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Distal Metatarsal Dorsal-Wedge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for Advanced Hallux Rigidu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Distal Metatarsal Dorsal-Wedge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for Advanced Hallux Rigidus"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Received: January 15, 2012 Revised: January 30, 2012 Accepted: February 14, 2012

Byung-Ki Cho,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10 Seongbong-ro, Heungdeok-gu, Cheongju 361-711, Korea

Tel: +82-43-269-6077 Fax: +82-43-274-8719 E-mail: titanick25@yahoo.co.kr

J Korean Foot Ankle Soc. Vol. 16. No. 1. pp.38-46, 2012

진행된 무지 강직증에서 생체흡수성 압박나사를 이용한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김용민⋅조병기⋅김동수⋅최의성⋅손현철⋅박경진⋅박지강⋅최승명

The Distal Metatarsal Dorsal-Wedge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for Advanced Hallux Rigidus

Yong-Min Kim, M.D., Byung-Ki Cho, M.D., Dong-Soo Kim, M.D., Eui-Sung Choi, M.D., Hyun-Chul Shon, M.D., Kyoung-Jin Park, M.D., Ji-Kang Park, M.D., Seung-Myung Choi,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of distal metatarsal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as the joint preservation method for advanced hallux rigidus.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case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distal metatarsal dorsal wedge osteotomy for advanced hallux rigidu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patient’s satisfaction score. The range of motion, and the period to return to running exercise, tip-toeing gait, squatting, walking down the stairs were evaluated. As the radiographic evaluation, the interval of 1st MTP (metatarsophalangeal) joint space and the period to union were measured.

Results: The AOFAS hallux score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50.7 points to 87.6 points at the last follow-up (p=0.005). The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was average 90.6 points. There were no case of subsequent fusion or additional operation, and no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bio-compression screw. The period to return to running exercise, tip-toeing gait, squatting, walking down the stairs were average of 24.8 weeks, 20.4 weeks, 16.8 weeks, 18.5 weeks respectively.

Dorsiflexion of 1st MTP joint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17.5° to 44° (p<0.001). All cases achieved union of osteotomy site, and the period to union was average 10.4 weeks. The interval of 1st MTP joint space had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operative average 1.2 mm to 3.5 mm (p=0.014).

Conclusion: Distal metatarsal osteotomy using bio-compression screw seems to be one of effective treatment methods for advanced hallux rigidus, because of restoration of the first MTP joint motion, and reliable pain relief, and needlessness of hardware removal.

Key Words: Hallux rigidus, Distal metatarsus, Dorsal wedge osteotomy, Bio-compression screw

서 론

무지 강직증은 제1 중족 족지 관절에 국한된 퇴행성 관 절염으로서 보행이나 체중 부하 시 악화되는 통증, 관절 운 동의 제한, 신발 착용의 불편감 등을 보이는 질환이며 점차

(2)

유병률이 증가되고 있는 상태이다.1)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는 진행된 무지 강직증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저자들마다 다양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그 임상 결 과에 대해선 국내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환자의 활동도 및 증상과 더불어 방사선학적 진행 정도가 수술 방법의 결정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이며, 관절 주위의 뚜렷한 골극 형성과 함께 상당한 관절 간격의 감소를 보이는 중등도 및 중증의 진행된 무지 강직증의 경우, 관절 유합술이 표준 술 식으로 알려져 왔다.2) 그러나 최근 관절을 보존시키는 수술 방법들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며 골극 제거술(cheilectomy) 과 더불어 관절 감압(decompression)을 위한 원위 중족골 또는 근위 지골 절골술의 우수한 임상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대표적인 원위 중족골 절골술 로는 사선형 절골술(sliding oblique osteotomy),3,4) 갈매기 형 절골술(chevron osteotomy)5) 등이 있다. 주로 중족골 두 배측 관절면의 퇴행성 변화와 골연골 유리체의 형성, 골극 형성을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을 통해 중족골 두 를 회전시켜 장측의 비교적 건강한 관절 연골이 새로운 중 족 족지 관절을 형성하도록 하고, 동시에 중족골의 길이를 감소시켜 중족 족지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도록 하였다. 또한 절골 부위의 고정을 위해 기존에 사용되었던 K-강선이나 금속나사, 흡수성 핀이 아닌 생체흡수성 압박 나사를 이용하였다.

저자들은 진행된 무지 강직증에서 관절을 보존시키는 수 술 방법으로 생체흡수성 압박나사를 이용한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 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본원에서 무지 강직증 진단하에 생체흡수성 압박나사를 이용한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을 시행 받은 환자 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명(11예)를 대상 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동일한 술자에 의해 이루어졌으 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9.2세(39-61세), 평균 추시 기간 은 20.5개월(12-31개월)이었다. 과거력상 실족 사고에 의해 제1 근위 지골 골절이 있었던 경우가 1예 있었으며, 나머지 는 특별한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idiopathic) 경우였다. 환 자들의 성별은 남자 2예, 여자 9예였고, 우측이 7예, 좌측이 4예였으며 이 중 양측성 무지 강직증이 1명이었다. 모든 환

자에서 수술 전 전산화 단층촬영과 혈액 검사가 시행되어 박리성 골연골염, 통풍성 관절염 등과의 감별이 이루어 졌 으며, Coughlin과 Shurnas의 분류 방법6)에 의한 중증도 분 류상 Grade II가 2예, Grade III이 7예, Grade IV가 2예였 다. 수술 전 약 3개월 이상의 보존적 치료 후에도 증상 호전 이 없고, 방사선 검사상 제1 중족 족지 관절의 뚜렷한 간격 감소와 골극 형성이 확인되는 Grade II 이상의 진행된 무지 강직증이 있는 경우를 수술 적응증으로 하였다.

2.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방법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미국 족부 정형 외과 학회(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의 무지 척 도를 이용하여 통증, 기능, 정열 상태를 각각 평가하였으며,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합병증, 재수술 여부 등을 조사하였 다. AOFAS 점수는 술 전 및 술 후 최종 추시 시에 측정되 어 증상과 기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90-100점은 우수, 80-89점은 양호, 65-79점은 보통, 64점 이하는 불량 으로 분류하여 양호 이상(80점 이상)을 만족스러운 결과로 평가하였다. 수술 후 운동 능력의 회복을 평가하기 위해 무 지의 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으며 가벼운 달리기 운동, 첨족지 보행(tip-toeing gait), 쪼그려 앉기(squatting), 계단 내려가기 항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술 후 3개월, 6개월째에 시행하였다. 각 운동 항목 시의 통증과 불편감에 대해 0-10 점까지의 시각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질문하여 2점 이 하로 답하는 경우, 그 정확한 시점에 대해 다시 질문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술 후 절골 부위의 골 유합까지의 기 간, 제1 중족 족지 관절의 간격 변화, 골극 재형성 유무를 측정하였다. 제1 중족 족지 관절의 간격은 술 후 1달째, 술 후 3달째, 최종 추시 시에 체중 부하 족부 단순 방사선 사진 상에서 측정되었으며, Coughlin과 Shurnas의 측정 방법6)을 참고하여중족 골두의 가장 원위부 관절면부터 이와 상합 하는 제1 근위지골 기저부 관절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 다. 술 전의 제1 중족 족지 관절 간격은 관절면 주변의 골극 에 의해 계측점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전산화 단층 촬영 관상면(coronal) 영상에서 측정되었다. 모든 방사선 계측치는 두 명의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3회 반복 측정한 뒤 평균치를 구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최종 추시 사이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의 통계학적 비교는 비모수 통계검정인 Mann-Whitney test (SPSS version 12.0)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p (유의수 준) 수치가 0.05 이하일 때 통계학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3)

Figure 1. (A) Intraoperative pho- tograph showing cartilage defect of dorsal part of the metatarsal head. (B) Cheilectomy for dorsal spur and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C) Stable fixation us- ing bio-compression screw after temporary fixation with K-wires.

(D) Restoration of congruent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Figure 2. (A, B) Intraoperative fluoroscopes show the sufficient range of motion and stability of osteotomy site.

A B

C D

A B

3. 수술 방법 및 술 후 재활 방법

제1 중족 족지 관절을 기준으로 근위부 배측에 약 3 cm 가량의 종적 피부절개를 가하였다. 장 무지 신건을 외측으 로 견인하고 관절낭에 종적 절개를 가하여 중족 족지 관절 에 접근한 뒤, 관절낭과 골막을 조심스럽게 박리하여 관절

주변의 골극과 관절면, 제1 중족골 원위 골간단부를 노출시 켰다(Fig. 1A). 관절 세척 및 유리체 제거를 시행한 후, 연 골 결손부에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하였다. 골극 제거술 (cheilectomy)을 시행하여 관절 주변의 골극을 정리한 뒤 관절면으로부터 약 1 cm 근위부에 배측으로 5 mm 정도의 기저부를 둔 쐐기형 절골술을 시행하였다(Fig. 1B). 이때

(4)

Table 1. Comparison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Scores (Mann-Whitney test)

AOFAS hallux rating Preoperative (mean±SD) Postoperative (mean±SD) p-value

Pain (40 points) 19.2±5.4 35.4±6.8 <0.001

Function (45 points) 24.5±4.2 37.8±4.4 0.011

Alignment (15 points) 7±0.6 14.4±1.6 0.004

Total scores 50.7 87.6 0.005

AOF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Figure 3. Plain radiographs of 52 years old female patient.

Preoperative anteroposterior (A) and lateral radiographs (B) show the severe narrow- ing of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space and the dorsal spurs. Postoperative ante- roposterior (C) and lateral radiographs (D) show the restoration of joint space and the rotation of meta- tarsal head by dorsal clos- ing wedge osteotomy.

A B

C D

원위부 절골선은 중족골의 장축에 수직으로, 근위부 절골선 은 약 45도 정도 각을 주어 비스듬하게 절골함으로써 쐐기 골편의 첨부를 원위부로 향하게 하여 절골면과 고정 나사 의 삽입방향이 가능한 직각이 되도록 만들었다. 중족골 두 장측의 비교적 양호한 연골부가 관절면을 이루도록 회전시 키고 K-wire를 이용해 임시 고정시킨 뒤, 절골 부위를 2개 의 직경 3 mm 생체흡수성 압박나사(Arthrex, Naples, FL, USA)를 삽입하여 고정하였다(Fig. 1C). 나사의 삽입 입구 는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한 연골 결손부에 위치하도록 하 였으며, 연골하 골에 충분히 깊게 삽입하여 관절면으로 돌 출되지 않도록 하였다(Fig. 1D). 임시 고정한 K-wire를 제 거하고 무지의 관절운동에 제한이 없음을 확인한 뒤 관절 낭을 봉합하였다(Fig. 2).

술 후 3일째부터 수술 후 신발(stiff-soled postoperative

shoe) 착용 및 후 족부 위주의 부분 체중 부하 보행을 하였 고, 2주째 봉합사를 제거한 뒤 능동적 및 수동적 관절운동 을 시작하였다. 술 후 6주 이후부터 일반 신발의 착용과 전 체중 부하 보행을 허용하였다.

결 과

AOFAS 수치는 술 전 평균 50.7점(35-64점)에서 술 후 최종 추시 시 87.6점(77-100점)으로 호전되었으며(p=0.005), 우수가 5예, 양호가 5예, 보통이 1예로 나타나 10예(91%) 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AOFAS 무지 척도의 세부 항목을 각각 평가한 결과, 40점 만점의 통증 항목은 술 전 평균 19.2점(0-30점)에서 술 후 최종 추시 시 35.4점(30-40 점)으로 호전되었다. 45점 만점의 기능 항목은 술 전 평균

(5)

Figure 4. Plain radiographs and CT scan of 56 years old female patient. Preoperative radiographs (A, B) and coronal CT scan (C) show the advanced hallux rigidus with chondral erosion. Postoperative ra- diograph (D) shows the restoration of joint space.

A B

C D

24.5점(14-37점)에서 술 후 최종 추시 시 37.8점(24-45점) 으로 호전되었으며, 15점 만점의 무지 정열 상태는 술 전 평균 7점(0-15점)에서 술 후 최종 추시 시 14.4점(8-15점) 으로 호전되었다(Table 1). 최종 추시 시 환자의 주관적 만 족도는 90.6점(70-100점) 이었으며, 최하 만족도를 보인 예 는 술 후 5개월까지 족지 신경의 부분 손상에 의한 신경통 과 감각저하가 있었던 환자였다.

운동기능 평가상 술 후 가벼운 달리기 운동은 평균 24.8 주, 첨족지 보행은 평균 20.4주, 쪼그려 앉기는 평균 16.8 주, 계단 내려가기는 평균 18.5주에 큰 불편감 없이 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무지 중족 족지 관절의 족배굴곡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17.5도(10-30도)에서 최종 추시 시 44도 (30-60도)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수술 후 절골 부위의 골 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10.4주 (8-12주)였으며, 모든 예에서 골 유합이 이루어졌다(Fig. 3).

무지 중족 족지 관절의 간격은 술 전 평균 1.2 mm (1-2 mm)에서 술 후 최종 추시 시 3.5 mm (2-5 mm)로 유의하 게 호전되었다(p=0.014).

수술 후의 합병증으로 족지 신경의 부분 손상에 의한 신 경통과 감각저하가 1예, 국소 창상 감염이 1예 있었으나, 보존적 치료를 통해 각각 5개월, 1개월 정도 경과하여 자연 회복되었다. 수술 후 평균 20.5개월의 추시상 제1 중족 족 지 관절부의 추가적인 재수술 및 생체흡수성 압박나사와 관련된 합병증은 없었다.

고 찰

보존적 치료에 호전이 없는 진행된 무지 강직증 환자들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현재까지 골연 절제술(cheilectomy),6-9) 중족골 절골술,3-5,10-12) 근위지골 절골술,13,14) 관절 유합 술,6,15,16) 삽입 관절성형술(interpositional arthroplasty),17-19) 인공관절 치환술,20,21) 종자골 절제술,22) 골연골 이식술 (osteochondral autograft)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보고되어 왔으나 아직 표준화된 술식이 정해지지는 않은 실정이다. 수술 방법의 선택 시 환자의 나이, 활동도, 동반된 무지 기 형, 인접 관절의 관절염 유무 등 여러 가지 요건을 고려해

(6)

Figure 5. Schematic drawing show representive metatarsal osteotomies for hallux rigidus. (A) Sliding oblique osteotomy. (B) Modified chevron osteotomy. (C, D)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A B

C D

야 하며,23) 방사선 검사상 중족 족지 관절염의 진행 정도가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가 된다. 중등도의 진행된 무지 강직 증에 대해 관절 기능을 보존시키기 위한 술식으로 골연 절 제술, 중족골 절골술, 근위지골 절골술, 종자골 절제술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 진행된 중증 관절염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관절 유합술, 삽입 관절성형술, 인공 관절 치환술 등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 간격의 감 소와 골극 형성이 뚜렷한 중등도의 무지 강직증(Grade II

& III), 또는 방사선 검사상 심한 관절염 소견을 보이나 (Grade IV) 수술 소견상 중족골 두 관절면의 50% 이상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 골연 절제술과 중족골 절골술을 적용 하였다. Coughlin과 Shurnas6,24)는 일부 Grade III 무지 강 직증까지는 골연 절제술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나, 관절면의 50% 미만이 남아있는 Grade III와 Grade IV의 경우 관절 유합술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Blyth 등25)과 Haddad26)는 중족골 절골술이 Grade II & III에 적용되며, 중족골 두 관절면의 50% 이상이 보존되어 있는 것이 필수 조건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술 전 방사선 검사상 정확한 Grade를 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특히 중족골 두 관 절면의 보존 정도는 애매한 경우가 많으므로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 대한 세심한 분석과 수술 소견에 따른 술식 변 경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

서는 술 전 계획상 관절 유합술을 고려하였으나 수술 소견 에 의해 중족골 절골술로 변경된 경우가 2예 있었으며 최종 추시 시 AOFAS 무지 척도상 2예 모두 양호로, 환자의 주 관적 만족도는 각각 90점, 85점이었다(Fig. 4). 적은 수의 증례에서 관찰된 단기 추기 결과이나 현재까지 추가적인 수술 없이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바, 무지의 운동 기능 을 유지하면서 관절 유합술을 최대한 늦춰줄 수 있는 가능 성을 가진 술식이라고 생각된다. 향후 심한 관절염 소견을 보이는 무지 강직증 환자들에서의 장기 추시 임상 결과를 통해 중족골 절골술의 적용 범위에 대한 결론을 얻을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지 강직증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가장 대표적인 중족골 절골술로는 사선형 절골술(sliding oblique osteotomy)과 갈매기형 절골술(chevron osteotomy)이 있으며, 두 술식 모 두 중족골 길이의 감소와 중족골 두의 장측 전위(plantar displacement)를 통해 중족 족지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decompression) 절골술이다. 사선형 절골 술3,4)은 배측 접근법으로 시행되며 중족골 두의 배측 관절 면에서 원위부 장측으로 사선형 절골을 가해 중족골 두를 3-5 mm 정도 전위시키는 술식이다(Fig. 5A). 갈매기형 절 골술5)은 내측 접근법으로 시행되며 중족골 경부에 갈매기 형 절골을 가하고 배측으로부터 약 3 mm 정도의 골편을

(7)

제거하여 중족골 두를 전위시키는 술식이다(Fig. 5B). 무지 강직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제1 중족골의 거상(metatarsus primus elevates)을 해결하기 위해 중족골 두의 장측 전위를 유도하는 것이 기본 원리로 받아들여 졌 으나, 최근에는 무지 강직증 환자의 94% 정도는 정상적인 중족골 정렬을 보이며, 제1 중족골의 거상이 무지 강직증의 발생 원인이 아니라 이차적으로 생긴 문제로 병의 심각도 및 관절운동의 제한 정도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6) 본 연구 에서 사용된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은 퇴행성 변 화가 없는 양호한 연골부를 배측으로 회전시켜 정상 관절 면을 이루게 하고, 중족골의 단축과 골극의 제거를 통해 제 1 중족 족지 관절에 가해지는 접촉력(contact pressure)의 감압을 도모하는 술식이다(Fig. 5C, D).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술식으로 Gong 등27)은 중족골두 무혈성 괴사 (Freiberg’s disease)에서 배측 쐐기 절골술을 통해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었다고 하였으며, Lee 등28)도 같은 질환에 대해 Weil 절골술을 적용하면서 중족골 길이의 감소와 중 족골 두의 거상을 얻을 수 있어 효과적인 술식이라고 보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골 부위의 고정을 위해 생체흡수성 압 박나사를 이용하였으며 기존의 K-wire 고정술에 비해 내고 정물 제거가 불필요하고, 조기 관절운동을 방해하는 내고정 물에 의한 자극증상이 없으며, 핀 삽입 경로를 통한 감염의 위험성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원위 중족골 절골술 시 관절면을 포함하는 원위 절골부의 크기가 충분 하지 않아 견고한 고정을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나, 생체흡수성 압박나사는 관절면을 통해 절골선에 수직으로 충분한 길이의 나사 삽입이 가능하였다. 또한 금속나사를 사용하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해 골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 으나, 점차적으로 분해되는 생체흡수성 나사를 이용함으로 써 응력차단(stress shielding) 없이 응력이 점차적으로 골에 전달되도록 하였다.29) 생체흡수성 압박나사의 생역학적 강 도는 제1 중족골 원위부 절골술 후 조기 체중부하 및 관절 운동을 진행하기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본 연 구에서는 3일째부터 부분 체중 부하 보행을, 6주 이후부터 전 체중 부하 보행을 허용하였고 이는 무지 외반증 환자의 원위 중족골 절골술 시 K-wire 또는 금속나사로 고정하였 을 때와 재활속도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생체흡수성 압박 나사의 파손이나 전위 등은 추시 방사선 사진에서 명확하 게 확인되는 부분이 아니나, 절골부의 골 유합 과정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점으로 미루어 술 후의 초기 치유기에 충분 한 강도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무지 외반증에서 시행된 원 위부 및 근위부의 절골술 후 생체흡수성 고정물을 이용한

여러 연구들에서도 기존의 금속 내고정물과 유사한 생역학 적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30-32) 반면 생체흡수성 고정물의 단점으로는 염증성 이물 반응이 비교적 흔한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33,34)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염증 성 이물 반응에 의해 국소 감염이나 골 소실, 누공 형성 등 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평균 20.5개월의 추시상 이와 같은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Burns과 Varin35) 도 염증성 이물 반응이 큰 뼈에 큰 삽입물을 사용하는 경우 에 흔하며 비교적 작은 뼈를 다루는 족부 수술에서는 드물 다고 보고하여, 생체흡수성 압박나사의 사용 시 추가적인 합병증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

무지 강직증의 선행 원인으로는 관절내 골절이나 압궤 손상과 같은 외상이 대표적이나 특발성 요인으로 박리성 골연골염, 중족골 내전증, 편평족, 편평하거나 갈매기 모양 의 중족골 두 등이 연관이 있다고 하며, 중족골의 길이나 제1열의 과운동성, 무지 외반증, 신발, 직업 등은 객관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 본 연구에서는 과거 력상 실족 사고에 의해 제1 근위 지골 골절이 있었던 경우 가 1예 있었으며, 나머지는 특별한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idiopathic) 경우였고 무지 외반증과 동반되어 있는 증례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AOFAS 무지 척도를 이용해 증상과 기능 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술 전에 비해 통증, 기능, 정 열 상태의 세 가지 항목 모두 유의한 호전을 얻었다. 그러 나 술 후의 추시 설문상 계단 오르내리기, 불규칙한 지면에 서 걷기, 장시간 걷기 같은 활동은 많은 환자들에서 상당 기간 동안 불편감을 호소했으나 AOFAS 무지 척도의 기능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점수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보 행 시 정상적인 발뒤축 들림(heel off)과 추진력(propulsion) 을 얻기 위해서는 약 65-75도 정도의 무지 족배굴곡이 필 요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23) 무지 강직증 환자의 경우 무 지의 족배굴곡이 제한되면서 전족부가 내회전 되고 소족지 에 전이성 중족골 통증(transfer metatarsalgia)이 생기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21) 본 연구에서도 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무지의 운동범위가 증가되면서 보행 및 운동 능력이 호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소족지의 중족골 통증도 대부분 소실되었다. 향후 무지 강직증 수술 후의 기능 향상 정도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세부 평가항목의 추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중등도의 무지 강직증에 서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술식들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 지 않은 점, 다른 방식의 중족골 절골술로 수술 받은 경우 와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다. 사선형 절골술

(8)

이나 갈매기형 절골술과 같은 다양한 원위 중족골 절골술 후의 임상 결과로 약 82-96% 정도의 양호한 결과들이 보고 되어 있으며,3-5,10-12) 저자들도 이와 비슷한 91% 정도의 양 호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단순히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한 것이므로 중족골 절골술 간의 우열을 정확히 비교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며, 절골 부위의 고정방법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한다. 둘째, 단기간의 추시에 기초한 임상 결과로서 진행 된 무지 강직증에서 관절을 보존시키는 수술 방법으로 생 체흡수성 압박나사를 이용한 중족골 배측 쐐기 절골술의 장기 추시 임상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생체흡수성 압박나사를 이용한 원위 중족골의 배측 쐐기 절골술은 진행된 무지 강직증에서 관절의 보존과 중족골의 단축을 통해 양호한 통증 호전과 무지 기능의 회복을 가능 하게 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향 후 제1 중족 족지 관절의 방사선학적 변화와 기능에 대한 장기적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Coughlin MJ, Shurnas PS. Hallux rigidus. Demographics, eti- ology and radiographic assessment. Foot Ankle Int. 2003;24:

731-43.

2. Yee G, Lau J. Current concepts review: hallux rigidus. Foot Ankle Int. 2008;29:637-46.

3. Lundeen RO, Rose JM. Sliding oblique osteotomy for the treat- ment of hallux abducto valgu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al- lux limitus. J Foot Ankle Surg. 2000;39:161-7.

4. Ronconi P, Monachino P, Baleanu PM, Favilli G. Distal obli- que osteotomy of the first metatarsal for the correction of hal- lux limitus and rigidus deformity. J Foot Ankle Surg.

2000;39:154-60.

5. Youngswick FD. Modifications of the Austin bunionectomy for treatment of metatarsus primus elevates associated with hallux limitus. J Foot Surg. 1982;21:114-6.

6. Coughlin MJ, Shurnas PS. Hallux rigidus. Grading and long-term results of operative treatment. J Bone Joint Surg Am.

2003;85:2072-88.

7. Easley ME, Davis WH, Anderson RB. Intermediate to long-term follow-up of medial-approach dorsal cheilectomy for hallux rigidus. Foot Ankle Int. 1999;20:147-52.

8. Feltham GT, Hanks SE, Marcus RE. Age-based outcomes of cheilectomy for the treatment of hallux rigidus. Foot Ankle Int.

2001;22:192-7.

9. Mackay DC, Blyth M, Rymaszewski LA. The role of cheilec-

tomy in the treatment of hallux rigidus. J Foot Ankle Surg.

1997;36:337-40.

10. Viegas GV. Reconstruction of hallux limitus deformity using a first metatarsal sagittal-Z osteotomy. J Foot Ankle Surg.

1998;37:204-11.

11. Gonzalez JV, Garrett PP, Jordan MJ, Reilly CH. The modified Hohmann osteotomy: an alternative joint salvage procedure for hallux rigidus. J Foot Ankle Surg. 2004;43:380-8.

12. Derner R, Goss K, Postowski HN, Parsley N. A plan- tar-flexory-shortening osteotomy for hallux rigidus: a retro- spective analysis. J Foot Ankle Surg. 2005;44:377-89.

13. Citron N, Neil M. Dorsal wedge osteotomy of the proximal phalanx for hallux rigidus. Long-term results. J Bone Joint Surg Br. 1987;69:835-7.

14. Thomas PJ, Smith RW. Proximal phalanx osteotomy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hallux rigidus. Foot Ankle Int. 1999;

20:3-12.

15. Lombardi CM, Silhanek AD, Connolly FG, Dennis LN, Keslonsky AJ. First metatarsophalangeal arthrodesis for treatment of hallux rigidus: a retrospective study. J Foot Ankle Surg. 2001;40:137-43.

16. Coughlin MJ, Abdo RV. Arthrodesis of the first meta- tarsophalangeal joint with Vitallium plate fixation. Foot Ankle Int. 1994;15:18-28.

17. Sanhudo JA, Gomes JE, Rodrigo MK. Surgical treatment of advanced hallux rigidus by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Foot Ankle Int. 2011;32:400-6.

18. Cosentino GL. The Cosentino modification for tendon inter- positional arthroplasty. J Foot Ankle Surg. 1995;34:501-8.

19. Hamilton WG, O’Malley MJ, Thompson FM, Kovatis PE.

Roger Mann Award 1995. Capsular interposition arthroplasty for severe hallux rigidus. Foot Ankle Int. 1997;18:68-70.

20. Blair MP, Brown LA. Hallux limitus/rigidus deformity: a new great toe implant. J Foot Ankle Surg. 1993;32:257-62.

21. Townley C, Taranow W. A metallic hemiarthroplasty resurfac- ing prosthesis for the hallux metatarsophalangeal joint. Foot Ankle Int. 1994;15:575-80.

22. Tagoe M, Brown HA, Rees SM. Total sesamoidectomy for painful hallux rigidus: a medium-term outcome study. Foot Ankle Int. 2009;30:640-6.

23. Giannini S, Ceccarelli F, Faldini C, Bevoni R, Grandi G, Vannini F. What’s new in surgical options for hallux rigidus? J Bone Joint Surg Am. 2004;86-A Suppl 2:72-83.

24. Coughlin MJ, Shurnas PS. Hallux rigidus. J Bone Joint Surg Am. 2004; 86-A Suppl 1(Pt 2):119-30.

25. Blyth MJ, Mackay DC, Kinninmonth AW. Distal wedge osteot- omy in the treatment of hallux rigidus. J Foot Ankle Surg.

1998;37:8-10.

26. Haddad SL. The use of osteotomies in the treatment of hallux limitus and hallux rigidus. Foot Ankle Clin. 2000;5:629-61.

27. Gong HS, Baek GH, Kim JH, Chung MS. Dorsal wedge osteot- omy using bioabsorbable pins for the treatment of Freiberg’s disease. J Korean Foot Ankle Soc. 2005;9:59-63.

(9)

28. Lee HS, Kwon SY, Kim DW, Chung JW. Weil osteotomy for Freiberg’s disease. J Korean Foot Ankle Soc. 2011;15:217-22.

29. Ashammakhi N, Rokkanen P. Absorbable polyglycolide de- vices in trauma and bone surgery. Biomaterials. 1977;18:3-9.

30. Lavery LA, Higgins KR, Ashry HR, Athanasiou KA.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oly-L-lactic acid absorbable screws and stainless steel screws in basilar osteotomies of the first metatarsal. J Foot Ankle Surg. 1994;33:249-54.

31. Small HN, Braly WG, Tullos HS. Fixation of the Chevron os- teotomy utilizing absorbable polydioxanon pins. Foot Ankle Int. 1995;16:346-50.

32. Winemaker MJ, Amendola A. Comparison of bioabsorbable pins and Kirschner wires in the fixation of chevron osteotomy for hallux valgus. Foot Ankle Int. 1996;17:623-8.

33. Böstman OM. Osteolytic changes accompanying degradation of absorbable fracture fixation implants. J Bone Joint Surg Br.

1991;73:679-82.

34. Böstman OM. Osteoarthritis of the ankle after foreign-body re- action to absorbable pins and screws: a three- to nine- year fol- low-up. J Bone Joint Surg Br. 1998;80:333-8.

35. Burns AE, Varin J. Poly-L-lactic and rod fixation results in foot surgery. J Foot Ankle Surg. 1998;37:37-41.

수치

Figure 1. (A) Intraoperative pho- pho-tograph showing cartilage defect  of dorsal part of the metatarsal  head
Table 1. Comparison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Scores (Mann-Whitney test)
Figure 4. Plain radiographs  and CT scan of 56 years old  female patient. Preoperative radiographs (A, B) and  coronal CT scan (C)  show the advanced hallux  rigidus with chondral  erosion
Figure 5. Schematic drawing show representive metatarsal osteotomies for hallux rigidus

참조

관련 문서

· 50% exemption from tuition fee Ⅱ for the student with a TOPIK score of level 3 or higher or completion of level 4 or higher class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the

Now follow the procedure in paper [10], to derive the average complexity bound of the Hybrid-F&amp;R-LLL Algorithm. The results of average complexity bound of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Average of the indexed values of the following data: (1) Total value of the indexed score for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the number of years lost due to illness,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2. The finite element is calculating using tension test of uni-direction 0° and 90°, compression test of uni-direction 0° and 90° and shear test results and, the results

In gi ngi va,LCs are found i n oralepi thel i um ofnormalgi ngi va and i n smal l er amountsi nthesul cul arepi thel i um,buttheyareprobabl yabsentfrom thejuncti onal epi thel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d, the score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high, and as the external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