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질병의 다수가 통증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증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질병의 다수가 통증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증은 "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질병의 다수가 통증을 수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증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통증의 원인을 한(寒), 열(熱), 담음(痰飮) 및 어혈(瘀血) 등으로 보고 통증 조절에 대한 방법으로 고 대로부터 침자극이 이용되어 왔다.

1,2)

이런 내용은 최고(最 古)의 한의학 서적인《黃帝內經》

3)

에서 잘 나타나 있어서

“좌취우(左取右), 우취좌(右取左)”라 하여 통증조절에 대하 여 통처(痛處)의 반대쪽에 취혈하는 무자법(繆刺法)에 대한 기록도 있다. 또한 《素問․擧痛論》

3)

등에 나타난 통증의 다양한 원인들 중 “불통즉통(不通則痛)”은 기혈(氣血)의 순 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나타나며 침치료의 근거가 되어 왔다.

실제 임상에서의 침자극의 운용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침자(鍼刺)가 인체에 미치는 기전에 대하여 신경학,

5,6)

혈액 학,

7-9)

내분비

9,10)

등의 여러 방향으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 어지고 있으며 이들 연구결과는 침자극이 진통에 유효함을 입증하였고 또한 진통에 대한 기전연구가 중요함을 인식하 였으나, 아직은 명확하게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는 일치된 이론이 성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침자극의 진통작용에 대하여 한의학과 서양 의학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약간의 智見을 얻었기에 보고하 는 바이다.

본 론

1. 한의학적인 통증의 기전

3,11-15)

한의학에서 통증은 임상에서 많이 보는 증상으로 외감 (外感)육음(六淫), 칠정내상(七情內傷), 담음(痰飮), 어혈(瘀 血), 외상(外傷) 등의 요소가 장부, 경락의 기능을 실조(失 調)시키고 기혈(氣血)의 운행을 저해하여 전신 또는 국부에 각종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데 동통의 종류가 매우 많고 임 상표현도 각기 다르게 나타나므로 內經을 위주로 하여 분 류하였다.

1) 脈絡踡縮

*「素問․擧痛論」“寒氣客于脈外則脈寒, 脈寒則縮踡, 縮 踡則脈絀急, 絀急則外引小絡, 故卒然而痛”

*「素問․擧痛論」“寒氣客于腸胃之間, 膜原之下, 血不得 散, 小絡急引故痛”

*「素問․擧痛論」“寒氣客于厥陰之脈, 厥陰之脈者, 絡陰

침의 진통 기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1

경혈학교실

이병렬․김영일․홍권의․임윤경

1

A Study on Pain C ontrol M echanism by A cupuncture

Byung Ryul Lee, Young Il Kim, Kwon Eui Hong and Yun Kyoung Yim

1

Department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1

Meridian- ology, Oriental Medical College,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Objective: Recently, there are many investigation about

acupuncture stimulation effect in immunology, neurology, hematology. These studying results were proved effective alleviation of pain by acupuncture stimulation. Many studies have showed the evidences of the effect of the acupuncture treatment through scientific methods. but there are not theory that clearly explained to pain control mechanism induced by acupuncture stimulation.

Methods: Author investigated about pain control mechanism

induced by acupuncture stimulation each of oriental &western medical method.

Results: 1. As oriental medical method, acupuncture stimul-

ation effect is chuqichishen (調氣治神) and make tongch- ebutong (通則不痛), 2. Gate control theory is foundation that pain control mechanism induced by acupuncture stimulation, 3. Acupuncture pain control hypotheses is advanced to role of higher brain & endocrine system, 4. The latest theory is integrated model of the hypothesis (intensified hypothalamus), 5. The placebo & narcotic effect and taut band removed theory are incomplete. (J Korean Assoc Pain Med 2003;2:67-7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Pain control, Acupuncture, Gate control theory,

Taut band, Myospasm

접수일: 2003년 3월 3일, 게재승인일: 2003년 3월 15일 책임저자: 이병렬,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499-1

ꂕ 301-724,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Tel: 043-229-3700, Fax: 043-253-8757

E-mail: acup@dju.ac.kr

(2)

PA I 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器, 系于肝, 寒氣客于脈中則血泣脈, 故少腹相引痛矣”

2) 血脈虛澀

*「素問․擧痛論」“脈澁則血虛, 血虛則痛”

*「濟陰綱目」“婦人血崩而心痛者, 名曰殺血心痛, 由心脾 血虛也”

3) 氣血不暢

*「素問․刺熱論」“熱爭則卒心痛”

*「素問․擧痛論」“熱氣留于小腸, 腸于痛”

*「丹溪心法」“有濕鬱而周身走痛, 或關節間痛”

4) 陰陽失調

*「靈樞․五邪篇」“陽氣不足, 陰氣有餘, 則寒中腸鳴腹痛”

*「靈樞․五癃津液別」“髓液皆減而下, 下過度則虛, 虛故 腰背痛”

5) 昇降失調

*「素問․臟氣法時論」“氣逆則頭痛”

6) 心神關系

*「素問․至眞要大論」“諸痛痒瘡, 皆屬于心”

*「靈樞․周痺」“痛則神歸之, 神歸之則熱, 熱則痛解”

7) 正邪抗爭

*「諸病源候論」“正氣與邪氣交爭相擊”

2. 한의학적인 침자극에 의한 진통의 기전

*「靈樞․九鍼十二原論」“通其經脈”, “調其血氣”

*「靈樞․刺節眞邪篇」“用鍼之類 在于調氣”

*「素問․寶命全形論」“凡刺之眞 必先治神”

*「素問․鍼解論」“制其神 令氣易行”

3. 서양의학적인 진통의 기전

1) 척수후각에서 관문조절(gate control) 이론

16-20)

: 이 이 론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론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는 상해시(傷害時)에 상해자극(injury signal)이 작은 구 심성 신경섬유(small peripheral nerve)를 통하여 대뇌중추신 경계로 전달된다는 것이고, 둘째가 상해자극에 의해 흥분

된 척수나 뇌신경의 세포들이 진동, 열 자극, 압박감각을 전 달하는 굵은 구심성 섬유(large peripheral nerve)에 의해 촉진 되거나 억제된다는 것이며, 셋째는 뇌에서 시작되는 하향 조절기능들이 상해 자극을 전달하는 세포들의 흥분도를 조 절한다는 것이다.

침자극으로 인하여 압박, 진동, 온도 감각을 전달하는 large nerve fiber (type Aβ)에 가해지면 이들은 동통전달신 경인 small nerve fiber (type Aδ, type C)보다 빨리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은 척수회백질(spinal cord gray matter)에 척수후각(dorsal root)쪽의 교양질(substantia gelat- inosa: SG)이라 불리는 laminae II, III에 있는 SG cells를 흥분 시켜 T cell에 억제 신호를 보냄으로써 관문을 폐쇄시켜 동 통신경(small nerve fiber)의 전달을 억제하여 상위중추신경 에도 통증을 감지할 수 없다(Fig. 1).

2) 상위뇌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포함한 자침의 통증

조절기전

17-21)

: 말초조직의 통증으로 인하여 발생된 정보는

channel 1을 통해 구심성 경로를 따라 올라가 척수의 laminae II에서 종지한다. 2차 신경신호는 망상체(reticular formation)를 지나 시상의 수질판내핵(intralaminar nucleus) 으로 연결된다. 3차 신경신호는 변연계피질(limbic cortex), 뇌섬엽피질(insular cortex) 및 전전두엽피질(prefrontal cortex) 등을 포함하는 중위뇌와 상위뇌의 다양한 영역으로 전달된 다. 한편 침자극은 channel 2를 통하여 척수의 laminae I, II 층판에 종지한다. 2차 신경신호는 시상의 복후외측핵 (ventroposterolateral nucleus), 배내측핵(dorsomedial nucleus), 수질판내핵(intralaminar nucleus) 그리고 중심정중핵(centro- median nucleus) 등을 포함하는 여러 핵 부위에 종지한다.

잘 알려진 경로로는 척수시상로(spinothalamic tract), 척수망 상로(spinoreticular tract), 그리고 척수중뇌로(spinomesence- phalic tract)이다.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 상위뇌의 다양한 피질부위 즉 감각피질, 변연계 및 뇌섬엽피질, 전전두엽피 질영역으로 연결된다. 이 경로가 시상까지 이어지는 도중 여러 개의 분지들이 뇌간과 시상하부의 다양한 부위에 연

Fig. 1. 관문조절 (gate control) 이론.

L

Central control

Gate control system

S

Action system

type Ab type Ad type C

0.2 mm 30-70 m/sec

3-20 micron

0.1-1 micron 0.5-2 m/sec 6-30

m/sec myelin-

ated myelin- ated

unmyeli- nated 신경섬유

종 류

지 름

전달속도

수초유무

SG T

(3)

결되거나 종지하여 시상하부에서는 β-endorphin을 분비하 고 뇌간의 중뇌수도관주위회색질(periacqueductal gray)을 거 쳐 연결된 거대봉선핵(nucleus raphe magnus)과 거대세포옆망 상핵(reticular paragigantocellularis), 그리고 청색반점핵(locus ceruleus)에서 seretonin이나 norepinephrine 등 척수에서 상위뇌 로부터 내려오는 몇몇 하행성 뉴런들이 laminae II, III층판에 흥분성으로 투사되어 억제성 전시냅스 중간뉴런(inhibitory presynaptic interneuron)을 자극시켜 channel 1의 laminae II층 판으로 들어오는 구심성 통증신호를 억제한다.

모노아민성 신경전달물질(monoaminergic neurotransmitter) 은 흥분성 혹은 억제성 신호로 작용하여 상행성 통증신호

를 차단한다. 상행성 침자극 신호는 시상하부에서 β-endor- phin을 분비하는 궁상핵(arcuate nucleus)과 시상하부세포 (hypothalamic cell)의 두 지점에 종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 2).

3) 시상하부의 기능을 중심으로 통합된 침의 진통기전

17-21)

: 침치료 기전은 침자극이 대뇌피질에 영향을 주고 이는 다 시 인체의 핵심적인 조절을 하는 시상하부에 영향을 미침 으로써 내분비, 자율신경, 신경화학물질 및 인체의 항상성 유지 기능의 조절을 통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Fig. 3).

4) 최면효과와 자기암시에 의한 진통 기전

22)

: 실험에서

Fig. 2. 상위뇌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포함한 자침의 통증조절기전.

HC: Hypothalamic cells ARC: Arcuate nucleus PT: Pituitary gland BL.CIR: Blood circulation BE: β-Endorphin ENK: Enkephalin SE: Serotonin NE: Norepinephrine I & II: Laminae I & II II': Laminae I, II & III IL: Intralaminar nucleus (Thalam.)

VPL: Ventroposterolateral Nucleus (Thalam.) DM: Dorsomedical nucleus (Thalam.)

RF: Reticular formation RM (NRM): (Nucleus) raphe Magnus

PAG: Periaqueductal gray

(4)

PA I 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자침이 아닌 placebo집단에서도 진통의 효과가 있고 경혈이 아닌 point에서도 작용한 것을 비교해도 일정부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생각된다.

5) 근막통증증후군에서의 경결점 제거로 인한 통증제

23,24)

: 운동을 제한시키는 동통성 불수의 근수축으로 근육

의 기능장애에서 근육섬유의 생리적인 전기적 장애가 오는

myospasm이 오는데 이렇게 되면 관련근육은 촉진 시 동통 이 있고 일단 유발되면 pain-spasm-pain cycle로서 영속화되 기도 하며 운동을 시도하면 통증이 증가하지만, 운동을 억 제하면 통증이 경감되므로 근육으로 보아서는 일종의 보호 성 작용이 된다. myospasm이 오래 지속되면 근수축의 연장 으로 근수축에 필요한 에너지인 ATP가 고갈되거나, ATP형 성의 장애, 혈관수축, 산소부족에 의한 미세 혐기성 환경의 초래, 유해한 근육대사산물의 축적이 일어난다.

특히 근육의 발통점(Trigger point) 부위에서 민감하여 주 위에 경결점(Taut band)을 형성한다. 경결점은 근섬유의 분 절인 sacrcomere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정상적인 근육의 기 능을 못하게 하며 이 현상이 오래 지속되면 잠재성 발통점 을 활동성으로 만들어 통증과 국소적인 경축반응(local

Fig. 3. 시상하부의 기능을 중심으로 통합된 침의 진통기전.

Fig. 4. Myofa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의 원인론.

Stress Dental irritation

Muscular fatigue

Muscular

Overextension Myospasm Muscular

Overcontraction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Contracture Occlusal

disharmony Internal

derangement Degenerative arthritis

Altered chewing pattern Muscular hyperactivity

Fig. 5. 전신근육의 myospasm-pain 의 원리.

Emotional pain Exogenous pain Physical trauma

Muscle contraction

= Spasm

Ischemia Pain Metabolite

Limited muscle elongation Restricted joint motion Fascial contracture Edema

Atrophy Fibrous reaction

Functional disability

(5)

twitch response)을 보이게 된다.

침자극으로 바로 이런 경결점을 자침하여 근육내 혈관의 확장, 혈류증가, 미세혐기성 근육환경의 제거 등을 이루게 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것이다(Fig. 4, Fig. 5).

고 찰

통증이란 잠재적인 또는 실질적인 조직손상으로 그에 관 련하여 느껴지는 불쾌한 정서적 경험으로 신체의 위험을 알리고 방어를 위해 일련의 반사를 동반하기도 하는 정상 적이며 생리적인 생체신호이다.

19,20)

한의학에서 통증에 대한 인식과 치료는 그 연원이 장구 하고 치료경험도 풍부하다. 《黃帝內經》

3,14)

의 이론에 기초 하여 계속 발전되어 왔으며 시대별로 그 자체의 우수성과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한의학에서의 통증의 병기는 주로 표현상의 차이가 있지 만, 맥락권축(脈絡踡縮), 혈맥허삽(血脈虛澀), 기혈불창(氣 血不暢), 음양실조(陰陽失調), 승강실조(昇降失調), 심신불 안(心神不安), 정사항쟁(正邪抗爭) 등이다. 이러한 병기들 은 분리되거나 고립적인 것이 아니라 동시에 존재하는 수 도 있고 서로 영향을 주거나 서로 전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사(寒邪)가 침습하여 일어난 통증은 음성(陰盛)의 통증에 속하는데, 한사(寒邪)는 맥락(脈絡)을 권축(踡縮)하 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혈(氣血)을 불창(不暢)하게 하 거나 혹은 기기(氣機)의 승강(升降)을 실상(失常)하게 할 수 도 있고 한사(寒邪)가 단독으로 통증을 일으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다른 사기(邪氣)가 합병하여 한습비통(寒濕痺痛) 등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병태의 발전에 따라서 한사 (寒邪)는 화열(化熱)하여 열옹지병(熱壅之病)으로 변할 수 있고 양기(陽氣)가 상(傷)하여 허한(虛寒)통증(痛症)으로 변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1)

아울러 심신(心神)과의 관계를 중요시하여 통증은 환자 의 자각적인 감각으로 각종 통증을 일으키는 병인의 작용 하에서 통증의 발생여부와 통증의 경중 및 전변(轉變) 등은 모두 심신(心神)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심(心)은 혈맥(血 脈)을 주관하고 신(神)을 장(藏)하므로 심신(心神)이 정상이 면 감각이 예민하고 통증에 대한 인내력도 강하고 신겁(神 怯)하면 감각이 둔하고 인내력도 약하며, 신(神)이 혼미하 면 동통을 느끼지 못한다.

또한 정사상쟁(正邪相爭)이 격렬하면 통증이 심하고 반 대의 경우는 통증이 가볍거나 아프지 않고 정기(正氣)의 허 (虛)한 정도가 가벼우면 동통이 나타나지 않거나 비교적 약 하고 정기(正氣)의 허(虛)한 정도가 심하거나 사기(邪氣)를 겸하면 대부분 통증이 많이 나타난다.

25,26)

이런 기전으로 침구치료 시 경혈부위를 《靈樞․九鍼十

二原篇》

14)

에서는 “神氣之所游行出入之處”라 하여 경락의 기능과 神氣의 작용에 밀접한 관계를 설명하였고, 《靈 樞․刺節眞邪篇》

14)

에 “용침지류(用鍼之類), 재우조기(在于 調氣)”라 하였고, 《靈樞․寶命全形篇》

14)

에 “범자지진(凡 刺之眞), 필선치신(必先治神)”이라 하여 침자의 원리를 설 명하였다.

즉 침자극으로 인한 진통의 원리를 한의학적으로는 일방 향의 자침이 조기(調氣)로서 통기경맥(通其經脈), 조기혈맥 (調其血脈)하여 경락중의 기혈(氣血)의 운행장애로 인한 병 리변화를 조정하여 “붙통즉통(通則不痛)”의 치료목적을 도 달하게 하는 것이다.

서양의학적으로 앞에서 언급된 침자에 의한 진통의 기전 을 살펴보면 우선 관문조절(gate control) 이론은 1965년에 Melzack과 Wall1

6)

등이 발표한 것으로 자극을 전도받은 신 경섬유는 가는 유․무수신경섬유와 굵은 유․무수신경섬 유로 대별되며 침의 진통작용의 기전은 굵은 신경섬유에 의해 조절되는데 통증 전달에 있어서 그 기전이 굵은 섬유 와 가는 섬유의 상대적인 활동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후 에 통증조절기전의 이해와 통증치료에 중요한 이론적 근거 가 되었지만, 명확하게 침자에 의한 설명은 되지 못했다.

Pomerans

17)

가 발표한 상위뇌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포함한 자침의 통증조절기전은 기존의 관문조절설을 바탕 으로 하여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뇌의 기능과 신경전달물 질을 포함한 이론이다. 구심성 침구자극이 피부, 근육에 가 해지면 후각신경을 통하여 척수에 입력된 후 상행하여 중 뇌수도주위회색질에 이른 후 보다 상위의 시상하부 전방핵 에서 종착하고 여기서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보다 하위의 뇌하수체에서 신경전달물질인 dopamine에 의해 시상하부 로 전달되고 β-endorphin에 의해서 활성화되고 여기서 원 심성침구진통경로의 초기중추로 처리된다. 이후 다시 신경 전달물질인 dopamine에 의해 원심적으로 하행하는데 여기 에는 두 가지 경로를 취하게 된다. 즉 중뇌중심수도주위회 색질에서 하나는 연수봉선핵을 통하여 serotonin에 의한 척 수후각 및 교양질로 이어지는 경로와 나머지 하나는 연수 망상체의 거대세포망체핵을 통하여 enkephaline과 sero- tonin에 의한 척수후각 및 교양질로 이어지는 경로이다.

이 이론은 관문조절설을 보다 진보시킨 이론으로서 자침 치료에 의한 진통효과를 신경전달물질과 대뇌를 연결하여 설명함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조 등

21)

이 발표한 시상하부의 기능을 중심으로

통합된 침의 진통기전은 기존의 침의 진통이론과 침자극이

대뇌피질을 활성화시킨다는 실험결과를 기초로 하여 새롭

게 통합된 이론을 성립한 것으로 이는 뇌의 중요한 세 부분

즉 상위뇌, 중위뇌, 하위뇌가 동시에 침치료 기전에 관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 중요시되는 것은 생명유지의 핵

(6)

PA I 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심적인 조절부위는 시상하부이고 침은 이 시상하부와 연계

하여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변연계 중 특히 편도체가 모든 생명유지와 관련된 감각정보를 상위 뇌에 속하는 전전두엽 피질로 전달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인데, 이 경로를 통 하여 상위 뇌의 생존과 관련된 정보를 시상하부로 전달하 여, 시상하부에서 내분비, 자율신경 및 항상성기능을 통합 조절한다, 이러한 신경전달체계로 볼 때, 침은 단순한 통증 조절기전뿐만 아니라 내분비 및 자율신경기능의 균형과 신 경화학물질의 조절을 통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줌 으로써 광범위한 질병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 다. 또한 침의 치료기전은 시상하부가 조절하는 뇌간에 위 치하고 있는 모노아민성(monoaminergic) 뉴런과 endorphin 뉴런의 협조 역시 질병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침은 생존과 관련된 많은 기능을 조절하여 질병 을 치료할 수 있으며 통증조절은 그중 일부에 속하는 것으 로 한의학에서 침의 효과가 통증치료 외에 광범위하게 사 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침의 치료기전을 설명하는 데 지금까지 발표된 이론보다 한층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 로 기대된다.

최면효과와 자기암시에 의한 진통기전

22-24)

은 침자극의 원리를 정확히 설명하기는 불충분하고 Takeshige

27)

는 경혈 과 비경혈의 진통기전에 차이가 있으며 경혈의 경우 비경 혈과는 달리 비경혈의 자극으로 이해 유발되는 진통효과의 전도로를 차단하여 억제한다는 진통억제체계이론을 주장 하여 경혈이 비경혈보다 더욱 우수한 침진통효과를 유발시 킨다고 하는 상반된 논문도 나와있어서 약간의 효과는 인 정되나 자침의 진통원리를 설명하는 데에는 미흡하다고 하 겠다.

경결점 제거로 인한 통증제거이론은 근막통증증후군 환 자에게 있어서 통증제거에 분명한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 이나, 한의학적인 자침부위나 경락이론과는 차이가 있으며 근막통증증후군 환자 외에도 자침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 고 있다고 볼 때 분명히 침자극에 의한 진통 효과를 설명하 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종합해 보면, 최면효과와 자기암시에 의한 진통기전과 경결점 제거로 인한 통증제거이론은 자침에 대한 기전을 설명하는 데 미흡하고 이에 상반된 실험 및 연구결과가 발 표되고 있는 실정이나, 1960년대부터 척수후각에서 관문조 절(gate control)이론이 발표되면서 진통기전의 기초를 이루 게 되었고 이후 상위뇌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포함한 자침의 통증조절기전으로 더욱 발전하여 대뇌를 자침의 기 능을 설명하는 데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시상하부의 기능을 중심으로 통합된 침의 진통기전이 현재까지 밝혀진 가장 최근에 인정되는 이론인데 앞으로 더욱 발전된 연구 와 실험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결 론

자침(刺鍼)에 의한 한의학적, 서양의학적 진통기전을 살 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의학적으로는 자침(刺鍼)은 조기치신(調氣治神)시 킴으로서 통즉불통(通則不痛)의 치료목적을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2) 척수후각에서 관문조절(gate control)이론이 진통기전 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3) 자침의 통증조절기전은 상위뇌와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포함한다는 이론으로 발전하였다.

(4) 시상하부의 기능을 중심으로 통합된 침의 진통기전 이 현재까지 밝혀진 이론이다.

(5) 최면효과와 자기암시에 의한 진통기전과 경결점 제 거로 인한 통증제거이론은 자침에 대한 기전을 설명하는 데 미흡하다.

참 고 문 헌

1. 宋孝貞. 痛症에 관한 東西醫學的 考察. 大韓韓醫學會誌 1999;6(2):112-4.

2. 曺眞榮. 痛症에 관한 小考. 東醫神經精神科學會誌 1992;

3(2):107-126.

3.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東洋醫學出版部, 서울, p.88, 97, 119, 145, 193, 224, 293, 1985.

4. 이혜정, 신형철, 진수희, 윤동학, 임사비나 . 足三里 의 電鍼刺 戟 이 흰쥐의 중수신경계에서 Interleukin-6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大韓鍼灸學會誌 2000;17(4):41-50.

5. 손영주, 원란, 정혁상, 김용석, 박영배, 손낙원 . 刺鍼刺戟 에 의 한 흰쥐 중추신경계 내 대사활성 변화의 영상화 연구. 大韓鍼 灸學會誌 2001;18(3):56-68.

6. 趙南根. 足三里 刺鍼 이 血壓 과 腦血流力學 에 미치는 영향.

大韓鍼灸學會誌 1999;16(4):307-9.

7. 조명래, 안영선, 박춘하, 윤여충. 穴位刺鍼 이 白鼠의 국소뇌혈 유량과 혈압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 大韓鍼灸學會誌 2001;

18(5):147-54.

8. 김용석, 이상훈, 조성규, 윤형석, 전형준, 이주형 등. 百會穴 刺 鍼 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大韓鍼灸學會誌 2001;18(6):

105-13.

9. Spanglo BL. Endotoxin induced release of interleukin-6 from rat medical basal hypothalami. Endocrinology 1990;127(4):1779- 85.

10. 주정주, 김용석, 이재동, 최도영, 고형균, 안병철 등. 供辰丹 약 침자극이 혈액 및 각 면역 조직의 임파구와 CD4+ T세포에 미치는 영향. 大韓鍼灸學會誌 1999;16(3):179-202.

11. 류경주, 김정헌, 조황성. 침자극이 중추신경계의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소, 서울 , pp.5-16,

(7)

1996.

12. 武之望. 濟音綱目, 中國醫學叢書, 北京, p.68, 1985.

13. 朱震亨. 丹溪心法, 大星文化社, 서울, p.511, 1982.

14.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東洋醫學出版部, 서울, p.11, 128, 155, 183, 314, 1985.

15. 南京中醫學院. 諸病源候論校釋,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p.417, 1983.

16. Melzack Wall PD. Pain mechanism a new theory. Science 1965;150:971-9.

17. Pomeranz B. The Basics of Acupuncture, Springer Verlag, New York, 1991.

18. 木村邦夫. 증례로 배우는 통증치료, 군자출판사, 서울, p.319, 1996.

1 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학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 p.44,45, 2001.

20. 김우겸. 神經․筋․感覺, 생명의 이치, 서울, pp.195-201, 1993.

21. 조장희, 김경요, 김형균, 이병렬. 신경침구학, 고려의학, 서울 ,

2001. pp.123-31.

22. 전국한의과대학 침구경혈학교실. 鍼灸學(下), 집문당, 서울 , 1991. pp.1472-5.

23. 최호영. 그림으로 풀어 쓴 임상근육학, 대성의학사, 서울, 1999.

pp.27-40.

24. 유재하, 최병호, 이병인, 최용석, 김진권. 저작근막통증증후군 과 악관절 내장증의 원인치료.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지 1994;16(3):260-2.

25. 韋緖性. 中醫痛症診療大全, 人民衛生出版社, 北京, 1992.

p.40-79.

26. 何廣新. 疼痛鍼灸治療學, 中國中醫藥出版社, 北京, 1994.

pp. 253-63.

27. Chifuyu Takeshige. Differenciation between acupuncture and non-acupuncture point by association with Analgesia Inhibitory system, Acupuncture & electro-therapeutic res, Vol.10, 1985.

pp.195-203.

수치

Fig.  1.  관문조절 (gate  control)   이론.
Fig.  4.  Myofa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의  원인론.

참조

관련 문서

• 셋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방 법은 개인이나 일부 전문가의 노력에 의해 서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지역사 회의 노력으로

 슬로베니아 문화에는 오랜 시기 동안 오스트리아 지배하에 있었던 관계로 게르만 문화와 슬라브 문화 가 서로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 슬로베니아는 수도인

• 셋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근방 법은 개인이나 일부 전문가의 노력에 의해 서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된 지역사 회의 노력으로

즉 편차들의 제곱합인 총변동은 원래 각 모집단의 평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각 모집단내 관측치들의 무작위적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타액은 단일 분비선에서만 분비되는 것이 아니라, 3 개의 대타액선과 여러 개의 소타액선에서 분비되며, 각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타액의 조성은 서로 다르다. 타액의

교수전략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교수전략을 탐구할 수 있다.. 가르치는 교사의 어떤 교수방법/교수전략이 나의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었는가?..

물론 가치관 형성에 종교만이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이 다섯 가지 요소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의 가치관을 형성한다는

직선 AD와 직선 BC는 서로 만나지도 않고 평행하지도 않으므로 꼬 인 위치에 있다.. 직선 CD와 직선 BQ는 서로 만나지도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