y-old  woman  with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ncer  (pT3N1M0)  after  total  thyroidectomy  and  lymph  node  dissection
Fig.  2.  A  39-y-old  women  with  breast  cancer.  (A)  Differentiat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metastatic  LNs  are  found  incidentally  during  FDG  PET  scan  for  known breast cancer staging (arrow  head)

참조

관련 문서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effect of human oral cancer KB cell treated with pulsatilla koreana extract..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is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F18-FDG uptake in thyroid from PET for evaluation in cancer patients: high prevalence of malignancy in thyroid PET incidentaloma.. Thyroid incidentalomas: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에는 문자기반 영상 검색 (text-based i mage retri eval )과 내용기반 영상 검색(content-based i mage retri

Cooper, M.D.et el Revised American Thyroid Associa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Volume

The present era makes the demand for a creative human character who presents the original solutions with the original thoughts that are one’s own only. And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4 > Effects of Taro on COX-2 expression and iNOS expression(hot water) in human thyroid cancer cells. The cells were pretreated for 48hours with ei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