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농식품 무역 동향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의 농식품 무역 동향 1"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2017

농정 이슈

중국의 농식품 무역 동향 1

가격 동향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소비자물가

19 21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대 세계 식량 수출입 대 한국 농산물 수출입

22

24

27

(2)

중국의 농식품 무역 동향

가입 이후 농식품 무역의 특징 1. WTO

적자 규모 확대

가입 이후 농식품 무역 규모가 빠른 속도로 증가 년 최고치 이후 감소 추세

WTO (2014 )

가입 이전

WTO : (79) 100억 달러 → (01) 300억 달러, 연평균 5.1% 증가 가입 이후

WTO : (02) 330억 달러 → (16) 1,950억 달러, 연평균 13.5% 증가

년 순수입국으로 전환된 이후 무역수지 적자 대폭 증가 년 최고치 이후 감소 추세

2003 (2013 )

수출액: (02) 183억 달러 → (16) 743억 달러, 연평균 10.5% 증가 수입액: (02) 147억 달러 → (16) 1,207억 달러, 연평균 16.2% 증가

무역수지: (02) 36억 달러 → (03) -7억 달러 → (13) -646억 달러 → (16) -464억 달러

그림 1 중국의 무역 추이 그림 2 중국의 농식품 무역 추이

주 농식품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임산물 일부 류 류 이외의 임산물 제외

: , , (HS01 ~HS24 )

자료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농정 이슈

(3)

표 1 중국의 농식품 무역액 변화 추이 (2001~2015 ) 년

단위 억 달러:

주 해관수출입세칙 의 에 속하는 품목 외에 단위 기준

1. (海关进出口税则) 01 ~24章 章 HS- 2801, 2905, 3301,

3501, 3502, 3503, 3504, 3505, 3809, 3823, 3913, 4101, 4102, 4103, 4301, 5001, 5002, 5003, 품목을 포함 농산물 축산물 5101, 5102, 5103, 5201, 5202, 5203, 5301, 5302, 5303, 5305, 7101 . , , 수산물 및 일부 임산물(HS 01 ~24류 류 이외의 임산물 제외 로 구성)

해관수출입세칙 의 에 속하는 품목

2. (海关进出口税则) 01 ~24章 章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农业部农产品贸易办公室农业部农业贸易促进中心. 2015中国农产品贸易发展报告

중국의 대외무역에서 농식품의 수출기여도는 하락 수입기여도는 증가 추세, 농식품 수출액 비중: ( 02) 6.1% → 16) 3.5% (

농식품 수입액 비중: ( 02) 5.7% → 16) 7.9%(

세계 농식품 무역 대국 특히 수입 대국으로 , 부상(UN comtrade 통계)

세계 농식품 무역총액: (01) 9,350억 달러 → (16) 2조 2,972억 달러, 2.5배 증가

중국 비중: (01) 253억 달러, 2.7% → (16) 1,729억 달러, 7.5%(미국 12.7%, 독일 7.7%에 이어 위3 ) 한국 비중

※ : (01) 112억 달러, 1.2% → (16) 345억 달러, 1.5%(20 ) 위

세계 농식품 수출총액: (01) 4,526억 달러 → (16) 1조 1,484억 달러, 2.5배 증가

연도 2001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5 2016 무역총액 5,103 6,209 11,544 17,611 25,604 29,723 38,674 43,063 38,520 35,678

수출액

2,667 3,256 5,936 9,693 14,289 15,784 20,501 23,432 22,804 21,349 수입액

2,436 2,953 5,608 7,918 11,315 13,939 18,173 19,631 16,016 15,229 무역수지

231 303 328 1,775 2,974 1,845 2,328 3,801 6,788 6,120

농식품1 무역액 300 330 569 700 1,089 1,342 1,908 2,094 2,003 1,950 수출액

162 183 237 319 414 501 640 733 717 743

수입액

138 147 333 381 675 841 1,268 1,360 1,285 1,207

무역수지

25 36 -96 -62 -261 -340 -628 -627 -568 -464

류 류

- HS 01 ~24 2 253 277 443 538 893 1,086 1,531 1,777 1,737 1,729 수출액

155 174 225 302 389 476 610 694 682 713

수입액

98 103 218 236 504 610 921 1,083 1,055 1,016

무역수지

57 71 7 66 -115 -134 -311 -389 -373 -303

(4)

중국 비중: ( 01) 155억 달러, 3.4%(10 ) → ( 16)위 713억 달러, 6.2%(미국 12.8%, 독일 7.1%에 이어 위3 ) 한국 비중

※ : (01) 28억 달러, 0.6%(32 ) 위 → (16) 76억 달러, 0.7%(32 )위 세계 농식품 수입총액: (01) 4,824억 달러 → (16) 1조 1,489억 달러, 2.4배 증가

중국 비중: (01) 98억 달러, 2.0%(12 ) 위 → (16) 1,021억 달러, 8.9%(미국 12.6%에 이어 위2 ) 한국 비중

※ : (01) 84억 달러, 1.2%(15 ) 위 → (16) 269억 달러, 2.3%(12 ) 위

그림 3 10 대 농식품 수출국 (2016 ) 년 그림 4 10 대 농식품 수입국 (2016 ) 년

자료

: UN Comtrade Database(https://comtrade.un.org/data)

수출시장 다변화

대륙별로 보면 최대 시장인 아시아의 비중이 감소하고 유럽 북미, , (北美), 아프리카 남미, (南美), 오세아니아의 비중이 증가

중국의 전통적인 농식품 수출시장인 아시아는 최대 수출시장의 지위 유지 단 전체 수출시장에서 . , 차지하는 비중이 2002년 72.5%에서 2015년 64.6%로 감소

반면 잠재시장인 유럽과 북미는 각각 12.8% 14.6%, 10.0% 11.9%→ → 로 증가 신흥시장인 남미 아프. , 리카 오세아니아는 각각 , 1.3% 3.1%, 2.5% 3.9%, 0.9% 1.9%→ → → 로 증가

(5)

그림 5 중국의 농식품 수출시장 변화 (2002 , 2015 ) 년 년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각 연도 12月

표 2 중국의 농식품 수출대상국별 점유율 추이 (2001~2015 ) 년

주 집중도지수

: (concentration ratio) CRk는 농식품 수출액 점유율 상위 개 국가의 점유율 합계K 

  

   (는 농식품 수출액의   국가 점유율)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각 연도 12月

연도 국가별 점유율(%) 집중도지수(CRk)

일본 홍콩 미국 한국 태국 베트남 CR2 CR3 CR5 CR10

2001 35.8 11.8 7.6 10.2 0.7 0.7 47.6 57.8 68.5 76.1

2005 29.2 9.7 10.4 10.5 1.1 1.1 39.7 50.1 63.2 72.6

2006 26.5 8.5 12.2 9.2 1.2 1.1 38.7 47.9 59.9 70.3

2007 22.8 8.3 12.0 9.8 1.4 1.3 34.8 44.6 56.6 68.2

2008 19.1 8.8 11.7 7.0 1.8 1.8 30.8 39.6 50.3 63.3

2009 19.6 8.8 13.1 8.1 2.2 2.4 32.7 41.5 53.8 66.4

2010 18.7 8.7 11.8 7.2 2.4 2.8 30.5 39.2 50.1 65.4

2011 18.3 9.4 11.1 6.9 2.9 3.5 29.4 38.8 49.3 65.7

2012 19.2 10.3 11.5 6.6 3.3 3.1 30.6 40.9 51.0 66.6

2013 16.7 11.4 10.9 6.5 3.8 3.5 28.2 39.0 49.5 66.0

2014 15.6 12.1 10.4 6.8 4.0 4.2 27.7 38.1 48.9 65.9

2015 14.5 12.6 10.5 6.2 5.4 4.9 27.1 37.6 49.2 66.3

(6)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줄곧 최대 시장의 지위 유지 단 일본시장이 차지하는. , 비중은 2001년 에서 년 로 대폭 감소

35.8% 2015 14.5%

제 위의 수출시장인 홍콩의 비중은 2 2010년 8.7%까지 감소한 후 점차 증가하여 2015년 12.6% 차지 제 위의 수출시장이었던 한국의 비중은 같은 기간 3 10.2% 6.2%→ 로 감소하여 제 위로 하락4 반면 미국시장의 비중은 같은 기간 7.6% 10.5%→ 로 증가하여 제 위의 수출시장으로 부상3

중국아세안 FTA(CAFTA)와 중국대만 ECFA 체결로 아세안과 대만 시장의 비중이 지속적으로증가 하는 추세

년 동안 아세안과 대만 시장의 비중은 각각 로 증가

2001~2015 11.0% 21.3%, 1.0% 3.1%→ →

아세안시장 중 태국의 비중이 같은 기간 0.7%에서 5.4%로 증가하여 제 위의 수출시장으로 부상5

수출대상국의 집중도가 점차 완화되면서 수출시장이 다변화되는 추세 년 동안 수출대상국 집중도지수

2001~2015 (CRk)는 CR2(47.6% 27.1), CR→ 3(57.8% 37.6%), → CR5(68.5% 49.2%), CR→ 10(76.1% 66.3%) → 모두 감소하여 집중도 약화

수입시장 상대적 안정

대륙별로 보면 남미가 북미를 제치고 최대 수입시장으로 부상하였고 유럽시장의 비중이 크게 증가, 북미는 줄곧 최대 수입시장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2015년에 남미가 27.0%로 최대 시장으로 부상

년 동안 북미시장은 로 감소 유럽시장은 로 증가

2004~2015 32.7%→ 25.9% , 9.2%→ 15.0%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줄곧 최대 시장의 지위 유지 단 미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 , 2004년 에서 년 로 감소

27.5% 2015 21.3%

제 위의 수입시장인 브라질의 비중이 2 10.2% 17.1%→ 로 증가하고 제 위의 시장이었던 아르헨티나의 , 3 비중은 9.7% 3.9%→ 로 감소

제 위와 제 위의 수입시장인 미국과 브라질은 중국의 최대 수입 품목인 대두의1 2 주요 수출국 최근 동남아지역으로부터 쌀 수입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태국이 제 위의 수입시장으로 부상5

수입대상국의 집중도가 다소 완화되는 추세

년 동안 수입액 상위 개국 미국 브라질 이 줄곧 의 점유율을 나타내는 가운데

2004~2015 2 ( , ) 34~43%

CR3(47.3% 45.3%), CR→ 5(61.2% 54.2%), CR→ 10(78.9% 71.6%) → 모두 감소하여 수입시장이 부분적으로 다변화되는 추세

(7)

그림 6 중국의 농식품 수입시장 변화 (2004 , 2015 ) 년 년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각 연도 12月

표 3 중국의 농식품 수입대상국별 점유율 추이 (2004~2015 ) 년

주 집중도지수

: (concentration ratio) CRk는 농식품 수입액 점유율 상위 개 국가의 점유율 합계K 

  

   (는 농식품 수입액의   국가 점유율)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각 연도 12月

연도 국가별 점유율(%) 집중도지수(CRk)

미국 브라질 호주 캐나다 아르헨티나 태국 CR2 CR3 CR5 CR10

2004 27.5 10.2 8.7 5.1 9.7 4.2 37.7 47.3 61.2 78.9

2005 23.5 10.5 8.4 4.0 10.4 3.4 34.0 44.4 57.5 74.6

2006 23.7 11.9 7.3 2.5 7.5 4.0 35.6 43.1 55.7 72.5

2007 22.3 11.8 6.4 3.1 12.6 3.3 34.9 46.7 60.4 76.7

2008 24.0 15.1 5.0 3.0 14.4 2.0 39.1 53.5 65.5 79.1

2009 26.8 16.2 4.8 5.1 6.7 3.4 43.0 49.7 60.5 78.0

2010 25.9 14.9 5.5 4.2 7.9 3.4 40.8 48.7 59.0 81.4

2011 24.8 16.6 6.9 3.3 5.8 3.1 41.4 48.2 59.4 77.3

2012 25.8 16.8 6.6 4.8 4.6 3.5 42.6 49.2 58.6 77.2

2013 22.5 19.1 7.3 4.9 4.2 3.6 41.6 48.9 58.6 75.4

2014 24.7 18.6 7.0 4.8 3.9 4.3 43.3 50.4 59.1 77.2

2015 21.3 17.1 6.9 4.5 4.4 4.3 38.4 45.3 54.2 71.6

(8)

중국내 농식품 수출입 지역 편중

대 수출지역은 산동성 복건성 광동성 절강성 요녕성이며 모두 수출이 용이한 연해지역에 위치

5 , , , , ,

농식품 수출 총액에서 개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5 2001~2015년 동안 줄곧 약 60% 내외를 차지하여 지역 집중도가 높은 수준

년 동안 산동성이 대의 점유율을 유지하며 부동의 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2001~2015 20% 1

복건성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여 제 위의 수출지역으로 부상2

표 4 중국내 농식품 수출액 상위 개 지역 10 (2001 , 2015 ) 년 년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2002 12 , 2015 12 )年 月 年 月

대 수입지역은 광동성 산동성 북경시 상해시

5 , , , , 강소성이며, 수출과 마찬가지로 수입지역이 편중 농식품 수입총액에서 개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5 2001~2015년 동안 65~72%로 지역 집중도가매우 높은 편 단 집중도지수가 점차 완화되면서 수입지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추세. ,

대 수입지역 중 제 위 지역이었던 북경시가 광동성과 산동성에 자리를 내주었고 상해시가 강소성을

5 1 ,

제치고 제 위 지역으로 부상4

순위 2001년 2015년

지역 수출액 비중 누적비율 지역 수출액 비중 누적비율

1 산동성 3,546 22.2 22.2 산동성 15,309 21.8 21.8

2 광동성 2,346 14.7 36.9 복건성 8,747 12.5 34.3

3 절강성 1,515 9.5 46.4 광동성 8,645 12.3 46.6

4 복건성 1,241 7.8 54.1 절강성 5,054 7.2 53.8

5 요녕성 1,234 7.7 61.9 요녕성 4,791 6.8 60.6

6 북경시 721 4.5 66.4 운남성 4,056 5.8 66.4

7 길림성 721 4.5 70.9 강소성 3,369 4.8 71.2

8 강소성 628 3.9 74.8 상해시 1,864 2.7 73.9

9 상해시 586 3.7 78.5 광서자치구 1,804 2.6 76.4

10 하북성 436 2.7 81.2 호북성 1,795 2.6 79.0

합 계 15,975 81.2 합 계 55,434 79.0

(9)

표 5 중국내 농식품 수입액 상위 개 지역 10 (2001 , 2015 ) 년 년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商务部. 中国进出口月度统计报告-农产品 (2002 12 , 2015 12 )年 月 年 月

수출 품목 편중

대 수출 품목군 단위 은 류 어패류 류 채소 류 육 어류 조제품 류 채소 과실 5 (HS-2 ) 03 ( ), 07 ( ), 16 ( ), 20 (

조제품), 08 (류 과실견과류)

류는 최대 수출 품목군의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수출액 점유율이 년

HS 03 2001~2003

평균 15.7%에서 2014~2016년 평균 18.7%로 증가

류와 류도 같은 기간 수출액 점유율이 각각 로 증가했으나

HS 07 HS 20 10.4% 12.7%, 9.7% 10.2%→ →

류는 로 소폭 감소

HS 16 12.6% 11.3%→

주목할 만한 것은 HS 08류의 수출 증가세가 뚜렷하여 같은 기간 수출액 점유율이 3.1% 6.9%→ 로 증가했으며 제 위의 수출 품목군으로 부상, 5

농식품 수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10 (류 곡물 와 ) 02 (류 육과 식용설육 의 수출액 비중 감소)

류는 수출액 점유율이 년 평균 위 에서 년 평균 위 로

HS 10 2001~2003 9.4%(5 ) 2014~2016 0.5%(22 ) 크게 감소 이는 세계 곡물위기 상황에서 . 2007년 말부터 실시한 곡물수출 제한조치가 주요 원인 소득 증가로 육류 소비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수출 증가는 미미하고 수입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

순위 2001년 2015년

지역 수출액 비중 누적비율 지역 수출액 비중 누적비율

1 북경시 5,953 21.3 21.3 광동성 17,823 15.4 15.4

2 광동성 4,573 16.3 37.6 산동성 16,056 13.9 29.2

3 산동성 4,408 15.8 53.4 북경시 15,369 13.3 42.5

4 강소성 2,797 10.0 63.4 상해시 14,688 12.7 55.2

5 상해시 2,276 8.1 71.5 강소성 11,470 9.9 65.0

6 요녕성 1,530 5.5 77.0 복건성 7,260 6.3 71.3

7 절강성 1,365 4.9 81.9 요녕성 5,492 4.7 76.1

8 복건성 1,046 3.7 85.6 절강성 5,325 4.6 80.6

9 천진시 924 3.3 88.9 천진시 4,899 4.2 84.9

10 하북성 622 2.2 91.1 광서자치구 4,192 3.6 88.5

합 계 27,973 91.1 합 계 102,572 88.5

(10)

표 6 중국의 농식품 품목군별 수출액 변화 추이 (2001~2016 ) 년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그림 7 중국의 주요 품목군별 수출액 비중 변화 추이 (2001~2016 ) 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단위 품목군

HS-2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6 비중

01 산동물 345 327 329 375 442 571 581 647 0.9

02 육과 식용설육 842 646 742 733 763 1,076 988 902 1.2

03 어패류 2,594 3,337 4,361 4,762 6,816 10,990 12,531 13,708 18.4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192 221 268 461 341 499 545 590 0.8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653 742 1,011 1,075 1,218 1,839 2,201 1,772 2.4

06 산수목꽃 35 49 77 132 188 229 277 333 0.4

07 채소 1,750 2,181 3,054 4,045 4,845 8,721 7,868 10,564 14.2

08 과실견과류 436 752 1,068 1,633 2,378 3,189 4,173 5,518 7.4

09 커피차향신료 543 624 927 1,092 1,402 2,024 2,246 2,983 4.0

10 곡물 1,034 2,590 1,413 1,960 618 609 514 401 0.5

11 제분공업제품 107 142 200 509 466 587 611 566 0.8

12 채유용종자 사료 등, 914 1,126 1,384 1,621 1,845 2,346 2,925 2,744 3.7

13 식물성엑스 67 73 113 206 518 981 1,152 1,258 1.7

14 기타 식물성생산품 43 46 49 59 59 85 89 124 0.2

15 동식물성유지 118 128 284 328 330 544 607 608 0.8

16 육어류 조제품 2,046 2,681 4,368 5,833 4,580 7,867 8,983 7,944 10.7

17 당류 및 설탕과자 156 196 423 566 771 1,290 1,452 1,709 2.3

18 코코아 및 그 제품 28 55 110 147 130 315 386 426 0.6

19 곡물 곡분의주제품빵류, 413 527 760 921 986 1,505 1,532 1,581 2.1

20 채소과실 조제품 1,499 2,169 3,099 5,443 4,763 6,984 7,861 7,343 9.9

21 기타 조제식료품 400 545 710 1,105 1,302 2,008 2,466 3,211 4.3

22 음료 주류 및 식초, 574 625 715 829 857 1,183 1,342 2,203 3.0

23 조제사료 296 382 479 1,000 1,763 2,057 2,735 2,769 3.7

24 담배 386 493 536 638 878 1,141 1,321 1,376 1.9

류 이외 농식품

HS 01 ~24 733 975 1,446 2,279 1,889 2,942 3,563 3,034 4.1

합 계 16,204 21,632 27,926 37,752 40,148 61,582 68,949 74,314 100.0

(11)

농식품 수출 품목의 집중도가 심화되는 추세 년 동안 수출 품목의 집중도지수

2001~2016 (CRk)는 CR2(28.6% 32.7%), CR→ 3(39.4% 43.4%), → CR5(55.1% 60.7%) → 모두 증가하여 집중도 심화

표 7 중국의 주요 농식품 품목군별 수출액 점유율 및 집중도 변화 (2001~2016 ) 년

주 집중도지수

: (concentration ratio) CRk는 농식품 수출액 점유율 상위 개 품목군의 점유율 합계 K 

  

   (는 농식품 수출액의   품목군 점유율)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수입 품목 편중

대 수입 품목군 단위 은 류 채유용종자 류 알코올 기타가공농산품 류

5 (HS-2 ) 12 ( ), 29.05 ( / ), 15

동식물성유지 류 육과 식용설육 류 곡물 ( ), 02 ( ), 10 ( )

류는 최대 수입 품목군의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가운데 수입액 점유율이 년

HS 12 2001~2003

평균 23.2%에서 2014~2016년 평균 32.2%로 증가. HS 12류 수입액의 대부분은 HS 1201(대두 가) 차지(2016년 88.8%)

제 위와 제 위의 수입 품목군인 2 3 HS 29.05류와 HS 15류의 수입액 점유율은 같은 기간 12.3%→

로 감소 8.0%, 10.4% 6.2%→

반면 HS 02류와 HS 10류는 수입액 점유율이 같은 기간 3.9% 5.9%, 3.0% 5.5%→ → 로 증가하여 각각 제 위와 제 위의 수입 품목군으로 부상4 5

연도 HS-2단위 품목군별 수출액 점유율(%) 집중도지수(CRk) 류

03 07류 20류 16류 08류 CR2 CR3 CR5

2001 16.0 10.8 9.3 12.6 2.7 28.6 39.4 55.1

2002 15.7 10.3 9.6 12.7 3.0 28.4 38.7 57.4

2004 17.2 10.7 10.9 14.7 3.9 31.9 42.8 58.6

2006 14.9 11.7 11.9 17.2 4.0 32.1 44.0 59.8

2008 12.5 10.2 14.1 14.6 5.1 27.1 41.3 56.4

2010 17.6 14.9 11.1 11.7 5.3 29.3 40.4 59.4

2012 17.7 10.8 11.8 14.0 5.9 31.7 43.5 58.4

2014 19.2 11.2 10.4 12.1 5.9 31.3 42.5 58.8

2016 18.4 14.2 9.9 10.7 7.4 32.7 43.4 60.7

(12)

표 8 중국의 농식품 품목군별 수입액 변화 추이 (2001~2016 ) 년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그림 8 주요 수입 품목군 변화 추이 그림 9 대두 수입액 및 비중 추이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단위 품목군

HS-2 2001 2003 2005 2007 2009 2011 2013 2016 비중

01 산동물 36 117 109 74 147 377 433 409 0.3

02 육과 식용설육 597 758 587 1,519 1,700 3,406 5,927 10,258 8.5

03 어패류 1,331 1,866 2,890 3,443 3,604 5,585 5,995 6,893 5.7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219 350 462 754 1,048 2,658 5,245 3,517 2.9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173 219 220 234 275 428 497 522 0.4

06 산수목꽃 22 45 69 84 91 129 174 226 0.2

07 채소 210 241 524 801 1,053 1,824 2,549 1,837 1.5

08 과실견과류 367 495 656 912 1,718 3,035 4,088 5,252 4.4

09 커피차향신료 21 28 42 77 86 233 255 667 0.6

10 곡물 607 444 1,395 515 877 2,014 5,054 5,661 4.7

11 제분공업제품 81 136 175 221 301 540 800 892 0.7

12 채유용종자 사료 등, 3,344 5,661 8,159 12,258 21,008 32,147 42,652 38,332 31.8

13 식물성엑스 32 51 63 90 121 160 224 215 0.2

14 기타 식물성생산품 65 73 68 87 103 244 185 204 0.2

15 동식물성유지 776 2,929 3,307 7,576 7,732 11,539 10,829 7,044 5.8

16 육어류 조제품 14 27 29 68 52 181 197 184 0.2

17 당류 및 설탕과자 376 216 452 483 478 2,132 2,362 1,463 1.2

18 코코아 및 그 제품 80 116 177 211 262 605 714 684 0.6

19 곡물 곡분의주제품빵류, 93 148 240 444 1,011 1,631 2,584 4,564 3.8

20 채소과실 조제품 85 134 157 273 333 592 662 982 0.8

21 기타 조제식료품 181 311 304 377 482 859 1,206 2,170 1.8

22 음료 주류 및 식초, 146 186 409 867 1,114 2,557 3,057 4,784 4.0

23 조제사료 639 658 1,305 1,279 1,837 3,100 3,654 3,061 2.5

24 담배 268 309 384 541 844 1,138 1,460 1,728 1.4

류 이외 농식품

HS 01 ~24 3,987 6,802 12,615 16,084 13,687 32,993 32,752 19,150 15.9 합 계 13,750 22,320 34,798 49,272 59,964 110,107 133,555 120,699 100.0

(13)

농식품 수입 품목의 집중도가 심화되었으나 2010년대 들어 점차 약화되는 추세 년 동안 수입 품목의 집중도지수

2001~2016 (CRk)는 CR2(28.6% 32.7%), CR→ 3(39.4% 43.4%), → CR5(55.1% 60.72%) → 모두 증가

단, 2008년 CR2, CR3 CR5가 각각 50.3%, 62.3%, 72.9%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점차 약화되면서 수입 품목이 다양화되는 추세

표 9 중국의 주요 농식품 품목군별 수입액 점유율 및 집중도 변화 (2001~2016 ) 년

주 집중도지수

: (concentration ratio) CRk는 농식품 수입액 점유율 상위 개 품목군의 점유율 합계K 

  

   (는 농식품 수입액의   품목군 점유율)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국영무역 비중 감소

농식품 수출에서 국영기업의 역할 축소

가입 이후 대외무역업이 심사제에서 등록제로 바뀌어 외자기업과 사영기업 등이 대외무역에 WTO

참여할 수 있게 되면서 농식품 수출입 특히 수출 에서 국영기업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축소( ) 국유기업 비중 수출 : ( 04) 30.8% → (15) 9.5%, 수입 ( 04) 41.9% → 15) 22.6%(

국영무역 관리품목1)으로 지정된 쌀과 옥수수의 수출도 국영무역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외자기업과 연도 HS-2단위 품목군별 수입액 점유율(%) 집중도지수(CRk)

12 29.05류 15류 02류 1,4220류 CR2 CR3 CR5

2001 24.3 11.2 5.6 4.3 4.4 35.5 45.2 56.6

2002 18.9 12.7 10.7 4.3 3.3 31.5 42.3 58.4

2004 22.1 13.9 12.6 1.4 6.7 36.0 48.6 65.2

2006 21.3 13.8 10.3 1.8 2.2 35.1 47.9 66.5

2008 34.3 11.9 16.0 3.4 1.0 50.3 62.3 72.9

2010 32.2 12.7 10.6 2.6 1.8 44.9 55.5 67.4

2012 30.4 10.3 10.3 3.2 3.7 40.7 51.0 64.6

2014 33.8 8.8 6.7 4.3 4.5 42.6 49.3 58.9

2016 31.8 7.1 5.8 8.5 4.7 40.3 47.3 58.9

(14)

사영기업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

곡물류 이외에도 가공식품 채소류 과일류 축산물 등 대부분의 농산물 수출에서 국영무역기업의 , , , 퇴조 현상과 사영기업 외자기업의 부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

표 10 중국의 농식품 수출입기업 유형별 수출입액 및 비중 변화 (2004~2015 ) 년

단위 억 달러: , %

구분 수출 수입

04 06 08 10 12 14 15 04 06 08 10 12 14 15

국유기업 71.2 67.3 70.8 65.8 77.0 61.3 67.4 117.3 96.1 159.7 167.9 287.9 236.9 262.0 (30.8) (21.7) (17.6) (13.5) (12.3) (8.7) (9.5) (41.9) (30.0) (27.4) (23.4) (25.8) (19.5) (22.6)

외자기업 100.5 134.3 171.3 187.1 216.1 210.9 190.8 99.3 135.2 269.3 301.7 378.3 382.0 362.6 (43.5) (43.3) (42.6) (38.3) (34.5) (29.8) (27.0) (35.5) (42.3) (46.2) (42.0) (33.9) (31.4) (31.3)

합작 8.9 8.7 8.9 9.3 10.8 9.6 9.2 5.8 3.9 4.3 4.4 5.2 3.3 2.6 합자 53.1 68.6 88.5 95.8 104.9 97.1 86.2 47.7 54.9 98.5 100.8 131.0 150.7 139.4 외자 38.6 57.1 73.9 82.0 100.4 104.2 95.4 45.8 76.5 166.5 196.5 242.2 228.0 220.6

집체기업 12.4 14.1 14.9 16.1 19.5 21.6 22.2 23.4 22.2 28.4 29.6 42.5 32.5 28.1

(5.4) (4.5) (3.7) (3.3) (3.1) (3.1) (3.1) (8.4) (6.9) (4.9) (4.1) (3.8) (2.7) (2.4)

사영기업 46.7 94.3 145 219.4 312.6 413.0 426.8 39.7 66.2 125.8 219.3 405.9 562.8 506.3 (20.2) (30.4) (36.0) (44.9) (50.0) (58.4) (60.3) (14.2) (20.7) (21.6) (30.5) (36.4) (46.3) (43.7)

자영업 0.00 0.23 0.33 0.40 0.38 0.58 0.72 0.00 0.02 0.14 0.42 0.34 0.54 0.17

기타 0.03 0.00 0.02 0.02 0.03 0.03 0.02 0.08 0.12 0.08 0.05 0.06 0.05 0.03

합 계 230.8 310.2 402.4 488.8 625.6 707.4 707.9 279.8 319.8 583.4 719.0 1,115.0 1,214.8 1,159.2 주 괄호안의 수치는 비중을 나타냄: .

자료: 商务部. 中国农産品进出口月度统计报告 각 연도 12月

1) 수출의 경우 쌀 옥수수 면화 수입의 경우 식량작물 식용유 식용당 담배 면화가 국영무역 관리품목 이들 폼목은, , , , , , , . 대외무역법 과 화물수출입관리조례 에 의거하여 쿼터를 배정받은 국영무역기업과 국영무역기업으로부터 쿼터를 배분 받은 비국영무역기업이 수출입 담당 쌀과 옥수수를 수출할 수 있는 국영무역기업은 중량집단유한회사. (中粮集 有限公司团 ;

와 길림식량집단유한회사 개 기업 쌀과 옥수수를 포함한 식량 수입권한을 지닌

COFCO) (吉林粮食集 有限公司团 ; JLG) 2 .

국영무역기업은 COFCO가 유일함.

(15)

표 11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의 수출기업 유형별 비중 변화 (2005 , 2015 ) 년 년

단위 백만 달러: , %

구분 2005년 2015년

국유 외자 집체 사영 기타 합계 국유 외자 집체 사영 기타 합계

쌀 39 144 8 34 0.0 225 45 135 4 84 0.0 268

(17.3) (64.0) (3.6) (15.1) (0.0) (100.0) (16.8) (50.4) (1.5) (31.3) (0.0) (100.0)

옥수수 1,065 0.0 - 31 0.0 1,096 0.91 0.04 - 4.9 0.0 6

(97.2) (0.0) - (2.8) (0.0) (100.0) (15.6) (0.7) - (83.8) (0.0) (100.0)

밀 37 0.0 - 0.06 0.0 37 0.32 0.89 - - 0.0 1

(99.8) (0.0) - (0.2) (0.0) (100.0) (26.4) (73.6) - - (0.0) (100.0) 가공식품 5,877 10,246 1,106 5,756 1.8 22,987 4,422 17,651 1,837 34,156 2.1 58,068 (25.6) (44.6) (4.8) (25.0) (0.0) (100.0) (7.6) (30.4) (3.2) (58.8) (0.0) (100.0)

마늘 80 179 54 387 0.0 699 27 424 31 1,851 0.0 2,333

(11.4) (25.6) (7.7) (55.4) (0.0) (100.0) (1.2) (18.2) (1.3) (79.3) (0.0) (100.0)

파 2.4 32 1.5 12 - 48 0.16 12 0.0 50 0.0 62

(5.0) (66.8) (3.1) (25.1) - (100.0) (0.3) (19.3) (0.0) (80.4) (0.0) (100.0)

사과 41 114 12 139 0.0 306 2.2 110 6.4 888 24 1,031

(13.4) (37.3) (3.9) (45.4) (0.0) (100.0) (0.2) (10.7) (0.6) (86.2) (2.3) (100.0)

배 13 22 14 74 0.0 123 0.17 36 8.3 396 2.6 443

(10.6) (17.9) (11.4) (60.2) (0.0) (100.0) (0.0) (8.1) (1.9) (89.4) (0.6) (100.0)

감귤류 32 6 16 90 0.03 144 9 27 0.04 1,223 0.0 1,259

(22.2) (4.2) (11.1) (62.5) (0.0) (100.0) (0.7) (2.1) (0.0) (97.1) (0.0) (100.0)

화훼 22 22 28 2 0.0 74 15 43 5.4 197 0.0 260

(29.7) (29.7) (37.8) (2.7) (0.0) (100.0) (5.8) (16.5) (2.1) (75.7) (0.0) (100.0)

표고버섯 12 133 4 82 0.01 231 11 202 352 885 0.0 1,450

(5.2) (57.6) (1.7) (35.5) (0.0) (100.0) (0.8) (13.9) (24.3) (61.0) (0.0) (100.0)

차 221 24 54 186 0.0 485 221 146 45 951 19 1,382

(45.6) (4.9) (11.1) (38.4) (0.0) (100.0) (16.0) (10.6) (3.3) (68.8) (1.4) (100.0)

돼지고기 94 36 43 232 0.0 406 2.0 60 0.53 260 0.0 323

(23.2) (8.9) (10.6) (57.3) (0.0) (100.0) (0.6) (18.6) (0.2) (80.6) (0.0) (100.0)

닭고기 239 398 95 70 0.0 802 105 317 231 717 0.0 1,370

(29.8) (49.6) (11.8) (8.7) (0.0) (100.0) (7.7) (23.1) (16.9) (52.3) (0.0) (100.0)

조란 13 23 0.9 39 0.01 76 4.9 35 0.05 152 0.0 192

(17.1) (30.3) (1.2) (51.4) (0.0) (100.0) (2.6) (18.2) (0.0) (79.2) (0.0) (100.0) 주 괄호안의 수치는 비중을 나타냄: .

자료: 商务部. 中国农産品进出口月度统计报告 각 연도 12月

(16)

한중 농식품 무역 동향 2.

대중국 수출

한 중 수교 이후 대중국 농식품 수출 지속 증가 추세

( 95/97평균) 43.6백만 달러 → 14/ 평균( 16 ) 9.7억 달러로 증가(22 )배

농식품 범위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 , (HS 01 ~24류 류 이외의 품목 제외), AG코드 570개 품목

수출액 일정 규모 이상 품목 수 증가 주요 품목에 대한 높은 의존도 ,

백만 달러 이상 품목 개 : 5 → 74 , 개 천만 달러 이상 품목 개 : 1 → 25개 수출품목 집중도( 15/ 평균16 ): CR5 38.9%, CR10 56.5%, CR20 74.9%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서 중국 비중 지속 증가

농산물: ( 92) 0.8% → (16) 14.5%, 2009년 이후 일본에 이어 제 위의 수출 시장 2 축산물: ( 92) 0.03% → (16) 41.3%, 2011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제 위의 수출 시장1

그림 10 대중국 농식품 수출입 및 비중 그림 11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대상국별 비중

자료: aTkati(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과자류 당류 기타조제농산품 면류 커피류 등 수입 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이 주요 수출 품목 , , , , 우리 농업과 실질적 연계는 미약

(17)

신선 가공 비중: : ( 95/97평균) 20.8% : 79.2% → 14/ 평균( 16 ) 18.0% : 82.0%

교역 초기 대비 유제품 음료 기타조제농산품 커피류 면류의 수출이 대폭 증가, , , , ( 95/97평균 당류 ): 30.2% > 과자류 16.4% > 연초류 13.8% > 과실견과류 7.5%

( 14/ 평균 과자류 16 ): 13.5% > 유제품 11.8% > 당류 11.1% > 기타조제농산품 10.5%

대중국 농식품 수출에서 가공농식품의 비중이 큰 주요 원인

동식물 검역조치로 신선 과채류 신선 과실류 신선 육류의 교역 금지, , 양국간 신선농산물의 가격경쟁력 격차 비교우위 상실( )

표 12 대중국 농식품 수출액 상위 개 품목류 10 ('15/'16 평균 )

품목류 비중(%) 주요 세부 품목

과자류 13.5 비스킷(38.7%), 기타베이커리제품(33.5%), 기타설탕과자(9.8%) 캔디(8.4%), 곡류제조제품(6.5%), (2.4%), (0.6%) 빵 검

유제품 11.8 조제분유(81.8%), 생우유(13.8%), 우유조제품(1.4%), 발효유(1.2%), 연유(0.9%), 치즈(0.6%), 전지분유(0.2%), 탈지분유(0.2%),

당류 11.1 자당(89.7%), 기타당(10.1%), 맥아당(0.1%)

기타조제 농산품 10.5

혼합조제식료품(79.0%), 아이스크림(9.6%), 기타조제식료품(2.5%), 치커리조제품(2.

차 마태조제품 식초 기타빙과 두부 향미용조제

3%), (1.6%), (1.4%), (1.2%), (0.8%), 품(0.5%), 기타단백질농축품(0.5%)

기타 가공품 10.4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 등(28.2%), 가죽(23.9%), 기타식물성액즙(8.7%), 소원피(8.

기타식물성점질물 방향성물질

0%), (7.2%), (4.4%)

과실류 견과류 10.0 단일과실조제품(30.2%), 과실혼합물(20.3%), 유자(20.1%), 기타과실(16.9%), (1밤

기타감귤류 아몬드 포도

0.4%), (0.8%), (0.5%), (0.2%)

면류 6.3 라면(83.9%), 인스탄트면(8.6%), 기타파스타(4.5%), 국수(2.6%), 냉면(0.3%), 당면 (0.1%)

커피 코코아 차류 5.7 커피조제품(76.3%), 초코렛(18.9%), 커피(1.8%), 녹차(1.3%), 홍차(0.8%), 기타코 코아조제품(0.7%), 코코아분말(0.2%)

음료 4.6 기타음료(74.9%), 물(19.8%), 음료베이스(1.9%), 한약재기타(1.7%), 당시럽(1.1 식혜

%), (0.6%)

주류 3.5 맥주(59.5%), 소주(23.6%), 탁주(5.3%), 리큐르(3.8%), 위스키(2.0%), 청주(1.7

기타과실발효주 기타주

%), (1.6%), (1.2%)

합 계 87.3

주 괄호안의 비율은 해당 품목류의 전체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

: .

자료: aTkati(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18)

교역 초기 대비 우리 농업과 직접 연계된 품목들이 주요 수출품목으로 부상

수출액 상위 50개 품목 중 관련 품목( 14/ 평균 조제분유 위 유자 위 홍삼 기타 위 밤16 ): (1 ), (10 ), (19 ),

위 무종자 위 냉동 쇠고기 위 과실견과기타 위 고추장 위 난초 위 대중국

(20 ), (28 ), (32 ), (39 ), (44 ), (50 ) → 농식품 수출액의 18.2%

멜라민 분유 사건을 계기로 중국 소비자들이 자국산 유제품을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와 맞물려 유제품의 수출이 크게 증가

대중국 수입

중국산 농식품 수입은 연도별 변동폭이 크지만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 95/97평균 억 달러 ) 7 → 14/ 평균( 16 ) 29.8억 달러로 증가(4.3 )배

농식품 범위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 , (HS01~24류 이외의 품목 제외), AG코드 570개 품목

우리나라 농식품 수입에서 중국 비중 지속 증가 수입선 다변화 추세,

농산물: ( 95/97평균) 7.5% → 15/ 평균( 16 ) 14.0%, 미국에 이어 제 위의 수입 시장 2 축산물: ( 95/97평균) 3.1% → 15/ 평균( 16 ) 3.0%, 8제 위의 수입 시장

그림 12 중국산 농식품 수입액 및 가공품 비중 표 13 우리나라 농식품 수입시장 국가별 비중

농산물 축산물

95/96평균 15/16평균 95/96평균 15/16평균

국가 비중 국가 비중 국가 비중 국가 비중

미국 44.5 미국 24.6 미국 45.1 미국 31.1

중국 7.5 중국 14.0 호주 14.7 호주 21.9

호주 6.8 브라질 9.9 뉴질랜드 10.1 독일 6.7

태국 4.5 호주 6.7 덴마크 6.1 뉴질랜드 5.9

브라질 4.5 아르헨티나 3.5 네덜란드 4.0 브라질 3.5

인도 3.2 필리핀 3.0 캐나다 3.6 스페인 3.4

영국 3.1 태국 2.9 중국 3.1 이탈리아 3.1

캐나다 2.9 인도네시아 2.6 프랑스 2.4 중국 3.0

합 계 77.0 합 계 67.1 합 계 89.3 합 계 78.6

자료: aTkati(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19)

수입 품목은 채소류가 수입액의 약 1/4를 차지하며 다양한 가공농식품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 신선 가공 비중: : ( 95/97평균) 70% : 30% → 14/ 평균( 16 ) 47% : 53%

채소류는 김치와 양념채소류가 큰 비중을 차지

김치와 대 양념채소 고추 마늘 양파 당근 파 의 수입액 비중

4 ( , , , , ) : 15.0%

주요 수입 가공농산품류는 기타조제농산품(8.5%), 박류(5.7%), 사료(4.0%), 음료(3.6%), 모수모류

면류 소스류 과자류 당류

(3.2%), (3.1%), (3.0%), (2.6%), (2.3%)

양념채소류 수입액 비중이 높은 것은 국내 공급 부족에 따른 수입 수요가 증가하는데다 동식물검, 역 조치로 과채류 과실류 신선 육류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 ,

표 14 대중국 농식품 수입액 상위 개 품목류 10 ('15/'16 평균 )

품목류 비중(%) 주요 세부 품목

채소류 22.9 김치(4.1%), 고추(3.9%), 마늘(3.5%), 당근(1.6%), 양파(1.4%), 채소종자(0.6%), 파(0.4%), 기타채소(4.3%) 등

기타조제 농산품 8.5 혼합조제식료품(7.5%), 기타단백질농축물(0.4%), 향미용조제품(0.3%), 기타조제식료 품(0.1%), 치커리조제품(0.1%) 등

곡류 5.9 (5.5%; MMA 쌀 물량 밀리트), (0.3%), 수수(0.1%), 보리(0.1%) 등 박류 5.7 전분박(3.9%), 대두박(1.2%), 채종콜자씨박(0.3%), 옥수수박(0.1%) 등

채유종실 5.6 참깨(1.7%), 땅콩(1.6%), 들깨(1.4%), 기타 채유종실(0.9%) 해바라기씨(0.1%)

사료 4.0 개사료(1.6%), 배합사료(0.9%), 기타사료용조제품(0.7%), 기타사료(0.6%), 사료첨 가제(0.1%), 보조사료(0.1%)

음료 3.6 한약재기타(2.1%), (2.1%), 물 기타음료(0.1%) 등 모 수모류 3.2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3.2%) 등

두류 3.2 (1.5%), 팥 대두(1.2%), 녹두(0.1%), 기타콩(0.1%), 강낭콩(0.1%) 등 면류 3.1 당면(2.5%), 기타파스타(0.5%), 국수(0.1%) 등

합 계 65.7

주 괄호안의 비율은 전체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

: .

자료: aTkati(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20)

가격 동향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2)

년 월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하락하였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2017 4 3 2.9% ,

비해서도 14.6% 하락

채람자(菜篮子)농산물의 2017년 월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4 3 3.3% 하락하였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16.8% 하락

그림 13 중국의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지수 추이

주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지수 는 년

: ' 200 ' 2015 =100

자료

: 中国农业信息网(http://www.agri.gov.cn)

2) 중국은 2017년 월부터 1 2000년도 기준의 농산물 도매가격지수 발표를 중단하고 2015년도 기준의 농산물도매가격200 지수 를 새롭게 발표함. 농산물도매가격200지수는 총 111개 품목 채소 ( 32 , 개 과일 11 , 개 축산물 개 수산물 7 , 49 , 개 식량

개 유지작물 개 을 대상으로 전국의 대표적인 농산물 도매시장 개의 가격에 기초하여 작성함

7 , 5 ) 200 .

(21)

품목별 2017 4년 월 도매시장가격을 보면 지난 월에 비해서 복숭아를 제외한 과일3 가격이 사승.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엽근채소 가격이 하락

표 15 주요 품목별 도매시장가격 추이 (2016 년 월 12 ~ 2017 년 월 4 )

단위 원: , %

주 전국 도매시장 평균가격:

자료: 中国农业信息网 (http://www.agri.gov.cn) 품목

2016 2017 4월 증감률

12 1 2 3 4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식량 중단립종쌀(20kg) 17,109 17,325 16,796 16,475 16,509 0.21 -6.25

(1kg) 908 923 900 893 891 -0.18 -6.12

엽근 채소

배추(10kg) 2,207 2,330 2,037 1,631 1,746 7.08 -48.01 무

(18kg) 5,081 4,845 4,929 4,478 4,686 4.64 -20.41 양배추(8kg) 3,791 3,078 2,337 1,819 1,555 -14.49 -58.35 당근(20kg) 6,809 7,351 7,480 6,722 6,821 1.48 -48.28 감자(20kg) 8,110 8,593 8,515 8,238 8,172 -0.79 -33.40

양념 채소

건고추(600g) 2,853 2,609 2,514 2,485 2,533 1.92 -2.51

양파(kg) 382 376 364 334 339 1.48 -51.52

마늘(kg) 2,476 2,530 2,408 2,193 2,219 1.21 20.24

대파(kg) 469 583 523 410 367 -10.44 -70.48

쪽파(kg) 1,004 921 970 768 656 -14.59 -28.54

과일

사과 부사( , 15kg) 15,603 16,152 15,828 15,569 16,015 2.86 3.23 배 풍수

( , 15kg) 9,880 10,509 9,867 9,910 10,083 1.75 -9.90 복숭아(kg) 1,121 1,384 1,917 2,499 2,374 -5.00 -2.19 포도 거봉( , 5kg) 6,852 7,342 7,488 7,183 7,703 7.23 5.62 감귤 만다린( , kg) 616 680 706 768 883 15.03 13.52 감

(10kg) 6,228 6,471 6,645 7,661 8,436 10.11 13.60

과채

딸기(2kg) 9,307 7,827 6,628 4,903 4,182 -14.71 3.37 토마토(10kg) 7,254 9,646 8,448 7,859 6,772 -13.83 -26.34

오이(kg) 577 863 833 621 506 -18.56 -7.41

수박(kg) 734 887 920 784 700 -10.71 -16.97

축산물

쇠고기(kg) 9,107 9,317 9,011 8,822 8,810 -0.14 -6.48 돼지고기(kg) 4,010 4,178 3,955 3,700 3,615 -2.31 -21.45 닭고기(kg) 2,429 2,473 2,294 2,222 2,232 0.45 -17.25

버섯

느타리버섯(2kg) 1,906 1,981 1,803 1,727 1,750 1.34 -3.91 새송이버섯(2kg) 2,546 2,827 2,601 2,181 2,142 -1.81 -15.64 팽이버섯(2kg) 2,477 2,847 2,585 2,204 2,277 3.29 -1.24 표고버섯(2kg) 3,432 3,482 3,379 3,176 3,262 2.70 4.48 임산물 (kg)밤 1,742 1,745 1,758 1,738 1,651 -5.02 - 

대추(kg) 1,737 2,376 2,570 2,509 2,831 12.81 - 

(22)

소비자물가

년 월 소비자물가

2017 4 는

3월 대비 0.1% 상승 전. 년 동월 대비 1.2% 상승

이 중 식품가격은 전월 대비 0.6% 하락 전년 , 동월 대비 3.5% 하락

월 식품가격 하락은 4

신선채소와 조란이 주도 (각각 21.6%, 11.4% 락). 하 과일 수산물 가격은 상승,

표 16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증감률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17.1 `17.2 `17.3 `17.4 `17.1 `17.2 `17.3 `17.4

소비자물가지수(CPI) 1.0 -0.2 -0.3 0.1 2.5 0.8 0.9 1.2

식품 담배 및 주류 1.7 -0.3 -1.3 -0.3 2.5 -2.4 -2.4 -1.8

식품

2.3 -0.6 -1.9 -0.6 2.7 -4.3 -4.4 -3.5

식량

- 0.2 0.2 0.1 0.1 1.2 1.2 1.4 1.5

육류

- 2.4 -0.9 -2.5 -1.2 5.7 -0.1 -1.3 -4.6

조란

- (鸟卵) -1.7 -6.2 -4.0 -0.6 -9.1 -14.9 -11.8 -11.4

수산물

- 4.4 1.8 -0.3 1.5 6.4 2.2 4.8 5.9

신선채소

- 6.2 -5.4 -7.9 -5.0 1.6 -26.0 -27.9 -21.6

신선과일

- 5.7 4.1 -1.2 1.9 4.8 2.1 3.0 5.9

의류 및 복장 -0.4 -0.3 0.6 0.2 1.1 1.2 1.3 1.3

생활용품 및 관련 서비스 0.3 0.0 0.0 0.2 0.6 0.5 0.7 0.8

의료보건 0.6 0.3 0.5 0.7 5.0 5.1 5.3 5.7

교통 및 통신 1.4 -0.4 -0.4 -0.2 2.3 1.7 2.0 1.8

교육 문화 및 오락 1.6 -0.9 -0.2 0.4 3.3 1.8 2.3 2.6

주택 거주( ) 0.3 0.4 0.2 0.1 2.3 2.5 2.4 2.4

기타용품 및 관련 서비스 1.5 0.0 0.0 0.7 4.8 3.1 2.9 3.4

주 육류는 가금육을 포함하지 않음: (2016년 월부터 1 CPI 구성 항목 조정).

자료: 中国 国 家统 计 局 (http://www.agri.gov.cn)

그림 14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변화 추이

(23)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년 월 농산물 수출액은 약 억 달러로 지난 월에 비해 감소 지난해 같은 달에

2017 4 47.0 3 2.6% .

비해서는 6.8% 증가

표 17 중국의 농산물 수출 추이 (2017 년 월 1 ~ 4 ) 월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中国海关总署. 中国海关统计 月刊( ) 第329期 ~ 332 .第 期 HS

코드 품목명

2017 4월 증감률

1 2 3 4 합계

(1~4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01 산동물 7 47 43 49 147 13.7 5.0 -10.6

02 육과 식용설육 65 56 76 87 284 14.9 20.6 8.3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53 41 46 43 183 -5.8 -8.3 -8.9 류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191 96 178 185 651 3.9 23.4 22.8

06 산수목 꽃· 29 21 31 28 109 -8.9 4.6 0.3

07 채소 896 660 890 932 3,378 4.7 22.8 15.2

08 과실 견과류· 546 237 311 282 1,377 -9.3 -3.6 -9.7 류

09 커피 차 향신료· · 261 187 278 279 1,005 0.4 17.3 11.8 류

10 곡물 44 31 58 28 161 -52.5 -20.8 62.5

11 제분공업제품 36 34 47 38 155 -19.4 -24.8 -19.6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273 138 222 218 852 -1.7 -5.1 -12.8 류

13 식물성엑스 129 74 111 116 430 4.4 0.7 -1.0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10 7 15 11 44 -24.2 3.9 -4.5

15 동식물성유지 55 40 58 65 219 10.8 20.0 8.8

16 ·육 어류조제품 771 332 688 677 2,468 -1.7 10.9 8.5 류

17 당류 및 설탕 과자 149 95 157 135 535 -14.2 -5.1 3.5 류

18 코코아 및 그 제품 31 13 34 22 99 -34.8 -31.5 -20.5 류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139 85 133 128 484 -3.6 4.0 2.8 류

20 채소 과실 조제품· 626 417 669 645 2,358 -3.6 12.0 2.4 류

21 기타 조제식료품 267 194 297 263 1,021 -11.4 7.4 2.4 류

22 음료 주류 및 식초, 144 135 195 120 593 -38.5 -37.6 -19.5 류

23 조제사료 221 162 204 232 820 13.7 8.1 -5.4

24 담배 44 37 83 115 279 38.9 -16.6 -23.6

합 계 4,988 3,140 4,825 4,699 17,652 -2.6 6.8 2.5

(24)

년 월 농산물 수입액은 억 달러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2017 4 92.9 8.3% ,

비해서도 12.3% 증가

월 주요 수입품목군은 류 류

4 HS 12 (41.8%), HS 02 (8.5%), HS 15 (8.2%), HS 10 (7.0%)류 류 , HS 08류 (5.6%), HS 24 (4.4%)류 , HS 19 (4.2%) → CR류 7 79.6%

표 18 중국의 농산물 수입 추이 (2017 년 월 1 ~ 4 ) 월

2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中国海关总署. 中国海关统计 月刊( ) 第329期 ~ 332 .第 期 HS

코드 품목명

2017 4월 증감률

1 2 3 4 합계 (1~4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01 산동물 26 37 10 39 112 291.4 -37.1 -0.2

02 육과 식용설육 744 767 848 786 3,145 -7.4 -1.1 10.1 류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573 399 377 352 1,701 -6.8 30.7 20.8 류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39 37 56 53 185 -4.5 20.9 12.4

06 산수목 꽃· 15 15 23 24 77 1.9 25.3 37.2

07 채소 167 132 200 184 684 -8.0 9.0 -1.2

08 과실 견과류· 759 381 445 524 2,109 17.6 -11.1 -5.4 류

09 커피 차 향신료· · 47 73 61 53 234 -11.6 37.2 58.3 류

10 곡물 473 491 584 647 2,194 10.8 -5.8 1.2

11 제분공업제품 83 73 105 74 335 -29.6 -26.1 3.4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3,683 2,895 3,171 3,884 13,632 22.5 27.0 33.0 류

13 식물성엑스 15 15 24 17 71 -26.7 -4.3 0.2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16 15 19 18 69 -6.6 12.0 -0.3

15 동식물성유지 732 609 680 758 2,780 11.6 44.7 33.2 류

16 ·육 어류조제품 15 13 19 17 64 -13.2 68.7 30.1

17 당류 및 설탕 과자 225 102 173 128 628 -25.8 19.8 62.2 류

18 코코아 및 그 제품 45 41 49 37 172 -23.6 -1.7 -2.7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307 304 406 387 1,403 -4.7 33.3 12.6 류

20 채소 과실 조제품· 66 60 82 77 286 -6.2 8.7 4.3

21 기타 조제식료품 109 116 183 165 573 -10.0 -12.0 -12.8 류

22 음료 주류 및 식초, 370 282 376 324 1,352 -13.8 -17.1 -7.4 류

23 조제사료 160 251 369 329 1,107 -10.9 10.3 26.6

24 담배 186 105 317 412 1,021 30.0 -15.7 0.9

합 계 8,854 7,212 8,577 9,289 33,933 8.3 12.3 18.0

(25)

대 세계 식량 수출입

년 월 대 곡물 쌀 밀 옥수수 수출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감소했으나

2017 4 3 ( , , ) 54.1 48.8% ,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81.3% 증가

품목별로 보면 쌀 수출량이 26.3천 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48.6%를 차지하며 전월에 비해 , 65.5%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 12.4% 증가 옥수수는 . 27.9천 톤을 수출 월에 한국으로 쌀 천 톤을 수출하여 전체 쌀 수출량의 차지

4 13.6 51.6%

표 19 중국의 식량 수출 추이 (2017 년 월 2 ~ 4 ) 월

품목 국가 2016

2017 4월 증감률

2 3 4 합계

(1~4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한국 175.5 27.1 42.3 13.6 83.0 -67.9 -35.6 130.1 북한 41.9 0.1 1.0 1.5 2.7 61.3 228.1 171.9 일본 37.9 0.1 0.4 0.6 1.4 45.0 110.1 -88.5 홍콩 18.9 0.8 1.2 1.3 4.3 12.6 0.9 -24.2

몽골 12.3 0.1 0.0 0.8 1.2 - - 18.1

기타 84.0 3.9 31.3 8.5 132.2 -72.8 2969.1 4271.1 합 계 370.5 32.1 76.2 26.3 224.9 -65.5 12.4 279.7

이 중 중단립종쌀 -

백미 ( )

북한 41.9 0.1 1.0 1.5 2.7 61.3 285.5 174.6 일본 27.0 0.0 0.3 0.4 1.0 47.2 - -91.7

몽골 12.1 0.1 0.0 0.8 1.2 - - 48.7

한국 15.0 - - - -100.0

홍콩 18.8 0.8 1.2 1.3 4.3 12.6 -0.3 -21.1 기타 35.3 2.4 28.4 5.4 119.5 -81.0 1697.3 3754.2 합 계 150.0 3.4 30.8 9.4 128.7 -69.4 372.0 371.4 - 장립종쌀 백미( ) 합 계 58.0 1.5 2.9 3.1 12.7 7.9 - 6251.7

밀 합 계 10.6 0.0 0.0 0.0 0.0 - - -100.0

옥수수

북한 5.1 0.5 1.6 1.8 4.5 9.8 1083.7 325.6 미국 4.8 1.1 1.9 0.3 3.3 -84.3 -8.0 658.1 인도네시아 74.5 14.1 18.9 13.9 56.2 -26.2 401.4 181.2 기타 66.7 3.5 7.1 11.8 27.9 66.6 267.2 168.0 합 계 151.1 19.2 29.5 27.9 92.0 -5.6 330.3 188.2

대두

한국 34.3 3.6 2.6 7.5 18.0 187.2 24.9 66.2 일본 29.0 2.0 3.5 2.9 11.0 -17.4 -18.2 -16.9 미국 29.5 0.9 2.5 0.1 5.5 -96.2 -95.5 -28.6 기타 34.4 1.1 3.5 2.8 11.0 -19.2 4.1 -14.3 합 계 127.2 7.6 12.1 13.3 45.4 10.0 -7.3 2.0

단위 천 톤: , %

자료: 国家粮油信息中心. 中国粮油产品进出口数据 201704.

(26)

표 20 중국의 식량 수입 추이 (2017 년 월 2 ~ 4 ) 월

단위 천 톤: , %

자료: 国家粮油信息中心. 中国粮油产品进出口数据 201704.

품목 국가 2016

2017 4월 증감률

2 3 4 합계

(1~4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태국 928.4 58.3 103.6 160.7 419.2 55.1 157.5 18.4 베트남 1,616.7 96.1 224.9 260.1 680.7 15.7 -2.4 17.4 파키스탄 703.8 18.8 46.3 23.6 119.8 -49.0 -76.5 -62.5

기타 284.7 36.3 34.4 22.0 109.7 -35.9 22.5 27.5

합 계 3,533.6 209.5 409.1 466.5 1,329.5 14.0 4.3 -0.7 이 중

장립종쌀 -

백미 ( )

태국 576.6 24.8 62.3 119.4 248.6 91.7 314.5 12.8

베트남 480.5 31.6 84.6 99.4 223.3 17.5 -17.1 6.8

파키스탄 609.2 5.9 6.4 1.8 35.2 -72.0 -97.7 -86.4

기타 191.9 36.0 33.0 18.0 106.9 -45.5 95.5 50.6

합 계 1,858.2 98.3 186.3 238.6 613.9 28.1 0.7 -19.1

중단립종쌀 -

백미 ( )

태국 51.0 9.2 6.8 4.6 38.4 -32.8 -27.4 114.6

베트남 935.8 55.8 110.2 115.7 352.9 5.0 -15.5 6.2

파키스탄 0.0 - -  -  -  -

기타 4.5 0.3 0.9 0.7 1.9 -25.4 30.4 37.8

합 계 991.3 65.3 117.9 120.9 393.2 2.6 -15.9 11.9

호주 1,369.0 128.8 243.6 320.6 953.9 31.6 117.2 126.2 미국 862.3 10.4 220.0 227.2 515.1 3.3 493.2 1159.4

캐나다 858.9 64.1 2.0 12.8 86.2 552.5 -79.9 -65.2

기타 284.2 26.1 36.6 42.4 117.3 15.8 -19.4 -21.0

합 계 3,374.3 229.5 502.1 603.0 1,672.5 20.1 99.4 94.8

보리

호주 3,251.8 708.0 698.7 846.8 2,814.9 21.2 323.6 288.3 캐나다 730.6 96.0 8.4 238.3 447.6 2736.5 429.5 30.1

우크라이나 352.7 - -  -  -  -

프랑스 635.5 2.0 0.0 1.0 3.0  - -67.7 -97.6

기타 34.5 0.5 1.5 1.0 2.9 -33.3 879.0 2840.0

합 계 5,005.1 806.5 708.6 1,087.0 3,268.5 53.4 338.1 173.4

옥수수

미국 3,290.9 74.4 92.1 52.3 261.9 -43.2 -86.3 -78.7

라오스 138.9 - 1.8 1.5 3.4 -15.8  - -6.7

불가리아 0.9 0.0 0.0 0.0 0.7  -  -  -

우크라이나 2,660.8 136.9 0.0 0.0 287.1  - -100.0 -82.2

미얀마 77.5 0.0 0.8 0.6 1.9 -26.1  - 18.3

기타 68.3 0.3 0.6 0.2 1.7 -72.0 -99.3 -97.1

합 계 6,237.3 211.7 95.3 54.7 556.7 -42.6 -96.1 -80.9

대두

미국 33,657.0 4,426.1 4,222.6 1,777.1 17,203.2 -57.9 -12.2 13.8 캐나다 1,455.5 363.7 269.8 8.6 1,153.0 -96.8 -93.9 70.7 브라질 38,036.4 687.4 1,749.3 6,150.3 8,840.0 251.6 27.7 27.0 아르헨티나 8,013.9 0.0 10.0 56.0 134.8 460.0 -15.9 -58.0 기타 2,066.3 59.9 73.5 22.2 199.9 -69.8 -9.5 108.0 합 계 83,229.2 5,537.0 6,325.2 8,014.1 27,530.8 26.7 13.3 18.0

(27)

년 월 대두 수출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2017 4 13.3 10.0% ,

비해서는 7.3% 감소

년 월 대 곡물 쌀 밀 보리 옥수수 의 수입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017 4 4 ( , , , ) 2,211.2 28.9%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 8.5% 감소

품목별 수입량을 보면 보리가 1,087.0천 톤(49.2%)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 밀 603.0천 톤

쌀 천 톤 옥수수

(27.3%), 466.5 (21.1%), 54.7천 톤(2.5%) 순

년 월 최대 수입 곡물인 보리는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해

2017 4 53.4% ,

비해서도 338.1% 증가 년 월 밀

2017 4 수입량은 전월에 비해 20.1%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 증가

99.4%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호주 53.2%, 미국 37.7%, 캐나다 2.1% → CR3 93.0%

쌀은 2008년 이후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 2012년 이후 매년 200만 톤 이상 수입.3) 2017년 월 수입량은 전월 대비 4 14.0% 증가 전년 동원 대비 , 4.3% 증가

월 수입량 중 백미

4 (精米)가 359.5천 톤으로 77.1%를 차지하고 나머지 벼 현미 쇄미 등이 , 차지 수입 백미 중 장립종과 중단립종의 비율은 각각 와 차지

22.9% . 66.4% 33.6%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베트남 55.8%, 태국 34.5%, 파키스탄 5.1% 순

월 톤 당 평균 수입가격 은 미국산 달러 파키스탄산 달러 베트남산 달러

4 (FOB) 420.6 , 392.2 , 351.2 ,

태국산 355.0달러4). 전월 대비 수입가격 증감률은 각각 1.3%, 3.6%, -1.9%, 0.5%

년 월 옥수수 수입량은 전월에 비해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2017 4 42.6% ,

감소 96.1%

년 월 대두 수입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

2017 4 8,014.1 26.7% ,

에 비해서도 13.3% 증가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브라질 76.7%, 미국 22.2% → CR2 98.9%

3) 쌀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관리하는 수입관세할당 품목으로 국영무역 지정된 국영무역기업이 수입 쿼터가 ( ) 50%, 비국영 무역 대외무역권을 가진 기업이나 개인이 수입 쿼터가 ( ) 50%를 차지. 2017년도 수입쿼터 총량은 532만 톤이며 장립종과 중단립종이 각각 50%(266만 톤), 50%(266만 톤 차지)

4) 쇄미율은 태국산 베트남산 파키스탄산은 모두 , , 5%이며 미국산은 , 4~5%. 国家粮油信息中心. 稻米市场价格报告 (2017.04.01~2017.04.30)

참조

관련 문서

이에 본 논문은 부산지역 화물의 수출입 이동경로 분석을 통하여 수출입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이동경로 패턴을 파악한 후 수출입 물량이 많은 주요

중국에서 조경수 또는 분재가 유통되는 경로는 생산지에서 소비자(시정공사나 조경 업체 경우 주로 자체적으로 재배하거나 혹은 생산지에서 직접 구입)로 바로

미국은 중국이 무역 확대를 통한 성장이 중국의 정치적 자유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로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WTO) 가입을 허용했다. 최근 코로나 19 로

국내산도 샤인 머스캣 포도와 같이 씨가 없고 껍질의 영양까지 섭취할 수 있는 포도가 많이 재배되고, GAP 인증과 같이 재배 이력이 보장된 상품을

해당 품목은 흑 마늘액, 블루베리액, 홍삼액, 매실액 등이 관세청 분류사례로 포함... 『FTA 체결국 농축산물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북경 이화원에서 보이는 옥천산과 서산의 각 봉우리를 이용한 차경(借景) 의 수법 이화원 안에 있는 해취원의 가산 뒷편에 보이는 담장을 이용한 장경(障景) 의

심상렬( 200 6) 1 3 ) 은 UNCEFACT,OASI A,W3C등 국제적인 전자무역 표준화 동향 과 국내의 전자무역문서,전자무역인프라 연동기술의 표준화 및 전자무역 인프라 연동기술표준 상호운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