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Percent and Obesity Indices in Adults and Waist-to-Height Ratio as a Screening Tool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Percent and Obesity Indices in Adults and Waist-to-Height Ratio as a Screening Tool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비만은 체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되어 건강을 위해 하는 상태로 정 의할 수 있으며1)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비롯한 관상동맥 질환 등 의 심혈관 및 대사 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다.2,3)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의 선별 기준으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 dex, BMI)를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역학 조사나 임상에서 체 질량지수나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WC)를 보편적으로 사용

하고 있다.4) 그러나 체질량지수는 측정하기가 간편하나 체지방량을 측정하기엔 한계가 있으며,5) 체지방량이 정상임에도 체성분 중 근 육량이 많은 경우에는 체질량지수가 높게,6) 체지방량이 증가하고 제지방량이 감소한 노인에서는 체질량지수가 낮게 나올 수 있다.7) 또한, 아시아인은 서구인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는 비교적 낮고, 체지방량은 비교적 높다.8,9)

1990년대 중반부터 복부 비만의 지표로 허리둘레/키 비(waist cir- 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

Received May 10, 2017 Revised August 30, 2017 Accepted September 6, 2017

Corresponding author Yu-Lee Kim Tel: +82-51-607-2179, Fax: +82-51-507-3001 E-mail: 07721052@hanmail.net

ORCID: http://orcid.org/0000-0002-6371-2609

Copyright © 2018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8.8.3.335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8;8(3):335-34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성인의 체지방률과 비만지표와의 관련성 및 허리둘레/키 비가 지니는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 평가도구로서 효용성

김어진, 김유리*, 정용재, 정재훈

부산의료원 가정의학과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Percent and Obesity Indices in Adults and Waist-to-Height Ratio as a Screening Tool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EoJin Kim, Yu-Lee Kim*, Yongjae Jeong, Jaehoon J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Busan Medical Center, Busan, Korea

Background: Obesity is a predisposing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Body mass index (BMI) is a commonly used indicator to assess obesity.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BF) percentage and three obesity indicators: 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We also analyzed the waist-to-height ratio as a screening tool for CVD risk factors.

Method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the Korean population was conducted from 2009 to 2011. We surveyed 8,013 men and 10,161 women aged 19 years or older. We investigated the BF percentage, BMI, WC, and WHt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tR and the prevalence of CVD risk factors. We analyzed odds ratios of CVD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WHtR group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F percentage and the obesity indices. There were strong associations of increasing WHtR with the prevalence of CVD risk factors. The three obesity indica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CVD risk factor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WHtR and increased prevalence of CVD risk factors.

Conclusion: The cutoff value for WHtR related to CVD risk factors was 0.48 for men and 0.49 for women. The WHtR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as a screening tool.

Keywords: Obesity; Body Fa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aist-to-Height Rati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2)

EoJin Kim, et al. Obesity and Waist-to-Height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고,10-12) 최근 허리둘레/키 비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

병, 이상지질혈증을 예측하는데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보다 더 유 용하다는 보고가 있었다.13) 허리둘레/키 비에 대한 국내 연구는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용함을 보고한 바 있고14) 추가적인 연구는 아 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지방률(body fat %, BF%)과 비만 지표인 체 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허리 둘레/키 비가 지니는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평가 도구로서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 2009년부터 제5기 2차 2011년까지 자료에 참여한 만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21,199명 중 체중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암, 갑상선 질환, 간경화, 만성 간질환, 만 성 콩팥질환)으로 진단받았거나 결측치가 있는 3,025명을 제외한 총 18,174명(남자 8,013명, 여자 10,16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1) 설문지 조사

기초 설문지를 통해 운동력, 흡연력, 음주력을 조사하였다. 운동력 은 격렬한 신체 활동을 1회 20분 이상, 주 3회 이상 한 자를 규칙적 운 동 시행으로 분류하였다. 흡연력은 평생 담배 5갑 이상을 피웠거나 현재 담배를 피우는 자를 흡연자로 분류하였다. 음주력은 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음주한 자로 분류하였다.

2) 신체 계측, 체지방률의 측정

체지방률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Dual-energy X-ray absorpti- ometry, [DEXA], QDR 4500A; Hologic Inc., Waltham, MA, USA)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으며 피검자는 편한 상태로 누워 전신을 스캔하였다.

허리둘레는 가장 낮은 늑골의 하단과 장골 능선 상단의 중간 지 점을 줄자로 감아 측정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신장(m)의 제곱 값을 체중(kg)으로 나눈 값으로 산 출하였다.

허리둘레/키 비는 허리둘레(cm)를 키(cm)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 였다.

3) 혈액검사

채혈은 공복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네오딘의학연구소의 Hitachi

Automatic Analyzes 7600 (Hitach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4)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 유무

비만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를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 질혈증으로 분류하였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이 140 mmHg 이 상이거나 이완기 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DBP)이 90 mmHg 이 상인 경우 또는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당뇨병은 공복 시 혈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나 당뇨병 약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상지질혈증은 공복 시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이 240 mg/dL 이상이거나 중성 지질이 150 mg/dL 이상이거나 고밀도 콜 레스테롤이 남성은 40 mg/dL 미만인 사람, 여성은 50 mg/dL 미만인 사람 또는 지질 강하제를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3. 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단계 확 률 층화 표본의 각 부문별 가중치(weight)와 연도별 대상자 수를 고 려하여 통합 가중치를 산출하였고, IBM SPSS stastistic ver. 22.0 soft- ware (IBM Co., Armonk, NY, USA)의 복합 표본 분석을 사용하여 분 석하였다. 연속 변수는 평균±표준오차로, 범주형 변수는 추정퍼센 트(표준오차)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체지방률에 따른 심혈 관 질환 위험 요인의 비교는 chi-square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또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 체지방률의 상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 계수를 이용하여 상관 분 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그대로 사용 한 복합 표본 분석이기 때문에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 임상 지표 간의 상관성은 결정계수(R2)를 사용한 일반 선형 모 형으로 분석하였다.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에 따른 허리둘레/키 비의 기준치를 제시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분석을 이용하여 Youden’s index의 최고값을 계산하였다. ROC 분석 을 이용하여 확인한 절단값을 기준으로 정상군과 위험군으로 나누 어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김어진 외. 비만과 허리둘레/키 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기본적 특성

전체 대상자는 총 18,174명으로 남자 8,013명(44.1%), 여자 10,161명 (55.9%)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남자 43.60세, 여자 45.41 세, 평균 체질량지수는 남자 24.06±0.04 kg/m2, 여자 23.20±0.05 kg/m2 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평균 허리둘레는 남자 84.11±0.15 cm, 여자 77.69±0.16 cm, 허리둘레/키 비는 남자 0.4831±0.00, 여자 0.4859±0.00

이었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는 여자보다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체 지방률과 허리둘레/키 비는 남자보다 여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공복 혈당(fasting blood sugar, FBS), SBP, DBP, 중성 지방은 남자가 여자보 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고밀도 지단백(high-density lipopro- tein, HDL)은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현재 흡연 및 음주의 비율, 정기적 신체 활동의 비율은 남자가 높았다(Table 1).

2. 체지방과 비만 지표와의 상관관계

세 비만 지표는 모두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 며 남자에서의 허리둘레의 상관계수가 0.662, 허리둘레/키 비의 상관 계수가 0.654, 체질량지수의 상관계수가 0.625 순으로,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의 상관계수가 0.685, 허리둘레의 상관계수가 0.632, 허리 둘레/키 비의 상관계수가 0.620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3. 비만 지표와 임상 지표와의 상관성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 임상 지표 간의 상관성 을 분석하여 Table 3에 제시하였다. 남녀 모두 비만 지표와 임상 지표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남성에서는 DBP를 제외하 면 허리둘레/키 비의 R2값이 가장 높았고(SBP, 0.077; FBS, 0.050; tri- glyceride [TG], 0.079; HDL, 0.090; TC, 0.059), 여성에서 모든 지표에서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 Men Women P-value

Total 8,013 (50.6) 10,161 (49.4)

Age (y) 43.60±0.27 45.41±0.26 <0.001*

Body mass index (kg/m2) 24.06±0.04 23.20±0.05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4.11±0.15 77.69±0.16 <0.001*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0.4831±0.00 0.4859±0.00 <0.005* Percentage body fat 22.22±0.13 33.05±0.12 <0.001* Fasting blood glucose (mg/dL) 98.35±0.32 94.11±0.24 <0.001* Systolic BP (mmHg) 121.34±0.25 115.67±0.26 <0.001* Diastolic BP (mmHg) 80.39±0.18 74.03±0.14 <0.001* Total cholesterol (mg/dL) 186.93±0.57 187.06±0.49 0.858* Triglyceride (mg/dL) 158.67±2.03 109.65±0.96 <0.001*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mg/dL)

49.71±0.19 55.83±0.16 <0.001* Region (rural area) 1,893 (50.1) 2,285 (49.9) 0.481

Exercise <0.001

Regular 1,408 (61.6) 1,212 (38.4)

No regular 6,571 (48.6) 8,887 (51.4)

Smoker <0.001

No 3,438 (32.0) 9,280 (68.0)

Yes 4,561 (86.5) 839 (13.5)

Drinking alcohol <0.001

No 1,977 (28.3) 6,195 (71.7)

Yes 5,980 (65.5) 3,865 (34.5)

Values are presented as estimated number (%) or mean±standard error of the mean.

*Calculated by complex sample general linear model. Calculated by complex sample χ2-test.

Table 2. Correlation coefficient of BMI, WC, WHtR and BF%

Variable Men Women

BMI WC WHtR BF% BMI WC WHtR BF%

BMI 1 1

WC 0.856* 1 0.865* 1

WHtR 0.811* 0.934* 1 0.842* 0.951* 1

BF% 0.625* 0.662* 0.654* 1 0.685* 0.632* 0.620* 1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WHtR,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BF%, body fat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0.001.

Table 3. Correlation between BMI, WC, WHtR and laboratory data

Variable

Men Women

WHtR WC WHtR WHtR WC WHtR

R2 P-value R2 P-value R2 P-value R2 P-value R2 P-value R2 P-value

SBP 0.030 <0.001 0.049 <0.001 0.077 <0.001 0.105 <0.001 0.152 <0.001 0.213 <0.001

DBP 0.066 <0.001 0.052 <0.001 0.049 <0.001 0.082 <0.001 0.076 <0.001 0.082 <0.001

FBS 0.017 <0.001 0.035 <0.001 0.050 <0.001 0.065 <0.001 0.094 <0.001 0.108 <0.001

TG 0.055 <0.001 0.070 <0.001 0.079 <0.001 0.086 <0.001 0.120 <0.001 0.139 <0.001

HDLC 0.084 <0.001 0.094 <0.001 0.090 <0.001 0.074 <0.001 0.087 <0.001 0.096 <0.001

TC 0.049 <0.001 0.049 <0.001 0.059 <0.001 0.054 <0.001 0.071 <0.001 0.094 <0.001

WHtR,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WHtR,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FBS, fasting blood sugar; TG, triglyceride; H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C, total cholesterol.

Calculated by complex sample general linear model.

(4)

EoJin Kim, et al. Obesity and Waist-to-Height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허리둘레/키 비의 R2값이 가장 높았다(SBP, 0.213; FBS, 0.108; TG, 0.139; HDL, 0.096; TC, 0.094).

4.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과 관련된 허리둘레/키 비의 기준 수치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과 관련된 비만 지표와 허리둘레/키 비의 최적 절단값을 산출하기 위해 Youden’s index (Youden’s index=

sensitivity+specificity-1)를 사용하였고, ROC 분석을 통해 area under curve (AUC)를 구하였다. AUC는 1에 가까울수록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지는데 비 정보적(AUC=0.5), 덜 정확한(0.5<AUC≤0.7), 중등도의 정확한(0.7<AUC≤0.9), 매우 정확한(0.9<AUC<1)으로 구분한다.15) Youden’s index로 구한 허리둘레/키 비와 비만 지표의 절단값(cut point)과 AUC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허리둘레/키 비의 경우 남자 의 절단값은 0.48, AUC 0.74이었고 여자의 절단값은 0.49 AUC 0.78이 었다.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자의 절단값은 23.41, AUC 0.68이었고 여 자의 절단값은 23.38 AUC 0.72이었다. 허리둘레의 경우 남자의 절단 값은 82.2, AUC 0.71이었고 여자의 절단값은 77.9, AUC 0.75이었다. 각 각의 비만 지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등도의 정확성으로 심혈관 질환 유병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허리둘레/키 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 2009년부터 제5기 2차 2011년까지의 3년 자료를 통합하여 한 개의 자료로 분석하였기 때문 에 한 시점의 유병률을 분석하였다. 허리둘레/키 비의 증가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Figure 1).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키 비 값이 0.49에서 0.50까지 유병률이 약 15% 증가하다가 0.51–0.52 구간과 0.54–0.56 구 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 0.56 이상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 여자의 경우 0.49에서 0.59구간까지 비교적 상승 곡선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4. Cut-off of WHtR, WHtR and WC by at least one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in Korean men and women

Variable Cut off value

Sensitivity (%)

Specificity

(%) AUC LR+ LR-

WHtR Men

Cut point* 0.4849 72.58 63.56 0.741 1.99 0.43 Women

Cut point 0.4917 70.87 71.64 0.775 2.50 0.41 WHtR

Men

Cut point 23.41 65.37 61.90 0.681 1.72 0.56 Women

Cut point 22.24 72.80 59.77 0.716 1.81 0.46 WC

Men

Cut point 82.2 71.41 61.26 0.717 1.84 0.47 Women

Cut point 77.9 65.21 72.44 0.747 2.37 0.48 WHtR,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AUC, area under the curve; LR+, positive likelihood; LR–, negative likelihoo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was conducted.

*Cut point obtained by maximum value of Youden’s index.

Figure 1. The relation between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and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A) Koewan men and (B) women.

(5)

김어진 외. 비만과 허리둘레/키 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6. 허리둘레/키 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교차비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심혈관 질환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연령과 흡연 유무, 음주, 운동 여부를 통제하여 분석 하였다. 허리둘레/키 비의 절단값에 따른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과 세 가지 질환을 위험 요인 1개, 위험 요인 2개, 위험 요인 3개 이상 으로 구분하여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비를 분석하였다. 남자의 경 우 고혈압이 정상군에 비해 위험군에서 2.02배(95% confidence inter- val [CI], 1.77–2.30), 당뇨 2.17배(95% CI, 1.72–2.74), 이상지질혈증 3.73배 (95% CI, 3.31–4.20), 위험 요인 1개 이상은 3.73배(95% CI, 3.28–4.23), 위 험 요인 2개 이상은 3.34배(95% CI, 2.87–3.89), 위험 요인 3개 이상은 3.41배(95% CI, 2.21–5.25)이었다. 여자의 경우 고혈압이 정상군에 비해 위험군에서 2.71배(95% CI, 2.33–3.15), 당뇨 3.69배(95% CI, 2.69–5.07), 이상지질혈증 3.06배(95% CI, 2.73–3.43), 위험 요인 1개 이상은 3.47배 (95% CI, 3.09–3.90), 위험 요인 2개 이상은 4.29배(95% CI, 3.61–5.11), 위 험 요인 3개 이상은 4.29배(95% CI, 2.59–7.13)로 나타났다(Table 5).

고 찰

본 연구는 비만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 리둘레/키 비와 체지방률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진13) 허리둘레/키 비의 효용성 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세 비만 지표는 모두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 임상 지표 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남녀 모두 비만 지표와 임상 지표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남성에서는 DBP를 제외, 여성에서는 모든 임상지표에서 허리둘레/키 비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 이는 세 비만 지표는 모두 체지방률을 반영하는 유용한 지표이나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평가에 허리둘레/키 비가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 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1개 이상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가 있을 때 비만 지 표의 최적 절단값을 Youden’s index로 구하였다. 또한 ROC커브를 그 리고 AUC값을 구해 심혈관 질환 유병률을 가장 잘 반영하는 비만 지표를 찾고자 하였다(Table 4). 이 결과를 보면, 허리둘레/키 비의 경 우 남자의 AUC는 0.741이었고 여자의 AUC는 0.775이었다. 체질량지 수의 경우 남자의 AUC는 0.681이었고 여자의 AUC는 0.716이었다. 허 리둘레의 경우 남자의 AUC는 0.717이었고 여자의 AUC는 0.747이었 다. 세 지표 중 허리둘레/키 비의 AUC 값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 로는 모두 중등도의 정확한 구간으로 포함되어 각 지표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체지방량을 반영하 기에 한계가 있는 점5-9)을 감안한다면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을 예측 하는데 충분히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허리둘레/키 비 의 기준을 남자 0.48, 여자 0.49로 제시하고자 한다. Browning 등16)이 제시한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허리둘레/키 비의 기준 수 치는 0.5값과 유사한 수치다.

이번 연구에서 허리둘레/키 비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 성을 보았을 때 허리둘레/키 비의 상승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심 혈관 질환 위험인자 유병률 증가로 이어졌다. 여자에서는 전구간에 서 비교적 일정한 상승 곡선을 유지하였으나 남자에서는 상승 곡선 을 유지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심혈관 질환 유 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비만뿐 아니라 생활 습관,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허리둘레/키 비의 절단값에 따른 1개 이상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를 살펴보았을 때, 정상군과 비 교 시 위험군에서의 위험도는 남자 3.73배 vs. 여자 3.47배이며 여자에 비해 남자가 심혈관 질환에 대해 더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예측에 허리 둘레/키 비가 비만 선별 지표로 유용하다는 것을 밝히는 데 의의가

Table 5. Adjusted odds ratio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groups

Variable Men Women

Normal Risk P-value Normal Risk P-value

Hypertension 1.00 2.02 (1.77–2.30) <0.001 1.00 2.71 (2.33–3.15) <0.001

Diabetes mellitus 1.00 2.17 (1.72–2.74) <0.001 1.00 3.69 (2.69–5.07) <0.001

Dyslipidemia 1.00 3.73 (3.31–4.20) <0.001 1.00 3.06 (2.73–3.43) <0.001

≥1 risks 1.00 3.73 (3.28–4.23) <0.001 1.00 3.47 (3.09–3.90) <0.001

≥2 risks 1.00 3.34 (2.87–3.89) <0.001 1.00 4.29 (3.61–5.11) <0.001

3 risks 1.00 3.41 (2.21–5.25) <0.001 1.00 4.29 (2.59–7.13)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alculated by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by age, exercise, smoking status, alcohol drinking.

(6)

EoJin Kim, et al. Obesity and Waist-to-Height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허리둘레/키 비의 기준을 남자 0.48, 여자 0.49로 제시하고자 한다. 허리둘레/키 비는 모 든 연령, 인종, 성별에서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 예측에 유용한 비만 지표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심혈 관계 질환의 가장 큰 위험인자인 비만에 대한 중재 및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성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에 더 취약한 것으로 보여 비만뿐 아니라 생활 습관 교정 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 하겠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3차 2009년부터 제5기 2차 2011년까지 한정되었기 때문에 유병률의 변화 추이가 지속적으로 평가되지 못하는 제한이 있다.

추가적으로 비만 관련 질환인 심혈관 질환, 대사 질환, 골다공증, 여러 종류의 암 등과 허리둘레/키 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 및 경향 분석을 통한 유병률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요 약

연구배경:

비만은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 혈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지표로 체질량 지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체지방률과 비만 지표인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허리둘 레/키 비의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평가 도구로서 효용성을 알아보 고자 한다.

방법:

2009년, 2010년,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였고 만 19 세 이상의 남자 8,013명, 여자 10,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에너 지 X선 흡수계를 통한 체지방률을 측정하고 신체 검진 및 계측을 통 해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를 산출하였다. 허리둘레/

키 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유 병률과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는 모두 체지방률과 유 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 세 비만 지표 중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를 예측하는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유용하다. 허리둘레/키 비 의 증가와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의 유병률의 증가는 강력한 상관관 계가 있다.

결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허리둘레/키 비의 기준을 남자 0.48, 여자 0.49로 제시하고자 한다. 허리둘레/키 비는 심혈관 질환 위 험인자 예측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중심단어:

비만;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둘레/키 비;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REFERENCES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 tion; 2000.

2. Kannel WB, D’Agostino RB, Cobb JL. Effect of weight on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lin Nutr 1996; 63(Suppl): 419S-22S.

3. Willett WC, Manson JE, Stampfer MJ, Colditz GA, Rosner B, Speizer FE, et al. Weight, weight change,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Risk within the ‘normal’ weight range. JAMA 1995; 273: 461-5.

4. Metropolitan Life Insurance Company. The 1979 build study. Chicago: So- ciety of actuaries and association of Life Insurance Medical Directors of America; 1980.

5. Joseph L, Wasir JS, Misra A, Vikram NK, Goel K, Pandey RM, et al. Appro- priate values of adiposity and lean body mass indices to detect cardiovascu- lar risk factors in Asian Indians. Diabetes Technol Ther 2011; 13: 899-906.

6. Pi-Sunyer FX. Obesity: criteria and classification. Proc Nutr Soc 2000; 59:

505-9.

7. Prentice AM, Jebb SA. Beyond body mass index. Obes Rev 2001; 2: 141-7.

8. Hyun YJ, Kim OY, Jang Y, Ha JW, Chae JS, Kim JY, et al. Evaluation of meta- bolic syndrome risk in Korean premenopausal women: not waist circum- ference but visceral fat. Circ J 2008; 72: 1308-15.

9. Li R, Lu W, Jia J, Zhang S, Shi L, Li Y, et al. Relationships between indices of obesity and its cardiovascular comorbidities in a Chinese population. Circ J 2008; 72: 973-8.

10. Lee JS, Aoki K, Kawakubo K, Gunji A. A study on indices of body fat distri- bution for screening for obesity. J Occup Health 1995; 37: 9-18.

11. Hsieh SD, Yoshinaga H.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coronary heart dis- ease risk factors in men-waist/height ratio as a simple and useful predictor.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5; 19: 585-9.

12. Ashwell M, Lejeune S, McPherson K. Ratio of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may be better indicator of need for weight management. BMJ 1996; 312:

377.

13. Ashwell M, Gunn P, Gibson S. Waist-to-height ratio is a better screening tool than waist circumference and BMI for adult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bes Rev 2012; 13: 275-86.

14. Gil JH, Lee MN, Lee HA, Park H, Seo JW. Usefulness of the waist circumfer- ence-to-height ratio in screening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 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0; 13: 180-92.

15.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 Vet Med 2000; 45: 23-41.

16. Browning LM, Hsieh SD, Ashwell M. A systematic review of waist-to-height ratio as a screening tool for the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 betes: 0·5 could be a suitable global boundary value. Nutr Res Rev 2010; 23:

247-69.

수치

Table 2. Correlation coefficient of BMI, WC, WHtR and BF%
Table 4. Cut-off of WHtR, WHtR and WC by at least one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in Korean men and women
Table 5. Adjusted odds ratio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to height ratio WHtR groups

참조

관련 문서

Analysis of body characteristics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ilvaceus ) fed on the extruded and moist pellets (body weight, body length, body height and body width) ·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ve sub dimensions of the apparel brand online communities and the

As for the relationship of obesity level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underweight boys made up the largest brand-oriented group, and the

Result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 precocius puberty patient(17 overweight/obese group, 21 normal weight group),14 control group weight, Height, BMI, Waist

2) In between-group comparison before and after elastic band exerci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age of body fat, fat-fre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fter compulsory certificat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eilins respiratory chain concept and i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socioeconomic level of parents affects obesity of adolescents an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