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재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의 재해"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이석현**

목 차 1. 들어가며

2. 역사지리학 및 자연과학에서의 재해 연구 3. 역사학에서의 재해 연구

4. 나가며

<국문초록>

중국은 예로부터 다양한 재해가 많이 발생한 나리이며, 선진시기부터 이미 풍 부한 재해 관련 기록이 존재한다. 이런 다양한 기록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힘 들며, 한서 오행지 등의 災異 기록 등과 함께 황정서, 구황서 등도 지속적으로 편 찬되었다. 이런 풍부한 재해 관련 기록과 함께 근대 학문이 도입된 이래, 본격적 인 재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다양하고 풍부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본격적인 중국의 재해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의 재해 연구는 자연과학적 경향성을 지닌 역사지리학 분야에서 활발하였다. 그들은 고대 기후의 변화를 추적했고, 지진 발생의 규율성, 재해의 시공간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특 히 고대 역사서 등에 보이는 재해 관련 자료를 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는 데, 제작하는 주체에 따라 기준이 상이하다. 최근에는 정보 기술의 발달로 재해 관련 기록을 축적하고 재해 역사지도 편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역사학계에서의 재해사 관련 연구는 크게 재해사와, 구황사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재해사의 연구도 마찬가지로 1920년대 대규모 재해의 영향으로 시작되

*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6A3A01059888).

**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HK연구교수

(2)

었다. 특히 등운특의 중국구황사는 재해사, 구황사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친 연구 저작이다. 다만 역사학 분야에서 재해사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자연과 학 분야의 연구에서 자료를 정리하는 보조적 기능에 종사하기도 하였다.

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재해사 관심이 고조되었고, 災荒史 내지는 災荒學 이 라는 새로운 분과학문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현재 구황사 분야는 각 시대별 구황 책, 구황 사상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으며, 통사적 연구에서 단대사 연구로, 거시 적 연구에서 미시적 연구로, 재해 사건에서 재해와 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이렇듯 중국의 재해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역사지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적 경향의 연구 비중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의 반성 에서 사회사적인 시각에서 기층사회와 연관된 재해사 연구가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재해, 재난의 연구에서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 학의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다.

최근에 四川의 汶川대지진을 비롯한 재난을 겪은 후 문학 등 새로운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재해 재난을 겪은 사람들을 주목하는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기 존의 역사서, 황정서 뿐만 아니라, 재해를 반영한 문학작품, 流民圖 등과 같은 대 중의 재난 서사를 담은 작품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난서사의 기록을 활용하면서 재난을 겪은 대중들의 기억을 고찰하면서, 문학을 비롯한 재난 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당시 사회의 일상성을 살피고, 그것을 회복하려는 주체와 사람들의 노력과 희망 등을 살펴보는 관점이 재난인문학의 주요한 방법론 중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주제어 : 중국, 재해, 재난, 역사지리학 역사학, 재해사, 재황사, 구황사, 황정, 재난인문학

1. 들어가며

중국은, 오래된 역사와 광대한 시공간적 무게, 다양한 지리적 환경과 개 발에 따른 환경파괴, 복잡한 자연조건 등의 요인으로 재해와 그로 인한 재 난1)이 빈발하였으며, 수재․가뭄․蝗災․지진․전염병 등 종류도 다양하

(3)

고, 피해 규모도 세인의 상상을 뛰어 넘는다.2) 20세기 초 월터 머롤리 (Walter H. Mallory)가 중국을 “災荒의 나라’(The Land of Famine)3)이며, 이것은 결코 과장된 말이 아니다”고 한 것처럼, 세계 역사상 가장 많은 재 해, 재난이 발생했던 나라이다. 전통 시대에는 홍수․가뭄․지진․蝗災․

전염병 등 자연재해로 인한 대규모 재난을 겪었으며, 근대 이후에는 자연재 해에 더해 인구 증가, 자연 파괴와 함께 전쟁 내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복합적인 재난의 양상이 나타났다. 이 때문에 중화민국시기 재해사 연 구의 권위자인 鄧拓은 그의 저서 뺷中国救荒史뺸에서 “중국은 災荒이 많기 로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며, 각종 문서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다.

기원전 18세기부터 20세기 오늘날까지 3천몇백년 동안 재해가 없는 날이 없었고, 기근이 없는 날이 없었다”4)라고 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재해의 발생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이었으며, 해당 시기의 공동체의 정치적 역학관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때문에 중국인들은 고대부터 자연의 변화로 인한 재해에 대해 주의하였고, 민감하고 심각하게 재해 현상을 관찰하면서 그들의 인식을 전개하였다. 약 3000년 전인 西周 시기 노래 모음집인 뺷詩經뺸에 “온갖 하천이 끓어 넘치고, 산이 갑자기 무너 졌네. 높은 언덕이 골짜기가 되고, 깊은 골짜기가 구릉이 되었네. 슬프다, 지금 사람들은 어찌하여 뉘우칠 줄 모르는가5)”라고 하면서 재해와 자신들

1) 재난이란 비정상적인 자연활동, 또는 인위적인 사고로 인한 대규모 사회적 피해를 의미 한다. 대규모 화산 폭발, 지진, 홍수 등과 같은 자연현상은 자연계의 모습으로 보자면 정상적 활동이지만, 인간 사회에 대규모 피해를 가져다주며, 이를 재난이라 규정한다.

2) 1876년의 대기근에서는 1천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와 비슷한 피해규모 를 가진 역대 재난도 적지 않다.

3) Walter H. Mallory,Nature 120, pages 836~837(1927)

4) 뺷中国救荒史뺸, 上海书店, 1 “China: Land of Famine”, 984, 1쪽. 그의 통계에 의하면 역대 재황이 발생한 횟수는 기원전 1766년부터 1937년까지 모두 3703년간 각종 재해가 모두 5258차례에 달하여, 평균 6개월마다 한차례의 재해가 있었다고 한다.

5) 뺷詩經뺸, 「小雅」 ‘十月之交’, “百川沸騰, 山冢崒崩. 高岸爲谷, 深谷爲陵. 哀今之人, 胡憯莫懲.”

(4)

의 행위를 연결시켰고, “끝없이 비 내리니 우리 농사 망쳤네”6)라 하여 자연 환경의 변화와 그것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의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중국에서는 이미 선진시대부터 재해 관련 기록과 자료가 많이 남 아 있으며, 후대까지 이런 기록의 전통이 이어지며 체계화되었다. 이미 약 3500년전 商의 甲骨文에서부터 재해 기록이 존재한다. 선진시대의 각종 문 헌에서도 재해의 기록이 많이 보이며, 중국의 正史인 25사에도 다양한 재해 현상의 기록이 이루어졌다. 재해에 관한 전문기록도 이루어졌는데, 董仲舒 의 災異觀이 바탕이 되어 저술된 뺷漢書뺸 五行志7)가 최초의 재해 전문서라 할 수 있다. 한서 오행지는 재해외에도 神異的인 현상까지도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재해서라고 하기에는 꺼림칙한 면도 없지는 않으나, 재해 현상이 집중적, 체계적으로 서술되어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이후 뺷明史뺸에 이르기까지 주요한 正史에 오행지는 거의 필수적으로 수록되었는데, 재해 를 하늘이 보내는 신호 내지는 꾸짖음으로 간주했던 재해관에 기인한다.

이와 함께 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일찍부터 이에 관한 방안을 강구하였는 데, 이미 뺷周禮뺸의 荒政 12조를 통해 재해 극복에 대한 중요성과 그 대책 이 마련되었다. 이후 漢代에도 각종 會要에 荒政 부문이 정리되어 있다.

민간사회에서도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대책이 마련되어 기록되었는데, 남송대 董煟의 救荒活民書의 편찬이 대표적이다.8) 이후 원․명․청을 거 치면서 수많은 救荒 서적이 출판되었으며, 청대 古今圖書集成의 荒政部 에도 다량의 황정 관련 기록이 수록되었다. 최근에는 뺷中國荒政書集成뺸9)

6) 뺷詩經뺸, 「小雅」 ‘雨無正’, “雨無其極, 傷我稼穡”

7) 五行이란 金, 木, 水, 火, 土인데 주로 지상의 자연과 생물에 나타난 기이한 현상들을 기록한 것이다.

8) 미국의 환경사학자 존 맥닐(John R. McNeill)은 재해와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과거 중국의 환경에 관련된 문자 기록의 풍부함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다만 그는 송대부터 문자 기록이 풍부하다고 서술하였지만, 실제 중국의 재해 기록은 선진시기부터 많은 기록을 남기고 있고, 인구, 농업, 수리, 어업, 삼림, 목장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있는 것이 특징이다. 約翰․麥克尼爾(John R, McNeill), 「由世界透視中國環境史」, 뺷積漸所至 -中國環境史論文集뺸(上), 中央硏究員經濟硏究所, 1995, 53쪽.

(5)

이 총 12책으로 출간되었으며, 남송에서 청대까지 다량의 황정 서적 내용이 수록되었다. 이처럼 문자로 재해에 대한 현상 인식 극복방안을 기록하는 것 은 문명 사회의 일반적 모습이라 할 수 있지만, 중국의 경우 질적 양적인 차원에서 재해와 그에 따른 구황 기록의 축적 성과는 압도적이다.

이런 다양한 기록의 존재는 근대 학문의 도입과 함께 과거의 재해를 연 구하는 물적 토대로 되었다. 재해 관련 문자 기록이 부재한 경우 식물학 고 고학 등 인접 학문 분야의 도움으로 주된 연구가 수행되지만, 중국의 경우 는 문자 기록에 기반 한 재해 연구가 가능하였다. 이는 자연과학적 경향이 농후한 역사지리학 방면의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한 재해사 연구가 활성화 되는 계기로 되었다. 즉, 문자 기록의 탄탄한 토대 위에 자연과학적 연구와 연계한 역사지리학의 재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이 중국 재해 연구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이다.10)

한편 문자 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학의 경우에는 오히려 재해사 연구 가 홀시되었던 경향이 있었다. 그것은 재해라는 사회적 현상은, 인간이 극 복해야 하거나 미리 예측해야 하는 하나의 사건으로 파악되면서, 실용적 경 향이 강한 자연과학적 연구에 비중이 두어져 역사학의 연구 비중이 상대적 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이에 대한 반성으로 재해사 연구는 하나의 붐이라 할만큼 많이 수행되고 있으며, 몇몇 분야에서는 재해 자체에 대한 연구를 벗어나 재해와 사회와의 관계 내지는 사회의 구조와 연관된 부분에까지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본고는 위와 같은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의 재해 연구에 대한 연구사적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재

9) 李文海, 中國荒政書集成(12冊), 天津古籍出版社, 2010.

10) 최근 재해 연구의 자연과학적 성향에 대한 비판이 나왔지만, 재해 연구란 본질적으로 자연과학적 속성을 가진다라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역사학자인 夏明方이 전자를, 역사지리학자인 卜风贤이 후자를 대표한다. 夏明方, 「中国災害史研究的非人文化倾 向」, 뺷史学月刊뺸, 2004-3; 卜风贤, 「灾害史研究的自然回归及其科学转向」, 뺷河北学 뺸 2019-6. 참조.

(6)

해, 재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근대 학문이 본격 적으로 이루어진 192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다양한 분야에걸쳐 수행되었 던 재해, 재난사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중국은 재해, 재난이 많이 심각하게 발생했던 나라이며, 일찍부터 이에 대 한 인식과 대책을 강구 했던 기록이 존재한다. 이런 기록을 통해 다양한 학 문 분과에서의 재해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실상 이런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 기가 쉽지 않다. 본고는 이런 상황 속에서 역사지리학과 역사학 분야에서 수행 된 연구사적 동향에 대해 파악해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나아가 역사학 적, 내지는 인문학적인 시각에서의 재해 재난 연구는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 는지를 염두에 두면서 중국의 재해 연구를 시작하는 향후의 디딤돌로 삼고 자 한다.

2. 역사지리학 및 자연과학에서의 재해 연구

중국에서의 재해 연구는 역사지리학과 역사학 두 학문 분과에서 주로 수 행되어왔다. 특히 역사지리학의 경우에는 자연과학과의 협동 내지는 ‘환경 사’적인 시각에서 기후 변화와 그로 인한 생태의 변화에 주목하였으며, 주 로 기후변화, 환경변화와 재해의 발생의 규칙성, 공간적 특징 등을 중심으 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중국의 기후변동 역사에 대한 연구 전통은 상당히 오래되었으며, ‘역사기후’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90년대 이후에는 환경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역사 기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2.1. 재해와 기후 변화

중국에서 기후 변화를 중심으로 자연 재해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 은 1920년대부터이다. 당시에 재해사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7)

근대 학문의 본격적 도입과 함께 이 시기 화북지역에 대규모 기근과, 海原 大地震과 같은 대재난이 있었던 영향이기도 하다.11) 1927년 竺可楨이 발 표한 「直隶地理的环境与水灾」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연구이다. 그는 기 상학 이론과 지리학 지식을 결합하여 청대 이래 직예 지역의 수재 발생의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역사지리학 방면 자연 재해 연구의 선구를 이루는 것 으로 평가된다.12)

1930년대에 들어서 長江과 淮河 유역 홍수의 빈발로 인해 재해 연구의 동기가 더해졌고, 여기에 고고학의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고대 중국의 기후 를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선도적으로 역사 기 후 복원에 매진했던 竺可楨은 1973년 최종적으로 「中國近五千年來氣候 變遷的初步硏究」13)라는 연구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기후 이변과 기상 재해 연구의 모범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기상과학원의 주도로 홍수 사료를 정리 수집하여, 1470~1979년까지의 역대 홍수 가뭄 분포도를 정리한 뺷中 國近五百年旱澇分布圖集뺸, 뺷中国近五百年旱涝分布图集续补(1980∼19 92)뺸14)이 출판되면서 이후 기후 변화에 대한 계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

11) 해원대지진은 1920년 12월 16일 甘肅省 海原縣(현재의 寧夏回族自治區区 海原縣)에 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8.5급의 초강력 지진이며, 중국 역대 지진 기록 중 최고 강력한 지진의 하나로 평가된다. 1976년 당산대지진의 11배나 되는 파동폭이 있었으며, 약 2억톤 의 TNT 폭발과 비슷한 규모로, 전세계 96개 지진관측소에서 관측되었으며, 여진이 3년 간이나 계속되었다고 한다. 당시 약 23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명대 嘉靖大地 震과 당산대지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온 지진이다. 刘 伟, 「世纪劫难—一九 二O海原大地震85年祭(文摘)」(宁夏新闻网: www.nxnews.net 2005-5-29 13:20:06);

文匯報 2007-1.17. 「海原地震遺址:不滅的災難烙印」

12) 竺可楨, 「直隶地理的环境与水灾」, 뺷科学뺸 12-12, 1927.

13) 竺可楨, 「中國近五千年來氣候變遷的初步硏究」, 뺷中國科學뺸 1973-2.

14) 中央气象局气象科学研究院 主编, 뺷中国近五百年旱涝分布图集뺸(地图出版社, 1981)과 뺷中国近五百年旱涝分布图集续补(1980-1992)뺸(气象出版社, 1993)에서는 역 사적 가뭄과 홍수의 재해를 평가하는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방법으로는 사료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각지의 강수 상황을 나타낸다. 즉 1등급-홍수, 2등급-약간 홍수, 3급-정상, 4급-약간 가뭄, 5급-가뭄이다.

(8)

다.15)

하지만 90년대 이후 환경사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각 단대 및 개별 지역 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축가정의 관점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그것은 큰 틀에서 지구온난화 논의와 맞물려 기후변동의 지구적인 동시성 문제와 관련한 논의로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유럽의 중세 온난기와 중국의 중세 온난기의 연대적 차이가 약 300년에 걸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90년대 이후 재해와 기근이 빈발하게 되었던 근본 원인으로 환경변 화, 특히 기후변동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동이 당대의 중국 사 회와 왕조의 명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 다.16)많은 연구들은 주요한 왕조교체의 격변기에 한랭한 기후를 배경으로 극심한 가뭄과 蝗災 등 재해가 배경으로 되었다고 강조한다.17)대체적으로 는 축가정의 논지에 대해 동의하면서도 일부 다른 차이점에 대해서 다른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 정도이다.18)

15) 中央气象局研究所编, 뺷气候变迁和超长期豫报文集뺸, 科学出版社, 1977; 张家诚 等, 「近五百年我国气候的几种振动及其相互关係」, 뺷气象学报뺸, 1979-2; 王绍武 等,

「近五百年我国旱涝史料的分析」 뺷地理学报뺸 34-4, 1979); 张丕远 等, 「十六世纪以 来中国气候变化的若干特徵」, 뺷地理学报뺸 34-3, 1979; 张德二, 「中国南部近500年冬 季温度变化的若干特徵」, 뺷科学通报뺸 1980-6; 徐瑞珍, 「我国近五百年旱涝的初步 分析」, 뺷全国气象变化学术讨论会文集(1978年)뺸, 科学出版社, 1981; 陈玉琼, 「我国 东半部近五百年旱涝变化与地震活动」, 뺷科学通报뺸 1983-11.

16) 刘志刚, 「“靠天吃饭”:災荒史视野下的明代中后期商品经济」, 뺷中南大学学报(社 会科学版)뺸 17-4, 2011.

17)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뺷이화사학연구뺸 43, 2011; 동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소빙기 기후변동」, 뺷역사와 경계뺸 77, 2010 을 참조.

18) 葛全胜․方修琦․郑景云, 「中国历史时期温度变化特征的新认识」, 뺷地理科学进 뺸 21-4, 2002-7.

(9)

<표 1> 竺可楨(1972), 「中國近五千年來氣候變遷的初步硏究

분류 기간 시대

1 온난기 B.C.3000~1000 앙소하상

한랭기 B.C.1000~850 서주

2 온난기 B.C.770~기원초 춘추전국전한

한랭기 기원초~600 후한삼국,남북조

3 온난기 600~1000,북송

한랭기 1000~1200 북송,남송,,

4 온난기 1200~1400 남송

한랭기 1400~1900,

2.2. 재해자료 정리

역사지리학 방면 재해 연구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는 방대하고 다양한 유 형의 재해 재난 기록을 대상으로, 그것을 통계 수치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나아가 아카이브를 생산해내고 있다는 점이다.19)중국은 상대의 갑골문에서부터 여러 형태의 재해 관련 기록이 보이며, 후대 수많은 종류의 문헌에서 재해의 기록이 나타난다20). 사실 이들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 고 관련 연구에 활용하는 것은 재해 연구의 가장 기본일 것이다.

이러한 재해 관련 자료 편찬은 자연과학자들의 재해학의 시각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즉, 재해의 유형, 원인, 빈도, 주기와 규칙 등을 주제로 한 전문 연구의 형태이다. 20년대에 시작된 재해 관련 연구는 자연재해가 빈발했던 당시의 상황에서, 자연을 인식하고 개조하여 재해를 구제 방지한다는 것이 연구의 중점으로 되었다. 이미 1920년대 이런 종류의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

19) 夏明方, 「大数据与生态史: 中国灾害史料整理与数据库建设」, 뺷清史研究뺸 2015-2.

20) 약 3000년 전 商나라 시기 갑골문에 보이는 ‘災’자의 모습은 등인데, 형태는 물길이 막힌 후에 강물이 범람하는 모습이며, 어떤 것은 홍수 범람으로 파도가 도도하게 흘러가는 모습이다.

(10)

는데, 특히 뺷地理学资料뺸, 뺷地理学报뺸등의 학술잡지에서 발표되었다. 특 히 1932년에 발표된 「清代災荒 : 一個統計的研究」는 청대 재해 기록에 대한 통계 작성 연구이다. 그는 사회학의 입장에서 전체 청대 재해 발생의 빈도에 대해 계량 분석의 방법으로 통계표를 작성하였다.21) 이후 많은 학 자들에 의해 중국의 재해에 대한 다량의 통계작업이 이루어졌으나, 그것들 은 각기 다른 함의와 차이점을 지닌다.

A.Hosie A.Hosie

A.HosieA.HosieA.Hosie와 와 陈达陈达陈达陈达는 는 11111년마다의 년마다의 년마다의 년마다의 통계를 통계를 통계를 통계를 작성하여작성하여작성하여작성하여, , , , , 등운특의 등운특의 등운특의 등운특의 통계 통계 통계 통계 중에서 중에서 중에서 중에서 ‘‘‘‘‘각 각 종의 종의 종의 종의 A.Hosie와 陈达는 1년마다의 통계를 작성하여, 등운특의 통계 중에서 ‘각 종의 재해기재

재해기재 재해기재

재해기재 중에서 중에서 중에서 중에서 재해 재해 재해 재해 피해의 피해의 피해의 피해의 경중과 경중과 경중과 경중과 재해 재해 재해 재해 지역 지역 지역 지역 범위의 범위의 범위의 범위의 차이를 차이를 차이를 차이를 논하지 논하지 논하지 논하지 않았고않았고않았고않았고, , , , , 동일 동일 동일 동일 재해기재 중에서 재해 피해의 경중과 재해 지역 범위의 차이를 논하지 않았고, 동일 행정구역의

행정구역의 행정구역의

행정구역의 여부도 여부도 여부도 여부도 논하지 논하지 논하지 논하지 않았고않았고않았고않았고, , , , , 11111년 년 중에 중에 중에 중에 발생한 발생한 발생한 발생한 것은 것은 것은 것은 모두 모두 모두 모두 한차례로 한차례로 한차례로 한차례로 계산했다계산했다계산했다계산했다’’’’’

행정구역의 여부도 논하지 않았고, 1년 중에 발생한 것은 모두 한차례로 계산했다’

고 하였다하였다하였다하였다. . . 陈高傭 陈高傭 陈高傭 陈高傭 등이 등이 등이 등이 편찬한 편찬한 편찬한 편찬한 뺷뺷뺷뺷中国历代天中国历代天中国历代天中国历代天灾灾人人祸祸表表뺸뺸뺸뺸는 는 매 매 하나의 하나의 하나의 하나의 기록을 기록을 기록을 기록을 하나하나하나하나 고 하였다. 陈高傭 등이 편찬한 뺷中国历代天灾人祸表뺸는 매 하나의 기록을 하나

의 단위로 단위로 단위로 단위로 삼았다삼았다삼았다삼았다. . . 즉 즉 이들 이들 이들 이들 통계에서 통계에서 통계에서 통계에서 포함하는 포함하는 포함하는 포함하는 시공간 시공간 시공간 시공간 범위범위범위범위, , , , , 재해의 재해의 재해의 재해의 종류가 종류가 종류가 종류가 서로 서로 서로 서로 달 의 단위로 삼았다. 즉 이들 통계에서 포함하는 시공간 범위, 재해의 종류가 서로 달 랐고

랐고

랐고랐고, , , , , 사료의 사료의 사료의 사료의 선택도 선택도 선택도 선택도 일관되지 일관되지 일관되지 일관되지 않고않고않고않고, , , , , 통계 통계 통계 통계 방법의 방법의 방법의 방법의 차이도 차이도 차이도 차이도 커서 커서 커서 커서 결과가 결과가 결과가 결과가 천차만별이었천차만별이었천차만별이었천차만별이었 랐고, 사료의 선택도 일관되지 않고, 통계 방법의 차이도 커서 결과가 천차만별이었

고, , , , , 데이터의 데이터의 데이터의 데이터의 과학성도 과학성도 과학성도 과학성도 부족하여 부족하여 부족하여 부족하여 역사문제로 역사문제로 역사문제로 역사문제로 해설하기에는 해설하기에는 해설하기에는 해설하기에는 매우 매우 매우 매우 제한적 제한적 제한적 제한적 상황이었다상황이었다상황이었다상황이었다. . . 고, 데이터의 과학성도 부족하여 역사문제로 해설하기에는 매우 제한적 상황이었다.

현재까지 현재까지 현재까지

현재까지 비교적 비교적 비교적 비교적 권위를 권위를 권위를 권위를 인정받고 인정받고 인정받고 인정받고 광범위하게 광범위하게 광범위하게 광범위하게 인용되는 인용되는 인용되는 인용되는 등운특의 등운특의 등운특의 등운특의 통계도 통계도 통계도 통계도 엄격하게 엄격하게 엄격하게 엄격하게 현재까지 비교적 권위를 인정받고 광범위하게 인용되는 등운특의 통계도 엄격하게 말하자면

말하자면 말하자면

말하자면 그다지 그다지 그다지 그다지 정확하지 정확하지 정확하지 정확하지 않다않다않다않다 말하자면 그다지 정확하지 않다22)22)22)22)22)

라고 한 것처럼 이 시기 많은 역사상 재해 통계작업이 이루어졌지만, 과학 적 객관성 방면에서는 한계성이 있는 상태로 진행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과 그로 인한 정치적 혼란이 벌어진 가운데, 1939 년 天津 海河의 대홍수와, 1942년~43년 河南을 중심으로 한 대기근이 발 생했다. 후자의 경우 영화 ‘1942’로 만들어져 그 당시의 참혹한 상황이 재현 되기도 하였다. 이런 쉽지 않은 상황속에서 재해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여 결과물을 나오곤 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앞서 언급한 陈高傭 등이 편찬한 뺷中国历代天灾人祸表뺸이다.

21) 王树林, 「清代灾荒 : 一个统计的研究」, 뺷社会学界뺸 6, 1932.

22) 杨双利, 「清代灾赈数据的生成及相关问题-以乾隆朝为中心的考察-」, 뺷清史研究뺸 2018-3.

(11)

<그림 1> 영화 ‘1942’ 포스터

1949년 이후 중국 정부와 과학 연구 기관에서 재해사 연구를 중시하면서 과학자들을 동원하여 풍수해, 지진 등 재해와 관련된 문헌 자료를 대규모로 정리했다. 그 결과 중국의 기후, 지진, 각종 재해에 관한 기본 자료가 축적 되었다. 당시의 연구들은 사실상 두 가지 면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어졌 다. 하나는 대규모 자료 정리가 축적이라는 성과이며, 다른 하나는 자연 재 해의 규칙성에 관해 비교적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23)

다만 이러한 재해사 자료의 정리 작업 과정에서 역사학은 보조적 지위에 머물렀기 때문에 재해의 사회적 영향 등의 논의에 대해 독립적이고 깊이 있는 토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자연과학자가 주도하는 연구에서 이러한 일방성은 피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예컨대 사료 정리라는 부분에서 보자면

“편찬 목적의 제한으로 인해 역사시기의 재해기록에만 초점이 맞추어졌고, 재해를 구제하는 방면의 문헌 관련해서 충분한 주목과 중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24) “사람이 맡았던 역할’ 및 재해의 ‘인류 사회에 대한 영향은 왕왕 자세히 다루어지지 않았으며 … 사회 반응에 관련된 부분도 늘상 버려지고 취급되지 않았다.”25)

23) 夏明方, 뺷民国时期自然災害与乡村社会뺸. 北京:中华书局, 2000, 7~15쪽.

24) 夏明方, 뺷中国荒政全书뺸 第1辑. 北京: 北京古籍出版社, 2003.

(12)

최근에는 자료의 정리를 바탕으로 개별 연구자의 연구에서도 다양한 유형 의 재해에 대한 시공간 분포와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가 많이 보인다.26)특히 기상과 관련된 재해 정보를 바탕으로 재해분포지도를 제작하는 것은 중요한 성과 중의 하나이다. 뺷中国自然災害地图集뺸(科学出版社, 1992), 뺷中国气 候災害分布图集뺸(海洋出版社, 1997), 뺷中国自然災害系统地图集뺸(科学 出版社, 2003), 뺷中国重大自然災害与社会图集뺸(广东科技出版社, 2004) 등이 최근에 출간된 대표적 재해지도이다. 최근에는 GIS(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이용해서 다양한 형태의 재해에 대한 시공간적 표출을 시도하고 있는 연구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출간된 뺷中国三千年疫灾史料汇

25) 夏明方, 「中国災害史研究的非人文化倾向」, 뺷史学月刊뺸 2004-3.

<그림 2> 명대 전염병 공간분포도(CHEDGIS)

(13)

编뺸27)은 지방지 등을 포함한 약 8천종의 재해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이루어 진 업적이며, 중국역사역재지리정보시스템(CHEDGIS)이라는 역사지리정 보시스템을 이용한 전염병 역사지도 편찬까지 함께 수행되었다.28)

2.3. 재해의 규칙성, 공간성 문제

앞서 언급했듯이 역사지리학을 중심으로 한 지리학에서는 재해 발생의 규율과 자연 재해의 시공간 분포 특징 등을 주로 연구하였다.29)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분석, 회귀 분석 등, 주로 수리 통계 기법을 통해 제시한다. 이 런 작업은 중국 재해사 연구의 독특한 강점으로 수천년 동안의 역사 문헌 에 연속적인 기근 재해, 재난 사건의 기록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해 자료 정보화 처리를 통해 다양한 재해에 대한 각기 다른 척도로 이루 어진 시공간 분포 연구가 수행되었다.

재해의 시공간과 관련하여 1940년대에 이미 중국 학자들은 역사 자료의 계량 분석을 통해 시공간 분포의 특징과 규칙성 등을 제시하였다.30) 史念 海로 대표되는 역사지리학자들은 정교한 연구를 통해 역사 자료와 현장 고 고학을 기반으로 숲, 식물, 사막, 강, 호수의 시공간 변화의 추세를 논증하였 다.31) 80년대 이후에는 더욱 정교한 수리 과학 방법과 시간 서열 분석, 족보 분석 등의 기술을 재해사 분야에 도입되어, 재해사 연구의 수리 과학 수준

26) 刘 毅․杨 宇, 「历史时期中国重大自然災害时空分异特征」, 뺷地理学报뺸 67-3, 2012-3; 龚胜生․龚冲亚․王晓伟, 「南宋时期疫災地理研究」, 뺷中国历史地理论丛뺸 2015-1; 张全明, 「南宋时期疫災的时空分布及其特点」, 뺷浙江学刊뺸 2011-2.

27) 龚胜生, 뺷中国三千年疫灾史料汇编뺸(全5卷), 齐鲁书社, 2019.

28) 지도의 출처: http://www.npopss-cn.gov.cn/n1/2016/1201/c358473-28917801.html 29) 赵宗慈․王绍武, 「近百年我国旱涝演变的周期性」 뺷气象뺸 1979-01; 王绍武․赵宗

慈, 「我国旱涝36年周期及其产生的机制」, 뺷气象学报뺸 1979-01.

30) 谢義炳, 「清代水旱灾之周期研究」, 뺷气象学报뺸 1943-01.

31) 史念海 外, 뺷黄土高原森林与草原的变迁뺸, 陕西人民出版社, 1985; 史念海, 뺷河山 뺸, 三联书店, 1963.

(14)

을 크게 향상시켰다.

재해의 규율성과 관련하여서는 기상, 지진 및 과학기술사 관련 전공의 연 구자가 잇따라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陈玉琼, 郑云飞 등은 역사 자연재해 의 발생에는 3년 주기․5년 주기․11년 주기․56년 주기가 있다고 보았 다.32)袁林 등은 역사시기 각 지역의 水․旱․蝗․風․雹 등의 재해 발생 은 유사한 시간 공간 특징이 있다고 간주했다.33)최근에도 역사상 재해의 규율성 관련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지만, 전반적으로 과거의 기존 틀을 벗어나지 못한 느낌이다.

재해의 공간성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동북에서 서남을 연결하는 胡焕庸 线34)과 중국대륙을 남북으로 구분하는 秦淮线35)이 제시되었다. 중국과학 원 지리연구소 소속의 王铮36)이 이런 작업을 주도하였다. 또한 역사상 발

32) 陈玉琼, 高建国, 「中国历史上死亡一万人以上的重大气候災害的时间特征」, 뺷大自 然探索뺸 1984-4; 郑云飞, 「中国历史上的蝗災分析」, 뺷中国农史뺸 1990-4.

33) 袁林, 뺷西北災荒史뺸, 甘肃人民出版社, 1994; 陈家其, 「太湖流域南宋以来旱涝规 律及其成因初探」, 뺷地理科学뺸 1989-1; 宋平安, 「清代江汉平原水災害多元化特征 剖析」, 뺷农业考古뺸 1989-2; 胡人朝, 「长江上游历史洪水发生规律的探索」, 뺷农业考 뺸 1989-2.

34) 일명 黑河-腾冲线이라고도 한다. 黑龙江省 黑河市(瑷珲)에서 일직선으로 中国 西 변경인 雲南省 腾冲市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선이다. 대략 이 선의 동남쪽이 인구분 포상 밀집된 지역이다.

35) 진회선은 秦嶺과 淮水를 기준으로 지리상 중국 남북을 구분하는 경계선이다. 대략 북 위 37도선에 해당한다.

36) 王铮․张圣远․刘啸雷, 뺷中国自然災害的空间分布特征뺸, 뺷地理学报뺸 50-3, 1995-5.

(15)

생한 재해의 공간 분포를 통해 王绍武․赵宗慈는 중국의 가뭄, 홍수 재해 를 5가지로 분류하였다.37)卜风贤은 중국 역사 시대 농업 지역 확장의 일 반과정과 역사적 자연지리 기본적 특징에 따라 전국을 9대 재해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외에도 전국적 또는 지역적으로 가뭄과 홍수 등을 비롯한 재 난의 시공간적 분포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많이 있다. 그러나 재해의 지 역 구분에 관한 연구는 자연 재해의 지역적 차이를 설명했을 뿐, 재해의 공 간적 정체성과 관련한 연구로 나아가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역사 재해 문헌의 고증에 기초한 중대 재해 지역 연구의 강화는 현재 재해 사 연구 분야의 시급한 과제로 보인다.38)

뿐만 아니라 역사지리학자들이 연구한 재해 발생의 규율 규칙성과 관련 하여 역사학계에서는 근본적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역사적 통계에 따 르면 현대에서 고대에 이르기까지 앞선 왕조시기 일수록 재해의 횟수가 적 어지며, 선진시기의 어떤 해는 완전히 공백이 된다는 것이다. 과연 “그 해에 재해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을까”39)또한 이런 연구는“지질시대와 역사 시대를 평행한 시간 계보에 배치하여 종종 양자를 혼동시켰으며, 인간 이 경험할 수 있는 미시적 척도의 생명 시간을 큰 척도로 가리면서 과도하 게 자연적 요소를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강조한다.40)역사학자들 은 “역사지리학자들이 환경의 변화와 재난의 법칙을 설명하는 방법에만 중 점을 두고 있으며, 여기에서 사람들의 역할과 인간 사회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호하게 처리한다고 하면서, 역사지리학자들이 지나치게 자연과 학적 학문경향성을 보인다고 비판한다.”41)

이런 역사지리학에서의 이런 경향성은 중국 근대사 분야에서도 두드러

37) 王绍武․赵宗慈, 「近五百年我国旱涝史料的分析」, 뺷地理学报뺸 34-4, 1979-12.

38) 卜风贤, 뺷周秦汉晋时期农业災害和农业减災方略研究뺸,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6, 58~59쪽.

39) 葛剑雄, 뺷未来生存空间:自然空间뺸, 上海:三联书店, 1998, 177~181쪽.

40) 夏明方, 「中国災害史研究的非人文化倾向」, 뺷史学月刊뺸 2004-3.

41) 앞의 논문.

(16)

진다. 역사학자 戴逸은 1990년대 초 건국 40년 동안 중국 近代史의 연구는 큰 성과가 있었지만, 정치 경제 군사 문화의 각 방면에 관한 저작 논문자료 가 많이 나왔을 뿐, 전면적으로 그러나 근대 중국의 자연재해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저서는 한 편도 없다고 비판하였다. 기존의 자연재해 연표와42)같은 종류의 자료로서는 충분치 않거나 국지적인 상황만 반영되 거나, 특정의 自然災害(지진과 같은)만 수집된 것은 중국 근대사 연구에서 중요한 공백인 셈이다. 하명방은 그의 책 서문에서 이 공백은 당연히 근대 사에서 메워야 할 부분이며, 자연재해를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영향 요소로 환원하고, 자연․사회와 상호 작용하는 시각에서 재해와 정치 운동․재난과 경제 발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재해와 사회와의 관계를 구축해야 하며, 재해․사회와의 상호관계를 연구 대상으로 한 생태사학의 구축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3)

3. 역사학의 재해, 재난 연구

중화민국시기의 역사학자인 傅筑夫는 ‘중국의 정사인 24사는 바로 중국 災荒史이다’고 하였듯이 중국의 역사가 끊임없는 자연재해와 그로 인한 투 쟁과 항쟁의 역사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중국의 역대 정부 및 지식인들은 재난에 대처하는 救災․抗災․防災 등을 매우 중시했다. 그들은 재해 재 난이 발생할 때 마다 개인별, 지방과 중앙의 각급 관청의 기록을 바탕으로, 대량의 사료 축적이 이루어졌고, 다양한 救災 救荒의 경험과 기록이 존재 한다. 갑골문에서부터 보면 중국 재해의 역사는 대략 3천년으로 거슬러 올 라가며, 자료의 풍부함과 연속성은 전세계에서 거의 독보적이다.

이렇듯 풍부한 문자 기록을 배경으로 역사학 분야에서 수행되었던 연구

42) 李文海, 뺷中国近代災荒纪年뺸, 长沙:湖南教育出版社, 1990.

43) 夏明方, 뺷民国时期自然災害与乡村社会뺸, 北京:中华书局, 2000, 9쪽.

(17)

들은 사건으로서의 재해를 다루는 것이 전형적이었다. 역사학자들은 특정 재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실태를 자세하게 사료에서 구축하고, 재해의 원인과 경과와 사회에 미친 영향 등을 고찰한다. 그러나 사건으로서의 재해 사의 경우, 정변이나 사고 등과 마찬가지로 역사상에 발생한 사건처럼 주목 되는 것으로 재해 연구의 특징이 잘 부각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재해 전반을 정리하는 연구가 있지만, 역사상 개별적인 재해를 종합한 것과 같은 형태인 경우가 많다. 다만 중국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했 듯이 수많은 재해 발생시 구황의 기록이 존재하며, 이를 통한 황정 사상 등 이 이미 출현하였다. 즉, 재해 자체에 대한 연구와 함께 구황, 황정 부분에 보다 많은 연구의 초점이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중국의 재해 연구는 주로 재해사와 구황사, 재황사를 중심으로 전 개되어 왔다. 앞서 언급했듯이 고대부터 중국인들은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 게 대응하였고, 특히 天人感應說 내지는 天譴說에 의해 재해를 중시하였 으며, 이를 토대로 재해 기록 전통이 이어져 왔다. 즉, 중국은 재해에 대한 기록과 재해를 구제하려는 구황사상과 대책, 구황 이론 등이 역사적 전통을 지니며 발전해왔다. 중국의 재해 연구는 방대한 기록과 재해 구제 등의 사 회적 수요를 통해 수많은 기록이 남겨졌으며, 이미 탄탄한 기초가 마련되어 있는 셈이다.

3.1. 재해사

중국 재해사 연구는 근대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이 중국에서 확립된 것과 함께 시작되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1920년대 화북 5개성에서 엄청난 큰 규 모의 가뭄과 海原 대지진 후 재해와 관련된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이후에 도 중대한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중국 재해사 연구의 성과가 많아졌는데, 세월호 사건 이후 한국의 재난과 관련한 연구가 두드러졌던 것과 같은 현 상이다.

(18)

朱滸에 의하면 1921년 于树德이 발표한 「我国古代之农荒豫防策—常 平仓, 义仓和社仓」이 이와 관련한 최초의 연구로 간주된다. 그는 일본에 서 유학하여 현대 학문의 훈도를 받은 후 기근 대비, 倉儲 체계의 유형과 역사적 연혁과 기능 병폐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월터 머롤리(Walter H. Mallory)가 1926년 출판한 뺷China: Land of Famine뺸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저작이다. 머롤리는 기근 당시 활동했던 민간구제기구인 ‘華洋義賑 會’44)의 비서를 역임했고, 당시 재해의 현실을 고찰하면서 자연과 사회 두 방면에서의 재해의 발생 이유에 대해 탐구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문화혁명 등의 상황으로 재해사연구도 상당 한 공백기를 맞이하다가 1978 이후 개혁 개방과 대학의 정상화로 인해 재 해사 연구도 다시 시작되었다. 특히 80년대 이후 인민대학의 李文海 등을 중심으로 사회사의 부흥과 함께 재해사 연구가 증가했고45), 이들의 연구는 중국 근대 재해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이들 연구는 ‘災荒史’라는 이름으로 수행되었다. 재황사는 1980년대 이래 일어난 일종의 ‘顯學’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전통적인 정치사, 경제사, 사상사 연구와는 다른 시도이 며, 다른 한편으로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재해 관련 연구의 시도로서, 사회 사의 중요한 분야로 되었다. 재황사는 사회사의 한 분과학문으로서, 역사학 영역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재해학의 이론과 방법 면에서 특유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46)

44) 화양의진회는 1920년 山東, 直隸, 山西, 陝西, 河南의 5개 省에서 발생한 가뭄과 기근 으로 2000만명이 피해를 입고, 50만명이 사망하는 엄중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성립된 구제조직이다. 당시 북경 정부는 엄중한 상황에서 전혀 손을 쓸수 없었고, 이에 당시 서양 선교사들과 민간 義賑紳商들이 이 합작하여 만든 구제조직으로 약 30년후인 1949 년 해산하였다. 이 조직은 민국시기 가장 대규모의 민간구제조직이며 당시 사회에서의 기여와 의의가 높이 평가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華洋義賑會의 기원을 ‘丁茂饑荒’ 당시 서양인 선교사의 山東救濟까지 소급하기도 한다.

45) 李文海 等, 뺷近代中國災荒紀年뺸, 湖南教育出版社, 1990; 李文海 等, 뺷近代中國災 荒紀年續編뺸, 湖南教育出版社, 1993; 張水良 뺷中國災荒史뺸, 厦门大学出版社, 1990;

王振忠 뺷近600年來自然災害與福州社會뺸, 福建人民出版社, 1996.

(19)

재황사라는 이름으로 수행된 연구의 재해사 연구의 주된 패러다임은 재 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다.47) 특히 夏明方의 민국시기 자연재해 와 향촌 사회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중화민국시기 재해사 연구의 공 백을 메꾸어 준 역작으로 높이 평가된다.48)즉, 등탁(등운특)의 뺷中国救荒 史뺸가 통사적 연구라면 하명방의 연구는 단대사 차원의 재해 연구라는 차 별성이 있다. 등탁의 연구는 秦漢에서 明清까지이며, 하명방의 연구시기는 民国시기이다. 전자의 경우 통사적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거시적인 공 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진행되었고, 하나의 구체적 지역에 기반한 연구 는 상대적으로 적다.

하명방의 연구에서 보이듯이, 근대의 재난 관련 자료는 대폭 증가하였고, 때문에 滿淸 민국 시기의 재난 기근 연구는 지역에 기반한 연구로 전환되 는 추세를 보인다. 이로 인해 재해와 사회라는 양자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 구가 더욱 심화되어 갔다. 이런 연구는 대체로 1950-80년대의 정치사적 패 러다임에 따른 연구와 달리 사회사적 연구를 통한 성찰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재난과 그에 따른 일반 국민의 사회생활을 조명함으로써 사회사 연구의 새로운 영역을 넓혀가는 의미로서 평가할 만하다. 중국에서의 재해 사는 재해 자체가 아닌 당시 사회의 상황과 긴밀한 연관선상에서 이해되고 분석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3.2. 구황, 황정사

중국의 구황사상은 유교 고전인 뺷周禮뺸에서 기본적인 황정사상이 제시

46) 孙语圣 徐元德, 「中国近代災荒史理论探析」, 뺷災害学뺸 2011-4.

47) 이 시기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李文海, 뺷災荒与饥馑(1840-1919)뺸, 高等教育出 版社, 1991; 张水良, 뺷中国災荒史(1927-1937)뺸, 厦门大学出版社, 1990; 孟昭华, 뺷中国 災荒史(1949-1989)뺸, 水利电力出版社, 1989; 袁林, 뺷西北災荒史뺸, 甘肃人民出版社, 1994.

48) 夏明方, 뺷民国时期自然災害与乡村社会뺸, 北京:中华书局, 2000.

(20)

되고 있고, 후대의 황정은 사실상 이를 바탕으로 변용 적용되면서 시행되었 다고 할 수 있다.49)특히 재난을 당한 백성에 대한 구휼을 기본으로 하는

‘恤政’은 ‘爲民’을 표방하는 유교적 정치 이상을 정당화하면서 당시 집권자 의 정치적 정당성과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선진시기 황정사상에는 재해 예측사상까지도 이미 출현하고 있다.50)

근대 학문으로서의 救荒史, 재황사 분야의 경우에는, 救荒思想과 救荒 策, 荒政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 분야에서는 鄧拓의 뺷中国救荒史뺸 가 선구적 연구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미 1937년에 출간되었으며 현재까 지 이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51)중국구황사는 중국 고대에서 민 국시기의 재난 상황, 역대 구황사상과 정책의 변화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사실상 최초의 중국 재해 통사라 할 수 있다. 등탁은 ‘재해의 역사는 역사상 災害의 실제 상황과 荒政의 이론 혹은 荒政 정책 둥의 서술에 국한 되어서는 안되며, 각 시기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재해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 지를 설명하는 데까지 그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救 荒史는 일종의 ‘社會病態史’ 혹은 ‘社會病源學史’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견해는 자연 재해와 荒政의 역사가 특수 분야사의 일종으로 국한되어서는

49) 뺷周禮뺸 「地官」․大司徒, “以荒政十有二聚萬民:一曰散利, 二曰薄征, 三曰緩刑, 四曰弛力, 五曰舍禁, 六曰去幾, 七曰眚禮, 八曰殺哀, 九曰蕃樂, 十曰多昏, 十有一 曰索鬼神, 十有二曰除盜賊.” (흉년에는) 荒政의 열두 가지 방법으로 백성을 흩어지지 않게 한다. 그 하나는 씨앗을 대여하는 것(散利)이고, 둘은 징세를 가볍게 하는 것(藏 狂), 셋은 형벌을 완화하는 것(緩刑), 넷은 요역을 가볍게 하는 것(弛力), 다섯은 산림과 습지 등의 이용에 대한 제한을 푸는 일(舍禁), 여섯은 關市에 대한 과세를 취소하는 일(去幾), 일곱은 禮制의 격식을 완화하는 일(眚禮), 여덟은 장례의 격식을 간소화하는 일(殺哀), 아홉은 악기의 연주 등을 삼가는 일(蕃樂), 열은 혼례의 격식을 줄여 결혼을 장려하는 일(多昏), 열 하나는 귀신을 찾아 제사를 올리는 일(索鬼神), 열 둘은 형별을 무겁게 하여 도적을 근절하는 일(除盜賊)이다.

50) 陆晓东, 「先秦时期的救荒防災思想及其现实意义」, 뺷浙江经济高等专科学校学校 校报뺸 2000-4.

51) 등탁의 중국 구황사 연구 의의에 관해서는 李文海 夏明方, 「邓拓与<中国救荒史>」, 뺷清史研究뺸 2009-1, 참조.

(21)

안되며, 해당 시기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긴밀한 상관관계 속에서 분석 서술 되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이런 점은 1998년에 중국에서 발간된 뺷災害歷 史學뺸52)에도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한편 40년대 전쟁과 재해의 빈발 속에서도 의미 있는 재해사 연구가 수 행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王龙章의 뺷中国历代災荒與振济政策뺸과 于 佑虞的 뺷中国仓储制度考뺸를 들 수 있다.53) 전자는 계통적으로 민국시기 구제 제도에 대해 검토하였고, 후자는 중국 창고 제도의 변화 상황 및 그 폐단에 대해 전면적으로 검토한 것이다.54)

救荒策의 경우 시대별 재난 상황과 그에 따른 구황 대책 내지는 황정 사 상 등에 관한 연구가 기본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각 시대 황정의 제도화, 법률화, 황정의 순서와 황정 사상 등이다. 荒政의 경우 그 범위와 폭이 너무 다양하고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어 연구자에 따른 연구 범위 와 분야의 차이가 두드러진다.55)다만 구황 활동 중의 천명관 문제는 학자 들이 특별히 중시한 부분이다. 등탁은 이와 관련 구황사상 중의 天命 禳弭 論56)이 사회 조건의 한계로 봉건시대에 계속 존재했다고 보았다.57)

1980년대 이후 사회사 방면에서 황정58)연구가 획기적으로 진전되었는데 대표적인 저서로 李向军의 뺷清代荒政研究뺸가 손꼽힌다.59) 그는 隋唐과

52) 張建民․宋險, 뺷災害歷史學뺸 湖南人民出版社. 1998.

53) 王龙章, 뺷中国历代灾况与振济政策뺸, 重庆: 独立出版社, 1942.; 于佑虞, 뺷中国仓储 制度考뺸, 南京: 正中书局 1948.

54) 朱 浒, 「中国灾害史研究的历程、取向及走向」, 뺷北京大學學報뺸(哲學社會科學版) 55-6, 2018.11, 132쪽 참조.

55) 叶 珊, 「从两宋之际災荒状况看其救荒及荒政思想」, 뺷文教资料뺸 2011-28.

56) ‘禳弭’이란 초자연적 힘을 빌어서 재난을 구제하려는 기원, 기도를 의미한다.

57) 李华瑞; 「王海鹏, 朱熹的禳弭救荒思想述论」, 뺷中国农史뺸 2004-3.

58) 谷文峰․郭文佳, 「清代荒政弊端初探」, 뺷黄淮学刊뺸, 1992-4; 吕美颐, 「略论清代災 娠制度中的弊端与防弊措施」, 뺷郑州大学学报뺸, 1995-4; 李文海, 「晚清义娠的兴起 与发展」, 뺷清史研究뺸 1993-3; 刘五书, 「论民国时期的以工代娠救荒」, 뺷史学月刊뺸, 1997-2.

(22)

宋代을 거쳐 荒政이 무르익어갔지만, ‘전성기 단계’는 청대였다고 강조한 다. 또한 구황의 기본 절차, 구황 비황 조치, 황정과 재정, 황정과 吏治 등 다양한 방면에서 청나라의 황정에 대해 거시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외에 최근에 武艳敏의 뺷民國時期社會救濟硏究뺸60)와 孙绍骋의 뺷中国救災制 度研究뺸61)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제도나 사상을 검토하는데 집중 하였을뿐 황정의 운영과정 등에 대한 자세한 고찰은 보이지 않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프랑스 학자 P. E. 빌의 저서 뺷18세기 중국의 관료제 도와 자연재해뺸62)은 황정 운영과정 중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주었다. 그 는 제도적 규정뿐 아니라 황정의 실천을 검증하면서 정부와 사회, 중앙과 지방의 상호관계 및 이재민의 생활 양태 등을 복잡한 문제를 노출시킨다.

그는 제도사를 이용하여 중요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제기하거나 답변할 수 있는 하나의 패러다임을 제공했다고 평가된다.63)즉, 사회사적 시각에서 황 정의 제도사를 연구하면서, 제도사에서 사회사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뤄 냈다고 할 수 있다.

제도사 측면에서 보자면 기근 대책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官賑(관주 도의 진휼)’과 ‘義賑(민간주도의 진휼)’인데, 일반적으로 이 두 가지 경로로 전개되었다.64)이와 관련 王叶红은 1906년 발생한 재해 구제를 예를 들면 서, 義賑을 ‘근대화’의 틀에 넣어 고찰하면서, 그것이 근대 문명의 특징으로 나타난 재해 구제의 형식이라 보았다. 즉, ‘民捐民辦”은 역사의 진보이며,

59) 李向军, 뺷清代荒政研究뺸, 中国农业出版社, 1995.

60) 武艳敏, 뺷民国时期社会救济硏究뺸, 社會科學出版社, 2014.

61) 孙绍骋, 뺷中国救災制度研究뺸, 商务印书馆, 2004.

62) Pierre-Etienne Will, Bureaucracy and Famine in Eighteenth-Century China, Stanford, Calif. :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P. E. 빌 (정철웅 옮김), 뺷18세기 중국의 관료제도와 자연재해뺸, 민음사, 1995; 魏丕信, 徐建青译, 뺷18世纪中国的官僚 制度与荒政뺸, 南京:江苏人民出版社, 2003.

63) 평론은 이 책 목차 앞페이지의 1980년 프랑스판 평론이다. 魏丕信, 徐建青译, 뺷18世纪 中国的官僚制度与荒政뺸(中译本), 南京:江苏人民出版社, 2003年.

64) 夏明方․清 季, 「丁戊奇荒”的赈济及善后问题初探」, 뺷近代史研究뺸 1993-2.

(23)

이후에 ‘官義合辦’이 나타나는 것은 또 한 걸음의 진보’라고 보았다.65) 국 가 황정체계가 쇠퇴하면서 민간이 주도하는 사회적 구제가 중요한 사회적 통합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근대, 국가-사회의 이원화된 틀로서 ‘義賑’을 고찰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예컨대, 蔡勤禹의 華洋義赈会의 연구에서는 비록 ‘정 부의 軟化’가 자발적 민간 구제 조직의 활동의 중요한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구황 실천 방면에서는 사실상 민간과 정부의 역할이 착종된 상태였다고 하 였다.66)朱浒의 뺷地方性流动及其超越—晚清义赈与近代中国社会뺸에서 도 ‘전통과 현대를 둘러싼 내부적 동력과 외부의 충돌, 국가와 사회, 지방성 과 보편성’ 등 다양한 층차에서 국가와 사회, 지방성과 보편성 등의 문제를 여러 차원에서 설득력 있게 분석되었다.67)

재해에 대비하는 창고의 저장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도 적지 않다. 일찍이 1921년에 于树德은 당시의 화북 지역 가뭄에 대해 창고 저장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68) 1980년대 이후 근대식 창고 제도를 연구한 林化, 康沛竹 등 은 청나라의 쇠락과 함께 창고제도도 쇠퇴했다고 한다.69)그 외 陈守实, 段 自成, 赵新安, 吴定安, 牛敬忠, 张岩 등도 당나라 때부터 청나라 때까지의 사창과 상평창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연구 내용은 창고의 탄생, 발전, 운행 기제 및 그 폐단 방면과 관련된 것이다. 高惠冰, 冼剑民 등은, 廣東 佛山 지역 의창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경영방식이 이전과 다르며,70) 지역적 으로도 불산 의창과 주장 삼각주의 다른 의창의 차이가 크다고 한다. 陈春

65) 王叶红, 「光绪三十二年徐淮海災赈中的官义合办」, 뺷江西社会科学뺸 2001-12.

66) 蔡勤禹, 뺷民间组织与災荒救治—民国华洋义赈会研究뺸, 北京:商务印书馆, 2005;

뺷民国以来慈善救济事业研究뺸, 天津人民出版社, 2010.

67) 朱 浒, 뺷地方性流动及其超越-晚晴义赈与近代中国的新陈代谢뺸, 北京:中国人民 大学出版社, 2006.

68) 于树德, 「我国古代之农荒豫防策-常平仓」, 社仓和义仓뺸, 뺷东方杂志뺸 1921-07,08.

69) 康沛竹, 「清代仓储制度的衰败与饥荒」, 뺷社会科学战线뺸 1996-3.

70) 高惠冰, 「清代前期的佛山义仓」. 뺷华南师范大学学报뺸(社科版), 1985-3.

(24)

声은 廣東省의 창고를 사회사적으로 고찰하면서 거시적 사회 문제의 시각 에서 그 변화는 “기층사회통제권의 이전 과정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발전 의 역사적 흐름을 반영한다”고 하였다.71)

요컨대, 기근에 대응 연구는 물론, 황정, 의진에서 창고에 이르기까지 갈 수록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연구는 대부분 제도의 ‘표 현’ 차원에서 검토되고 있고, ‘실천’ 차원의 내용은 그다지 중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재해 구제 제도의 실제 운용을 어떻게 검토할 것인가는 향후 의 재해사 연구에서 강화되어야 할 부분이다.

4. 나가며

앞서 보았듯이 중국의 재해사 연구는 방대한 기록의 토대 위에 자연과학 및 역사지리학에서의 환경사 시각의 연구가 기후의 변화와 재해의 발생, 재 해자료의 집성 및 DB의 축적, 재해의 공간성 규율성 등의 문제를 다루었음 을 살폈다. 역사학에서는 전통적인 통사로서의 재해사 연구와 함께 최근에 는 사회사 시각에서의 당해 사회를 투영하는 잣대로서의 災荒史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황정사 영역에서는 구황․황정․황정사 상․救濟의 주체로서 민간과 국가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는 특정 재해와 관련된 구체적인 접근과 지역을 단위로 하는 연구가 주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많은 새로운 연구들은 재 해 자체에만 초점을 맞춘 초기의 한계를 돌파하고, 각 학문간 통합과 시각 전환을 거쳐 재해사는 보다 광범위하고 심도 있는 문제로의 연구공간의 확 대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71) 陈春声, 「论清代广东的常平仓」, 뺷中国史研究뺸, 1989-3;同, 「清代广东社仓的组 织与功能」, 뺷学术研究뺸 1990-1; 同, 「论清末广东义仓的兴起-清代广东粮食仓储研 究之三」, 뺷中国社会经济史研究뺸, 1994-1.

(25)

이렇듯 최근 중국에서 다양한 재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전체적으로 보면, 재해 연구에서 인문학 분야, 특히 역사학의 비중은 상 대적으로 크지 않는 상황으로 평가된다.72)사실상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 래 1978년 개혁개방 시기 이전의 재해사는 역사지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 자들의 연구가 주류였으며, 당연히 연구의 최일선에 있었다.73)이런 상황이 초래된 주요 원인으로는 이 시기의 재해 내지는 재해사 연구는 강한 현실 적 수요에 의해 견인되었으며, 국가 사회의 회복과 발전, 경제건설, 안전보 장 등에 중점이 두어졌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시기의 역사학 분야의 연구 는 자연과학과 자연과학 성향의 역사지리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보조적 위치였다. 때로는 역사학자들은 재해 자료 정리 등의 부수적 작업에 동참했을 뿐이다. 물론 역사학에서도 기존의 정치사, 경제사 등의 분야에 비해 재해사를 주된 연구 영역으로 인식하지 않았던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이렇듯 역사학자들이 재해 연구를 중시하지 않았던 상황 및 그것으로 인 해 조성된 ‘비인문화경향’은 중국 재해사 연구의 진전을 제약하였다.74)즉, 재해에 관한 압도적 다수의 문헌 기록은 역사학 연구의 장점이지만, 전체적 으로 본다면 재해 연구에서 자연과학 내지는 역사지리학의 연구 성취가 더 욱 부각되는 것은 사실이다.

개혁 개방 이후, 역사학이 유물사관에 기반한 교조주의의 속박을 벗어나 새로운 연구 영역으로 나아가면서 재해사 연구도 다시 역사학의 시야에 들 어갔다. 1980년대 중엽부터 李文海는 ‘사학위기’를 통감하면서 中国人民 大学에 ‘近代中国灾荒研究课题组’를 만들고, 일부 연구자와 학생들이 동 참하면서 중국 재해사 연구의 주요 거점으로 되었다. 이후 역사학 연구자들 의 이 영역의 성과가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90년대부터 현저화

72) 卜风贤, 「灾害史研究的自然回归及其科学转向」, 뺷河北学刊뺸 2019-6.

73) 朱 浒, 「中国灾害史研究的历程、取向及走向」, 뺷北京大學學報뺸(哲社科) 55-6, 2018.11, 122쪽.

74) 夏明方, 2004.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인들은 높은 연봉보다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내가

りhis잠book여맥보잠is잠a잠역an복a여잠매맥scribing잠

 원자력의 생산과 이용에 따른 방사선 재해 등의 각종 위 험으로부터 국민과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방사선 누출사 고의 방지와 사고가 발생한

도시민은 과밀과 혼잡의 일상 속에서 누적되는 피로를 농업체험을 통해 해소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하여 가족이 함께 소비한다..

목적: 인위적 재해 고려 보조급수펌프 현장제어반에 전기 공급 (필요시 임시팬, 임시조명에 전기 공급).. 사양: 디젤구동, 8시간

이렇게 얻은 많은 정보들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하면 새롭게 재생산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 할 수

앞서 데이터 기록이 무엇인지, 예술·식품·기술·의료분야의 데이터 기록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 기록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 기록이 사회에 미친 영향은

행정규제기본법은 물론 다양한 규제개혁 논의에서 규제완화, 즉 국가개입의 축소는 중요한 주제로 다뤄지고 있다. 우리 현실에서도 이미 다양한 영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