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농업브리프 (2023.02) :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중국농업브리프 (2023.02) :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Copied!
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농정 이슈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01

가격 동향

도매시장가격 / 14 소비자물가 / 16

무역 동향

농식품 수출입 / 17 식량 수출입 / 27

한중 농식품 수출입 / 31

(2)

농정 이슈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 개요

l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2022년 중앙농촌공작회의

1)

(

中央农村工作会议

; 12.23~24)에 공동 명의 로 제출해 의결된 정책문서를 2023년도 중앙1호문건으로 발표(2023.2.14)

문건 제목: 2023년도 농촌진흥 중점업무 전면 추진을 잘할 것에 관한 의견

(关于做好2023年全面推进乡村振 兴重点工作的意见)

<표 1> 2004~2023년 중앙1호문건 제목

발표 날짜 문건 제목

2004. 2. 8 농민소득 증대 촉진에 관한 약간의 정책적 의견(关于促进农民增加收入若干政策的意见) 2005. 1.31 농업종합생산능력 제고를 위한 농촌업무의 진일보 강화에 관한 약간의 정책적 의견

(关于进一步加强农村工作提高农业综合生产能力若干政策的意见)

2006. 2.21 사회주의 신 농촌 건설 추진에 관한 약간 의견(关于推进社会主义新农村建设的若干意见) 2007. 1.29 현대농업의 적극적인 발전과 사회주의 신 농촌 건설의 착실한 추진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积极发展现代农业扎实推进社会主义新农村建设的若干意见)

2008. 1.20 농업기초시설 건설 강화, 농업발전 및 농민소득 증대 촉진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切实加犟农业基础建设, 进一步促进农业发展农民增收的若干意见)

2009. 2. 1 2009년 농업의 안정적 발전과 농민소득 증대 촉진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2009年促进农业稳定发展农民持续增收的若干意见)

2010. 1.31 도시와 농촌 통합발전 강화 및 농업·농촌 발전 기초 강화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加大统筹城乡发展力度, 进一步夯实农业农村发展基础的若干意见)

2011. 1.29 수리 개혁・발전의 가속화에 관한 결정(关于加快水利改革发展的决定)

2012. 2. 1 농업과학기술 혁신 추진 강화와 농산물공급 보장능력 지속 강화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加快推进农业科技创新持续增强农产品供给保障能力的若干意见)

2013. 1.31 현대농업 발전 가속화와 농촌발전 활력 증대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加快发展现代农业进一步增强农村发展活力的若干意见)

2014. 1.19 농촌개혁 전면 심화 및 농업현대화 추진 가속화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全面深化农村改革加快推进农业现代化的若干意见)

2015. 2. 2 개혁·혁신의 확대 및 농업현대화 건설 가속화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加大改革创新力度加快农业现代化建设的若干意见)

1) 당(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과 정부(국무원)의 최고위급이 참여하는 농업정책 논의기구로 매년 12월 하순 개최. 회의에서는 당해연도 농 정의 성과를 평가하고, 다음 해의 농정 방향과 목표, 중점 추진과제를 토론을 거쳐 확정하고 이를 당과 정부에 하달해 집행

(3)

(계속)

발표 날짜 문건 제목

2016. 1.28 신 발전이론 실천, 농업현대화 가속화,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 목표 실현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落实发展新理念加快农业现代化实现全面小康目标的若干意见)

2017. 2. 5 농업 공급측 구조개혁 추진 심화, 농업·농촌 발전 신동력 육성 가속화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深入推进农业供给侧结构性改革加快培育农业农村发展新动能的若干意见)

2018. 2. 4 농촌진흥전략 실시에 관한 의견 (关于实施乡村振兴战略的意见)

2019. 1. 3 농업농촌 우선발전전략 견지 및 삼농업무를 잘할 것에 관한 약간 의견 (关于坚持农业农村优先发展做好三农工作的若干意见)

2020. 1. 2 삼농영역 중점 업무를 잘 추진하고 정해진 시기에 소강사회 전면 실현을 확보하는 것에 관한 의견 (关于抓好三农领域重点工作确保如期实现全面小康的意见)

2021. 1. 4 농촌진흥 전면 추진 및 농업농촌 현대화 가속화에 관한 의견 (关于全面推进乡村振兴加快农业农村现代化的意见)

2022. 2.22 2022년도 농촌진흥 중점업무 전면 추진을 잘할 것에 관한 의견 (关于做好2022年全面推进乡村振兴重点工作的意见)

2023. 2.14 2023년도 농촌진흥 중점업무 전면 추진을 잘할 것에 관한 의견 (关于做好2023年全面推进乡村振兴重点工作的意见)

l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은 2023년도의 농촌진흥 사업 추진과 관련해 9대 목표와 33개 과제 제시(표 2 참조)

(9대 목표) ▲식량과 중요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 보장, ▲농업인프라 시설 확충, ▲농업과학기

술 및 농업용 기계장비의 지지 역량 강화, ▲빈곤탈피 성과 공고화 및 확산, ▲농촌산업의 질적 발전 촉 진, ▲농가소득원 확충, ▲맞춤형 농촌개발 추진, ▲공산당조직 주도의 농촌거버넌스체계 확립, ▲정책 적 보장체계 강화

<표 2> 2023년도 중앙1호문건 개요

목표 중점 추진 과제 목표 중점 추진 과제

식량과 중요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 보장

1. 식량 생산 안정

2. 대두·유지작물 재배 확대 3. 현대적 시설농업 발전 촉진 4. 다원적 식물(食物)공급체계 구축 5. 식량 및 주요 농산물 수급 안정

농업인프라 시설 확충

6. 경지 보호 및 용도 관리 강화 7. 우량농지 조성 강화 8. 농업수리시설 건설 강화 9. 농업재해 대응 역량 강화

농업과학기술 및 농업 용 기계장비의 지지 역량 강화

10. 농업분야 핵심기술 난관 해소 11. 종자산업진흥행동 추진 심화 12. 선진 농기계 연구개발·보급 가속화 13. 친환경농업 발전 촉진

빈곤탈피 성과 공고화 및 확산

14. 대규모 빈곤회귀 현상 발생 차단 15. 빈곤탈피 지역·가구의 내생적 발전

동력 강화

16. 빈곤탈피 지역·가구 지원정책 개선

농촌산업의 질적 발전 촉진

17. 농산물 가공·유통업 발전 촉진 18. 농촌지역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19. 농촌지역 신업태·신산업 육성 20. 현()지역 농촌산업 육성

농가소득원 확충

21. 농민공 취업 및 소득 증대 촉진 22. 농업경영소득 증대 촉진 23. 농민들의 재산권 보장 강화

맞춤형 농촌개발 추진

24. 마을개발계획 수립 강화 25. 농촌지역 정주환경 정비 26. 농촌지역 인프라 건설 강화 27. 농촌지역 공공서비스 강화

공산당조직 주도의 농 촌거버넌스체계 확립

28. 농촌지역 기층 당조직의 정치·조직 역량 강화

29. 농촌거버넌스의 효과 제고 30. 농촌지역 정신문명 건설 강화

정책적 보장체계 강화 31. 농촌진흥 관련 투입 다원화 / 32. 농촌진흥 인력 육성 강화 / 33. 현(县)지역 단위의 도농통합발전 촉진

(4)

2. 2023년도 중앙1호문건의 주요 내용

□ 목표 1: 식량과 중요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 및 공급 보장

과제 1: 식량 생산 안정

• 식량 생산량 6억 5천만 톤 이상 확보 • 제2차 5,000만 톤 식량증산계획 실시 ∙ 둔양전(吨粮田) 조성사업 추진 * 둔양전: 1기작이나 2기작 또는 다기작 재배를 통해 연간 1톤 이상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농지

• 남부지역에서 식량 이모작 재배 추진 및 조건적합지역에서 재생벼(再生稻) 재배 장려

* 재생벼: 한차례 파종으로 두 차례 수확이 가능한 벼 품종(첫 수확 후 또 다시 줄기가 자라 약 2개월 뒤 또 한 차례 수확 가능) • 밀 ‘일분삼방(一喷三防)’ 추진 지원 • 옥수수 단수 증대 프로젝트 실시

* 일분삼방: 한 차례 혼합약제(살충제, 살균제, 생장조절제, 엽면비료, 미량원소비료 등) 살포로 병충해, 건열풍 및 도복 피해를 예방하는 농작물 재배 기술

• 밀 최저수매가 인상 및 쌀 최저수매가 수준 합리적 결정. 쌀 보조금 안정. 농자재 공급 보장 및 가격 안정 대응체계 개선 • 주산지의 이익보상체계 개선. 대규모 식량 생산 현() 장려금 지급 규모 확대

• 쌀·밀·옥수수 품목의 총생산비보장 농업재해보험(完全成本保险) 및 농업수입보장보험(收入保险) 실시 지역 확대 • 고품질식량 프로젝트 실시 심화. 식량 계약생산 장려. 밀·옥수수 등 식량작물을 사료용으로 판매하기 위해 미성숙

상태에서 수확해 식량을 훼손하는 행위(割青毁粮) 엄금

• 성()급 당 위원회와 정부의 경지보호 및 식량안보책임제에 대한 엄격한 평가 실시 • 「식량안보보장법(粮食安全保障法)」 공포 추진

과제 2: 대두 및 유지작물 재배 확대

• 옥수수·대두 ‘띠 모양 복합재배(大豆玉米带状复合种植)’ 추진. 동북 및 황회해(黄淮海) 지역에서 식량·대두 윤작 실시.

염류성·알카리성토지 재배에 적합한 대두 품종 개발 추진

* 옥수수·대두 띠 모양 복합재배: 옥수수와 대두를 옥수수 2줄-대두 4줄-옥수수 2줄 등의 순서로 띠 모양으로 혼작하는 방법

• 옥수수·대두 품목의 생산제한계획하 직접지불(Blue Box)제도 개선. 대두 총생산비보장 농업재해보험 및 농업수입보 장보험 시범사업 실시

• 유채 품목 지원 조치 실시. 벼·대두 윤작 추진. 겨울철 농한기 유채 재배 확대 • 목본 유지작물 생산 증대. 유채·차산업 발전 3년 행동 실시. 유채·차 재배면적 확대 • 사료용 대두박 감량대체 행동 실시 심화

과제 3: 현대적 시설농업 발전 촉진

• 시설농업 현대화 업그레이드 행동 실시 • 벼 집중육묘이앙센터 및 채소 집약화육묘센터 발전 촉진 • 식량 건조, 농산물 산지 냉장 및 콜드체인물류 관련 시설 건설 가속화

• 시설채소단지의 노후 시설 개조 추진 • 대규모 가축·가금 사육장 시설 개조 추진 • 생태환경 보호 및 용수량 무증량을 전제로 사막지역에서의 시설농업 발전 방안 모색 • 지방정부의 시설농업 관련 대출이자 보조 정책 시행 장려

과제 4: 다원적 식물

(食物)

공급체계 구축

• 대식물관점(大植物观) 확립. 식량작물·경제작물·사료작물·재배업·임업·축산업·어업·식물·동물·미생물을 아우르는 다 양한 경로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다원적 식물(食物)공급체계 구축 가속화 및 각 영역별 실시 방안 제정

• 고품질·절수형 다수확 조사료작물 생산기지 조성. 알팔파 등 조사료산업 발전 가속화 • 사일리지 사료산업 발전 촉진. 농작물 줄기대를 활용한 가축 사육 추진 가속화

(5)

과제 4: 다원적 식물

(食物)

공급체계 구축

• 산림지역내 농축수산물 재배·사육·양식 추진 • 초지목축업 업그레이드 추진. 초지구획에 따른 윤목(轮牧) 추진 • 내수면 양식 제한구역 확정. 내수면 생태어업 발전 촉진

• 현대적 해양양식장 건설. 원근해 심해 양식 발전 촉진 • 대규모 버섯·해조류 산업 육성 • 식품안전 및 농산물품질안전 관리감독 강화. 이력추적관리제도 개선

과제 5: 식량 및 주요 농산물 수급 안정

• 비상시 식량 공급 보장 역량 강화 • 비축·수매 과정 관리감독 강화

• 각 성(省)별로 생돈의 안정적 생산·공급을 책임지고 번식용 모돈을 중심으로 생돈 수급관리 강화 • 장바구니(菜篮子) 시장책임제에 대한 엄격한 평가 실시 강화 • 면화 목표가격제도 개선 • 사탕수수 우량종 및 우수재배기술 보급 보조정책 지속 실시 • 천연고무 지원정책 개선

• 화학비료 등 농자재 생산 및 운송 관리 강화 • 국제농산물시장 활용도 제고 및 농산물 수입 다원화전략 실시 심화 • 식량절약행동 추진 심화

□ 목표 2: 농업인프라 시설 확충

과제 6: 경지 보호 및 용도 관리 강화

• 경지점용·보충균형관리제도(경지를 타용도로 사용한 경우 동일 면적의 경지 조성 의무 부여) 엄격 실시. 관련 부처간 협력체계를 구축해 보충 경지에 대한 심사·평가 실시 및 ‘시()·현() 심사 - 성()급 재심사 - 사회 감독’ 체계 구 축(점용 경지와 비교해 동일한 면적·비옥도·생산성 보장)

• 경지의 기타 농업용 용도로의 전환 엄격 규제. 농작물 재배 용도 경지의 관리체계(이용 우선 순위, 동향모니터링 등) 구축 및 시범사업 추진 모색

• 방치된 경지 이용 강화 • 제3차 전국토양조사 실시 철저

과제 7: 우량농지 조성 강화

• 우량농지 신규 조성·개조 연도 목표 달성(토양개량, 관개배수시설 개선 등에 초점을 두고 동시에 고효율·절수형 관개 추진) • 모든 절대농지(永久基本农田)를 우량농지로 조성하기 위한 실시방안 제정

• 흑토지대 보호. 산비탈 경지 정리 강화 • 흑토 도굴, 지렁이 전기충격 포획 등 토양훼손 행위 철저 단속 • 가뭄·반가뭄지역 경지 및 적황색토양 경지의 생산성 향상 핵심기술 개발 강화

• 염류성·알칼리성 토지와 관련해 정책기조를 토양 개량으로부터 적응 식물 선발육성 강화로 전환 추진 • 염류성·알칼리성 토지 등 예비 경지자원의 종합개발이용 시범사업 추진

과제 8: 농업수리시설 건설 강화

• 중대 농업수리 프로젝트 추진 강화. 국가 중추 수자원망 구축 가속화

• 중대형 관개시설 건설 강화 및 시설 현대화 개조 가속화 • 중소형 저수지의 가뭄 대비 프로젝트 실시 • 논밭 수로와 관개지구 핵심 수자원망 연결 등 농지수시리설 건설 강화

• 주요 지역의 지하수 과잉 사용 종합관리 지원. 황하유역 농업의 절수 및 수자원 통제 추진 • 가뭄·반가뭄지역의 고효율·절수·건식농법 농업 발전 촉진

• 홍수조절구역 건설. 중소 하천 정비. 산사태 피해 방지 강화

• 중소 저수지 위험요인 해소 및 소형 저수지 안전 모니터링 실시 가속화 • 농업용수 가격개혁 추진 심화

(6)

과제 9: 농업재해 대응 역량 강화

• 농업기후자원 조사 및 농업기후지역 구획 사업 신규 추진

• 농업기상관측소 배치 최적화. 지역별·재해종류별 농업기상재해 정보 공개 • 가뭄·홍수 재해 대응체계 구축. 농업재해 예방·복구 보장 강화

• 기층 동식물 전염병·병충해 모니터링 경보체계 개선 ∙ 중점 지역의 산림·초원 화재 예방·통제 수준 업그레이드 • 돼지콜레라 등 중대 동물전염병 상시 방역 강화. 중점 인수공통전염병 방역 강화

□ 목표 3: 농업과학기술 및 농업용 기계장비의 지지 역량 강화

과제 10: 농업분야 핵심기술 난관 해소

• 농업분야의 국가실험실, 전국중점실험실, 제조업혁신센터 등 플랫폼 구축. 기초적 장기관측실험소 건설 강화 • 농업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 안정적 지원체계 개선

과제 11: 종자산업진흥행동 추진 심화

• 전국농업유전물질자원조사 완료 ∙ 개방·협력·공동이용의 유전물질자원 정밀검정평가체계 구축 • 생물육종 중대 프로젝트 실시. 국가육종연합연구 및 가축·가금유전자원개량계획 추진

• 다수확·고함유 대두, 생육기가 짧은 유채, 내염류성·내알칼리성 작물 등 신품종 육종 가속화 • 옥수수·대두 생물육종 산업화 가속화 및 시범사업 범위 확대

과제 12: 선진 농기계 연구개발·보급 가속화

• 대형 스마트 농기계장비, 구릉지·산간지역에 적합한 소형 농기계 및 시설원예용 농기계 연구개발 가속화

• 중국이 자체 개발한 북두위성항법시스템(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DS)을 활용한 위성위치확인시스 템 기반의 원격모니터링과 자율주행시스템의 통합 응용 지원

• 농기계 구입·응용 보조정책 개선(위성위치확인시스템을 활용해 농기계 작업량과 연계한 보조 방식 모색, 보조정책시행시 지방정부의 자금 지출 책임 이행 등)

과제 13: 친환경 농업 발전 촉진

• 농자재 투입량 감소 및 효율성 증대 기술 보급·응용 가속화. 관개·시비 일체화 기술 보급 추진. 농업폐기물(농산 바이 오매스, 농업용비닐, 농약포장재, 축산분뇨 등) 이용·처리 체계 구축

• 국가농업녹색발전선행구(先行区) 및 모니터링·실험기지 건설 강화 • 경지 휴경·윤작제도 개선 • 카드뮴 등 토양 중금속오염 방제 강화 • 오염된 경지의 안전 이용 및 리스크 관리 강화 • 농업생태환경보호모니터링제도 확립 • 생태환경보호 보상조례 제정

• 휴어기·금어기제도 엄격 집행. 장강(长江) 10년 어획 금지조치 실시. 퇴출 어민 보장 조치의 성과 공고화

• 중국문명의 요람으로서 모친하(母亲河, 어미니의 강)로 불리는장강(长江), 황하(黄河) 등의 회복행동 지속 추진. 농촌 지역 강·호수·하천 종합정비 추진

• 황토고원 준설 댐 건설 강화. 초원 보호·회복 강화 • 퇴경환림환초(退耕还林还草) 성과 공고화 및 관련 보조정책 실시 • 외래종 불법 유입행위 철저 단속. 중대 위해 외래침입종 관리행동 실시. 애완동물 거래 및 방생의 규범화 관리 강화

(7)

□ 목표 4: 빈곤탈피 성과 공고화 및 확산

과제 14: 대규모 빈곤회귀 현상 발생 차단

• 빈곤회귀방지 모니터링 강화 • 노동능력이 있는 자원 가구를 대상으로 개발식지원 조치 실시(해당지역 자연자원 을 이용한 인프라건설 등 각종 개발 실시 및 빈곤가구 참여)

• 다종다양한 사회적 빈곤구제체계 개선. 빈곤가구 대상 주택·의료·교육·양로 등 민생영역의 사회보장 강화 • 의무교육, 기본의료, 주택안전 등 3가지 보장 수준 제고. 음용수 안전 보장 성과 공고화

과제 15: 빈곤탈피 지역·가구의 내생적 발전 동력 강화

• 빈곤탈피 가구의 소득 증대를 기본으로 빈곤탈피 현(县)의 발전 가속화 중점 추진

• 중앙정부 재정의 농촌진흥보조금중 산업발전분야 사용 비중 6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고 기술·시설·마케팅상의 단점 보 완에 중점 지원

• 빈곤탈피지역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농가의 가내 농업·수공업경제(庭院经济) 발전 장려

• 다양한 경로의 생산물 판매 지원 추진. 생산물 판매 지원 시범도시 및 산지 시범구역 조성 지속 추진. 빈곤탈피지역 의 공용 브랜드 육성 지원

• 중앙정부 재정과 지원 자금으로 추진하는 빈곤구제 프로젝트의 이익연계체계 개선 및 연계 농가의 소득 증대 촉진 • 동서부지역간 노무협력 강화. 빈곤회귀 방지 취업촉진행동 실시. 빈곤탈피 노동력의 취업자 수 3,000만 명 이상 달성 • 취업 확대를 위한 작업장 운영 및 기타 산업 지원 프로젝트 지속 운영

• 농촌지역 공공일자리의 취업보장 역할 강화 • ‘우로계획(雨露计划) 플러스(+)’ 취업촉진행동 실시 심화

* 우로계획: 빈곤구제 대상의 소질 향상을 통해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 재정 지원과 각계 각층의 참여’ 방식으로 중고등학교 졸업생 및 청장년 노동력을 대상으로 학력향상교육이나 기능교육훈련을 실시하는 정책 사업

• 국가농촌진흥 중점 지원 현()을 대상으로 단점보완·진흥촉진 중점 프로젝트 실시. 의료·교육인력의 팀방식 지원 실 시 심화. 농촌지역 거주 간부 및 과학기술특파원의 지원 역할 강화

• 빈곤가구의 타지역 집단 이주를 통한 빈곤탈피 성과 공고화사업 및 이주민 취업지원사업 심화 추진

과제 16: 빈곤탈피 지역·가구 지원정책 개선

• 빈곤탈피 성과 공고화·확산과 농촌진흥간 효과적 연계 정책 실시 • 국가농촌진흥 중점 지원 현(县)에 대한 발전성과 모니터링·평가 추진

• 빈곤탈피지역의 신용대출 규모 지속 유지 및 빈곤탈피가구에 대한 소액 신용대출 업무 강화 • 빈곤탈피지원사업에 대한 금융 지원 강화

• 동서부지역간 협력 확대. 동부 경제발전지역 현()·시()·구()와 빈곤탈피지역 현()간 협력 진흥촉진행동 추진.

빈곤탈피지역 현()의 노동밀집형 산업 발전 촉진

• 중앙정부 부처·기관의 빈곤탈피지역 지정지원(定点帮扶) 지속 강화 및 자매결연관계 보완·조정 • 만기흥만촌(万企兴万村)행동 추진 심화 * 만기흥만촌행동: 기업들의 빈곤탈피지역 지원 활동

• 빈곤탈피지역을 대상으로 설정한 과도기(5년) 이후 농촌지역 저소득 계층과 낙후지역에 대한 상시 지원체계 모색

□ 목표 5: 농촌산업의 질적 발전 촉진

과제 17: 농산물 가공·유통업 발전 촉진

• 농산물 가공업 업그레이드행동 실시. 가정농장(일정 면적 이상의 가족구성원 위주의 농장), 농민합작사(협동조합), 중소 기업 등의 농산물 산지 단순가공 추진 지원. 대형 농기업의 농산물 심층가공 추진 유도

(8)

과제 17: 농산물 가공·유통업 발전 촉진

• 농산물 가공기업의 산지·생산단지 농산물 가공업 투자 집중 유도. 식량 및 중요 농산물 주산지에 농산물 가공단지 건설 • 농산물 핵심 유통망 개선. 산지·집산지·소비지 도매시장 업그레이드 추진. 교외지역에 대규모 저장창고기지 건설 추진 • 산지 콜드체인물류센터 건설 지원

과제 18: 농촌지역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 현(县)지역 상업체계 구축 전면 추진

• 현(县)지역 농촌전자상거래 및 택배물류배송체계 개선 가속화. 현(县)지역 수집배송센터 건설, 농촌지역 여객·화물·우편 서비스 융합발전 촉진. 공동배송·즉시소매(即时零售; 주문 후 30분내 배송) 등 신물류 모델 발전 촉진. 농촌지역 콜드 체인물류서비스망 발전 촉진

• 농촌지역의 음식·쇼핑·문화·체육·관광·휴양·양로·탁아·정보중개 등 생활서비스 발전 촉진 • 조건을 갖춘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와 친환경스마트 가전의 농가보급지원사업 추진

과제 19: 농촌지역 신업태·신산업 육성

• 농산업 강진(强镇), 현대적 농산업단지 및 비교우위 특색산업클러스터 건설 지속 지원

• 국가농촌산업융합발전시범단지 건설 지원 • 농업현대화시범구 건설 추진 심화 • 문화산업 연계 농촌진흥사업 실시 • 농촌레저관광 프로젝트 실시. 농촌지역 민박 수준 업그레이드 추진

• 수상흥농(数商兴农; 전자상거래를 통한 농촌진흥) 프로젝트 및 ‘인터넷 플러스(+) 농산물 출촌진청(出村进城)’ 프로젝트 심화 실시. 전자상거래업체의 산지 직접구매 또는 맞춤생산 등 새로운 유통모델 발전 독려. 농부산물 라이브커머스 전자상거래 플랫폼 건설

• 정채(净菜; 정리, 세정, 소독 등을 거쳐 무균 환경에서 포장한 신선 채소 상품), 중앙주방(中央厨房; 요식업체의 집중구매·

집약생산·통일배송 방식의 직영점 관리운영시스템) 등 산업의 표준화 및 규범화 수준 제고 • 즉석·간편조리식품산업(预制菜产业) 육성

과제 20: 현

(县)

지역 농촌산업 육성

• 현()지역 농촌산업 공간배치 개선. 현()지역의 산업 수용 및 관련 서비스 제공 역량 강화. 중점 진()의 집적 기능 강화 • ‘1현() 1업()’ 프로젝트 실시

• 노동집약형 산업의 중서부지역·현()지역으로의 이전 유도 및 대도시 주변 현()지역의 관련 산업·기업 유치 지원 • 국가급 첨단기술산업개발구(高新区)·경제기술개발구(经开区)·농업첨단기술산업시범구(农高区)를 위탁관리·공동운영

하는 현()지역 산업단지 지원

□ 목표 6: 농가소득원 확충

과제 21: 농민공 취업 및 소득 증대 촉진

• 농민공 직업기능 역량 강화 촉진 • 농민공 임금 지급 모니터링경보체계 개선 • 고령 농민공 취업·권익 보호 • 취업 농민공의 권익보장제도 개선 가속화 • 귀촌·농촌정착 창업단지, 농촌창업 인큐베이터기지 등 건설 강화

• 정부투자 중점 프로젝트와 농촌인프라건설사업 추진시 공공근로(以工代赈) 방식 활용 및 노동보수 지급 비중 제고

(9)

과제 22: 농업경영소득 증대 촉진

• 신형농업경영체(대규모 전업농, 가정농장, 농민합작사, 농기업, 농기업 주도의 농업산업화연합체 등) 업그레드행동 추진 심 화. 가정농장의 농민합작사 설립 및 농민합작사의 농기업 설립 지원. 소농과 연계한 합작경영 및 공동 소득증대 추진 • 농업부문서비스업 발전 촉진행동 실시. 위탁경작·위탁파종·위탁관리·위탁수확·위탁경영 등 농업부문서비스업 발전

촉진. 지역별 종합서비스플랫폼 구축 장려

• 토지경영권(토지사용권)의 질서있는 거래 활성화를 통한 영농규모화 발전 촉진

• 각 지역의 토지병합 등 경험에 기초해 농민들의 자발성을 전제로 농지조성·토지정리와 연계해 농지 세분화 문제 해 결 방안 모색

• 사회자본의 농업농촌분야 투자 유치 지침 개선. 농외자본의 농촌 유입·사용·퇴출 전과정 관리감독 강화 • 사회자본의 토지사용권 취득 자격 심사, 투자 사업 심사 및 리스크관리 제도 개선

• 농업부문을 위한 서비스와 정사분개(政事分开; 공공서비스 제공 결정 주체와 실제 공공서비스 업무 제공 주체의 분리), 사기분개(社企分开; 합작사의 관리 기능과 합작사 내 기업의 경영 기능 분리)를 위해 공소합작사(供销合作社) 종합개혁 추진 심화

과제 23: 농민들의 재산권 보장 강화

• 제2차 토지도급 기한 만료 후 30년 재연장 시범사업 업무 지도의견 제정 연구

• 농촌택지제도 개혁 시범사업 신중 추진 및 건물·토지 일체 권리확정 등기증서 발급 가속화, 농촌택지 삼권분립(三权分 置; 농촌택지에 대한 권리를 소유권, 도급권, 경영권(사용권) 등 3가지로 구분) 실현 방법 모색

• 농촌집단경제조직 소유 건설용 토지의 시장 거래 시범사업 추진 심화. 국가·농촌집체경제조직·농민 이익을 동시에 고 려한 토지가치 상승에 따른 수익의 효과적인 배분체계 구축 모색

• 도시로 이전해 정착한 농민공들의 합법적 토지 권익 보장 및 법률에 의거한 자발적 유상 양도 장려

• 농촌집단재산권제도 개혁 성과 공고화. 농촌집단경제조직 소유의 자원·권리 임대, 중개, 자산 지분출자 등 다양한 방 식의 새로운 농촌집단경제 발전 모색

• 농촌집체경제조직 소유 자산의 관리감독체계 개선 • 농촌집체경제조직내 부녀자의 합법적 권익 보장 • 집단임지(林地) 재산권제도 개혁 지속 심화 • 농촌종합개혁 시범사업 추진 심화

□ 목표 7: 맞춤형 농촌개발 추진

과제 24: 마을개발계획 수립 강화

• 현()지역 통합계획 수립 기조 견지. 조건을 갖추고 수요가 있는 농촌마을의 개발계획 수립 지원. 마을 공간배치와 개발 경계 합리적 확정

• 촌()급 협의의사록에 마을 개발계획 포함

• 농촌지역 행정구역 설치 최적화. 지역 농민들 의사에 반하는 마을 합병·분리 또는 대규모 생활주거단지 조성 엄금 • 향()·진()지역 단위의 토지종합정리 추진

• 농촌집단조직 소유 건설용 토지의 사용시 주민거주시설, 인프라시설, 공공서비스공간 및 산업용지 수요 우선 보장.

농촌진흥 토지사용정책 지침서 발간

• 농촌마을면모 업그레이드 가이드 제정. 지역특성·민족특색을 고려한 마을 외관 개선. 대규모 철거·건설 및 맹목적 패루(牌楼; 장식용 건축물) 건축이나 정자·회랑의 과한 분재 장식 방지

• 집락 전통마을 보호·이용 시범사업 실시. 전통마을에 대한 조사 인증, 해체·합병 심사, 재해피해 예방 등 제도 확립 • 농촌지역의 현대적 생활조건 구비 건설 지침 제정

(10)

과제 25: 농촌지역 정주환경 정비

• 농촌마을 공공장소 정돈 업무 강화. 농촌마을 청결행동 지속 추진

• 농촌가구 화장실문제 시정 성과 공고화. 농민들의 화장실 개조 실시 지도 • 농촌지역 공공화장실 건설·관리 강화 • 인구밀집 촌()·진()과 수자원보호구역 주변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생활오수 처리 추진

• 농촌생활쓰레기 분리배출·감량 추진 및 적시 처리

• 화장실 분뇨, 부패하기 쉬운 쓰레기 및 유기폐기물의 자원화 이용 추진 • 애국위생운동 지속 추진

과제 26: 농촌지역 인프라 건설 강화

• 농촌지역 공공도로 보수 및 안전관리 강화. 주변 부대시설·산업단지·관광명소·농촌관광 중점 촌()과 연계해 농촌지 역 공공도로 건설

• 농촌지역 대규모 용수공급 프로젝트 추진. 소규모 용수공급체계 표준화 개조 추진. 수질향상행동 추진 • 농촌지역 전력망 공고화 및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추진. 농촌지역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 농촌지역 위험주택 리모델링 및 내진 보강 지원. 기본적으로 농촌주택 안전위험 조사 및 정비 완료 • 현대적이고 편리한 농촌주택 건축 시범사업 추진

• 디지털농촌발전행동 실시 심화 및 디지털화 응용분야(환경) 연구개발·보급 추진

• 농업농촌빅데이터 응용 가속화. 스마트농업 발전 촉진 ∙ 농촌마을 공공인프라 관리보호책임제 실시 • 농촌지역 응급상황 관리 역량 강화. 농촌지역 교통·소방·자가건축주택 등 중점영역 리스크관리 추진 심화

과제 27: 농촌지역 공공서비스 강화

• 현(县)지역 의무교육 질 향상 및 균형 발전 추진, 농촌지역 학교의 학력수준 향상 • 농촌지역 교사 생활비 보조정책 실시 ∙ 현()지역 단위 의료위생자원 통합관리 추진 및 농촌지역 의료위생·의료보장 서비스 역량 강화

• 농촌지역 의사의 보수·대우 문제 통합 해결 추진. 농촌지역 의사인력의 전문화·규범화 추진 • 농촌지역 전염병 방역 및 응급 대응 역량 강화

• 농촌지역 코로나방역 업무 강화. 농촌지역 노인·유아·환자·장애인·임산부 등 중점 계층 의료보장 강화 • 최저생활보장 신청·확인 절차 최적화 및 조건에 부합하는 취약계층 보장 강화

• 향()·진()지역 노인요양서비스센터 건설 가속화 및 주간돌봄·품앗이노인요양·방문·노년식당 등 노인요양서비스 보급 • 농촌부녀자 소질함양계획 실시. 농촌지역 미성년보호 업무 강화. 농촌지역 장애인 사회보장제도 및 돌봄서비스체계

개선. 농촌지역 정신지체장애인 배려

□ 목표 8: 공산당조직 주도의 농촌거버넌스체계 확립

과제 28: 농촌지역 기층 당조직의 정치·조직 역량 강화

• 현()급 당위원회의 농촌진흥 책임 강화. 당조직 건설 및 농촌진흥 촉진 추진 심화 • 향()·진()·촌() 당조직 지도부의 농촌진흥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전면적 실시 • 능력있는 촌()주재 제1당서기와 업무팀(工作队) 파견 및 파견조직의 마을과의 연계·지원 강화 • 농촌진흥사업 영역의 부패와 업무태도 문제 해결

• 기층 기율검사감찰조직과 촌업무감독위원회의 연계 추진 및 촌간부에 대한 전방위 관리·상시감독 강화 • 농촌지역 당원 대상 분기별 집중교육훈련 추진

• 직위를 부여하고 책임을 지우는 방식 등을 통해 농촌지역 당원의 선봉·모범 역할 강화

(11)

과제 29: 농촌거버넌스의 효과 제고

• 당조직 건설을 통한 농촌거버넌스 추진. 현()·향()·촌() 3급의 거버넌스체계 기능 강화(현급 책임 강화, 향·진급 권한확대·역량강화, 촌급 기반 공고화)

• 현()급, 향()·진()급 및촌()급 당조직 지도부 인력의 각각 향()·촌(), 촌()·농가() 및농가() 관리제도 실시 • 당조직 리더의 촌민자치 메카니즘 개선 및 ‘사의양공개(四议两公开)’제도 전면 추진

* 사의양공개: 촌 당지부의 문제제기(提议), 촌 2개 위원회 협의(商议), 당원대회 심의(审议), 촌민대표대회 결의(决议), 결의 내용 공개, 실시 결과 공개

• 농촌지역 법치교육 및 법률서비스 강화. ‘민주법치시범촌(커뮤니티)’ 조성 추진 심화

• 신시대 ‘풍교경험(枫桥经验)’의 준수 및 발전. 사회적 모순·분쟁에 대한 다원적 예방·조정·해결체계 개선

* 풍교경험: 1960년대 초 절강성 주지(诸暨)시 펑치아오(枫桥)진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당과 정부가 앞장서서 대중에 의거해 분쟁을 예방하고 갈등을 해소하며 안정을 유지해 발전을 촉진하는 업무 추진 경험

• 촘촘한 관리, 정밀한 서비스 및 정보화에 기반한 기층 거버넌스 플랫폼 구축

• 농촌지역 불법행위 근절 및 불량세력 척결 상시 추진 • 농촌지역 도박 및 불법 범죄 척결행동 추진 • 농촌지역 부녀자·아동 권리 침해 불법행위 척결

• 포인트제, 체크리스트제, 디지털화, 원스톱 처리 등 실용적이고 유용한 거버넌스 방식 보급 • 농촌거버넌스체계 구축 시범사업 추진 심화. 전국 농촌거버넌스 시범 촌(村)·진(镇) 조성사업 추진

과제 30: 농촌지역 정신문명 건설 강화

• 사회주의 핵심가치관 선전·교육 추진 심화. 농촌지역에서 ‘당의 말을 듣고, 당의 은혜에 감사하며, 당과 함께 간다’는 선전·교육 활동 지속 추진

* 사회주의핵심가치관: 부강, 민주, 문명, 조화(和谐), 자유, 평등, 공정, 법치, 애국, 직업정신(敬业), 성실·신용(诚信), 우호(友善) • 농촌지역의 대중적 정신문명 건설 심화. 신시대문명실천센터, 현(县)급 매체융합센터(融媒体中心) 등 플랫폼 구축. 농촌

지역이 자체적으로 조직한 대중적 문화활동 지원

• 가정·가정교육·가풍 중시 • 농경문화 전승·보호 프로젝트 실시 심화, 중요 농업문화유산 보호·이용 강화 • 중국농민풍수절(丰收节; 매년 음력 추분) 기념 행사 개최

• 각 지역 맞춤형 풍속규범 제정 추진. 촌민규약의 단속 역할 강화. 당원·간부가 모범을 보여 고액 결혼지참금(신랑측이 신부측에 주는 돈과 선물), 고비용 행사 등 중점 영역의 핵심 문제 특별관리 추진 • 농촌지역 장례문화 개혁 추진

□ 목표 9: 정책적 보장체계 강화

과제 31: 농촌진흥 관련 투입 다원화

• 일반 공공예산 우선 보장 영역에 농업농촌분야 포함 조치 지속. 지방정부의 농업농촌분야 재정투자 책임 강화 • 토지 양도수입의 농업농촌분야 사용 비율 점차 확대

• 지방정부 채권 지원범위에 조건에 부합하는 농촌진흥사업 포함 • 농촌진흥기금 설립 지원

• 정부투자와 금융·사회투자 연동체계 구축. 시장주체가 규정에 의거 조건에 부합하는 정부투자항목 실시 장려. 금 융·사회자본의 시장논리에 따른 농업농촌분야 투자 촉진

• 재대출(再贷款)·재할인(再贴现) 활용, 예금지급준비금 차별화, 금융 관리감독·심사평가 차별화 등 정책을 통해 금융 기관의 농촌진흥관련 분야에 대한 대출 확대 추진(특히 식량안보분야 신용대출 자금 수요 중점 보장)

• 농업농촌분야 신용대출 담보 업무 확대 유도. 전국농업신용대출담보체계 역할 강화 • 농업신용정보 공유 강화 ∙ 다양한 방식을 통한 자본시장의 농업지원 역할 강화. 농업재해보험과 선물시장이 연계된 '보험+선물' 모델(농산물

선물가격지수보험) 개선

∙ 농촌신용사 개혁 리스크 해소 가속화. 촌진(村镇)은행 구조개혁 추진 ∙ 어업재해보험 발전 촉진

(12)

과제 32: 농촌진흥 인력 육성 강화

• 농촌진흥인력 지원계획 실시. 교육·위생·과학기술·문화·사회업무·정신문명건설 등 분야 인력의 현장 서비스 실시 유 도. 해당지역의 긴급수요 인력 육성 지원

• 소질이 높은 농민육성 계획 실시. 농촌지역 창업선도자 육성행동 추진. 교육훈련 효과 증대 • 농촌진흥관련 직업교육 강화. 산업·교육 융합 및 학교·기업 합작 심화

• 도시지역 전문기술인력의 농촌진흥 정기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 개선. 직무 승진 및 직위 평가시 장기 서 비스 제공자 우선 고려

• 도시지역 전문기술인력의 농촌지역 부업 및 이직 창업 유도

• 조건에 부합하는 귀향귀촌 취업·창업자에 대해 원적지 또는 취업·창업지역의 호적 취득 허용

• 향(乡)·진(镇)지역이나 이하 행정구역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의료인력을 육성하는 정책사업 및 교사 육성 관련 우수교사계획·특 수분야계획·국가육성계획 지속 추진. ‘대학생 농촌의사’ 특별계획 추진

• 농촌진흥 부녀자행동 실시. 청년인재개발행동 실시

과제 33: 현

(县)

지역 단위의 도농통합발전 촉진

• 도농통합발전 정책체계 개선. 도농간 생산요소 이동 활성화

• 현()지역 단위의 통합 도농계획 수립 및 도시화 애로사항 해결 추진. 현()지역 중심 진()의 행정·서비스시설 건설 강화 • 현(县)지역 농민공의 시민화 추진 심화. 상주인구와 연계해 상주지역의 기본 공공서비스 제공 체계 구축

• 농민공 대상 금융서비스 제공 강화

• 현()·향()·촌() 공공자원의 단계적 배치. 도농학교공동체·의료위생공동체·노인요양서비스연합체 발전 촉진. 현()지 역의 도농통합형 전력·가스·전신·우편 등 보편적 서비스시설 건설·관리 추진. 조건을 갖춘 지역에서 주민 가구로 지하용수 공급망·가스공급망 확대

• 농촌진흥 시범사업 추진

3. 평가 및 시사점

l

농업농촌을 주제로 중앙1호문건이 발표된 것은 올해로 20년째이며 중국에서 중앙1호문건이 가지는 상징성을 감안하면 당과 정부가 여전히 농업농촌문제 해결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

2004년 이후 매년 말 개최되는 당과 정부의 최고위급 농업정책 논의 기구인 중앙농촌공작회의에서 논 의를 거쳐 의결된 정책문서를 다음 해 1~2월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국무원 공동 명의의 중앙1호 문건으로 발표하는 패턴을 20년째 반복

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바이두

(百度)

의 바이두백과

(百度百科)

는 중앙1호문건을 “중국공산 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농촌문제를 중시한다는 의미의 고유명사”라고 설명. 이는 신중국 역사상 전 무후무하게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이 공동으로 2004년부터 20년 연속 농업농촌문제에 국한해서 중앙1 호문건을 발표한 것이 주요 원인. 이제 중국에서 중앙1호문건의 발표는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이 삼농문 제 해결에 진심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일종의 상징성이 강한 연레적 퍼포먼스의 성격

l

2021년 이후 올해까지 3년 연속 중앙1호문건의 핵심 키워드가 농촌진흥인데 이는 당과 정부가 제19차

(2017.10)와 제20차 당대회(2022.10)을 거치면서 최우선 국정과제로 부상한 농촌진흥전략의 전면적 추진을

부단히 강조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

(13)

농촌진흥전략은 2000년대 중반 등장했던 사회주의신농촌건설전략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서 농촌지 역의 산업, 환경, 문화, 자치, 민생 등 5대 영역의 달성 목표와 추진 과제 제시. 각 영역별 달성 목표는 각각 산업진흥, 생태환경개선, 문화진흥, 효과적 거버넌스 구축, 민생개선(생활수준 향상)

농촌진흥전략은 제19차 당대회를 통해 등장한 이후 2018년 중앙1호문건에서 청사진이 제시되고 같 은해 추진계획인 ‘향촌진흥전략규획(2018~2022년)이 제정된데 이어 2021년에는 국무원 직속의 국 가향촌진흥국이 설립되고 「향촌진흥촉진법

(乡村振兴促进法)

」이 제정되었으며 제20차 당대회에서도 재 차 핵심 이슈로 다뤄지면서 여러 경로로 농촌진흥의 전면적 추진을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상황

농촌진흥전략에 법률적 지위까지 부여한 것은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이 농업농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 는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대내외에 천명한 것으로 농촌진흥전략의 특별한 위상을 시사

l

올해 중앙1호문건은 제목만 보면 2023년도의 농촌진흥 관련 중점 추진 과제 리스트 정도로 생각할 수 있지만 앞서 살펴본대로 기본적으로 농촌진흥전략에서 제시된 단기 및 중장기 추진 과제들이 광범위하게 망라되어 있 으며 각 영역별로 새롭게 추진하는 과제들도 포함

농업농촌문제를 다룬 20년 동안의 중앙1호문건의 내용을 보면 통상 해당 시기에 중점 추진하는 농정 과제들을 망라하여 제시하는 특징이 있으며 해마다 문서상 배치 순서를 달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강조 하고픈 어젠다나 이슈 부각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가장 중요하게 부각한 식량안보 이슈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식량 생산량 마지노 선인 6억 5천만 톤 사수와 각종 조치를 통한 전방위적인 증산을 강조하면서 2009년에 이어 제2차 5,000만 톤 식량증산 계획의 실시를 언급해 조만간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나올 것으로 전망. 또한 2012년 2월 법률 초안이 공개된 이후 지연되고 있는 「식량안보보장법

(粮食安全保障法)

」의 공포를 촉구 해 조만간 법제화 작업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

지난해 개최된 제20차 당대회에서 부각되었던 식량안보 관점의 재정립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 필요한 영양을 식량작물로부터 섭취한다는 식량 관점

(粮食观)

에서 경지·초지·산림·해양 및 식물·동물·미생물로 부터 열량, 단백질을 얻는 것과 같이 전방위적이고 다양한 경로로 식물자원

(食物资源)

을 개발해 영양을 섭취한다는 대식물관점

(大食物观)

으로 확장해야한다는 것이 초점. 다원화된 식물

(食物)

공급체계 구축 및 구체적인 실시방안의 제정을 주문한만큼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이외에도 새롭게 언급된 주요 과제들)

∙ 생태환경 보호 및 용수량 무증량을 전제로 사막지역에서의 시설농업 발전 방안 모색(과제 3)

∙ 모든 절대농지(永久基本农田)를 우량농지로 조성하기 위한 실시방안 제정(과제 7)

∙ 농업기후자원 조사 및 농업기지역 구획 사업 신규 추진(과제 9)

∙ 농업분야의 국가실험실, 전국중점실험실, 제조업혁신센터 등 플랫폼 구축(과제 10)

∙ 중국이 자체개발한 북두위성항법시스템(BDS)을 활용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 기반의 원격모니터링과 자율주행시스 템의 통합 응용 지원(과제 12)

∙ 농가의 가내 농업·수공업경제(庭院经济) 발전 장려(과제 15)

∙ ‘우로계획(雨露计划) 플러스(+)’ 취업촉진행동 실시(과제 15)

∙ 중앙정부 재정의 농촌진흥보조금중 산업발전분야 사용 비중 60% 이상으로 상향 조정(과제 15)

(14)

l

농촌진흥전략은 시진핑 주석이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사상‘을 통해 제시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시간표 와 연계되었다는 점에서 시진핑 정부 집권 3기 국정의 핵심 어젠다로서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전망

제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의 지도이념으로 제시되어 당의 행동지침이 된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 2021~2035년)에 이어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을 실현(2036~2050년) 한다는 2단계 사회주의 현대화 추진 목표 제시

제20차 당대회는 제19차 당대회에서 제시되었던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설 일정을 재확인하면서 중 국공산당의 2개의 100년 목표중 첫 번째 목표인 샤오캉(

少康

)사회 실현 과정과 마찬가지로 두 번째 목 표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렵고 힘든 임무가 여전히 농촌에 있다고 언급하고 농촌진흥의 전면적 추진을 명시함으로써 향후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건설 일정 내내 농촌진흥전략의 추진에 정책적 우선 순위를 두고 박차를 가할 것임을 시사. 중국은 당국가체제(party-state system)이기 때문에 공산당이 당의 최대 중점사업으로 농촌진흥을 언급했다는 것은 곧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라는 것을 의미

* 2개의 100년 목표: 첫 번째 100년 목표는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인 2021년에 전 국민이 중등소득 수준 이상의 생활을 영위

하는 샤오캉(少康)사회 실현이며, 두 번째 100년 목표는 중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에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실현

< 참고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중국사무소. 「중국농업브리프」 2017년 10월호, 2022년 2월호, 2022년 10월호 关于做好2023年全面推进乡村振兴重点工作的意见(2023년 중앙1호문건)

华创宏观中央一号文件的10个新提法”(https://new.qq.com/rain/a/20230217A0331M00)

“中央一号文件今年有哪些新的提法?”(https://baijiahao.baidu.com/s?id=1757924217925391410&wfr=spider&for=pc) 百度(https://www.baidu.com)

百度百科(https://baike.baidu.com)

∙ 즉석·간편조리식품산업(预制菜产业) 육성(과제 19)

∙ 국가급 첨단기술산업개발구(高新区)·경제기술개발구(经开区)·농업첨단기술산업시범구(农高区)를 위탁관리·공동운영 하는 현()지역 산업단지 지원(과제 20)

∙ 가정농장의 농민합작사 설립 및 농민합작사의 농기업 설립 지원(과제 22)

∙ 금융기관의 식량안보분야 신용대출 자금 수요 중점 보장(과제 31)

(15)

가격 동향

도매시장가격 2)

l

2023년 1월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는 133.0로 2022년 12월 대비 5.7%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

채람자(

菜篮⼦

) 농산물: 전월 대비 6.5% 상승, 전년 동월 대비 1.6% 상승

식량 및 식용유: 전월 대비 0.8% 상승, 전년 동월 대비 5.1% 상승

<그림 1> 중국의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지수 추이

< 농산물 도매가격 200지수 > < 채람자 농산물 가격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

< 식량 및 식용유 가격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

주: '농산물 도매시장가격200지수'는 2015년=100 자료: 中国农业信息网(http://www.agri.gov.cn)

l

농산물 품목별 2022년 12월 대비 가격이 상승한 주요 품목은 쪽파(33.9%), 오이(24.6%), 양배추(24.5%), 배 (21.7), 수박(19.1%), 팽이버섯((13.0%), 느타리버섯(9.2%), 새송이버섯(8.9%), 표고버섯(6.4%)임

주요 가격 하락 품목은 돼지고기(-19.6%), 대추(-12.6%), 밤(-6.7%), 감(-3.0%)

2) 중국은 2017년 1월부터 2000년도 기준의 농산물 도매가격지수 발표를 중단하고 2015년도 기준의 ‘농산물도매가격200지수’를 새롭 게 발표함. ‘농산물도매가격200지수’는 총 111개 품목(채소 32개, 과일 11개, 축산물 7개, 수산물 49개, 식량 7개, 유지작물 5개)을 대 상으로 전국의 대표적인 농산물 도매시장 200개의 가격에 기초하여 작성함.

(16)

<표 3> 주요 품목별 도매시장가격 추이(2022년 9월 ~ 2023년 1월)

단위: 원, %

품목

2022년 2023년 1월 증감률

9월 10월 11월 12월 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식량 중단립종쌀(20kg) 20,887 20,717 19,461 19,387 19,428 0.21 1.90

콩(1kg) 1,480 1,584 1,522 1,515 1,484 -2.08 3.70

엽근 채소

배추(10kg) 4,336 3,671 2,575 2,247 2,277 1.34 -37.57

무(18kg) 8,522 7,572 5,657 5,549 5,884 6.03 -25.07

양배추(8kg) 3,533 3,302 2,317 2,347 2,923 24.55 -26.66

당근(20kg) 10,463 10,359 9,806 9,062 9,145 0.91 -29.10

감자(20kg) 10,145 10,597 10,791 10,882 11,165 2.60 27.98

양념 채소

건고추(600g) 4,229 4,259 4,106 4,127 4,126 -0.02 4.11

양파(kg) 481 496 451 449 465 3.38 1.68

마늘(kg) 1,321 1,336 1,221 1,207 1,263 4.67 -12.96

대파(kg) 1,162 1,062 842 784 826 5.45 -22.21

쪽파(kg) 1,709 1,530 1,164 1,196 1,601 33.89 25.24

과일

사과(부사, 15kg) 25,392 24,765 24,109 23,537 24,377 3.57 30.76 배(풍수, 15kg) 21,961 21,759 19,196 20,752 25,258 21.72 49.02

복숭아(kg) 1,273 1,437 1,552 1,772 1,844 4.07 17.86

포도(거봉, 5kg) 10,553 10,567 10,403 9,916 9,989 0.74 19.13 감귤(만다린, kg) 1,112 1,127 1,047 1,083 1,061 -1.96 20.62 감(10kg) 12,074 12,462 9,655 10,771 10,449 -2.99 -2.85

과채

딸기(2kg) 7,861 7,882 10,147 11,083 11,146 0.58 -16.71

토마토(10kg) 8,434 10,656 9,049 8,152 8,649 6.09 -42.43

오이(kg) 837 770 899 1,164 1,451 24.59 21.89

수박(kg) 670 702 765 890 1,060 19.12 -25.95

축산물

쇠고기(kg) 15,343 15,411 14,673 14,384 14,274 -0.77 -2.07

돼지고기(kg) 6,141 6,787 6,431 5,478 4,407 -19.55 4.64

닭고기(kg) 3,779 3,810 3,622 3,539 3,441 -2.77 5.61

버섯

느타리버섯(2kg) 3,819 3,112 2,245 2,552 2,788 9.25 8.37

새송이버섯(2kg) 3,409 3,457 3,135 3,053 3,324 8.87 24.14

팽이버섯(2kg) 3,437 2,992 2,567 2,786 3,147 12.99 28.77

표고버섯(2kg) 5,092 4,949 4,521 4,368 4,646 6.37 12.31

임산물 밤(kg) 2,447 2,306 2,217 2,299 2,145 -6.71 7.82

대추(kg) 2,833 2,352 2,147 2,325 2,031 -12.65 -18.60

주: 전국 도매시장 평균가격

자료: 中国农业信息网(http://www.agri.gov.cn)

(17)

소비자물가

l

2023년 1월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8%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

이 중 식품가격은 전월 대비 2.8% 상승, 전년 동월 대비 6.2% 상승

1월 식품가격 상승은 신선과일과 조란이 주도(각각 13.1%, 8.4% 상승)

<그림 2>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변화 추이

자료: 中国国家统计局(http://www.stats.gov.cn)

<표 4>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감률

구분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22.10 ‘22.11 ‘22.12 ‘23.1 ‘22.10 ‘22.11 ‘22.12 ‘23.1

소비자물가지수(CPI) 0.1 -0.2 0.0 0.8 2.1 1.6 1.8 2.1

∘ 식품・담배 및 주류 0.2 -0.5 0.4 2.0 5.2 3.0 3.7 4.7

식품 0.1 -0.8 0.5 2.8 7.0 3.7 4.8 6.2

- 식량 0.2 0.2 0.2 0.0 3.6 3.0 2.6 2.7

- 육류 5.2 0.1 -4.6 -5.3 23.6 17.6 11.6 6.6

- 조란(鸟卵) 2.2 1.3 -2.1 -2.1 11.8 9.9 9.6 8.4

- 수산물 -2.3 -1.1 0.4 5.5 2.8 3.4 3.4 4.8

- 신선채소 -4.5 -8.3 7.0 19.6 -8.1 -21.2 -8.0 6.7

- 신선과일 -1.6 1.5 4.7 9.2 12.6 9.6 11.0 13.1

∘ 의류 및 복장 0.3 0.3 0.1 -0.5 0.5 0.5 0.5 0.5

∘ 생활용품 및 관련 서비스 0.3 -0.3 0.3 0.0 1.4 1.5 1.5 1.6

∘ 의료보건 0.0 0.0 0.0 0.3 0.5 0.5 0.6 0.8

∘ 교통 및 통신 -0.4 0.1 -1.4 0.2 3.1 2.9 2.8 2.0

∘ 교육・문화 및 오락 0.2 -0.4 0.1 1.3 1.2 1.3 1.4 2.4

∘ 주택(거주) -0.1 0.0 -0.1 0.0 -0.2 -0.2 -0.2 -0.1

∘ 기타용품 및 관련 서비스 0.4 -0.1 0.4 1.1 1.9 2.3 2.8 3.1

주: 육류는 가금육을 포함하지 않음(2016년 1월부터 CPI 구성 항목 조정).

자료: 中国国家统计局(http://www.stats.gov.cn)

(18)

무역 동향

농식품 수출입 3)

l

2022년 12월 중국의 농식품 수입액은 199.3억 달러로 전월 대비 9.9%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0.2% 증가

(농산물) 수입액은 151.7억 달러(76.2%) 전월 대비 14.1%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14.6% 증가

* 수입액 상위 5개 품목류: 두류(46.5%), 식물성유지(8.8%), 과실류(8.6%), 곡류(8.1%), 채유종실(3.9%) → CR5 76.0%

(임산물) 수입액은 3.1억 달러(1.6%)로 전월 대비 6.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8.7% 감소

* 수입액 상위 3개 품목류: 과실견과류(91.5%), 임산물 기타(6.6%), 락과 수지류(1.3%) → CR3 99.4%

(축산물) 수입액은 44.4억 달러(22.3%)로 전월 대비 1.3%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

* 수입액 상위 5개 품목류: 포유가축 육류(53.7%), 낙농품(23.6%), 가금육류(8.8%), 모‧수모류(3.5%), 딘백질류(3.0%)→ CR5 92.5%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두류(35.4%), 포유가축 육류(12.0%), 식물성유지(6.7%), 과실류(6.6%), 곡류(6.2%), 낙 농품(5.2%), 채유종실(3.0%), 식물성 섬유(2.8%), 기타조제농산품(2.4%), 주류(2.2%) → CR

10

82.5%

(수입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대두(35.0%), 쇠고기(7.3%), 돼지고기(4.0%), 팜유(2.6%), 면(2.4%), 체리 (버찌)(2.3%), 밀(2.2%), 유채(2.1%), 혼합조제식료품(2.1%), 닭고기(1.9%) → CR

10

61.8%

<표 5> 중국의 농식품 수입 추이(2022년 11월 ~ 12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2년 12월 증감률

11월 12월 누적(1~12월)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수입 총액 18,136 (100.0) 19,925 (100.0) 211,142 (100.0) 9.9 10.2 4.3 - 가공 6,639 (100.0) 6,153 (100.0) 68,632 (100.0) -7.3 -0.2 1.6 - 신선 11,497 (100.0) 13,771 (100.0) 142,510 (100.0) 19.8 15.7 5.6

농산물 13,303 (73.3) 15,173 (76.2) 156,916 (74.3) 14.1 14.6 7.3

- 가공 5,148 (77.5) 4,684 (76.1) 49,562 (72.2) -9.0 1.2 2.6 - 신선 8,155 (70.9) 10,489 (76.2) 107,354 (75.3) 28.6 21.8 9.7

임산물 336 (1.9) 314 (1.6) 2,267 (1.1) -6.6 -48.7 -28.9

- 가공 26 (0.4) 26 (0.4) 344 (0.5) 0.6 -23.8 -6.5 - 신선 311 (2.7) 288 (2.1) 1,923 (1.3) -7.2 -50.2 -31.9 축산물 4,497 (24.8) 4,438 (22.3) 51,959 (24.6) -1.3 5.2 -2.1 - 가공 1,465 (22.1) 1,444 (23.5) 18,725 (27.3) -1.5 -4.2 -0.6 - 신선 3,032 (26.4) 2,994 (21.7) 33,233 (23.3) -1.2 10.4 -3.0 주: 농식품의 범위는 수산물을 제외한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이며, 중국 해관의 수출입상품 HS코드 분류상 HS 8단위 세번 1,158개 품목(2022

년도 기준)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림축산식품 품목별 코드(AG코드) 분류를 참고해 중국 기준 HS 8단위 1,158개 품목을 농산 물 39개 품목류, 축산물 22개 품목류, 임산물 8개 품목류로 분류함.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3) Global Trade Atlas의 중국 무역 관련 통계 업데이트 지연으로 2022년 12월 농식품 무역 실적을 수록함.

(19)

<그림 3> 중국의 연도별·월별 농식품 수입액 추이(2020.1∼2022.12)

단위: 백만 달러

농식품 전체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그림 4> 중국의 수입액 상위 30개 농식품 품목류 및 세부 품목(2022년 12월)

수입액 상위 30개 품목류(CR30=98.1%) 수입액 상위 30개 세부 품목(CR30=80.7%)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022년 2021년

2020년

(20)

<그림 5> 중국의 농식품 수입 대상국 순위(2022년 12월)

수입액 상위 30위 수입대상국(농식품 전체, CR30=95.4%)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농산물, CR20=92.7%)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임산물, CR20=97.8%)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축산물, CR20=96.9%)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1)

<표 6> 중국의 농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1월 ~ 12월)

단위: 백만 달러, %

번호 품목명

2022년 12월 증감률

11월 12월 누적

(1~12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곡류 1,298.0 1,225.8 19,667.5 -5.6 -21.8 -1.9

2 서류 88.8 115.3 2,157.0 29.9 -9.6 26.5

3 두류 5,107.2 7,056.7 62,986.6 38.2 30.7 15.0

4 전분 215.7 191.9 2,264.3 -11.1 20.3 27.9

5 채유종실 598.8 592.8 4,639.0 -1.0 49.4 1.7

6 과실류 876.5 1,309.2 15,726.9 49.4 45.6 8.7

7 기타곡실류 29.3 54.0 505.1 84.3 -1.4 8.0

8 채소류 77.0 64.7 895.0 -15.9 -43.8 -16.0

9 화훼류 28.7 10.6 206.7 -62.9 -33.2 2.8

10 버섯류(농산물) 0.4 0.4 7.3 -10.4 -73.5 -29.3

11 기타 산식물 0.5 0.6 7.0 14.9 -20.7 -17.5

12 식물성유지 1,719.3 1,342.4 12,427.9 -21.9 -1.7 -12.0

13 유지가공품 131.7 129.1 1,539.8 -2.0 2.0 41.6

14 농산물 납류 0.6 0.2 21.5 -70.1 -92.6 -1.8

15 식물성 액즙 24.9 23.6 347.0 -5.1 -1.6 2.5

16 박류 251.7 318.1 3,000.2 26.4 43.8 22.8

17 사료 204.0 214.5 2,184.1 5.1 16.6 18.4

18 기타 식물성 물질 61.2 47.4 616.3 -22.5 -19.3 5.8

19 기타농산부산물 1.7 1.4 12.9 -15.4 -41.8 -9.8

20 빵류제조용 3.6 4.6 44.3 29.2 -57.4 -38.3

21 효모류 2.4 2.0 20.7 -13.8 -19.1 -14.3

22 소오스류 18.1 17.6 197.8 -2.9 -32.5 -13.7

23 향신료 5.1 7.2 57.4 39.8 -28.6 2.5

24 지방성물질 61.4 43.0 952.7 -30.0 -49.4 51.6

25 식물성재료 0.8 1.0 53.4 32.4 -86.4 -30.0

26 커피류 95.0 90.5 1,107.6 -4.7 37.7 32.0

27 코코아류 116.1 110.3 941.5 -5.0 -16.3 -9.7

28 차류 14.2 13.0 145.0 -8.4 -24.0 -21.5

29 연초류 54.6 144.7 1,639.8 164.9 -9.4 12.3

30 인삼류 9.9 8.8 105.5 -10.9 57.0 20.4

31 한약재(농산물) 39.8 49.8 450.5 25.1 61.2 1.6

32 주류 497.9 446.0 4,536.2 -10.4 -16.8 -17.6

33 당류 353.6 256.4 2,584.7 -27.5 30.0 11.7

34 음료 73.0 66.1 932.3 -9.4 -27.7 -15.6

35 과자류 143.7 128.3 1,557.0 -10.8 -30.1 -4.8

36 면류 39.8 37.1 359.3 -6.6 -20.2 3.7

37 기타조제 농산품 450.9 484.7 5,818.9 7.5 -7.8 4.9

38 잠사류 8.2 5.8 63.2 -29.7 -13.2 -5.8

39 식물성 섬유 598.7 557.2 6,136.2 -6.9 47.0 23.8

합계 13,302.9 15,172.9 156,916.4 14.1 14.6 7.3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2)

<표 7> 중국의 축산물·임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1월 ~ 12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번호 품목명

2022년 12월 증감률

11월 12월 누적

(1~12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포유가축류 72.1 83.0 859.1 15.1 -12.8 -3.7

2 가금류 0.0 0.8 17.7 n.a. -66.1 -56.5

3 기타포유류 0.3 0.8 9.5 152.6 -27.5 15.5

4 조류 기타 0.0 0.5 7.1 n.a. n.a. 54.3

5 파충류(reptilia) 0.0 0.1 0.1 406.9 n.a. -27.4

6 양서류(Amphibian) 0.0 0.0 0.0 n.a. n.a. n.a.

7 곤충류 0.0 0.0 0.1 -76.4 -40.0 3.0

8 기타 산동물 0.0 0.0 0.0 -70.4 -64.2 33.7

9 포유 가축 육류 2,495.7 2,385.2 26,704.1 -4.4 13.9 -4.9

10 가금육류 334.6 389.1 4,169.5 16.3 9.7 18.7

11 기타 육류 73.5 84.2 891.6 14.5 33.7 43.3

12 동물성 유지 7.9 13.9 115.5 75.1 0.4 -13.0

13 동물성 납 0.1 0.1 1.2 -12.2 -81.3 -56.1

14 골류 3.2 3.4 29.2 6.6 -18.1 -16.1

15 한약재(축산물) 0.0 0.2 52.3 n.a. -80.7 -6.5

16 기타 축산물 부산물 1,030.3 1,045.6 13,401.6 1.5 -1.1 -0.9

17 낙농품 55.3 50.4 522.2 -9.0 -50.2 -50.4

18 난류 0.0 0.0 0.0 -100.0 n.a. 34,385.7

19 단백질류 124.7 132.1 1,187.9 5.9 46.2 28.5

20 모.수모류 186.0 153.6 2,607.3 -17.4 -23.5 -1.3

21 원피류 110.0 94.5 1,347.3 -14.1 -30.8 -6.8

22 생모피류 3.2 0.4 35.2 -88.3 -88.5 -72.6

합계 4,497.0 4,437.7 51,958.7 -1.3 5.2 -2.1

1 수목류 0.7 0.9 10.4 36.3 40.1 -24.4

2 산채류 0.0 0.0 1.2 n.a. -100.0 -46.1

3 버섯류(임산물) 0.0 0.0 0.1 n.a. -100.0 -84.0

4 과실·견과류 310.0 287.4 1,910.9 -7.3 -50.3 -31.9

5 락과 수지류 3.5 4.2 42.6 19.8 21.3 -12.6

6 죽재류 0.0 0.0 0.3 -14.1 -62.1 -66.2

7 등나무류 1.0 1.0 16.1 0.5 -40.8 14.1

8 임산물 기타 21.2 20.6 285.2 -2.5 -28.1 -6.3

합계 336.4 314.2 2,266.9 -6.6 -48.7 -28.9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3)

l

2022년 12월 중국의 농식품 수출액은 62.5억 달러로 전월 대비 3.4%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5% 감소

(농산물) 수출액은 53.3억 달러(85.3%)로 전월 대비 2.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6% 감소

* 수출액 상위 5개 품목류: 채소류(22.9%), 과실류(14.1%), 기타조제농산품(6.9%), 버섯류(농산물)(5.2%), 사료(4.6%) → CR5 53.7%

(임산물) 수출액은 3.0억 달러(4.9%)로 전월 대비 3.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7.2% 감소

* 수출액 상위 3개 품목류: 과실견과류(55.8%), 임산물 기타(23.8%), 버섯류(임산물)(10.5%) → CR3 90.1%

(축산물) 수출액은 6.2억 달러(9.9%)로 전월 대비 9.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5% 감소

* 수출액 상위 5개 품목류: 가금육류(31.1%), 기타 육류(15.6%), 단백질류(15.2%), 포유가축류(14.7%), 포유가축 육류(6.9%) → CR5 83.4%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채소류(19.5%), 과실류(12.1%), 기타조제농산품(5.8%), 버섯류(농산물)(4.4%), 사료 (4.0%), 소오스류(3.8%), 과자류(3.5%), 채유종실(3.1%), 가금육류(3.1%), 차류(3.0%) → CR

10

62.2%

(수출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혼합조제식료품(4.7%), 기타 소오스제품(3.5%), 기타버섯(3.4%), 마늘(3.4%), 감귤류(만다린 이외 기타)(3.0%), 채소혼합물(3.0%), 사과(2.7%), 닭고기(2.4%), 기타 채소(2.3%), 기타식물성 액즙(2.1%) → CR

10

30.5%

<표 8> 중국의 농식품 수출 추이(2022년 11월 ~ 12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2년 12월 증감률

11월 12월 누적

(1~12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총액 6,044 (100.0) 6,247 (100.0) 66,699 (100.0) 3.4 -5.5 7.7

- 가공 2,569 (100.0) 2,525 (100.0) 30,796 (100.0) -1.7 -10.8 15.7 - 신선 3,475 (100.0) 3,723 (100.0) 35,904 (100.0) 7.1 -1.5 1.7

농산물 5,186 (85.8) 5,326 (85.3) 56,642 (84.9) 2.7 -2.6 10.4

- 가공 2,373 (92.4) 2,306 (91.4) 27,983 (90.9) -2.8 -10.7 16.3

- 신선 2,813 (80.9) 3,020 (81.1) 28,659 (79.8) 7.4 4.5 5.3

임산물 296 (4.9) 305 (4.9) 3,231 (4.8) 3.2 -37.2 -24.4

- 가공 69 (2.7) 81 (3.2) 1,090 (3.5) 17.4 -14.3 16.0 - 신선 227 (6.5) 224 (6.0) 2,141 (6.0) -1.2 -42.7 -35.8

축산물 562 (9.3) 616 (9.9) 6,826 (10.2) 9.7 -5.5 7.6

- 가공 127 (4.9) 137 (5.4) 1,722 (5.6) 8.4 -10.1 6.8 - 신선 435 (12.5) 479 (12.9) 5,104 (14.2) 10.1 -4.1 7.8 주: 농식품의 범위는 수산물을 제외한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이며, 중국 해관의 수출입상품 HS코드 분류상 HS 8단위 세번 1,158개 품목(2022

년도 기준)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림축산식품 품목별 코드(AG코드) 분류를 참고해 중국 기준 HS 8단위 1,158개 품목을 농산 물 39개 품목류, 축산물 22개 품목류, 임산물 8개 품목류로 분류함.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참조

관련 문서

운송계약에 관한 상법규정의

[r]

제도화를

[r]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IAEA Safety Standard General Safety Requirements “Governmental,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Safety General Safety Requirements Part 1”, October 04,

기타 사항 및 시사점..

범세계를 무대로 품목과 지역 그리고 기능면에 서 다각화된 경영 활동을 영위하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