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학연구론총 20집> 『임호은전』의 공간 구성과 그 미학적 특징 (신태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학연구론총 20집> 『임호은전』의 공간 구성과 그 미학적 특징 (신태수)"

Copied!
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택민국학연구원 2017. 12. 31.

󰡔임호은전󰡕의 공간 구성과 그 미학적 특징

신태수*1)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공간 체계, 원심적인가 구심적인가?

Ⅲ. 공간 서술 기법과 공간 구성 1. 공간 서술 기법

2. 작품 내적 현실과 공간 구성

Ⅳ. 공간 구성이 지니는 미학적 특징 1. 공간의 인물 대응과 그 미적 요소 2. 공간의 환경 조성과 그 미적 요소

Ⅴ. 결론

<국문초록>

󰡔임호은전󰡕의 주인공은 ‘길 위의 영웅’이다. 고난도 길 위에서 겪고, 영광도 길 위에서 얻고, 佳緣도 길 위에서 맺는다. 고소설의 공간 체계인 원심적 공간 체계와 구심적 공간 체계가 주인공을 뒷받침하면서 ‘길 위의 영웅’의 형상화가 가능했다. 원심적 공간 체계는 권1에서 나타나고 구심적 공간 체계는 권2에서 나타나는데, 각 공간 체계를 지배하는 윤 리는 각기 신성한 효윤리와 몰아적 충윤리다. 공간 체계가 이처럼 다르니, 공간 서술 방법 또한 같을 리 없다. 권1의 경우는 인물 추적 방식에 의존하면서 ‘짜깁기 전략’을 펼치고, 권2의 경우는 공간 술회 방식에 의존하면서 ‘건너뛰기 전략’을 펼친다. ‘짜깁기 전략’과

‘건너뛰기 전략’은 연합하여 ‘윤리의 영웅인 임호은이 사회구조적 모순을 해결한다.’는 논 법을 형성한다. 이렇게 볼 때, 공간 구성은 두 가지 미학적 특징을 지닌다. 공간의 인물 대응 양상을 통해 나타나는 悲壯美와 공간의 환경 조성 양상을 통해 나타나는 崇高美가 그것이다.

* 영남대 교육대학원 교수

(2)

<핵심어>

원심적 공간 체계, 구심적 공간 체계, 효윤리와 충윤리, 인물 추적 방식, 공간 술회 방식, 짜깁기 전략과 건너뛰기 전략, 비장미와 숭고미.

Ⅰ. 문제제기

󰡔임호은전󰡕은 2권 2책의 장편 영웅소설이다.1) 영웅소설이라 하면 으 레 ‘영웅의 일생’이라는 유형 구조2)를 떠올리게 된다. 주인공은 재상가 만득자로 태어나고, 간신의 모함으로 집안이 풍비박산나고, 구원자를 통 해 탁월한 능력을 지니고, 천자를 구출하고 가문도 일으킨다는 얼개가 그것이다. 󰡔임호은전󰡕에서는 영웅소설의 유형 구조를 수용하면서도 독특 한 성향을 보여준다. 주인공이 효윤리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공간을 떠 돌면서 인물보다는 현실과 심각하게 갈등을 겪는다는 점이 독특한 성향 의 내용이다. 이런 정황을 고려할 때, ‘길 위의 많은 체험’이 󰡔임호은전󰡕

이 특징이다. 주인공이 길 위에서 고난을 겪거나 영광을 얻거나 가연을 맺거나 하므로, 󰡔임호은전󰡕을 ‘길 위의 영웅에 대한 보고서’라 해도 과 언이 아니다.

‘길 위의 영웅’이 ‘여러 공간을 거치면서 영웅이 된 주인공이라고 할 때, 응당 생길 만한 의문이 하나 있다. 주인공이 스스로 공간을 이동 하느냐 공간이 주인공에게 이동하게 하느냐가 그것이다.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공간을 인물과 마찬가지로 소설 구성의 한 요소로 인식해야

1) 목판본은 전해지지 않고 필사본과 활자본과 전해진다. 민선애, 󰡔임호은전󰡕 연구, 한 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7, 5~17쪽에서 활자본 2종과 필사본 3종의 내용을 견주 고 있어서 이본 전반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趙東一, 󰡔韓國小說의 理論󰡕, 知識産業社, 1977, 246쪽 참조.

(3)

한다. 다시 말해, 인물이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면 공간도 인물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해야 마땅하다. 이런 각도에서 보면, 고소설의 공간 체계는 크게 두 가지다. 공간과 공간이 연대하여 인물을 특정 방향으로 밀어낸다고 하는 원심적 공간 체계와 전체 공간이 도성과 여타 지역이 라는 두 가지로 양분되며 도성만이 의의를 지닌다고 하는 구심적 공간 체계가 그것이다.3) 󰡔임호은전󰡕에서는 두 공간 체계가 모두 나타나기 때 문에 이채롭다. 하나의 작품에 서로 다른 공간 체계가 나타나는 까닭이 무엇인지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임호은전󰡕 연구는 별반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용을 개괄한 경우를 제외하면 단행 논문으로는 겨우 두 편뿐이다.4) 두 편 논문에서 는 이본, 구조, 주인공의 고난, 소설사적 의의 등을 살폈다. 그 결과,

상계 → 지상계 → 천상계

의 순환 구조를 보인다거나 󰡔구운몽󰡕ㆍ󰡔옥루 몽󰡕과 동궤로서 남녀 주인공의 가연을 다루었다거나 하는 점은 밝혀졌 다. 전체 얼개와 구조는 밝혀졌으므로, 이제부터는 연구 단계를 심화시키 지 않으면 안 된다. 심화 단계의 연구로는 공간론을 들 수 있다. 󰡔임호은 전󰡕에는 아주 많은 공간이 나타나며 민감한 조건 위에서 인물을 지배ㆍ 조종하기 때문에, 공간은 단순하게 분절된 땅덩어리가 아니라

체계로서 의 미학적 특징을 지닌 거대 형상

이라 할 수 있다. 임호은에 의해 제시 되는 공간이 오히려 인물을 지배한다는 점에서 인물과 공간의 관계가 단순하지 않으리라 여겨진다.

필자는 󰡔임호은전󰡕을 대상으로 공간론을 전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공간을 동태적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한다. 인물 과 공간의 관계에서는 인물만이 주체가 아니며 공간 또한 주체일 수 있 다. 인물이 그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여러 공간에 내몰린다면,

인물을

3) 원심적 공간과 구심적 공간의 개념, 양상, 성격에 대해서는 신태수, 「󰡔최척전󰡕에 나 타난 공간의 형상」, 󰡔韓民族語文學󰡕51, 韓民族語文學會, 2007, 396~407쪽과 신태 수, 「군담소설에 나타난 공간과 영웅의 관계」, 󰡔한국고소설의 창작방법 연구󰡕, 푸른 사상, 2006, 283~301쪽에서 논의한 바 있다.

4) 민선애, 앞의 글, 1~72쪽. ; 김종천, 󰡔林虎隱傳 硏究󰡕, 고려대 석사논문, 1979, 1~92쪽.

(4)

추동하는 공간

을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다음으로, 공간 구성 및 체계를 통해 역사와 현실에서 공간이 어떤 위력을 발휘하는지를 살피고 자 한다. 공간이 인물을 압박할 때 인물 또한 공간에 대응하게 마련이므 로, 이 점을 주목해야 할 터이다. 󰡔임호은전󰡕은 이본이 여럿 있지만, 남 녀 주인공의 수가 5인이냐 7인이냐 하는 정도의 차이만 있다. 필자는 5 인이 등장하는 택민 김광순 교수 소장본5)을 자료로 삼는다. 5인 혹은 7 인이냐에 따라 얼개의 차이도 있을 것 같은데, 이 점에 유의하면서 과제 해결에 임하기로 한다.

Ⅱ. 공간 체계, 원심적인가 구심적인가?

임호은은 공간을 많이 이동한다. 주된 공간은 설학동, 황성, 강릉 절도 이다.6) 이동 경로를 일직선으로 그어보면, 첫 지점은 설학동이고 중간 지점은 황성이고 끝 지점은 강릉 절도이다. 물론, 일직선상의 끝 지점이 최종 기착지는 아니다. 임호은은 끝 지점을 반환점으로 해서 중간 지점 인 황성으로 되돌아오므로, 최종 기착지는 황성이 다. 이동 경로를 ‘설학 동 → 황성’과 ‘황성 → 강릉 절도’로 나누어볼 때, 전자와 후자의 공간 개수는 매우 다르다. 즉, 설학동과 황성 사이에는 많은 공간이 나타나지

5) 서술상의 최종 기착지는 초국이지만, 초국이 주된 공간이라고 할 수는 없다. 임호은 이 논공행상에서 楚王을 책봉받고 임지로 나아가기 때문에 초국의 공간 형상이 구 체적으로 나타날 만도 하다. 예상과는 달리, 초국 공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임 호은이 황성에 올라와 천자에게 배조한다는 언급만 빈번하다. 화자가 초국을 주된 공간으로 여기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6) 앞으로는 택민본으로 약칭하고자 한다. 택민본은 작지미상의 순국문체 필사본이 다. 2권2책으로서, 각면은 반홀림체 10행이고 각행은 20자 내외이다. 권1은 44 장이고, 권2는 54장이다. 권2의 제일 뒷면에는 ‘신츅사월 쵸이월 직즁필셔 상마 동 판동장 니씨 남이’이라고 쓰여져 있다. 신축년에 필사를 마쳤다고 하니, 필사연대는 1841년, 1901년, 1961년 중 어느 것 하나이다. 택민본에 ‘ㆍ’가 나 타나되 1900년대 초엽의 활자본의 표기와 유사한 경우가 많아, 아마도 1901년 이 아닐까 한다.

(5)

만, 황성과 강릉 절도 사이에는 공간이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공간 개 수가 많거나 적거나 하는 현상은 공간 체계로서의 원심적 공간과 구심 적 공간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공간 구성에 의거해서 이 점을 구체적으 로 확인하기로 한다.

<권1>

㉠ 대송 남양 설학동에 승상벼슬을 지낸 임춘이 서천 서역 노승에 게 시주하고, 적강 선관을 자식으로 얻게 된다.

㉡ 임호은의 나이 5세에 익주자사 맹춘이 반역을 도모한다. 부친은 맹춘에게 잡혀가고 모친과 임호은은 도적에게 잡혀 어디론가 끌 려간다.

㉢ 임호은이 탈출하여 설학동 집으로 돌아와 보니, 부모는 아직 돌 아오지 않았다.

㉣ 임호은이 부모를 찾기 위해 집을 나선다. 천지로 집을 삼고 사방 으로 돌아다니며 수소문한다.

㉤ 임호은이 자기도 모르는 사이, 선경에 진입한다. 도사가 ‘송국 대원수 임호은’이 오시에 올 줄 알았다고 한다. 학문과 무술을 익힌다. 동학들의 능력보다 월등하다.

㉥ 노승이 임호은을 불러 通運하겠다고 하며, 인간세상에 내려보낸 다. 북편길로 내려가면 구해줄 사람이 있으리라고 한다. 장소저 혼자 있는 흉가로 들어간다.

㉦ 임호은이 신통력을 발휘해서 귀신을 물리친다. 귀신들은 임호은 을 ‘송국 대원수’라고 한다. 임호은은 장소저와 가연을 맺는다.

㉧ 북편길로 하루 종일 가니, ‘서천 서역 황룡사’가 나온다. 그 절에 서 노승과 함께 기거한다.

㉨ 황성에서 불공 드리러 온 이소저와 상면한다. 이소저가 돌아가자 임호은의 얼굴에 수심이 가득하다. 노승의 배려로 여장을 한 다 음 황성 이소저집에 가서 종노릇을 한다.

㉩ 임호은은 이소저와 가연을 맺고 다시 황룡사로 돌아온다. 노승이 남쪽으로 수십 리를 가면 도와줄 사람이 있으리라고 하며 절을 나서게 한다.

㉪ 황성 어딘가에서 기생 미애를 만난다. 협대를 물리치고 미애집을 찾아가서 미애와 가연을 맺는다.

㉫ 과거를 보아 장원급제한다. 사승상의 횡포를 극복하고 이소저와 결혼한다. 천자의 권유로 공주를 제2처로 맞이한다.

㉬ 북방이 요란해지자, 임호은이 안찰사가 되어 하동으로 내려간다.

장소저집에서 몸을 의탁하고 있었던 부모와 상면한다.

(6)

㉭ 임호은이 임무를 훌륭하게 마치고, 장소저 및 부모 양위와 더불 어 황성으로 복귀한다.

<권2>

㉠ 사승상과 황후의 모함에 의해 임호은이 강릉절도에 유배당하게 된다. 창검쓰기와 병서를 외우면서 세월을 보낸다.

㉡ 임호은의 꿈에 유수선생이 나타나서 국운이 위태하다고 일러주 고는 동자를 보내어 층암절벽 수간초옥으로 오게 한다. 유수선생 이 임호은에게 갑주와 보검을 주며 내일 오시에 동해용왕이 도 와줄 것이라고 한다.

㉢ 동자가 강릉 절도에 임호은을 내려놓고, 충성을 다해 천자를 구 하라고 당부한다.

㉣ 임호은이 황성으로 수십 리를 가던 중, 한 노인으로부터 용총마 를 얻는다. 비로소 그 노인이 용왕인 줄 알고 사례한다.

㉤ 임호은이 용총마를 타고 순식간에 강주땅에 도달한다. 공중에서 천자가 위급하니 빨리 구하라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 임호은이 축수하고 백제성에 당도한다. 천자는 호국진영의 홍문 연에 참석하느라고 백제성에 없었다.

㉦ 임호은이 호국진영의 홍문연에 침투하여 위기에 처한 천자를 구 하고, 백제성으로 돌아온다.

㉧ 백제성 진전에서 임호은과 호왕이 일대접전을 벌인다. 임호은이 위계 및 매복 전술을 구사해서 대강수 한복판에서 호왕을 사로 잡는다. 압송하여 백제성으로 돌아온다.

㉨ 임호은이 호왕을 檻車에 싣고 천자와 함께 장안으로 향하다가 석두성에 도달한다. 호국진영의 호사호가 기세를 올리자 임호은 이 호왕을 겁박해서 호사호로 하여금 항복하게 한다.

㉩ 논공행상에서 임호은이 초왕에 봉해진다. 임호은은 부인을 대동 하고 나아가 실제로 초국을 통치한다.

권1과 권2는 단락의 개수에서 차이가 있다. 권1의 단락은 14개이고 권2의 단락은 10개이다. 권2의 단락보다 권1의 단락이 4개나 앞선다.

권1은 44장 분량이고 권2는 54장 분량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권1의 단 락이 권2의 단락에 비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공간 구성에 초점을 맞 춘 결과가 단락의 차이로 나타난 바이므로, 결국 권1의 공간의 개수와 유의미한 공간이 권2의 경우에 비해 훨씬 많다는 의미가 된다. 공간만을 정리하면, 권1의 경우에는 ‘남양 설학동 → 도적에게 끌려간 곳 → 남양

(7)

설학동 → 선경 → 장소저집 → 서천 서역 황룡사 → 이소저집 → 서천 서역 황룡사 → 기생 미애집 → 황성 과장 → 북방 하동 → 황성’의 과 정이 나타나고, 권2의 경우에는 ‘강릉 절도 → 층암절벽 → 강릉 절도 → 황성길 어느 곳 → 백제성 → 호국진영 홍문연 → 백제성 → 장안 → 초 국’의 과정이 나타난다.7)

권1에서는 ‘난리로 인한 가족 이산과 장원급제를 통한 가족 재회’ 양 상을 다루고 있다. 공간적으로 볼 때, ‘난리로 인한 가족 이산’ 양상과

‘장원급제를 통한 가족 재회’ 양상의 간극이 현격하다. 가족 이산의 양상 은 남양 설학동이라고 하는 험하고 외진 僻村에서 나타나고 가족 재회 의 양상은 황성이라고 하는 번화하고 사람 많은 都心地에서 나타난다.

결국 주인공 임호은이 벽촌에서 도심지로 이동한다는 의미가 된다. 어떻 게 해서 이런 극적 이동이 가능한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공간 구성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여러 공간은 서로간에 동이점을 지니고 있고, 그런 동이점이 조합하여 일정한 질서를 만들어낸다. 여러 공간이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이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대별되고 이 두 가지 유형은 서로간 에 인과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을 정리 해 보면 다음과 같다.

□ 공간의 성격

남양 설학동 → 도적에게 끌려간 곳 → 남양 설학동 현실 공간 1

선경 이상 공간 1 장소저집 현실 공간 2 서천 서역 황룡사 이상 공간 2 이소저집 현실 공간 3 서천 서역 황룡사 이상 공간 3 기생 미애집 → 황성 과장 → 북방 하동 → 황성 현실 공간 4

7) ‘황성길 어느 곳’은 임호은이 백제성에 가기 전에 잠깐 스친 공간이므로, 그야말로 별 의미 없는 공간이다. 황성길 어느 곳을 제외하면 권2에서는 8개의 공간이 나타 난다고 할 수 있다.

(8)

□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의 관계 현실 공간 : 난제 발생 이상 공간 : 해법 제시

여러 공간을 거시적으로 들여다보면, 공간의 성격은 두 가지다. 인물 이 발을 딛고 사는 현실 공간과 현실과 동떨어진 초경험적 영역의 이상 공간이 그것이다.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은 교차적으로 배치된다. 즉, 현 실 공간 다음에 이상 공간이 나타나고, 이상 공간 다음에 현실 공간이 나타난다. 공간의 수효로 보면 현실 공간이 압도적으로 많다. 현실 공간 이 압도적인 상황에서 이상 공간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적으로 나타나는 까닭은 이상 공간의 기능이 긴요하기 때문이다. 임호은이 부모를 찾느라 고 이리저리 헤매다가 별천지에 들어가고 그 곳에서 도사를 만나 가야 할 곳을 인도받는다는 점에서, 현실 공간에서는 난제가 발생하고 이상 공간에서는 그 해법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이 왜 교차적으로 배치되는지가 관건인데, 이 문제는 권1에 내장된 장치를 찾아내어야 해결된다.

□ 작품에 산재한 근거 자료

A. 마음에 반가오나 모친 간 곳를 읏지 알니요 할 슈 읍셔 집을  져 도라오니 도젹 발셔 집을 소화고 빈터만 나맛더라(16쪽) B. 호은이 앙쳔통곡다가 할 슈 읍셔 쳔지로 집을 삼고 방으로

다니더니(16쪽)

C. 일일른  곳에 다다르니 …… 이 호은이 입산지 슈삼 년이라 부 모의 죤망을 아지 못여 쥬야 슈심으로 셰월을 보더라(16…19쪽) D. 북편길노 죵일토록 가되 인가 업거늘 이 고히 녀겨 졈졈 나오더 니 문득  집이 잇시되 …… 나는 남냥 셜학동에 옵더니 오 셰 에 난을 만나 부모 이별고 쥬류텬하여 방으로 단이옵더니 텬

으로 유슈션을 만나 십여 년 공부고 부모의 을 모로와 불분텬지고 쳥츈이 느져 가오 근심으로 지옵더니(21~30쪽) E. 이 답왈 간밤은 갈 곳지 업셔 이 에 유여건이와 도로혀 쥬

쟝무인온 집에 듀류미 참괴로쇼이다 ……  공명를 셰우고 부모를 찻오면 다시 차지련이와(30~31쪽)

F. 졈졈  드러가니 과연 졀이 잇거늘 …… 우흐로 부모의 

을 모르옵고 쳥츈이 느져가오니 글노 염녀로쇼이다(32~36쪽) G. 안찰 하인을 령숄하여 오더니 …… 니 몸이 명도 긔박와 오 셰

(9)

의 부모를 니별고 혈혈단신이 샤를 집을 아 단이옵다가 쳔

으로 유슈션을 만 공부허여이 몸이 영귀오 우으로 부모 의 을 몰우옵고  그에 을 몰나 쥬야 원이러니(79쪽)

□ 근거 자료를 통해 밝혀낸 장치

1차 장치 : 부모를 찾으려는 마음, 즉 효의 내면화 단계(A)

2차 장치 :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부모를 찾는 행위, 즉 효의 행동화 단계(B~G)

권1에 내장된 장치란 곧 공간 이동의 동인이므로, 임호은이 왜 공간을 편력하는지를 밝혀내면 된다. 임호은은 부모를 찾기 위해 돌아다니다 도 사로부터 가정을 꾸려야 부모를 만난다는 말을 듣는다.8) 生得인 효에 이상 공간의 도사가 개입하면서 효윤리에 신성성이 덧입혀진다. A~G에 그런 내용이 담겼으므로, 구체적으로 확인하기로 한다. A는 효의 내면화 단계이다. 효가 내면에만 있고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까지 신성성이 가미되지는 않았다. 한편, B~G에서는 효의 행동화 단계이다. 임호은이 여러 공간을 떠돌면서 선경에 들어가서 도사를 만난 다. 이때부터 효윤리를 신성하다고 여기게 되고 바깥으로 당당하게 표출 해 나간다. 효윤리가 임호은을 움직이는 동인이다. 효윤리가 임호은을 별천지로 추동하고 별천지는 임호은에게 갈 곳을 알려주면서 효의 행동 화 단계가 나타났다.

효의 행동화 단계에서 주요 모티프는 ‘여성 만나기’이다. 여성을 여섯 명이나 만난다고 하는 여타 이본9)과는 달리, 택민본에서는 네 명뿐이 다. 여섯 명과 만난다면 세월이 많이 흐르게 마련이고, 부모와 만나는 기간도 지연된다. 여섯 명의 여성은 효윤리를 신성시하거나 원만하게 구

8) “져리로 가면 자연 구헐 사람이 잇실 거시니 셥셥여 말고 죠를 다여 국가에 쥬셕지신이 되고 부모를 맛나 영효로지니라(권1, 20~21쪽)” 참조. ‘구헐 사람’은

‘임호은과 가정을 꾸릴 사람’으로서 천정배필을 가리킨다. 천정배필은 장소저, 이소 저, 미애, 공주이므로, ‘구헐 사람’인 네 명의 여성과 가정을 꾸려야 부모를 만난다 는 의미가 된다.

9) 처첩의 분별은 각기 다르다. 활자본 세창서관판과 회동서관판에서는 4처 2첩이라고 하고, 국립중앙도서관본과 한국학중앙연구원본 55장본에서는 3처 3첩이라고 한다.

민선애, 앞의 글, 9쪽 참조.

(10)

현하는 데 지장을 초래한다고 보아 만나는 여성을 네 명으로 설정하지 않았나 여겨진다. 그 결과, 임호은은 황성이라는 먼 곳까지 나아갔다.

‘멀리 나아가도록 하기’를 인물의 측면에서 보면 ‘밀려나기’가 된다. 인물 을 특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밀어내는 여러 공간을 원심적 공간 체계 라고 할 때, 권1에서는 분명히 원심적 공간 체계가 나타난다. 원심적 공 간 체계에서는 주인공이 엄청난 고난을 겪곤 하지만,10) 󰡔임호은전󰡕에서 는 그렇지 않다. 이상 공간이 효윤리에 신성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고난 의 길을 오히려 즐겁게 만들어준다.

한편, 권2에서는 ‘호적 격퇴와 천자 구출’ 양상을 다룬다. 공간적으로 볼 때, ‘호적 격퇴’ 양상과 ‘천자 구출’ 양상은 상호 일치되어야 제격이 다. 즉, 임호은이 황성에서 호국왕을 항복시키고 험지에 있는 천자를 모 셔옴으로써 황성과 천자가 겹쳐지도록 해야 한다. 실제 상황은 그렇지 않다. 태자가 황성을 지키고, 천자는 최후 방어선인 백제성에 고립되어 있다. 마땅히 겹쳐져야 할 황성과 천자가 동떨어졌기 때문에, 그 의미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황성’은 국가를 상징하고 ‘천자’는 통치자를 상징한다고 볼 때, 어느 쪽을 중시하느냐에 따라 우선순위가 현격하게 달라진다. 국가를 통치자보다 더 중시한다면 황성이 우선순위가 될 터이 고, 통치자를 국가보다 더 중시한다면 천자가 우선순위가 될 터이다, 임 호은이 配所를 이탈해서 다급하게 천자에게 달려갔으니, 국가보다 통치 자를 더 중시했다고 할 수 있다.

임호은이 있는 강릉 절도와 천자가 있는 백제성은 너무나 거리가 멀 다. 원문에 의하면, 거리가 “만리 밧(권2, 19쪽)”이라고 한다. 거리는 멀 고, 事勢는 아주 다급하다. 호국왕이 송국 강산을 송두리째 빼앗기 위해 鴻門宴11)을 베풀고 천자를 살해하려고 한다. 정황이 이러하니, 임호은

10) 원심적 공간 체계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최척전󰡕, 󰡔김영철전󰡕, 󰡔이태경전󰡕, 󰡔남윤 전󰡕, 󰡔임경업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작품의 주인공은 본의 아니게 여러 차례 공 간 이동을 하면서 엄청난 고난을 겪는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신태수의 두 글에서 나타난다.

11) 권2의 14쪽, 16쪽, 17쪽에 나오는 용어이다. ‘항우가 유방을 해칠 목적으로 베 푼 연회’에서 유래되었고, 그 이후부터 ‘초청객을 모해할 목적으로 차린 주연’

(11)

이 만리 밖에 있다고 해서 백제성으로 늦게 올라올 수가 없다.12) 어떻 게 올라오느냐가 관건이다. 동해용왕으로부터 얻은 용총마가 그 비결이 다. “호은이 를 드러 치니 운으 혀치고 나오난 다시 만리 강산이 눈 압헤 버려(권2, 25쪽)”진다고 하니, 용총마는 그야말로 엄청나게 재빠른 교통수단이다. 용총마이기 때문에 재빠르다기보다 재빨라야 할 교통수단 이 용총마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고 이해해도 좋을 것 같다. 어떻게 해서 재빠르게 ‘순간 이동’이 가능한지가 의문인데, 이 의문은 권2에 내장된 장치를 찾아내어야 풀릴 수 있다.

□ 작품에 산재한 근거 자료

A. 복원 션임은 두지를 자셔이 이르옵쇼셔 도 왈 차역 텬 쉬니 텬긔를 엇지 누셜리요 연이나 호국이 반여 즁원이 요 란할 분더러 텬 지금 젹진에 여 국가 죤망이 시각에 잇시니 츙셩을 다여 일홈을 긔린각에 빗게 라 고 간  업거늘 감작 놀나 니 침상일몽이라 즉시 텬문을 살펴보니 익셩이 를 나 미셩을 침노는지라(18~19쪽)

B. 창두 진통을 불너 왈 시방 텬 난세을 당 텬 친젼사

시도다 죵묘와 직을 뉘가 보전리요 즁국에 호왕 당할 장슈 업고 사이원 갓튼 간신이 엇지 나라를 도으리요 이졔 나아가 즁국 강산을 건지고저 나  몸의 날 업고  만리 밧 잇고 젹슈 단신이라 엇지 리요 하날을 울러어 탄식거날(19쪽) C. 호은 왈 긔야에 텬문을 보니 텬의 쥬성이 를 나시고 션

이 현몽와 이르시기로 아노라 시방 셜은 가득고 어름은 반빙이요 장강에 어션이 업셔시니 이를 장차 엇지 리요 분긔

발야 강변에 나와 하날을 우러러 츅슈더니 우연이 강상으 로죠차 일엽쇼션이 나는 다시 오며 옥져 소 나거늘(19~20쪽) D. 호은이 별 왈 갑쥬와 보검은 션임  갓온 은덕으로 어

덧거니와 말이 업오니 엇지 급피 가오리가(23쪽)

□ 근거 자료를 통해 밝혀낸 장치

1차 장치 : 천자를 사지에서 구하라고 하는 도사의 권고, 충윤리 주입(A) 2차 장치 : 천자를 기필코 구하고자 하는 집념, 충윤리의 수용과 실천

(B~D)

을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12) 호국왕이 鴻門宴을 개최해서 천자를 죽이고 송국 천하를 차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아군 진영에 당도하기 위해서는 초를 다투어야 한다.

(12)

권2에 내장된 장치란 순간 이동의 동인을 가리키므로, 왜 임호은이 천 자에게로 재빨리 와야 하는지를 밝혀내면 된다. 임호은은 천자의 위기 소식을 전해 듣고 자기 자신의 안위는 몽땅 잊어버린다. A~D에 그런 내용이 담겼다. A에서는 충윤리의 주입 과정이 나타난다. 유수도사가 임 호은에게 천자의 정황을 전하며 충윤리를 자극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충윤리는 생득적이지 않으며 주입해야 할 요목임을 시사한다.

B~D에서는 충윤리의 수용과 실천 과정이 나타난다. 임호은이 천자 있 는 공간으로 오기 위해 간절하게 하늘에 축수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A와 B~D는 서로 다르기는 하되 연관성이 아주 깊다. A를 통해 B~D가 구현된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결국, 유수도사의 조언으로 임호 은이 오로지 천자만을 생각하게 되었으니, 몰아적 충윤리가 순간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순간 이동’은 공간의 법칙을 무력화시킨다. 임호은이 배소에 이르기까 지 십여 년의 세월이 소요되었는데, 용총마는 이 세월을 ‘순식간’으로 전 환시켰다. 창작방법의 측면에서 보면, ‘공간 생략 기법’이다. ‘공간 생략 기법’이란 유의미한 공간에만 집중하고 무의미한 공간에 대해서는 성 글게 하거나 생략해버리는 서술방법이다. 󰡔임호은전󰡕에서는 천자가 백 제성에 있고 임호은이 그 백제성으로 찾아가기 때문에 백제성만이 유 의미한 공간이다. 이런 정황을 인물의 측면에서는 임호은이 찾아간다 고 하겠지만, 공간의 측면에서는 백제성이 임호은을 불러들인다고 할 수 있다. 중심부에서 충윤리를 갖춘 자를 불러들이는 여러 공간을 구 심적 공간 체계라고 할 때, 권2에서는 분명히 구심적 공간 체계가 나 타난다. 구심적 공간 체계에 있는 임호은은 凡人과는 다르다. 개인적 고민과 고통은 조금도 없기 때문이다.13)

원심적 공간 체계 : 신성한 효윤리가 공간 이동에 필연성을 부여한다.

효윤리는 생득적이며 키워나가야 할 요목이다.

13) 충윤리는 국가를 근간으로 하므로, 집단적 차원의 윤리다. 집단적 차원의 윤리가 개 인을 지배할 때 개인의 이성이나 정체성을 마비시키곤 한다. 임호은이 그런 경우이다.

(13)

효윤리가 고난의 길을 즐겁게 만들어준다.

구심적 공간 체계 : 몰아적 충윤리가 순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충윤리는 후천적이며 주입해야 할 요목이다.

충윤리를 가진 자는 고민과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권1에서는 원심적 공간 체계가 나타나고 권2에서는 구심적 공간 체계가 나타난다. 이처럼 공간 체계가 다른 까닭은 공간 이동의 동인 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 동인이 원심적 공간 체계에서는 효윤리고, 구심적 공간 체계에서는 충윤리다. 효윤리와 충윤리는 단순하지 않 다. 효윤리는 신성하고 충윤리는 몰아적이다. 신성한 효윤리와 몰아 적 충윤리는 개인의 정체성을 마비시킨다. 임호은이 권1에서 극심한 고난 속에서도 즐거워하고 권2에서 수많은 적군 속에서도 자기 안위 를 망각하는 현상은 그 좋은 예이다. 효윤리가 원심적 공간 체계와 결부되고 충윤리가 구심적 공간 체계와 결부되는 까닭은 효와 충의 속성 때문이라기보다는 화자 더 나아가 작자의 의식 때문이다. 효윤 리는 펼쳐야 하고 충윤리는 모아야 한다는 인식이 공간 체계를 원심 적으로 만들기도 하고 구심적으로 만들기도 했다고 여겨진다.

Ⅲ. 공간 서술 기법과 공간 구성

공간은 인물과 마찬가지로 작품의 한 요소이다. 작품 요소로서의 공간 과 인물은 대체로 작자의 의도에 따라 운용되고,14) 작자와 무관하게 운 용되지는 않는다. 만약 어느 한 요소가 우위에 서도록 정해진다면, 작품 전체는 그런 방향으로 질서를 구축한다. 󰡔임호은전󰡕은 인물에 대한 공간

14) ‘대체로’라고 한 까닭은 공간과 인물이 작자의 의도대로 운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 기 때문이다. 공간과 인물의 관계론에 초점을 맞추어보면, 작자가 ‘원심적 공간에 대 한 인물의 강력한 저항’에 입각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려 했지만, 결과 적으로 타인의 배려나 의외의 행운으로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정황이 이러 할 때, 공간과 인물이 작자의 의도대로 운용되지 않는다는 언급이 가능하다. 󰡔최척 전󰡕과 󰡔이태경전󰡕과 󰡔임호은전󰡕이 이렇게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14)

우위의 작품이어서, 공간 중심의 질서가 필시 나타날 터이다. 원심적 공 간 체계와 구심적 공간 체계가 그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은 공간 체계는

󰡔임호은전󰡕의 공간론에 대한 단초일 뿐이다. 공간 체계를 공간론의 핵심 사항이라 할 만한 ‘전체 공간의 배열 방식, 역사적 공간의 차용 방식, 작 품 내적 현실에 대한 공간의 호응 양상’과 연관지울 때, 작품의 질서를 심층적으로 밝힐 수가 있다. 공간론의 핵심 사항에 접근해서 논점을 심 화시키기로 한다.

1. 공간 서술 기법

권1과 권2의 공간 제시 방법이 서로 다르다. 권1에서는 임호은의 발 길이 닿는 공간만 나타난다. 특정 공간에 임호은이 진입하면 화자가 그 공간의 명소를 소개할 만도 하나, 그렇게 하지 않는다. 발길과 무관한 곳을 소개하면 원심적 공간 체계를 교란시킨다는 인식이 있는 듯하다.

한편, 권2에서는 공간이 인물의 발길보다 앞서서 나타난다. 임호은이 백 제성으로 가야 할 줄을 미리 안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백제성이라는 공 간이 임호은을 서둘러 불러들여야 구심적 공간 체계에 부합할 터이니, 백제성과 임호은이 멀다고 할수록 긴박감이 생긴다. 원심적 공간 체계냐 구심적 공간 체계냐에 따라 공간 제시 방법이 다른 까닭은 화자의 공간 서술 기법15)이 다른 데서 기인한다. 공간 서술 기법이 어떻게 변별되는 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권1의 공간 서술 기법은 인물 추적 방식이다. 인물 추적 방식은 인물 의 발길을 통해 공간을 소개하는 공간 서술 기법으로서, 화자가 인물을 공간 소개의 도구로 간주한다. 화자가 앞으로 전개될 공간을 설정해 놓 았으면서도 짐짓 인물의 발길을 통해 소개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전개될 공간은 설학동과 황성의 구간 사이에 들어 있다. 즉, 화자는 부모를 찾

15) 고소설의 공간 서술 기법은 크게 보아 세 가지다. 인물 추적 방식과 공간 술회 방 식과 양자의 절충적 방식이 그것이다. 신태수, 「󰡔최척전󰡕에 나타난 공간의 형상」, 󰡔 韓民族語文學󰡕51, 韓民族語文學會, 2007, 408쪽 찹조.

(15)

고 여성과 결연하는 공간을 이 구간에서 마련해 놓고도, 아닌 척하며 임 호은의 발길만 따라다닌다. 그 까닭은 두 가지다. 임호은의 발길 닿는 곳만 밝히고 해당 공간의 개황을 밝히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임호은이 정처 없이 다닌다고 하여 공간과 공간의 경계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아 도 된다는 점16)이 그것이다. 화자가 여러 공간의 부분만을 얽어내거나 공간과 공간의 경계를 허물어서 서술하기 때문에 인물 추적 방식은 ‘짜 깁기 전략’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짜깁기 전략’의 측면에서 볼 때, 이상 공간이 흥미롭다. 이상 공간은 원심적 공간 체계에 구멍을 낸다. 현실논리가 지배하는 원심적 공간 체 계에 비현실적 모티프를 주입하기 때문이다. 부모탐문 모티프를 신성하 다고 하고 남녀결연 모티프를 하늘이 정했다고 하는 내용이 비현실적 모티프이다. 비현실적 모티프는 현실 문제에 우주적 논리가 결합된 바이 므로, 상호 무관한 두 항목을 이상 공간에서 ‘짜깁기’했다고 할 만하다.

이상 공간의 설정에는 득실은 있다. 고난이 그 자체로 의의를 지니지 못 하기 때문에 ‘실’이고, 가족 공동체를 우주 섭리로 격상시키기 때문에

‘득’이다. 가족 공동체를 최고 가치로 내세우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를 고려할 때, ‘득’이 ‘실’보다 훨씬 더 많다. 고아와 마찬가지인 임호은 이 ‘짜깁기 전략’에 의해 가족 공동체의 주역이 되었으니, ‘짜깁기 전 략’은 마치 도깨비방망이와도 같다.

권2의 공간 서술 기법은 공간 술회 방식이다. 공간 술회 방식은 지리 적 정보의 차원에서 공간의 내력이나 위상을 설명하는 공간 서술 기법 으로서, 화자가 인물을 ‘백제성 부각시키기’의 수단으로 간주한다. 백제 성에는 천자가 웅거해 있다. 천자가 백제성에서 天下半分論을 피력했으 니, 공간 중심적 시각에서 볼 때는 백제성이 천하반분의 권능을 보유했

16) 가령, 화자는 임호은이 선경에 진입한다고 하면서 층암절벽 사이의 수간초당에 머 무른다는 정도로만 언급하고, 서천 서역 황룡사에서 나와 장소저집에 진입한다고 하면서 종일토록 걸어 장소저집에 당도했다는 정도로만 언급한다. 임호은의 발길이 수간초당에 머물렀다고 하여 수간초당만을 드러내고, 임호은이 떠돌이로서 공간과 공간의 경계에 유의하지 않는다고 하여 地境을 흐릿하게 드러낸다.

(16)

다고 할 만하다. 임호은은 백제성의 권능을 수긍한다. 백제성이 무너지 면 천자가 잡히고 송나라는 멸망하기 때문이다. 천자를 통해 얻을 수 있 는 부귀영화가 백제성에서 비롯된다고 볼 때, 임호은은 한시라도 빨리 백제성으로 올라와야 한다. 백제성 이외의 여타 공간은 쓸모가 없으므 로, 백제성으로 오기까지 거쳐야 하는 여타 공간은 건너뛰지 않으면 안 된다. 백제성만을 유의미하다고 보고 건너뛰기 때문에 공간 술회 방식은

‘건너뛰기 전략’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건너뛰기 전략’의 측면에서 볼 때, 백제성 이외의 공간이 흥미롭다.

백제성 이외의 공간에는 천지가 부재하기 때문에 쓸모가 없다. 천자가 있는 곳이 황성이 아니어서 의아하다. 구심적 공간 체계에 의하면 천자 는 황성에 있어야 하나, 󰡔임호은전󰡕의 천자는 백제성에 있다.17) 백제성 은 중심 공간으로서 충윤리를 생성한다. 천자가 있는 공간이 충윤리를 유발한다고 볼 때, 중심 공간이 충윤리를 유발하지 않고 충윤리가 중심 공간을 생성한다는 의미가 된다. 백제성 이외의 공간 설정에는 득실이 있다. 수많은 공간을 쓸모 다고 하기 때문에 ‘실’이고, 중심 공간을 돋 보이게 하기 때문에 ‘득’이다. 충윤리를 최고 가치로 내세우고자 하는 화자의 의도를 고려할 때, ‘득’이 ‘실’보다 훨씬 많다. 절도에 있던 임 호은이 ‘건너뛰기 전략’에 의해 순식간에 백제성에 이르렀으니, ‘건너 뛰기 전략’은 마치 타임머신과도 같다.

권1의 공간 권2의 공간

공간 서술 기법 인물 추적 방식 공간 술회 방식

기법 추진 전략 짜깁기 전략 건너뛰기 전략

17) 황성에는 태자가 있고, 백제성에는 천자가 있다. 화자는 최후 방어선이 백제성이 어서 천자가 백제성에 가 있다고 하지만, ‘천자=국가’라는 시각에서 보면 석연치가 않다. 천자는 황성에 있어야 하고 태자는 백제성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정 황을 근거로 할 때 화자가 ‘천자≠국가’의 의중을 은근하게 숨기고 있지는 않을까 의심해볼 수 있다.

(17)

권1과 권2의 공간 서술 기법은 판이하다. 권1의 경우는 인물 추적 방 식이고 권2의 경우는 공간 술회 방식이다. 기법을 추진하는 동력을 들여 다보면, 각기 ‘짜깁기 전략’와 ‘건너뛰기 전략’이다. ‘짜깁기 전략’이 나 타나는 까닭은 화자가 여러 공간의 부분만을 얽어내거나 공간과 공간 의 경계를 허물어버리기 때문이고, ‘건너뛰기 전략’이 나타나는 까닭은 화자가 여러 공간 가운데서 오로지 백제성만을 유의미하다고 여기기 때 문이다. 공간 서술 기법을 전체적으로 놓고 볼 때, 화자는 두 가지의 창 작방법을 구사했으리라 여겨진다. 효윤리는 공간을 펼쳐나가는 인물 추 적 방식과 결합시키고 충윤리는 중심 공간을 부각시키는 공간 술회 방 식과 결합시켰다는 점이 그 한 가지요, 행복한 결말을 소망하는 독자층 의 기호에 맞추어 권1과 권2를 ‘고난의 길 VS 부귀영화의 길’이 되도 록 구상했다는 점이 그 다른 한 가지다.

2. 작품 내적 현실과 공간 구성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임호은은 ‘길 위의 영웅’이다. 영웅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 ‘돌아다니기’이다. 돌아다니는 자는 머물러 있는 자보다 많은 사실을 경험한다. 문제는 경험 내용이 단순하지 않다는 데 있다. 경험 내용을 들면, 맹춘의 반란, 귀신들의 민가 습격, 오동태수의 횡포,18) 호왕의 송국 침입이 된다. 사회의 저층에서부터 상층에 이르기 까지 문제가 심각한 바인데, 영웅이 나서더라도 해결하기가 쉬워 보이지 않는다. 사건과 사건을 연결시켜보면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나라 전체 가 엄청난 모순에 휩싸여 있었고, 그 모순이 이런 사건의 형태로 표출되 었다고 해야 옳을 것 같다. 화자는 임호은이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이 사건들을 경험하고, 하나하나 해결했다고 한다. 그럴 수 있을까를 반문

18) 임호은의 직접 경험은 아니다. 임호은이 강릉 절도에서 유배생활을 하고 있을 때 이 사건이 발생하므로, 직접 경험이 불가능하다. 임호은의 腹心인 맹진통이 이 사건 을 해결하고 후일 解配된 임호은에게 前後首末을 보고한다. 임호은으로 보아서는 간 접 경험에 해당된다. 간접 경험 또한 경험 영역에 속하므로, 포함시켜 다룬다.

(18)

하지 않을 수 없다.

화자는 영웅이 나서면 어떤 문제이든 간에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을 보인다. 가히 영웅만능주의라 지칭할 수 있다. 영웅은 힘만 지니지 않으 며 이념 또한 분명하게 지닌다고 보고, 임호은을 그렇게 형상화했다. 권 1에서는 효윤리에 충실하다고 하고 권2에서는 충윤리에 충실하다고 한 다. 화자의 시각대로라면, 임호은이 효윤리와 충윤리에 충실하기 때문에 사회구조적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가 된다. 화자의 논리는 설득 력이 없다. 효윤리는 가정을 근간으로 삼고 충윤리는 국가를 근간으로 삼는다는 점을 상기할 때,19) 효윤리로서 사회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란 버거울 것 같다. 다시 말해, 가정을 근간으로 삼는 효윤리로서는 ‘사회구 조적 성향을 보이는 작품 내적 현실’을 감당하기가 어렵다. 작품 내적 현실을 추출해서 점검하고, 작품 내적 현실이 공간 구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하기로 한다.

A. 맹춘의 반란

맹춘이 십만 명을 거느리고 변방 칠십여 성을 함락시켰다. 임승상은 잡 혀가고 양부인은 임호은과 피난길에 올랐다. 중로에서 양부인과 임호 은은 도적들에게 사로잡혔다. 도적들이 양부인을 상처한 장군에게 데 려간다. 양부인의 요청으로 임호은은 간신히 목숨을 건지고, 마침내 집으로 돌아온다. 집은 불타고 빈터만 남았다. 임호은 부모를 찾아 유 리걸식한다.

B. 귀신들의 민가 습격

자칭 소현왕이라고 하는 나쁜 귀장이 수많은 귀졸을 거느리고 장소저 집을 습격했다. 장승상과 그 가솔 백여 인을 살해하고 장소저까지 죽 이려 하며, 마침내 장소저집을 흉가로 만들어버렸다.

C. 오동태수의 횡포

오동고을에서 관노로 정속하는 미애는 천하절색이었다. 오동태수가 그 미모에 반해 갖은 수단을 다해 수청들기를 강요했고, 미애가 강요를 뿌리치자 어마 삼백 필을 먹이게 하고 무사들을 시켜 신체를 난타하 며 종래에는 큰 칼을 씌워 하옥해 버린다. 미애가 하늘을 우러러 통

19) 󰡔明心寶鑑󰡕正氣篇의 “出則忠 入則孝”이라는 언급에서 잘 나타나 있다. ‘出’의 공간은 국가이고 ‘入’의 공간은 가정이다. 忠과 孝의 관계에 대해서는 김해영, 「孝治思想의 淵 源과 韓國的 展開」, 󰡔효학연구󰡕19, 한국효학회, 2014, 9~11쪽에서 잘 다루어 놓았다.

(19)

곡하다가 마침내 자결하고 만다.

D. 호왕의 송국 침입

호국이 남만ㆍ서융과 합세하여 중원 칠십여 성을 함락시킨다. 천자는 백제성을 최후 방어선으로 정하고 결사항전을 천명하지만, 간신인 양 처사와 사승상은 호국과 화친해야 한다고 주청한다. 호왕은 화친에 만족하지 않는다. 송국 강산을 송두리째 빼앗기 위해 홍문연을 배설 하고 천자를 죽이고자 기회를 엿본다.

A~D을 보면, 문제가 여간 심각하지 않다. 逆徒가 전국토를 전란의 참화에 빠뜨리려 하거나 귀신들이 장소저집의 식구들을 잡아먹거나 고 을 수령이 유부녀에게 수청들기를 강요하거나 오랑캐가 송국 강산을 유 린하거나 한다. A는 국내 역도의 반란이고 D는 국외 이민족의 침략이 다. 그야말로 內憂外患이다. 이런 판국에 B에서는 귀신들이 민가를 기습 해서 가솔의 생명을 해치고20) C에서는 고을 수령이 유부녀의 정조를 유린하려고 계략을 꾸미다 마침내 죽게 만든다. 귀신이라 불리는 집 21)이 난 데 없이 나타나 인명을 수없이 살상하고, 백성을 보호해야 할 고을 수령까지 綱常을 거스르며 제 욕심만 채우려 드니, 그야말로 靑 天霹靂이다. 내우외환에다 청천벽력까지 겹쳤으니, 송국 천하가 雪上加 霜의 국면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 사회구조적 모순이 만연해서 국가의 기틀이 흔들린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작품 내적 현실이 엄청난 모순에 빠져 있지만, 화자는 임호은을 내세 워 모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영웅만능주의라는 언급이 여기서 나올 수 있다. 화자가 영웅만능주의를 표방하는 데는 이유가 있기는 하다. 임 호은이 탁월한 능력을 지녔다는 점이 그것이다. 예컨대, 육정육갑ㆍ둔갑 20) 󰡔임호은전󰡕에서 귀신이 장소저를 괴롭힌다고 했으므로, 장소저를 괴롭히는 주체는

귀신이 틀림없다. 문제는 귀신들이 자칭 ‘소현왕’이라 하는 데 있다. 귀신들이 말을 하고 ‘소현왕’을 거론한다는 점에서, 귀신의 정체를 새롭게 판단해 보아도 될 것 같 다. 즉, 진짜 귀신이라기보다는 귀신을 빙자한 집단으로 해석해볼 여지가 있다.

21) 화자가 B의 귀신 집단의 정체를 밝히지 않기 때문에 파고들 수는 없으나, 추론을 해볼 수는 있다. B의 귀신 집단은 A의 맹춘 집단과 여러 모로 닮아 있다. 활동 거 점이 국내이고, 집단을 형성하고 있고, 수장이 자기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인명을 해 친다는 점이 그것이다. 이를 근거로 하여 스토리텔링을 한다면 B의 귀신 집단을 A 에서 나타나는 맹춘의 잔당으로 규정해볼 수도 있다.

(20)

장신법ㆍ팔문금사진법ㆍ호풍환우지술을 임의로 발휘하고, 수화ㆍ창검도 막아내는 보신갑과 벽력도를 지녔고, 수만 리를 단번에 이동하는 용총마 까지 부린다. 이 정도의 능력을 발휘한다면 해결하지 못할 바가 없겠지 만, 사회구조적 모순까지 혼자서 해결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사회 구조적 모순은 여러 가지 병폐가 어우러져서 노정되므로, 한두 가지를 제거한다고 해서 치유되지 않는다. 한 명의 초특급 영웅보다는 여러 명 의 소영웅이 더 필요하다고 볼 때, 영웅만능주의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화자가 영웅만능주의만으로 그치지는 않는다. 화자는 영웅만능 주의에다 윤리적 색채를 덧입힌다. 임호은에 대해 권1에서는 효윤리를 지녔다고 하고, 권2에서는 충윤리를 지녔다고 한다. 효윤리 다음에 충윤 리가 나오므로, 화자가 효윤리의 자리에 충윤리를 교체했을 것 같다. 설 학동과 황성의 구간에서 임호은이 떠돈다고 볼 때, 황성에 가까워질수록 효윤리는 臨界値에 도달한다. 가령, 사승상의 발호와 호왕의 침입은 효윤 리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효윤리가 임계치에 이르니 충윤리로 전환될 수 밖에 없을 터인데, 화자에 의하면 충윤리는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 가 된다. 충윤리로 무장한 임호은이 천자와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다고 하기 때문이다. 화자의 논법대로 하면 충윤리의 영웅에게는 한계가 없다.

영웅이기 때문에 충윤리를 지녔다기보다 충윤리이기 때문에 영웅과 결 부되었으리라는 느낌을 준다.

화자는 충윤리가 작동하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논법을 취하지만, 작품 밖의 시각으로 보면 그럴 수 없다. 그 이유는 두 가지다. 우선, 구 조적 모순이 심각해서, 충윤리라고 해서 감당해낼 수 있을 것 같지가 않 다는 점이다. 사회 구조적 모순은 여러 요소가 폐단을 드러내면서 발생 한 바이므로, 의식이나 인식이나 관념으로 치유하기가 어렵다. 그 다음 으로, 임호은이 대원수인 데도 불구하고 수평적 차원에서 마음을 나누는 동지나 동료 한 명 없다는 점이다. 협대라는 자가 힘겨루기에서 패배한 이후부터 임호은과 끝까지 함께 하기는 하지만, 동지 내지 동료라고 할 수는 없다. 협대와는 어디까지나 상하관계이기 때문이다. 작품 내적 논

(21)

리와 작품 외적 논리는 이토록 다르다. 작품 외적 논리에 입각한다면 다 음과 같은 평가가 나올 수 있다.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주는 공간 구 성, 다분히 낭만적이다.”

Ⅳ. 공간 구성이 지니는 미학적 특징

어느 한 공간 체계가 주로 나타나는 여타 소설22)과는 달리, 󰡔임호은 전󰡕에서는 원심적 공간 체계와 구심적 공간 체계가 대등하게 나타난다.

두 공간 체계가 나타나는 현상은 󰡔임호은전󰡕이 여타 작품과 변별되는 자질을 지녔음을 시사한다. 공간 구성, 즉 원심적 공간 체계와 구심적 공간 체계의 짜임새를 살펴야 그 변별적 자질을 밝힐 수 있다. 공간 구 성은 상당히 민감한 조건 위에서 형성된다. 윤리적 영웅이 등장하지 않 아도 공간 구성이 불가능하고 여러 공간이 연대하여 일정한 체계를 형 성하지 않아도 공간 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언급이 가능하다.

민감한 조건 위에 형성된 공간 구성은 그 자체로 미학적 특징을 갖춘 바이므로, 변별적 자질이란 곧 공간 구성이 지닌 미학적 특징을 가리킨 다. 이 점을 살피기로 한다.

1. 공간의 인물 대응과 그 미적 요소

󰡔임호은전󰡕에서 공간과 인물은 대립 관계이다. 한 공간이 다른 공간과 연대하여 일방적으로 인물을 내치기도 하고 불러들이기도 한다. 물론, 내치고자 하거나 불러들이고자 하거나 해도 인물이 순응하지는 않는다.

공간이 특단의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인물을 조정할 수 있었다. 특단의 조치란 ‘여러 공간을 원심적 공간과 구심적 공간으로 체계화하고 각 공

22) 원심적 공간 체계가 주로 나타나는 소설로는 󰡔조신전󰡕, 󰡔최척전󰡕, 󰡔김영철전󰡕, 󰡔남 윤전󰡕 등을 들 수 있고, 구심적 공간 체계가 주로 나타나는 소설로는 󰡔유충렬전󰡕,

󰡔조웅전󰡕, 󰡔황장군전󰡕 등을 들 수 있다.

(22)

간 체계에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을 설정하여 인물을 이끌어가는 방법’

이다. 문제는 공간 체계 내의 틈새에 있다.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의 틈 새가 바로 그것이다. 이런 틈새를 임호은이 파고들어 운신 폭을 최대한 넓히므로, 공간으로서는 의외의 사태이다. 틈새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 며, 임호은의 ‘운신 폭 넓히기’ 현상이 공간의 측면에서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공간 체계 내의 틈새는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 사이에서 발생하므로, 공간 체계를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원심적 공간 체계에서는 현실 공 간과 이상 공간이 많이 어긋나고, 구심적 공간 체계에서는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이 거의 어긋나지 않는다. 틈새는 전자와 후자 모두에서 나타 나지만,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이 많이 어긋나는 전자에서 더 크게 나타 난다. 틈새가 크면 클수록 인물의 운신 폭은 그만큼 넓어진다. 즉, 인물 이 ‘나의 시각으로 공간의 값어치 판단하기’라는 가치관에 입각해서 어느 공간이든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임호은은 이상 공간을 선택한다.

효윤리를 신성시하고 결연 대상을 천정배필이라고 여기는 까닭이 이런 데서 기인한다. 구심적 공간 체계에서도 틈새가 없지 않으므로, 임호은 이 운신 폭을 확보하기는 한다. 두 공간 체계에 나타나는 임호은의 운신 폭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 원심적 공간 체계에서 나타나는 틈새와 인물의 운신 폭 1. 임호은이 떠돌아다니다 선경에 진입하는 장면

틈새 : 서러움을 주는 현실 공간과 通運을 예고하는 이상 공간 사이 운신폭 : 현실 공간을 떠돌며 남녀 결연을 효윤리에 포함시켜 나간다.

2. 임호은이 장소저집을 나온 뒤 서천 서역 황룡사에 진입하는 장면 틈새 : 떠돌게 하는 현실 공간과 큰 희망을 주는 이상 공간 사이 운신폭 : 황룡사에서 심신을 추스르며 효윤리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3. 임호은이 이승상집을 나온 뒤 서천 서역 황룡사에 진입하는 장면 틈새 : 두려움을 주는 현실 공간과 큰 희망을 주는 이상 공간 사이 운신폭 : 효윤리를 확장시킨다고 자부하며, 구원자를 찾아 나선다.

□ 구심적 공간 체계에서 나타나는 틈새와 인물의 운신 폭 1. 강릉 절도에서 백제성으로 올라가려고 하는 장면

(23)

틈새 : 호국이 발호하는 현실 공간과 완전무장을 독려하는 이상 공간 사이 운신폭 : 갑주와 보검과 용총마를 얻어 백제성을 향해 내닫는다.

두 공간 체계 중에서 원심적 공간 체계의 틈새가 더 크다. 현실 공간 과 이상 공간의 괴리 현상이 구심적 공간 체계의 경우보다 더 심각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다. 공간 체계의 틈새가 크냐 작으냐에 따라 인 물의 운신 폭이 결정된다. 인물의 운신 폭은 원심적 공간 체계에서 크게 나타난다. 임호은이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 중에서 이상 공간을 선택한 다는 점과 임호은이 구원자를 만나 구원을 받기보다는 구원자 주변의 문제를 도리어 해결해준다는 점23)이 그것이다. 한편, 구심적 공간 체계 에서 인물의 운신 폭은 적게 나타난다.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 사이에 괴리가 없기 때문에 어느 쪽을 선택해도 틈새가 크지 않다. 원심적 공간 체계가 구심적 공간체계의 경우보다 공간 사이의 괴리 현상이 심각하고 틈새도 크다고 볼 때, 공간 체계의 틈새와 인물의 운신 폭은 상관성이 긴밀하다고 할 수 있다.

인물의 운신 폭은 공간 체계의 속성과는 무관하다. 공간이 인물을 지 배하는 공간 체계에 의거하면, 인물의 운신 폭이 없어야 제격이다. 인물 의 운신 폭이 생겨나는 까닭은 현실 공간과 이상 공간 사이에 틈새가 생겼기 때문이다. 틈새가 생기는 요인은 이상 공간에 있다. 이상 공간은 현실 공간에 흡수되거나 보조역할을 해야 할 터인데, 󰡔임호은전󰡕에서는 현실 공간보다 오히려 우위에 선다. 그 결과, 공간에 대응하는 인물의 정체성이나 가치관은 뚜렷이 드러났지만, 공간 체계로서는 큰 타격을 입 었다. 이런 타격을 만회하는 데 구심적 공간 체계가 효능이 있다. 이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한 가닥으로 합치시키면서 틈새를 거의 없애버렸고,

23) 이상 공간의 유수선생은 선경을 떠나는 임호은에게 북쪽으로 가면 구원자를 만나 리라고 한다. 임호은은 장소저집에 들러 귀신 집단을 물리친다. 한편, 서천 서역 황 룡사의 도사는 황룡사를 떠나는 임호은에게 남쪽으로 가면 구원자를 만나리라고 한 다. 임호은은 미애를 만나 유흥가에 기생하는 불량배를 물리친다. 유수선생이나 도 사는 임호은이 구원자의 도움을 받으리라고 했지만, 임호은은 도리어 구원자에게 도움을 준다. 이런 현상은 임호은이 이상 공간의 지침을 수용하되 운신 폭을 최대 한 넓혔기 때문에 나타났으리라 여겨진다.

참조

관련 문서

Research Act)은 생명의료와 행동 연구의 인간 피험자 보호를 위한 국가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of Biomedical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Five days later, on 15 January 1975, the Portuguese government signed an agreement with the MPLA, FNLA and UNITA providing for Angola to receive its independence on 11

Usefulness of co-treatment with immunomodulator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ed with scheduled infliximab maintenance therapy.. Oussalah A, Chevaux JB, Fay

Inclusion and Inclusiveness: Shared Vision of Youth for Local, National, and Global Village Inclusion at large stands for embracing populations with disabilities and

┃치료 거부 및 무리한 치료 요구에 대한 대처┃.. 하지만 회복 가능성이 없으며, 치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적다면 환자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이 나을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