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식 물 이 미 지 의 도 자 조 형 연 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식 물 이 미 지 의 도 자 조 형 연 구"

Copied!
5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식 물 이 미 지 의 도 자 조 형 연 구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도 자 공 예 전 공

백 용 각

2 0 0 1

(2)

식 물 이 미 지 의 도 자 조 형 연 구

지 도 교 수 노 경 조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 1년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도 자 공 예 전 공

백 용 각

200 1

(3)

백 용 각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 1년

심 사 위 원 장 (인 )

심 사 위 원 (인 )

심 사 위 원 (인 )

국 민 대 학 교 디 자 인 대 학 원

(4)

목 차

논 문 개 요

Ⅰ . 서 론 1

1) 연구 동기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 본 론 3

1. 자연과 예술 3

2. 식물의 생명력 5

1) 식물의 생명력 5

2) 식물의 조형성 8

3. 식물 이미지의 도자 조형 연구 13

Ⅲ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해 설 2 1

1. 작품 제작 의도 21

2. 작품 제작 과정 및 방법 21

3. 작품 해설 23

Ⅳ . 결 론 4 1

참고 문헌 43

abstract 44

(5)

논 문 개 요

자연이 갖고 있는 아름다움은 무한한 신비감과 생성 변화의 과정을 거 쳐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고 있으며 그 아름다움은 인간을 더욱 감동시 킨다. 인간은 하나의 생명체가 스스로 생성, 성장, 소멸의 순환 속에서 살아가려고 하는 존재 의지를 접하게 될 때 생명의 신비와 조화로움을 느끼게 된다.

자연은 예술로 표현되는 가장 기본적인 대상으로서 인간의 조형 활동 에 끊임없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자연의 생명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소재로 식물은 항상 조금 씩 변해 가는 유기체로서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가지고있다.

식물은 인간에게 주는 매우 친근한 표현 대상물이며 식물의 아름다운 곡선의 미는 예술가들의 창작의 가능성을 유발시키는 대상이 되어 왔 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의 생명력의 의미를 추구하고 시각적으 로 보여지는 씨앗, 꽃, 잎, 줄기, 가지, 열매 등의 유기적인 형태를 단순 화하여 식물의 아름다움을 도자 조형으로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론에서는 자연과 예술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보고 식물의 생명력에 내재된 의미와 조형성에 있어서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식물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을 제시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곡선의 아름다움과 식물의 부분을 변형, 확대, 단순화하여 도자 조형 오브제에 수반, 화기, 조명등 등의 기능성을 부 여하여 다양한 식물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었다.

(6)

본 연구를 통하여 식물은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독창적인 해석으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식물의 다양한 이미지를 어떠한 방법으로 개성 있게 소화하고 표현해 내는가에 따라 변화되고 발전적인 창작의 세계를 넓혀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7)

Ⅰ . 서

1 . 연 구 의 동 기 및 목 적

자연은 모든 예술 활동의 근원이 된다. 인간의 조형의지와 미의식에 따라 자연은 모방, 창조, 그리고 표현으로써 구체화되었다. 자연물 중에 서 식물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고 창작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식물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접하고 있어 다양한 창조의 가능 성을 가지고 있으며 조형적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엿볼 수 있다.

작은 식물일지라도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생명 활동을 하며 최소한 의 존재성이 바로 생명력이다. 우리 주변에서 항상 볼 수 있는 친숙한 식물이 주는 미묘한 변화의 아름다움과 편안함 생동감이 주는 느낌은 식물의 외적인 아름다움 뿐 아니라 내적인 식물의 강한 생명력에 인한 것이다. 움직이지 않은 듯 보이지만 식물은 살아 있으며 생명체의 최소 한의 존재성에서 새로운 미를 발견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식물에서 느껴지는 끊임없는 성장과정을 통하여 생명의 아름다움과 다양한 형태 변화, 씨앗, 꽃, 잎, 줄기, 가지, 열매 등의 부 드러운 곡선의 형태를 재 조합하고 조형화 하는 것이 작업의 동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에 내재되어 있는 유기적인 곡선과 질 감, 양감 등의 생명력을 이미지화 하고 조형적 오브제에 일상 공간 속 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을 부여하여 조형물과 실용기의 조화가 자 연스럽게 이루어져 도시 공간 속에 어울리는 도자 조형으로 조형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8)

2 . 연 구 내 용 및 방 법

자연은 모든 예술의 근원으로서 모방, 창조하여 조형의 아름다움을 표 현 할 수 있는 대상물이다. 자연은 외적인 분석보다는 작가의 의도와 개성으로 표현한 추상적인 의미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졌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물 중 식물이 가지고 있는 씨앗, 꽃, 잎, 줄기, 가지, 열매 등의 유려한 곡선을 양감, 공간감, 비례, 균형에 맞추어 자연스러 운 곡선과 율동감 있는 표현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론적 배경으로는 자연과 예술의 관계를 살펴보고 식물이 가 지고 있는 아름다움과 생명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조형요소 로서 식물의 자유로운 표현의 가능성과 유기적인 형태에 대해 알아보 았다. 그리고 식물의 조형적 측면을 잘 나타낸 작품을 제시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살펴보았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식물이 가지고 있는 씨앗, 꽃, 잎, 줄기, 가지, 열매 등의 곡선의 아름다움을 분석 재 조합하여 생 동감 있게 이미지화 하고자 하였으며 기물의 실용성을 모색하고자 하 였다. 작품의 제작방법은 식물의 곡선의 이미지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 주입 성형을 하였다. 그리고 장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판 성형과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소지는 백색도가 높은 슈퍼 화이트, 고려 도토 등을 사용 하였고 조명등은 투광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 실크 소지를 사용하였다.

시유는 작품의 깨끗한 식물 이미지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투명유로 시유 하거나 무광 투명유로 시유하여 백색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백색의 모던함에 포인트의 효과로 식물의 상징적인 색인 녹색계열의 색유로 시유 하였고 색소지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9)

Ⅱ . 본 론

1 . 자 연 과 예 술

자연은 예술가에게 무한한 창조의 가능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기능, 형 태를 통한 아름다움으로 인간에게 감동을 준다. 자연은 합리적 질서의 법칙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경직된 완성체가 아니라 스스로 생성, 성장, 소멸의 순환 속에서 무한한 생명의 신비와 조화로움을 이루고 있다.

자연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이 없다는 점에서 합리적 질서의 법칙에 따라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아름다운 자연에서의 신비로운 감정은 예술가들의 세밀한 관찰을 요구 하며 자연을 흥미롭고 조화로운 대상으로 여겨 항상 새로운 예술적 표 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허버트 리드는 예술이란 즐겁게 하는 형식을 만들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가장 간단하게, 가장 일반적으로 정의 할 수 있다. 1) 고하였 다. 이와 같이 예술가는 대상을 보고 관찰과 지각의 경험을 하며 사고 를 통해 형상화하여 미의 표현을 통해 사람들을 즐겁게 하려는 의욕을 가지고 있다.

자연과 예술의 미는 내적으로 연관되어 있기는 하지만 예술은 자연의 복사가 아니며, 또한 형식을 갖추고 은유적 상징으로 나타나므로 작가 의 직관에 의해 새로운 감동을 담은 형식으로 다시 배열된다. 만일 자 연의 외적 표현 그대로라면 이미 예술이 아닌 것이다.2) 자연은 인간과

1) H . R ead . 「예술이란 무엇인가」, 윤주일 (역) (서울:을유문화사, 1969 ), p .19

(10)

의 관계에 있어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대상으로써 무 궁무진한 예술적 소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예술가는 독창적인 상상으로 자연을 그대로 재현해 내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상상을 통해 느낀 감정을 표현해 내는 것이다. 예술가의 예술 적 상상은 꿈이나 정신이상일 때 보이는 것 같은 단순한 우연적, 수동 적 병적인 현실 변용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서 현실을 자유롭게 초월하 고 변화는 있지만 현실을 일층 잘 파악시키는 것 같은 전형적 존재를 창조하는 것이다. 또, 예술에 있어서의 상상은 반드시 작품으로서 객관 화되어야 할 필연성을 갖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 3 ) 예술은 인간이 대상을 보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예술가들의 경험 과 시각적인 측면을 무엇보다도 중요시한다. 자연형태를 관찰하는데는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첫째로는 자연형태가 가진 추상적 의미를 그대 로 변환시켜 조형발상에 이용하는 방법과 둘째 자연형태가 가진 그대 로의 특색을 잡아서 조형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형 자체를 순수하게 분석하는 방법으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형태의 특성으로서 미적 측면을 파악하는 것, 둘째 구조적인 법칙성을 탐구하는 것, 셋째 동적인 형태나 변화하는 성장의 형태로서 관찰하는 것이다. 4 )

이러한 방법으로 발견된 자연 속에 존재하는 특징들을 통해 얻은 감 동을 인간의 독창적인 표현에 의해서 새로운 양식으로 형성해야 한다 . 5 ) 예술가는 자연의 질서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분석하여 모방이 아닌 자신의 상상에 관심을 기울여서 자연을 재창출해 내는 것이다.

2) 조요한(1979). 「예술철학」, 서울:경문사, p.29

3) 한석우 (1994), 입체조형 - 이론과 실제, 미진사. p.107 4) 십흥 삼산명박 (1986), 조형형태론, 미진사.

5) 이일(1975). 재료 표현 그리고 실현(서울:공간 2호). p.26.

(11)

예술에 있어서 표현은 대상에 생명력을 주는 것이며 대상의 모방이 아닌 대상에 대한 감정표출이다. 예술작품은 느껴질 수 있는 것 일체 라는 의미로 감정을 재현하며 느껴진 삶이 공간적・시간적 구조를 투 영된 감정의 이미지들인 것이다.6 ) 따라서 인간이 예술로써 자연을 표 현함에 있어서 대상의 외적 분석보다는 예술가의 독창적인 상상을 자 신의 내면세계와 결합하여 표출해 낸다. 자연은 인간의 정서를 완화시 켜 주는 예술 표현의 대상이며 인간의 미의식을 발견하고 내적 이미지 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미적 가치를 지닌 형상으로 새로운 자연으로 창 조되는 것이다.

2 . 식 물 의 생 명 력

1 ) 식 물 의 생 명 력

생명력이란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기까지 생물이라는 작지만 큰 하나의 우주가 존재하는 힘이다. 생명력은 스스로 존재하려는 가장 순수한 의 지이다. 생명의 본질은 생물이 생물로서 존재할 수 있는 까닭의 본원적 속성이다. 생물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은 자체의 내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살아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의 생명현상은 어떠한 상 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동적인 과정을 뜻하는 것으로 유기적 운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6) Su sanne K. Lan ger (1982).「예술이란 무엇인가」, 이승훈 (역), 서울: 고려 원, p.36

(12)

다양한 자연 현상에 대한 관찰은 생성의 힘과 변화에 이미지를 부여하 고 이것은 생명적 충동과도 같은 유기체적 형태를 표출한다.

생명이 있는 모든 생물은 끊임없이 성장한다. 이것은 생물의 기본적 성 질 중의 하나이다. 그중 식물의 성장은 대단히 느리다. 씨앗에서 싹이 움트고 꽃이 피어나는 것을 관찰하노라면 그것은 눈으로 볼 수가 없는 대단히 정적인 것이다. 식물의 생명력은 인간의 관찰 능력으로는 그 움 직임을 살펴 볼 수가 없다. 무의식적인 순간 순간에 그들은 자라고 움 직이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촬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식물들의 움직임 하나 하나를 연속적 장면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로 인해 자연의 순수한 식물 형태의 외적인 아름다움 뿐 아니라 각 요소마다 매우 독특한 형 태적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식물의 생명력은 그 자체의 생동감과 율동감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자 연을 조형화 하는 중요한 대상이 된다. 사실 그러한 조형화 작업에 있 어서는 단지 가시적으로 보여지는 움직이는 율동감도 중요하지만 보다 내포된 의미를 찾을 필요가 있다.

식물은 볼 수 있으며 서로 의사 소통을 한다. 서로 미세한 접촉에도 반 응하고 먹이의 위치와 냄새를 재빨리 알아채고 살아남는데 필요한 요 소인 햇볕과 물을 차지하기 위해 주변의 다른 식물과 경쟁하며 환경에 적합한 형태와 모습을 갖춘다.

좌엽 식물 중 하나인 파리지옥 풀은 자극에 대하여 적극적인 성향을 띤다. 파리지옥 풀은 한번이 아니라 두 번을 건드려야 닫히는 데 이는 수를 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아메리카의 습지에서만 사는 파리 지옥 풀은 식충 식물 가운데서도 벌레 잡는 기능이 가장 뛰어나다.

(13)

영양분이 적은 곤충들에 의해서는 닫혀지지 않도록 돌기가 촘촘하지 않다. 벌레가 잎 사이로 들어가서 방아쇠 역할을 하는 돌기에 닿으면 잎이 0.5초 밖에 안 되는 빠른 속도로 닫혀 버린다. 맞물린 돌기들 사 이로 곤충들은 빠져 나올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 도 1>

선인장은 열대 사막 외에도 오대 및 한대 건조지역에 널리 분포되고 있다. 혹독한 사막지대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아침 이슬이나 이따금 내리는 강우에 의한 물을 체내에 저장하고 아주 적게 소비한다.< 도 2>

이외에도 우리 나라처럼 사철이 뚜렷한 곳의 수목은 가을이 되면 가지 의 신장을 중지하고 가지 끝이나 중간에 겨울눈을 만들어서 겨울을 난 다. < 도 3> < 도 4>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는 오직 네 가지 이다. 물, 햇빛, 따뜻한 기온, 그리고 소량의 광물질이다. 이 목록은 지극히 소박하다. 특히 식 물들이 이러한 요소들을 극소량 씩 만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을 때 더욱 소박하게 보일 것이다.7 ) 이처럼 식물은 다양한 생존전략을 사 용하여 다른 식물들과 주위 환경과 싸우며 환경에 적합한 모습을 갖추 며 일부 식물들은 혹독한 생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다.

생존하기 위해 힘을 쓰고 더 나은 환경으로 움직이는 것을 볼 때 식물 은 미세한 접촉에도 반응하며 정확히 자극을 감지한다. 식물은 단순히 살아 숨쉴 뿐 아니라 상호 교감도 나눌 수 있는 존재이다. 식물은 부단 히 굽히고, 방향을 바꾸고, 끊임없이 운동을 하고 환경에 적응하며 주 위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7) 식물의 사생활 p .244

(14)

2 ) 식 물 의 조 형 성

식물의 생명력은 살아있는 형태이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것으로 시・공간 및 모든 상황에 따라 성장하며 변화한다. 식물의 생명력은 다 양한 조형성을 가진다.

식물은 특유의 곡선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곡선은 그 형태가 동 작, 팽창, 수축 또는 성장의 과정들을 통하여 만들어낸다.

화면내의 유동적인 곡선에서 느껴지는 힘, 움직임은 허버트 리드(H . Read)가 말한 바와 같이 감정이입이 되는 것이다. 즉 그 자체는 움직 이지도 약동하지도 않으나 우리 자신이 선의 경로를 따라 약동한다고 상상하는 것이다.8 ) 식물의 선이 시각적으로 직선으로 보일지라도 곡선 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 도 5>에서는 깨어나는 목련의 잎눈의 형태가 주는 유려한 곡선에서 적극적인 생명력을 느낄 수가 있다.

< 도 6>에서는 꽃이 활짝 피기 전의 붓꽃의 꽃봉오리의 자연스럽고 부 드러운 선의 구성에서 단아한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보여 준다.

< 도 7> 에서는 다른 식물의 줄기를 꼭 죄고 있기 때문에 나사 모양의 흠집을 내게 된다. 흠집이 난 나무의 거친 질감과 나선의 곡선의 미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식물은 성장하면서 율동감에 의해 질서를 유지한 다.

< 도 8> < 도 9> 에서는 나무 가지에 넝쿨을 휘감고 자란 수세미오이와 호박의 형태가 주는 반복적인 볼륨에서 율동감을 느낄 수 가 있다. 식 물이 주는 비례와 공간의 조화는 예술가의 표현의 소재로 변형되어져 8) H. Read. 「예술이란 무엇인가」, 윤주일 (역) (서울:을유문화사, 1969), p49.

(15)

다양한 형상으로 태어나게 된다.

< 도 10>에서는 물봉선의 꿀샘으로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끝의 말린 곡선 형태에서 공간감과 식물의 생명력을 잘 살펴 볼 수가 있다.

< 도11>에서는 천남성의 직선의 무늬와 곡선의 형태가 잘 어울러진 모 습과 꽃술은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공간미를 보여준다.

< 도 12> 에서는 타원형의 열매가 익어 갈라져 그 속에 보여지는 공간 감과 열매의 형태가 주는 부드러운 곡선에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가 있다.

식물의 생명력은 어떠한 환경에 걸맞게 자리 잡는 끈질김과 형태로 다 양한 조형성을 가진다. 싹, 줄기, 잎이 자라서 꽃을 이루는 일정한 성장 법칙을 따르고 있으며 식물의 성장에 있어서 생명력은 상승적이다. 거 의 눈에 띄지 않을 만큼 서서히 변화하여 형성되어 가는 식물의 움직 임과 씨앗, 꽃, 잎, 줄기, 가지, 열매의 특성을 살려 표현하려고 한다면 조형적 소재로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16)

< 도1> 파리지옥풀 < 도2> 선인장

< 도3> 동백나무의 겨울눈 < 도4> 산수유의 겨울눈

(17)

< 도5> 목련 < 도6> 붓꽃의 꽃봉오리

< 도8> 수세미오이

< 도7> 나무줄기를 감은 미역 줄나무

(18)

< 도9> 호박 < 도10> 물봉선의 꿀샘

< 도11> 천남성 < 도12> 벌어진 으름

(19)

3 . 식 물 이 미 지 의 도 자 조 형 연 구

이 장에서는 식물을 이미지화 시킨 작품을 살펴보았다. 식물은 우리생 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식물 그대로의 모습이 아닌 작가 자신 의 주관에 의해 변형되고 주관적 내면성으로 재해석하여 많은 예술가 들이 작품화했다. 주로 현대 도자 작품을 위주로 살펴보았으며 식물이 미지가 표현된 타 분야의 작품도 참고로 하였다.

< 도13> < 도14> 박석우 작 [ 비 ]와 [ 숲 ]은 외형과 내형의 다른 형태 로 다양한 공간의 느낌을 표현하였고 볼륨감이 풍부한 자연스러운 선 이 따뜻한 느낌을 준다. 열매의 단면을 유기적인 선으로 재해석하여 조 형화 하였다.

< 도15> barbar a w alch의 [ A T ea P arty ]는 규칙적인 선으로 단순 화시킨 몸체와 자연스럽게 달린 꼭지의 형태와 장식의 효과가 뛰어난 손잡이의 형태를 조화시켜 열매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 도16> T ina Reut erber g의 [ 연못 ]은 원색의 유약을 사용하였고 가 시덩굴 같이 꿈틀거리며 살아 움직이는 듯한 동적인 유기적 구조를 조 형화한 오브제이다. 바닥을 장식한 연못을 검게 표현하였고 화려한 색 채의 식물이주는 느낌은 꿈과 환상이 가득하다.

< 도17> D . HayneBayles s의 [ Ov al T eapot W ith Hinged lid ]는 몸체 의 직선적 형태와 식물의 줄기 느낌으로 표현한 손잡이와 주구가 어우 러져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뚜껑 손잡이의 질감 표현, 몸체 의 장식효과, 녹색의 유약 처리가 식물이미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20)

< 도18> Marilyn da Silv a의 [ An Unlikely pair V ]는 금속작품으로 주전자의 뚜껑 손잡이와 몸체의 손잡이 부분을 식물의 줄기와 잎 모양 으로 표현하여 사실적 열매 형태를 하고 있다.

< 도19> 류남희 작 [ 생- 97- Ⅲ ]는 형태와 형태를 조합하여 그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인해 작품 안에서 여러 가지 공간의 미를 느끼게 해 준다. 자연의 선을 부드럽게 표현하여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 도20> 김수정 작 [ 생명 ]은 활짝 피어나려는 꽃과 잎의 유연한 곡선 을 율동감 있게 표현하였고 식물의 생동감과 화려함이 돋보이는 작품 이다.

< 도21> < 도22> Et suko T ashim a의 [ F lor al No.2 ]와[ Change in t ype Ⅲ ]는 나선형의 형태로 식물의 강한 성장의 이미지를 표현한 작 품이다.

< 도21>은 꽃의 줄기나 잎, 꽃술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하고 유연한 선을 통해 식물의 성장하는 이미지를 느낄 수 있으며 형태와 유약에서 화려 한 느낌을 갖게 한다.

< 도22>는 작품의 하단의 풍부한 양감과 수직으로 계속 성장해 나가는 동적 형태로 식물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 도23> Daniel Ciaym an의 [ T ender ]는 유리작품으로 규칙적인 선에 서 율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형태에서 열매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다.

< 도24> Beatrice Lopino의 [ cermic v essels ]는 식물의 형태를 단순화 하고 세련된 선으로 표현하여 실용성을 부과하였다.

< 도25> Andrea s T esch의 [ 유리병 ]은 유기적인 형태에서 조화롭고 균형 잡힌 조형미가 보인다.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끝 부분이 살짝 감겨있는 형태에서 식물의 생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안정적인 비례에

(21)

서 편안함이 느껴지도록 표현한 작품이다.

< 도26> Jo Gr een 의 [ 홈이 파인 배 모양 상자 ]는 배의 형태를 이용 하여 뚜껑의 꼭지부분을 다양한 형태로 장식의 효과를 주었다.

< 도27> Naot o Ha segaw a의 [ Plant , st onw are, brqs s, st one ]은 식물 의 열매 형태를 표현 한 것으로 엷은 슬립을 반복하여 입혀 표면의 형 태를 만든 뒤에 물에 적셔서 표면을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 도28> Andr ea Hylands의 [ Cup on P edest al ]은 화려한 색과 형태 로 표면을 섬세한 장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식물의 가시 모양의 장식 효과는 생동감을 준다.

< 도29> Richar d Slee의 [ Garden ]은 동화적인 느낌을 갖게 하는 작 품으로 친숙한 형태이지만 명확히 구분 지을 수 없는 형태로 무한한 상상을 하게 하는 조형 작품이다. 정원의 나무를 단순화하여 표현하였 으며 반복적인 형태에서 율동감을 느낄 수 있다.

< 도30> Clqr e Belfrage의 [ Untitled fr om line dr awing s series ]는 단 정하고 안정적인 형태와 기면 위에 양각된 겹쳐진 선에서 식물의 자연 스러운 질감을 표현 한 것이 경쾌하다.

< 도31> Helen Shirk 의 [ S chering - Plough Com mission ]은 주름잡 인 꽃잎 주름 같은 곡선 형태와 직물 같은 독특한 질감을 지닌 작품이 다. 바람에 꽃잎들이 흔들리는 듯한 형상들을 통해 생명의 역동적 이미 지를 표현하였다.

< 도32> Lidia Zav adsky의 [ Jar ]는 열매 모양의 정형화 된 형태와 회 화적 느낌의 꽃을 양각하여 장식적 요소가 짙은 작품이다.

(22)

< 도13> 박석우 [비] < 도14> 박석우 [숲]

< 도15> Barbara W alch [ A T ea Party ]

< 도16> T ina Reuterber g [ 연못 ] 1996

(23)

< 도17> D. HayneBayles s [Oval T eapot With Hinged lid]

< 도18> Marilyn da Silv a [An Unlikely pair V]

< 도20> 김수정 [생명]

< 도19> 류남희 [생- 97- Ⅲ]

(24)

< 도22> Et suko T ashim a [change in type Ⅲ]

< 도21> Et suko T a shim a [F loral No.2]

< 도23> Daniel Claym an [T ender]

< 도24> Beatr Lopiano [cermic v es sle]

(25)

< 도26> Jo Gr een

[홈이 파인 배모양 상자]

< 도25> Andreas T each [유리병]

< 도27> Naot o H asegaw a [plant, stonware,brass, stone]

< 도28> Andrea Hylands [Cup on Pedest al]

(26)

< 도29> Richard Slee [Garden]

< 도30> Clare Belfrage

[Untitled from line drawings series]

< 도31> Helen Shirk [Sh er in g - Plou g Com m is

sion]

< 도32> Lidia Zav adsky [Jar]

(27)

Ⅲ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해 설

1 . 작 품 제 작 의 도

자연을 이미지화 하여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예술가는 대상의 사실적 분석보다는 자신의 상상을 표현하게 된다. 식물 이미지는 다양한 표현 을 하고자하는 충동을 유발시키는 대상이 되어 왔다.

자연물 중에서 식물은 씨앗으로부터 싹, 줄기, 잎이 자라서 꽃을 피우 며 열매를 맺을 때까지 눈에 띄지 않을 만큼 서서히 변화한다.

본 연구자는 식물의 새싹, 줄기, 잎, 꽃, 가지, 열매 등을 관찰하여 사실 적인 형태가 아닌 단순화하고 부분적인 강조, 확대, 변형, 장식 등을 하 여 식물 이미지를 표현 하고자 하며 식물의 열매에서 느낄 수 있는 양 감과 면적의 대비를 통해 재구성하고 변형하여 작품에 담아 내고자 하 였다.

식물 이미지의 오브제에 실용 기능이 하나로 결합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실용과 장식적 기능을 고려하여 디자인한다.

2 . 작 품 제 작 과 정 및 방 법

성형방법은 식물의 곡선미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장주입 성형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장 주입 성형에서 내벽과 외벽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함으로서 형태

(28)

의 단순미를 극복 하고자 하였고 백색도가 뛰어난 고려 도토, 슈퍼 화 이트, 실크 소지를 사용하였다. 여러 형태를 접합하는데 있어서 건조 상태에 유의하여 성형하였으며 형태의 특징에 따라 부분적으로 판 성 형과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장식의 효과를 주었다.

시유는 작품을 투명유로 시유 하거나 무광 투명유로 시유하여 백색도 를 높이고자 하였고 고화도 안료를 사용하여 색소지를 만들어 사용하 기도 하였다. 백색의 모던함에 포인트의 효과로 식물의 상징적인 색인 녹색계열의 색유와 수금을 사용하였다.

소성방법은 850℃에서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1250℃에서 산화 소성 하였으며 800℃에서 수금 3차 소성을 하였다.

(29)

3 . 작 품 해 설

[작 품 1]

행복한 날 - 수반

1. 소지 : 슈퍼 화이트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3. 시유 : 투명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호박의 형태에서 오는 양감과 부드러운 곡선의 율동감을

수반 형태에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꽃의 봉오리의 유연한 곡선의 형태와 꽃잎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표현하였고 조형과 용기를 조화롭게 표현 하고자 하였다.

[작 품 2]

봄빛을 담은 꿈

1. 소지 : 고려 도토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 물레성형 , 모델링 기법 3. 시유 : 투명유, 색유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식물의 잎, 가지, 열매 등의 형태를 단순화하여 곡선 이 미지로 장식을 표현하였고 전체적인 형태를 직선으로 나타내어 곡선의 장식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30)

[작 품 3]

향기로운 풍경 - 수반

1. 소지 : 고려 도토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 모델링 기법 3. 시유 : 투명유, 색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단순한 수반의 형태의 지루함을 참외형태의 반복되는 선

과 곡선의 장식 표현을 하여 대비의 효과와 공간감과 경쾌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 품 4 ]

흰 눈이 오면 - 화기

1. 소지 : 슈퍼 화이트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 판 성형 , 모델링 기법 3. 시유 : 투명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참외의 형태를 이용하여 규칙적인 면의 분할로 단순화하

여 안정된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단순화된 형태에 장식효과를 주어 식물의 정형화된 이 미지가 아닌 다양하고 재미있는 디자인을 하고자 하였 으며 형태와 형태의 재 조합에서 생기는 공간의 미를 강조하였다.

(31)

[작 품 5 ]

맑은 소리 - 수반

1. 소지 : 고려 도토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 모델링 기법 3. 시유 : 투명유, 고화도 안료,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열매의 단면을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선으로 표현하였고

단순한 선에서 느껴지는 지루함을 모델링 기법으로 장 식의 효과를 주고자 하였다.

[작 품 6 ]

느낌의 삶 Ⅰ: 초원 - 화기

1. 소지 : 슈퍼 화이트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3. 시유 : 투명유, 고화도 안료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나무의 질감과 대비될 수 있도록 부드럽고 단순한 형태 로 겹쳐진 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풀을 수채화 느낌으로 표현하여 자 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32)

[작 품 7 ]

느낌의 삶 Ⅱ: 기다림 - 수반

1. 소지 : 슈퍼 화이트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3. 시유 : 투명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수반의 형태를 외형은 단순한 형태로 나타내었고 내형은

꽃잎의 부드러운 선을 표현하였다. 꽃잎 위에 놓여진 형태는 꽃봉오리를 표현한 것으로 유려한 곡선의 미를 강조하여 나타내었고 꽃을 피우기 위한 기다리는 마음 을 겸손함과 행복감이 피어나는 느낌이 나도록 하였다.

[작 품 8]

하늘 아래 - 화기

1. 소지 : 슈퍼 화이트( 고화도 안료 )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3. 시유 : 투명유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5. 작품해설 : 소지에 고화도 안료를 넣어 이장 주입 성형하였다.

선인장의 형태와 가시를 장식으로 이용하여 표현하였고 상승적 형태로 선인장의 강한 생명력을 나타내고자 하 였다.

(33)

[작 품 9]

마음의 여유 - 수반

1. 소지 : 고려 도토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3. 시유 : 투명유, 색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정적인 형태가 주는 안정감 있는 디자인으로 벌어진 열

매의 단면형태를 표현하였고 외형과 내형의 형태를 다 르게 디자인하여 시각적 즐거움을 주고자 하였다. 단순 한 형태가 주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꽃 이미지의 장식을 하였으며 색유로 시유하여 식물 이미지가 한층 돋보이게 하고자 하였다.

[작 품 10]

느낌의 삶 Ⅲ: 그리움 - 수반

1. 소지 : 고려 도토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모델링 성형 3. 시유 : 무광 투명유, 수금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3차 소성 80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타원형태에 기울기를 주어 긴장감을 나타내고자 하였고

씨앗에서 싹이 나오기 시작하는 생명력의 모습을 표현 하여 장식의 효과를 주고자 하였다.

(34)

[작 품 11]

느낌의 삶 Ⅳ:작은 소망 - 화기

1. 소지 : 고려 도토, 색소지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모델링 성형 3. 시유 : 투명유, 무유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열매의 형태를 확대하고 단순화하여 긴 형태로 제작하여 시원함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매끈한 형태와 파스텔 톤의 장식의 색감에서 순수하고 깨끗한 식물의 이미지 를 표현 하고자 하였다.

[작 품 12]

아침 창가에서 - 조명

1. 소지 : 실크 소지

2. 성형 : 이장 주입 성형, 모델링 성형 3. 시유 : 투명유, 무유

4. 소성 : 1차 소성 850℃, 2차 소성 1250℃ 산화소성

5. 작품해설 : 꽃, 열매, 잎의 형태를 재 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표 현 하고자 하였다. 열매의 매끄러운 선을 최대한 살려 단순화하였으며 안정적인 형태로 제작하였다.

(35)

[작품 1] 행복한 날 - 수반

(36)

[작품 2] 봄빛을 담은 꿈

(37)

[작품 3] 향기로운 풍경 - 수반

(38)

[작품 4] 흰눈이 오면 - 화기

(39)

[작품 5] 맑은 소리 - 수반

(40)

[작품 6] 느낌의 삶Ⅰ:초원 - 화기

(41)

[작품 7] 느낌의 삶 Ⅱ:기다림 - 수반

(42)

[작품 8] 하늘 아래 - 화기

(43)

[작품 9] 마음의 여유 - 수반

(44)

[작품 10] 느낌의 삶 Ⅲ: 그리움 - 수반

(45)

[작품 11] 느낌의 삶 Ⅳ: 작은 소망 - 화기

(46)

[작품 12] 아침 창가에서 - 조명

(47)

Ⅳ . 결 론

자연은 질서와 조화 속에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무한한 아름다움의 세 계를 내재하고 있으며 조형 형태로 나타내기에 그 자체로서 완전하다.

식물은 인간과 밀접하게 있으며 외적 아름다움과 그 내재되어 있는 무 한한 생명력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이미지를 표현한 선행작품을 알아보고 참고자료를 제시하였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수반, 화기, 조명등 등에 조 형적 요소를 이용하여 조형물과 실용기의 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거기서 나타나는 조형성을 연구하였다.

첫째, 식물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조형의 대상으로 서 해석자의 주관적 시각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식물은 씨앗, 줄기, 잎, 꽃, 가지, 열매 등의 요소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식물이 서서히 변화하는 모습은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장식적으로 반복되는 꽃잎, 열매의 형태 와 단면, 잎의 종류에 따른 모양과 질감, 줄기와 넝쿨의 굵고 가는 선 을 통해 식물의 변화하는 모습을 단순화, 확대, 축소하여 부드러운 선 으로 표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식물 이미지를 얻어 낼 수 있었다.

둘째, 한 작품에서 오브제의 조형성과 실용성이 절충되어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밀도 있는 조형적 표현과 새로운 표현 방법을 시도 하고자 하였다. 식물 이미지를 조형화하고 분석 재 조합하여 조형 오브제와 실용기의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어 수반, 화기, 조명등 등을 표현할 수 있었다.

(48)

셋째, 식물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점토라는 매개체는 부드러운 곡 선과 풍부한 양감을 표현하는데 잘 어울리는 재료이다. 유연한 곡선과 양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이장 주입 성형방법을 시도함으로서 다양한 조형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넷째, 식물 이미지의 작품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식물의 곡선을 감각 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로 표현함에 있어서 비대칭적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의 아르누보 양식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식물의 깨끗한 이미지와 곡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고 틀을 이용하 여 이장 주입 성형을 한 후 다양한 장식을 표현을 하기 위해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였으나 장식을 접합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소성 후 재 조합하여 성형상의 문제점을 보완 하고자 하였다.

모던한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투명유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다양한 장식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약, 전사 기법, 색소지, 고화도 안료 등의 적절한 사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의 작업에 장식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의 생활에서 항상 볼 수 있었던 대상이 다양하 고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어떠한 대상이든지 작가의 조형의지 에 따라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도 있는 조형적 표현으로 소재나 제재의 폭을 넓히고 끊임없는 노력만이 자유로운 표 현의 한계를 극복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49)

참 고 문 헌

권영한(1994), < 재미있는 꽃 이야기> . (서울:전원문화사) 김태정(1993), < 백두산의 우리꽃> . (현암사)

백기수(1983), < 미학> . (서울:문명사)

십흥,삼산명박(1986), < 조형형태론> . (서울:미진사) 이일(1975), < 재료표현 그리고 실현> . (서울:공간) 조요한(1973), < 예술철학> . (서울:경문사)

최병상(1996), < 미술과 연구 - 연구의 여러 가지 방법과 논문작성 방 법> . (보성각)

최영전(1989), < 한국민속식물> . (서울아카데미) 한석우(1991), < 입체조형> . (서울:미진사)

데이비드 에튼보로(1995), < 식물의 사생활> . (서울:도서출판까치) 데이비드 A 라우어(1985), < 조형원리> . (기린원)

루돌프 아른하임(1991), < 미술과 시지각> . (서울:홍성신서) 에른스트 피셔(1993), < 예술이란 무엇인가> . (서울:돌베개) 피터 톰킨슨, 크리스토퍼 버드(1972), < 식물의 신비생활> .

(서울:정신계사)

H . Read (1969), < 예술이란 무엇인가> . (서울:열화당)

Su sanne K . Langer (1982), < 예술이란 무엇인가> . (서울:고려원)

박진우(1996), < 열매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도자표현연구> .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간행)

신보영(1998), < 식물의 생명력에 관한 도자표현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간행)

(50)

A B S T R A CT

A study on for m at ive art s of cer am ics fr om plant im ag e

B e a k , Y o n g G ak M aj o r in C e ram i c Craf t Gra du a t e S c h o o l o f K o ok m in U n iv e r s ity D ire c t e d b y pro f . R o e , k y u n g Jo e

T he beauties of nature m ade hum an being impres sed m ore and m or e a s fact or changing with v ariou s types through an infinit e sen se of my st ery and it s pr ocess of change.

Hum an being has felt my st ery and harm onization of life w hen he found the will of exist ence t hat a organism liv es in a circulation of birth , growing , and destruction .

Natur e is the best basic obj ect t o be expr essed a s art s and has a lot of effect on hum an activity of form ative art s continually .

A s fact or for an im age expr ession of natur al life a plant has a form at iv e beauty and str ong vit ality a s organism which is alw ay s little changing . And the plant is an subject v ery familiar w ith expr ession t o giv e hum an being and also, becam e an object t o bring about a cr eat iv e ability of art ist .

(51)

Accor dingl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 o expres s w ith a ceramic m odeling for the plant beaut y t o sim plify a type of or ganizat ion of seed, flow er , leaf, t wig and fruit et c., show n visually t o pur sue m eaning of the plant ' s vit ality .

In t his thesis the m ain subject found out the relat ion s bet w een nature and art s with fact or which has a lot of effect on art s . T hu s, it ha s investigat ed the form ative feature pr esenting the w ork s t o expr ess a plant im age.

T his study enabled m e t o expr ess t he v ariou s plant im ages t o gr aft on w at er - tray , flow er v ase and light and so on as ov eze (오브 제) of ceramic modeling to change, extend and simplify a part of plant and a curv e beauty of the plant .

T he thesis found out that the plant is the fact or ha s a infinitude creativ e abilit y and enables u s t o express as an unique int erpr et at ion

T hu s, this st udy is t o expand a form ative w orld of dev eloped creation t o present a v ariou s m odeling t o be changed upon an expr ession how t o develop one ' s per sonalit y for v ariou s im ages of life phenom enon .

참조

관련 문서

도시민은 과밀과 혼잡의 일상 속에서 누적되는 피로를 농업체험을 통해 해소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하여 가족이 함께 소비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에서 장기요양기관 운영에 필요한 수입 및 지출 구 조 차이를 분석하여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하고

한편,직무만족에 따른 독립변수인 리더십 유형과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의 신분위 협과의 영향력 검증결과 직무만족을 높게 하는 집단에서는 리더십 유형 중

Conclusion: From this results, the individual oral health education, as the continuous oral health care system, seem to be extended continuously. Therefore,

Schl e ge l등 3 1 은 Whe r be i n 등 8, 30 이 제안한 정중구개부 제1소구치 부위에서 생검한 조직을 이용한 조직학적 연구에서 절치관 또는 c ys t i cl e s

또한 학생들이 참여하고자 하는 야구형 게임의 경우 던지기 기초부터 라켓의 탄성 정도 글러브의 형태 등 다양한 야구도구의 특징을 알아야 하나 체육수업에서는 그 부

승패를 다루는 경쟁 스포츠는 본질적으로 서로 실력을 견주어 승․패를 쟁취한다 는 경쟁의 형식을 취하기 때문에 항상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하며,이 규칙의 적용

구 분 재 해 유 형 재해내용 주요 해결 대책 설치, 해체 낙하 인상용 Traverse Waver와 Shoe의 체결 상태 불량 또는 이탈. 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