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9장 리소스계획(자재소요계획)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9장 리소스계획(자재소요계획) )"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박광태

(2)

2

자재소요계획(MRP)

종속수요 품목의 계획과 통제를 통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주 생산일정을 완수하는 것

MRP의 기능

MPS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종속수요 품목들의 소요량과 우선순위 결정

능력소요계획과 일정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외부로부터 조달되는 원재료나 부품의 소요량을 적시에 구매부서로 조달되도록 함

작업현장에서의 작업진행상태를 파악하여 필요시에는 재 계획을 통해 작업간의 정확한 우선순위 유지

(3)

3

MRP 시스템의 3대 투입자료

(4)

4

MRP 시스템의 3대 투입자료

주생산일정 (MPS)

총괄생산계획을 기초로 개별완제품 또는 제품모듈별로 기 간별 생산종료시점과 수량을 기술해 놓은 것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 BOM)

완제품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부품의 품명 및 수량 그리고 각 부품과의 상하관계를 단계별로 나타낸 기록표

pp.236-238의 [그림 9-10], [그림 9-11], [표 9-14] 참 조

(5)

5

(6)

6

(7)

7

(8)

8

MRP 시스템의 3대 투입자료

재고상태기록철

모든 품목에 대해 해당품목의 입출입 정보 및 재고상태를 기록 유지

품목번호, 품목명, 단계부호(level code), 리드타임, 표 준원가, 발주량, 주문비용, 주문량결정법, 안전재고, 현 보유재고량, 재고할당량, 기발주주문량 등의 정보 포함

단계부호(level code)

모든 품목에 대해 하나씩 주어지는데 MRP를 전개하는 데 있어서 계산의 중복을 없애고 계획의 효과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 (p. 239의 [그림 9-12] 참조)

(9)

9

(10)

10

MRP 시스템의 3대 투입자료

리드타임(lead time)

부품 및 원자재를 주문하는 순간부터 이 부품이 주문자에게 도착 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총 가 공 시 간 (run time), 작 업 준 비 시 간 (setup time), 이 동 시 간 (moving time), 대기시간(queue time)으로 구성됨

주문량결정법

순소요량법(lot-for-lot) : 매번 필요한 수량(순소요량)만큼만 주문 또는 생산

고정주문량법 : 매 주문시마다 일정량을 주문

페깅정보(pegging information)

자재명세서와 달리 각 부품의 상위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

(11)

11

MRP 전개의 2대 원리

부품전개(part explosion)

완제품의 생산량을 그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모든 부품에 대한 수요로 전환시키는 것. 즉, 완제품 및 부품의 기초재 고 및 인수예정량을 고려하여 완제품에 대한 생산량을 각 부품들에 대한 순소요량으로 전환

리드타임의 상쇄(lead-time offsetting)

완제품의 납기일에서 시작하여 리드타임을 거꾸로 빼나 오면서 하위 품목들에 대한 생산시작 시간과 종료시간을 결정 (후방일정)

리드타임에 대한 정확한 예측 필요

(12)

12

MRP 기록표

기록표의 항목

계 획 기 간 (planning horizon), 총 소 요 량 (gross requirements), 인수예정량(scheduled receipts), 기대보 유 재 고 (projected on-hand), 인 수 계 획 량 (planned receipts), 발주계획(planned order releases)의 6개 항목

p. 245의 [표 9-15] 참조 계획기간(planning horizon)

주 단위로 설정되며, 최종완제품의 납기로부터 각 부품의 리드타임을 상쇄하여 최하위 품목의 주문 및 생산시작 시 점까지의 기간이 최소계획 기간이 됨

p.246의 예제 9.6 참조

(13)

13

(14)

14

(15)

15

MRP 기록표

총소요량(Gross Requirements, GR)

완제품 또는 부품의 기간별 총수요를 나타냄 인수예정량(Scheduled Receipts, SR)

이미 주문을 하여 공급자가 현재 생산 중에 있거나 수송 중이어서 가까운 미래의 어느 시점에 인수될 것으로 기대 되는 수량

(16)

16

MRP 기록표

기대보유재고(Projected On-Hand, POH)

특정시점의 기말에 보유할 것으로 기대되는 재고수량

0기의 POH(기초재고)는 재고상태기록으로부터 입수하고 1기 이후의 POH는

POHt = (POHt-1+ SRt + PRt) – GRt 로 계산

(17)

17

MRP 기록표

인수계획량(Planned Receipts, PR)

앞으로 발주될 주문에 의해 인수될 것으로 기대되는 수량 으로 기대보유재고가 음수가 되거나 안전재고 이하로 떨 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계획

기간별 순수요량 (NRt = GRt - (POHt-1 + SRt))이 모두 결 정되면 사전에 결정된 주문량결정법을 적용하여 각 기의 PR을 결정

시간이 흘러 발주계획이 실현되면 그 발주계획과 관련된 인수계획량은 인수예정량으로 바뀜

발주계획(Planned Order Release, POR)

인수계획량이 제 때에 인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언제 그 수량을 주문할 것인가를 기록

(18)

18

MRP의 전개

p.248의 [표 9-16]을 토대로 p.249의 [표 9-17] 작성 : 복 습하기 바람

p.253의 예제 9.7: 복습하기 바람

(19)

19

(20)

20

(21)

21

(22)

22

(23)

23

주기적 재계획 시스템

재계획의 주기를 미리 정해놓고 그 주기중 발생하는 변화 를 모아두었다가 주기가 되면 한꺼번에 처리하여 재계획 을 수립하는 시스템

자료처리 과정에서의 오류가능성이 감소하고 계획의 안정 성은 증가하나 현실성이 저하됨

순변화 시스템

변화 발생 즉시 그 정보를 입수하여 영향을 받는 품목에 대한 자재계획을 수정하는 시스템

현실성은 크나 오류가능성이 증가하고 안정성이 감소됨

(24)

24

MRP의 재계획

필터기법을 이용한 재계획

필터라는 분류장치를 통해 유입된 자료를 중요도에 따라 등급화하여 A등급은 순변화 시스템, B등급은 짧은 주기의 주기적 재계획 시스템, C등급은 긴 주기의 주기적 재계획 시스템에 의해 처리

p. 255의 [그림 9-13] 참조

(25)

25

(26)

26

능력소요계획(CRP)

자재계획이 수립되면 그 자재계획이 실행가능한지 그리 고 그 자재계획의 모계획인 주생산일정이 실행가능한지 를 보다 세부적이고 정밀하게 검토하는 것

p.259의 [그림 9-15]: 능력소요계획의 과정

(27)

27

(28)

28

능력소요계획(CRP)

개략적 능력계획과의 차이

MRP시스템으로부터 산출된 시차별 자재계획을 사용

현재고와 인수예정량을 감안한 순소요량에 대해서만 능력 계획

프로세스가 진행 중에 있는 주문에 대해서는 완료된 프로 세스는 제외하고 앞으로 남은 부분에 대해서만 능력계획

서비스 부품에 대한 수요 등 MPS단계에서 파악되지 않는 수요를 모두 포함하여 능력계획

참조

관련 문서

제3장 가격변화에 대한 수요

… 사용자 프로세스가 인증서 서명 신청서를 제출하면 이를 검증하 고 공개키 인증서를 생성하여 보내 준다. … 사용자 프로세스가 어떤 사용자의 공개키

위에서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거주자가 수출입,용역거래, 자본거래 등 대외 거래 를 함에 있어서 계정의 대기 또는 차기에 의하여 결제하는 등 비거주자에 대한 채권

반복해서 읽고 체득하여 주식판의 타짜가 되는데 밑거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중요한

Society)는“ 고객의 주문에 대한 수주, 생산, 배송, 회계처리 등을 위하여 전사 의 자원을 규명하고 계획하는 회계위주의 정보시스템 ”(accounting-oriented

변수(수요, 비용 등)가 변화해도 제품의 가격이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목격.. ▪ 또한 과점 시장내의 경쟁기업간에 아무런 담합이나 협조가

- 생산주문(production order)은 공장 현장에서의 생산일정계획 수립에, 구매주문(purchase order)은 적량의 구성품이 필요로 하는 시기에 공급될 수

필수적인 의료행위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부적절한 것과 같은 이유로,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원하지 않는 말기환자에 게 일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현실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