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06.10 심사기간_2018.07.01-16 게재확정일_2018.07.30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ore Competency Development for Design Entrepreneurship

최동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황선진(교신저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Choi, Dong Eun_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Hwang, Sun Jin_Division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차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디자인 창업 2.2. 핵심역량

3. 연구문제 및 방법 3.1. 연구문제 3.2. 연구절차

3.3.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디자인 역량 4.2. 네트워크 구축 역량 4.3. 자금조달 역량 4.4. 기업가정신 역량 4.5. 자산관리 역량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2)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ore Competency Development for Design Entrepreneurship

최동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황선진(교신저자),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Choi, Dong Eun_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Hwang, Sun Jin_Division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요약 스마트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어 고객의 세분화된 욕구를 만족시키는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창업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많은 기업들이 회사 운영에 어려움과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디자인 창업의 체계성 확립과 핵심역량의 규명을 주장하였으나, 국내에서 는 국내환경에 맞는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필요시엔 비슷한 다른 영역의 핵심역량을 차용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함으로 써 관련분야에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디자인 창업자의 개별 심 층 인터뷰와 디자인 창업자 인터뷰 기사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하였으며, MaxQDA 12 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통해 녹취된 내용을 전사하여 반복적으로 비교분석하며 정리하였다. 이후 내용타당도 검 증을 위하여, 4인의 전문가와 함께 핵심역량 및 역량에 대한 범주화 결과와 조작적 정의가 적합한지를 검증하 였다. 그 결과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은 디자인 역량(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디자인 기술, 시장조사), 네트워크 구축 역량(협력업체 관리, 고객관리, 인사관리), 자금조달 역량(자금지원 활용, 프레젠테이션), 기업가정신 역량 (비즈니스 모델 구축, 리더십, 문제해결, 자기개발), 자산관리 역량(브랜드 가치, 자금운용, 세무회계)으로 5개의 핵심역량과 15개의 하위역량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디자인 창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된 연구 를 수행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우리나라 디자인 창업 실정에 맞는 디자인 창업 핵심역량 척도개 발을 위한 토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that meets the customer's specific needs started to rise in the digital era, so did the increase in entrepreneurs that focused on design. However, many corporations experience difficulties and setbacks in company management for various reasons.

Consequently, many researchers have argued for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design entrepreneurs and an examination of its core competencies, but a framework of core competencies fit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has yet to be developed, warranting the use of core competences from similar fields whenever necessary. Hence, this research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educt the core competencies of design entrepreneurship, with the purpose of creating a more systematic and empirical foundation than those of related fields. The study derived the core competencies of design entrepreneurship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design entrepreneurs and the analysis of such interviews, and MaxQDA 12 was used to transcribe the interview recordings and repeatedly compare and analyze its contents. Then, to ensure content validity, four experts judged the strength of the findings on scale development and the suitability of operational definitions regarding core competencies and other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5 core competencies and 15 sub-competencies proved to be design competency(development of creative ideas, design technology, market research), network construction competency(partner management, customer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funding competency(utilization of funds, presentations), entrepreneurial competency (business model building, leadership, problem solving, self-development), and asset management competency(brand value, fund management and tax accounting).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esign startups in Korea and facilitate related research. Furthermore, it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scal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 domestic design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중심어

디자인 창업 창업 핵심역량 질적 연구

ABSTRACT Keyword

Desig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Core Competency Qualitative Study

(3)

1. 서론

21세기 초연결 스마트 사회에서는 다양한 산업과 기술이 융합되는 4차 산업이 주류가 되면서 이전의 산업이 지향해왔던 표준화와 대량화 대신 개인화, 개성화, 맞춤화(mass customization) 를 지향하고 있다.1) 소규모의 창업자들에게는 새로운 창조적 산업 분야로의 진출기회가 많아 지고, 새로운 기회의 시장이 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도 다양한 분야의 융합을 통한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초점을 두면서, 디자인적 사고를 가진 디자인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2)

교육부에서 발표한 창업교육 이슈페이퍼(2016)에 따르면 2010년 창업기업 수가 6만개를 넘 어선 이래, 2015년에는 9만 3천개를 기록하며 빠른 속도로 창업이 활성화되고 있다.3) 그러나 적극적인 창업 장려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의 성공확률은 10%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4) 통계청(2016)의 기업생멸행정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개인기업의 소멸률(14.6%)과 신 생률(14.6%)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나 창업 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소멸하는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5) 특히 30대 미만 창업가의 5년 생존율은 15.9%, 30대 창업가는 22.2%로 생존율 역시 해가 지날수록 계속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6)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과 관련된 창업에 도전하나, 다양한 이유로 회사가 성장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 며, 실패하는 사례 또한 증가하고 있어 많은 연구자들이 디자인 창업의 체계성 확립과 핵심역 량의 규명을 주장하였다.7)8)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박동건, 최대정(2003)의 연구와 김경식 (2005), Hayton, Kelly(2006), 이용희(2016), 강희정(2017)의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박동 건, 최대정(2003)과 Hayton, Kelly(2006)는 일반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 으며, 강희정(2017)의 연구는 산업디자이너만을 대상으로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 만을 도출하였다. 또한 김경식(2005)과 이용희(2016)는 IT 벤처기업의 최고 경영자들을 대 상으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디자인 창업자의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지 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을 도출함으로써 관련 분야에서 보다 더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디자인 창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IT업계에서 창업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학문의 체계성을 확립하였듯, 국내에 서도 우리나라 환경에 맞는 디자인 창업자의 핵심역량이 도출된다면 디자인 창업교육 수행의 체계적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디자인 창업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혁신적 디자인 창업이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다양한 디자인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 개인의 창의력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지향적인 디자인 창업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고, 스마트폰과 SNS를 활용하여 적은 자본금으로 단기간에 창업을 시작하는 스타트업(Startup)이 등장하였다.

디자인진흥원의 산업디자인 통계조사(2017)에 따르면 2016년에 등록된 전문 디자인업체는 5,425개이며,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500여건이 새로 등록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디자

1) Mazali. T., 「From industry 4.0 to society 4.0, there and back」, AI&Soc, 146, pp.1-7 2) 문화체육관광부, 『Fashion Korea Vision 2015』, 2015, pp.8-9

3) 교육부, 『창업교육 이슈페이퍼』, 2016, p.151 4) 나라경제, 2017년 8월호, pp.16-17

5) 통계청, 기업생멸행정통계, 2016,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ZTITLE&listid=K2_BD 6) 통계청, 기업생멸행정통계, 2016, op. cit.

7) Conley, C., 「The core competencies of design, The basics of a broadly applicable discipline」, 2011, IDSA, pp.1-7 8) 진미석,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 1(1), 2016, pp.1-24

(4)

인 창업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9) 그러나 창업진흥원(2012)이 2000년에 창업한 창업기업을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창업한 지 3년 후에는 약 45%가 폐업하고, 7년 후에는 약 68%, 10년 후에는 약 76%가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디자인 창업의 실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창업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Timmons(1999)는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역량들을 사전에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McGrath(1999)는 역량을 기반으로 한 창업교육이 실제 시장에서의 실패를 줄여준다고 하였다. 또한 장대성 (2000)은 창업역량을 통한 교육이 실제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창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2.2. 핵심역량

2.2.1. 디자인 경영의 핵심역량

핵심역량은 초창기 심리학과 인적자원관리학을 통해 개발되어, 교육학 분야를 통해 널리 활용 되고 있다. 교육학에서는 역량을 직업의 기초교육 관점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핵심역량을 통한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많이 활용하고 있다.11)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역량 (Competency)이란 개인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써 지식, 기술, 태도로 표출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이란 다양한 역량 가운데 반드시 갖추어야 할 몇 가지 역량만을 추출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중 심리학 분야의 Spencer et al.(1993)는 핵심역량을 처음으로 제안한 연구자로, 핵심역량을 통한 경쟁력과 보편화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창업과 가장 근접한 영역인 디자인경영의 핵심역량 연구는 핵심역량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역량(ability, capability, skill)의 연구들이 있다. Dickson et al.(1995)는 200여명의 중소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디자인경영에서 필요한 역량 척도를 개발 하였다. 디자인경영의 역량으로는 기본 기술, 특성화 기술, 제3자의 참여 조직적 변화, 혁신 기술이 도출되었다. 이후 Mesa et al.(2013)는 Dickson et al.(1995)가 개발한 디자인경영 역량 척도를 사용하여 유럽의 세라믹타일 중소기업 182개를 대상으로 디자인경영 역량이 조 직 학습능력, 제품혁신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내에서는 우경훈(2015)이 Mesa et al.(2013)의 디자인경영 역량 문항을 번안하여 국내 중소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디자인경영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초 연구자인 Dickson et al.(1995)의 연구를 디자인경영의 핵심역량 토대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2.2.2. 창업의 핵심역량

창업의 핵심역량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Spencer et al.(1993)는 McBer사의 역량사전을 토대로 3년 이상 기업을 운영한 창업가 21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기업가의 일반역량 모델 (Generic Entrepreneur Competency Model)을 제시하였다. 기업가의 일반역량 모델은 6개의 핵심역량과 20개의 역량으로 성취(주도성, 기획 포착과 행동, 집요함, 정보수집, 품질에 대한 관심, 계약 이행, 효율성 추구), 사고 및 문제해결(체계적인 계획, 문제해결), 개인적 성숙(자 신감, 전문성, 자기한계 인식), 영향력(설득, 영향력 활용), 지시 및 통제(주장, 점검), 타인 지향성(믿음·정직·성실성, 직원의 복지, 사업관계의 중요성 인식, 훈련)으로 도출되었다.12) 국내 연구로는 박동건, 최대정(2003)이 Spencer et al.(1993)의 역량모델을 토대로 문항을 구성하여 일반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2개의 창업 역량을 도출하였다.

9) 한국디자인진흥원, 『산업디자인 통계조사 2017』, 2017, p.40 10) 교육부, op. cit.

11) 진미석, op. cit.

12) Spencer, L, M., Spencer, S, M., 『Competence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Michigan : Wiley, 1993, pp.228-230.

(5)

임아름(2015)은 Spencer et al.(1993)의 역량 모델을 토대로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연구하 여 창업가의 역량이 창업행동과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증명하였으며, 김경식 (2005)도 Spencer et al.(1993)의 역량모델을 토대로 벤처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창 업자의 역량과 벤처기업의 성과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용희(2016)는 Spencer et al.(1993)의 모델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IT 벤처기업의 최고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벤처기업 창업자의 핵심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핵심역량 모델은 일반 창업가 또는 IT 벤처기업의 대표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었 기 때문에 디자인 창업자의 핵심역량 측정으로 위해 차용하기엔 다소 모호하며 포괄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선행연구로 사용된 Spencer et al.(1993)의 역량모델 을 토대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3. 연구문제 및 방법 3.1. 연구문제

본 연구는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디자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를 실시하였다. 핵심역량 도출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디자인 창업자가 갖춰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2) 디자인 창업자가 갖춰야 할 각 핵심역량의 하위역량은 무엇인가?

3.2. 연구절차

3.2.1. 디자인 창업 핵심역량의 도출

본 연구는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디자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 개별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와 잡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에서 살펴본 Dickson et al.(1995)의 디자인경영 핵심역량 16문항과 Spencer et al.(1993)의 창업자의 핵심역량 65문항을 토대로 디자인 창업자에게 적합하도록 박사급 연구자 2인과 함 께 개방형(open-ended) 질문을 준비하였으며, 상황에 맞추어 추가질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터뷰 참여자들을 소규모의 디자인 창업자로 디자인 창업자 전체를 대표한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영 전문 잡지의 디자인 창업 성공 사례에 관한 인터뷰 기사의 내용도 함께 분석하였다. 기사 분석에 사용된 잡지로는 공신력 있고, 발행일이 일정하 며, 국내 기업 대표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인터뷰가 실리는 국내 경제잡지인 동아비즈니스리뷰 (DBR; Donga Business Review), 이코노미 조선(EC; Economy Chosun), 매경이코노미(MK;

MK Economy)와 리더피아(LP; Leaderpia)까지 총 4종을 선정하였다. 4종의 잡지에서 2015 년 1월호부터 2018년 3월까지 디자인 창업 관련 기사 중 창업자의 인터뷰 내용이 직접 기술된 기사를 분석한 결과 총 40개의 기사가 추출되었다(<표 1>).

잡지 년도

2015 2016 2017 2018

DBR 1 4 1 2 8

EC 3 7 2 1 13

MK 2 3 0 0 5

LP 9 3 1 1 14

합계 40

<표 1> 잡지별 기사 수

3.2.2. 전문가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증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과 이에 해당하는 역량 별 정의의 정제를 위해서 연구자 이외에 디자인 창업 전문가 4인이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2018년 1월 25일 부터 31일까지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하기 위하여 연구자

(6)

외에 박사급 전문가 4인이 5개 핵심역량의 범주화와 역량별 정의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 자가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집단에게 제시하여 핵심역량, 역량 별 정의와 이것들의 범주화가 적합한지를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4회 차에서 최 종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과 역량별 정의를 도출하였다.

3.3.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3.3.1. 연구대상

본 연구 대상은 현재 디자인회사를 운영 중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 전공을 포함하고자 디자인진흥원에서 디자인 분야를 구분하고 있는 기준 에 근거를 두고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 공간디자인, 패션·텍스타일 디 자인, 서비스·경험 디자인, 산업공예디자인, 디자인인프라 총 8개 분야로 한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에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스타트업 센터13)에 입주한 749개의 기업 중 소분류 또는 사업아이템에 디자인이 명시되어 있거나 디자인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보내어 디자인 창업자를 모집하였다. 이후 인터뷰를 허락한 창업자 중 디자인 전공 분야를 확인하여 최종 인터뷰 참여자로 확정하였으며, 스타트업 센터에 입주한 기업 외에 다른 디자인 창업자들 을 모집하기 위하여 선정된 인터뷰 참여자의 지인을 소개받는 스노우볼(Snow-ball) 표집에 의해 추가 디자인 창업자를 섭외하였다. 이러한 표집 과정을 통해 인터뷰는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에 참여한 10명의 연구 참여자 특성은 다음 <표 3>과 같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창업자 6명과 남성 창업자 4명으로 총 10명이었으며, 2회에 걸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각 패션·텍스타 일 디자이너, 산업공예 디자인, 제품 디자이너,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서비 스·경험 디자이너로 디자인 창업 기업을 운영 중에 있는 대표들로 참가자들의 나이는 크게 20대부터 40대까지로, 세부적으로는 20대가 3명, 30대 초반이 5명, 30대 후반이 2명으로 30 대 초반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창업 기업의 직원 규모를 살펴보면 1인 창업자는

13)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 센터에 입주한 기업은 서울창업허브 홈페이지(http://seoulstartuphub.co.kr)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서울창업허브, 신기술창업센터, 서울시창업지원센터, DMC첨단센터, DMC 산학협력연구센터, A-센 터, 성수IT종합센터, 서울글로벌창업센터, 서울창업디딤터, 서울창업성장센터, DMC창업센터, 서울글로벌센터, 동부여성발전센터, 남부여성발전센터, 북부여성발전센터, 여성창업플라자, 게임콘텐츠센터, 애니타운, 앱비즈니스센터를 운영 중에 있다.

ID 성별 연령 직업 및 전공 창업형태 직원 규모 운영 기간

1 20대 패션·텍스타일 디자이너 1인 창업 1인 1년

2 30대 산업공예 디자이너 2인 공동창업 2인 2년

3 30대 제품 디자이너 2인 공동창업 5인 3년

4 30대 디지털미디어 디자이너 2인 공동창업 3인 5년

5 20대 시각 디자이너 1인 창업 2인 2년

6 30대 디지털미디어 디자이너 2인 공동창업 4인 2년

7 30대 패션·텍스타일 디자이너 1인 창업 3인 3년

8 30대 디지털미디어 디자이너 1인 창업 1인 1년

9 30대 제품 디자이너 3인 공동창업 3인 4년

10 30대 서비스·경험 디자이너 1인 창업 3인 2년

<표 3> 연구참여자의 특성

연구절차 내용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도출

심층 인터뷰 디자인 창업자 10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실시

잡지 기사 분석 4종의 경영 전문 잡지의 디자인 창업 사례에 관한 인터뷰 기사 분석 실시 자료 분석 절차 유사한 개념의 통합, 범주화

내용타당도 검증 전문가 검증 디자인 창업 전문가 4인의 내용타당성 검증을 통한 범주화와 역량별 정의 정제

자료 분석 절차 4회에 걸쳐 핵심역량과 역량별 정의, 범주화를 검토

<표 2> 연구절차 순서 및 내용

(7)

2명, 2인 창업자는 2명, 3인 창업자는 4명, 4인 창업자는 1명, 5인은 1명으로, 평균 3명 규모로 창업 기업을 운영 중이었다. 인터뷰가 이루어진 시점까지 창업 기업의 운영기간은 2년 이상-3 년 미만 기업이 4업체로 가장 많았으며, 세부적으로는 1년 이상-2년 미만인 기업은 2업체, 3년 이상-4년 미만인 기업은 2업체, 4년 이상은 2업체 이었다.

3.3.2. 분석방법

자료 분석을 위해 개별 심층 인터뷰와 연구자의 노트, 문서자료 등의 분석과 해석을 주요 자료 로 사용하였으며, 주요 자료들과 선행연구 등을 비교, 수집하며 다각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에게 자료 분석 결과에 대한 확인을 이메일 로 요청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 프로그램인 MaxQDA 12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통해 녹취된 내용과 잡지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반복적으로 비교분석하며 정리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질문하기 와 비교하기를 통해 공통적 요소를 추출하여 개념을 명명하고, 그 개념을 다시 공통적 요인으 로 추출하여 하위범주, 범주의 순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서로 유사한 개념들 을 통합하고 범주화하는 과정을 반복한 결과 5개의 범주, 15개의 하위범주, 43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4. 연구결과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5개의 핵심역량과 15개의 역량의 내용과 근거는 다음과 같다.

4.1. 디자인 역량

디자인 역량이란 디자인 창업 기업의 독창적인 디자인 및 제품 개발 시 요구되는 창의적인 사고와 전문성 그리고 트렌드 조사 능력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디자인 역량에는 창의적 아이 디어 발상, 디자인 기술, 시장조사가 하위역량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디자인 창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발상을 공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었다. 즉, 회사는 혁신을 위하여 직원에게 창의력과 아이디어 를 내기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고, 직원들은 그 안에서 다양한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하며 아이 디어를 개발해 나가는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언급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에는 독창적 디자인 및 제품 개발 시 필요한 창의력과 아이디어발상, 다른 부서와의 협동 작업, 자유로운 의사소통, 아이디어를 위한 나만의 방법 등이 포함되었다.

아이디어 없음 살아남을 수가 없죠. (참여자 5)

대박 친 제품 중에 반 이상이 제가 비웃었거나 반대했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어요...(중략) 저는 그런 제품이 필요한 사람이 너 말고 누가 있겠느냐 했는데 아니었던 거죠. (참여자 6)

(전에 회사는) 암묵적으로 상사의 말을 무조건 수용했어야만 하는 분위기였어요...(중략) 우리 회사는 아이디어만 좋다면 만사 오케이입니다. (참여자 9)

아침에 다른 직원들 출근하기 전에 사무실 청소를 하면서 머릿속으로 오늘 작업해야할 디자인 을 생각해요. 이상하게 몸을 움직일 때 생각이 가장 잘 나더라 구요. (참여자 7)

이러한 맥락으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이란 독창적 디자인(제품) 개발 시 필요한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 방법으로, 디자인(제품) 과정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에서도 영향 을 미치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8)

(2) 디자인 기술

디자인 창업을 위한 디자인 역량에는 독자적인 디자인 전문성과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과반 수 이상의 인터뷰 참여자들은 디자인 기술은 학습과 훈련을 통해 성장이 가능하다고 하였 으며, 이러한 기술력을 통해 전문성을 갖출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언급한 디자인 기술에는 디자인 전문성, 신속성,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 능력 등이 포함되었다.

아이디어는 타고나는 거지만, 스킬은 훈련에 의해서도 충분히 개발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시행착오를 통해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어요. (참여자 3)

시중에 나온 모든 프로그램을 다 사용할 수는 없지만, 워낙 쉽고 빠른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와 서요... 쉽고 빠른 게 최고입니다. (참여자 5)

특히 경쟁력 있는 디자인 및 제품 개발을 위해서 경쟁사보다 빠른 출시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디자인 창업은 전통적인 벤처창업과는 달리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시제품을 빠르게 출시하여 고객에게 검증을 받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Ries(2011)가 주장한 린(Lean) 스타트 업과 매우 유사한 개념으로, 많은 창업 기업들은 시장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빠르게 신제품 을 개발하는 최소 존속 제품(Minimum Viable Product)을 만들어 성장하고자 한다.

우리가 괜찮다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고 눈치를 보는 거지. 반응이 온다 싶으면 좀 더 개발해 보는 거고, 아니면 다른 제품을 얼른 또 내놓고... (참여 자 8)

시장에 내놔서 하루라도 빨리 테스트를 해봐야 합니다. (참여자 9)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기술이란 새로운 디자인(제품) 개발 시 요구되는 빠르고 전문적 인 기술 활용 능력으로 정의한다.

(3) 시장조사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해서는 본인이 뛰어든 분야의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디자인 창업자들은 환경, 트렌드, 경쟁사 등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새롭게 진출한 분야를 찾아낸다. 본 연구에 참여한 디자인 창업자들이 언급한 시장조사는 트렌 드조사, 온라인 시장조사, 오프라인 시장조사, 그리고 경쟁사 조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트렌드 리서치는 디자인을 위한 첫 스텝이자 디자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입니다. 흐름을 읽기 위해 트렌드 정보업체에서 제시하는 많은 자료들을 사용 합니다. (참여자 10) 인스타그램이나 핀터레스트만 들어가도 좋은 게 얼마나 많은데... (참여자 6)

회사 다닐 때는 해외 트렌드 페어를 정기적으로 보내줬었는데, 지금은 그럴 형편은 안되니 까...(중략) 해외 출장이 잡힐 때는 챙겨서 볼 수 있도록 해요. (참여자 3)

특히 경쟁사로 생각되는 업체의 디자인(제품)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디자인(제품)을 개 발하거나 경영 전략을 세우는데 벤치마킹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같은 시기에 비슷한 포지션으로 새로 생긴 브랜드 들은 계속 보고, 주시하는 편이에요. (참여 자 4)

반응이 좋은 제품들 있으면 그거 직접 사용해보면서 우리도 비슷한 거 만들면 좋겠다 싶으면 그거를 벤치마킹해서 신제품을 개발해. 벤치마킹 잘하는 거도 실력이야. (참여자 8)

이처럼 시장을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은 디자인 창업 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 특히 트렌드와

(9)

기술의 변화가 빠른 디자인 창업 기업에서는 다양한 정보 중에서 자사에 필요한 것을 신속하게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디자인 역량을 디자인 제품 개발을 위한 역량으로 정의한 Makinen(2005)14)의 연구와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시장조사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최신 아이디어, 디자인(제품), 트렌드 조사와 경쟁 조사 연구를 의미한다.

4.2. 네트워크 구축 역량

디자인 창업 기업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 역량은 디자인 창업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 협력업체와 고객 관리, 내부 구성원에 대한 관리체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면접자들 의 네트워크 구축 역량은 협력업체, 고객, 내부 인사로 구분되어 도출되었으며,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협력업체 관리

디자인 창업이 사업성과를 계속 내기 위해서 먼저 경험해본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거나 도움 을 요청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 맺은 협력업체에서 이러한 멘토의 역할을 해준다고 하였다. 디자인 창업 기업과 함께 하나의 디자인 제품을 출시할 때까 지 관여되는 많은 협력업체들은 서로 상생하는 관계로,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협력업체 없이는 회사의 성장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 창업의 네트워크 구축 역량의 하위요 인으로 협력업체들과의 장기적인 관계 유지 노력, 콜라보레이션 그리고 계약 내용 이행 등이 포함되었다.

저희보다 경험이 더 많으신 분들이라... 막히거나 하면 가서 조언을 구해요. (참여자 9) SNS 보고 먼저 요청이 와서 콜라보를 하게 됐었는데, (저희가 참여한 부분은) 사실 되게 작은 부분 이였어요. 그런데 거기 광고할 때 우리 회사 이름도 넣어 주더라구요. 엄청 좋았죠. (참여 자 4)

특히 협력업체와의 관계 유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계약서 작성과 계약 내용 이행을 언급하 였다. 계약 내용을 이행하면서 서로간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장기적인 협력 관계가 되기도, 일시적인 관계로 끝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협력업체 관리는 제 3자의 참여를 핵심역량으로 도출한 Dickson et al.(1995), Mesa et al.(2013), 우경 훈 외 (2015)의 연구와 같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제일 중요한 것은 계약서에요. 도장 찍기 전까지는 계약을 성공한 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참 여자 5)

계약 조건 이런 것도 중요하지만, 계약서가 빛날 때 는 돌발 상황에서 에요.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기거나 할 때... 그때 계약서 내용대로 일을 처리하죠. (참여자 6)

이에 본 연구에서의 협력업체 관리란 개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전 과정에서 관련된 업체와 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 계약관계를 중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고객관리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해서는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고, 의견을 귀담아 듣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 참여자들은 소비자들의 의견에 빠른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고객의 의견을 듣지 않고서는 회사의 발전이 불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디자 인 창업의 고객관리 역량에는 하위요인으로 소비자의 욕구파악, 고객의 의견수렴 그리고 클레

14) Makinen, H., 「Product Design as a Core Competence in a Design-Oriented Industry」, Advances in applied business strategy, 9, 2005, pp.103-126

(10)

임 해결 등이 포함되었다.

고객과의 소통은 우리가 가장 신경 쓰는 부분입니다. 주로 SNS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라이 브 방송을 통해서 제품도 소개도 하면서 대화도 나누고 그래요. (참여자 6)

프리마켓이나 SNS 보면 ‘이거 만들어주면 안되요?’ 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다 메모해두고 다 음 제품 개발 때 활용하죠. (참여자 3)

특히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제품에 대한 환불 또는 교환 등의 문의가 들어오면 빠른 시간 안에 피드백을 제공하며, 불만이 접수된 경우 이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더 좋은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였다.

어느 한 부분에 대해서만 계속 클레임이 들어오는 거 에요. 할 수 없이 모두 폐기하고 다시 수정해서 내놓았어요. (참여자 9)

해당 제품 모두를 미국에서 생산한 원 제품으로 교체하고 리콜 해드렸습니다. 연락이 안되는 고객들까지 일일이 모두 찾아 정말 한 분 한 분 리콜 해 드렸죠. (LP, 2018.02)

시장경쟁의 과열로 인해 고객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고, 맞춤형으 로 제공되는 틈새시장이 발달되면서, 고객과의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고객관리란 디자인(제품) 개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과정에서 고객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인사관리

기존의 인사관리는 주로 중견 기업 이상에서 구성원들의 능력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조직에서 관리함을 의미했으나, 본 연구는 소규모 디자인 창업 기업에서도 내부 소속의 구성원 각자의 능력을 개발하여 좋은 사업성과를 거두도록 하는 인사관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들 소규모 디자인 창업자들이 언급한 인사관리 안에는 우수한 인력 영입, 자유로운 커뮤니케 이션 그리고 직원관리 등이 포함되었다.

지금은 저랑 부대표랑 디자인 팀장 이렇게 3명이서 꾸리고 있는데, 사실 직위는 외부와 일할 때 필요해서이지, 사실 저희끼리는 그런 직위 구분이 없어요. (참여자 4)

일에 대해선 편하게 이야기 하고 특히나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는 다수결을 따릅니다. (참여자 10)

특히 사내 복지를 통해 긍정적인 회사 내 분위기를 조성하고, 직원들의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창업 기업의 특성상 적은 일력으로 많은 일을 해내야 해서 야근이 많기 때문에 운동을 할 수 있는 복지를 제공해주거나, 외국어 또는 새로운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인사관리란 구성원 각자의 능력을 개발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도록 관리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스타트업에서 해줄 수 있는 게 많지는 않지만, 워낙 야근이 많다보니 체력관리에 신경을 쓰는 편이에요. 사무실 근처 헬스장을 모두 등록해줬어요. (참여자 7)

최근 들어 중국이랑 메일 주고받을 일이 많아져서 중국어 인강 신청해주고, 프리미어를 배우고 싶다 해서 그거도 학원을 신청해줬어요. (참여자 9)

이처럼 디자인 창업의 발전은 기업 혼자서 가능한 일이 아니라, 협력업체와 고객, 내부 인사와

(11)

의 상호협력을 추구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인사관리란 구성원 각자의 능력 을 개발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도록 관리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4.3. 자금조달 역량

디자인 창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자금을 끌어 모으기 위한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자금조달 역량이란 디자인 창업 시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고객과 협력업체, 투자자를 설득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분석 결과 자금조달 역량 에는 자금지원 활용과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하위역량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자금지원 활용

자금지원 활용은 창업가들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이자, 창업 기업의 운영 여부를 좌우하는 역량 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초기 자금 부족으로 창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다양한 연구에 서 나타나고 있으며15), 본 연구의 면접 참여자들 모두 디자인 창업의 시작과 기업 운영을 위한 창업 자금을 조달받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모색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자금 지원 활용의 하위개념으로 초기 자금 조달, 국가기관의 창업 지원 정책, 질적 성장 지원 정책 등이 포함되었다.

처음에는 페이스북에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했었는데, 요즘에는 스타트업이 워낙 많아서 크라 우드 펀딩을 진행하는 사이트가 아예 있어요. (참여자 8)

지금 국내에서는 10명 내외의 엔젤 투자자에게서만 투자를 받았고 이제 본격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계획입니다. (EC, 2016.03)

스타트업은 초기 펀딩이 상당히 중요하다. 창업할 때 가진 돈은 초반 코스트를 다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펀딩을 받아야 하는데 남의 돈 받아내는 게 쉽지 않았다... (중략)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가 가장 힘들었던 것 같다. (DBR, 2016.02)

특히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창업관련 정책을 활용하여 창업 자금을 조달받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었다. 특히 창업 투자금 뿐만 아니라 사무실을 무료로 임대해주거나 기기를 지원해주는 다양한 정책을 활용하는 창업가들이 많았으며, 이를 통해 회사의 양적 성장 이루기 도 하였다. 이처럼 창업에 대한 많은 정책들이 나오면서, 이에 많은 디자인 창업자들은 과거와 는 달리 국가 정책을 활용한 회사 성장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여성, 디자인, 창업 이 3박자가 맞춰지면 지원받을 수 있는 데가 정말 많아요. 제가 지금 사용하 고 있는 사무실은 여성 창업자들만 있는 곳이라 이럴 때는 다른 사람들 보다 내가 더 지원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으니까 좋아요. (참여자 4)

서울신용보증 그런 게 있는데, 거기 창업자들한테 돈 빌려주고 그런 게 있어서... 창업지원금 이런 식으로... (중략) 그렇게 하다가 또 1년이 지나면 운영지원금을 빌려서 사용하려 구요.

(참여자 1)

또한 회사의 질적 성장으로 국가에서 진행하는 페어, 워크샵, 다양한 채널의 인터뷰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회사를 알릴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온 창업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상호협력 에너지를 창출하기도 하였다.

창업 대회나 워크샵 참여하면 거기서 사람들도 많이 사귀고, 정보도 많이 얻을 수 있어서 도움 이 되요. 아이디어도 많이 주고받기도 하고, 바이어를 만나기도 하고... (참여자 7)

15) 강희정, 「디자인 창업교육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p.87

(12)

학교 교수님을 통해 처음 디자인진흥원에서 창업 교육을 받았었는데, 그거를 인연으로 거기서 주최하는 페어나 인터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받게 되었어요. (참여자 9)

이처럼 자금지원 활용은 창업의 시작과 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자금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자금지원 활용이란 회사 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 자본 조달 및 투자 유치 를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함을 의미한다.

(2) 프레젠테이션 능력

프레젠테이션 능력은 디자인 및 제품 개발과 생산을 할 수 있는 자본을 모으기 위해서 창업가 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으로, 이때 준비된 자사의 계획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것이 바로 창업자의 역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레젠테이션 능력의 하위개념으로 발표 기술, 사업계획서 작성 등이 포함되었다.

우리 회사 식구들을 설득시킬 수 있어야 고객도, 투자자도 설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요. (참 여자 9)

대학 때부터 시작하면 정말 수백 번 프레젠테이션을 한 거 같아요. 그래도 항상 긴장되어서 시뮬레이션을 반복해서 철저히 준비합니다. (참여자 6)

특히 사업계획서의 작성을 매우 중요시 여겼다. 사업계획서 작성을 통해 창업의 이유와 디자인 (제품)개발의 방법 등을 구체화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프레젠테이션이란 사업 계획과 비전을 고객과 투자자에게 설득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한다.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때는 사원이건 팀장이건 직무의 구분 없이 모두에게 기회가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 계획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크게는 회사 존립의 목적을 비롯해 작게는 업무 방향, 본인의 역할 등을 명확히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죠. (참여자 4)

인원이 적어도 모두가 똑같이 이해하고 방향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서를 함께 작성해서 공유하는 걸 추천합니다. 펀드를 받으려면 당연히 작성해야 하는거 이기도 하구요...

(참여자6)

이러한 자금조달 역량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도출되지 않은 역량으로, 이는 창업에 대한 관심으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창업에 도전하는 나이층이 청년층으로 젊어지면서 변화하 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금조달 역량을 디자인 창업 시 필요한 자금 을 모으기 위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고객과 협력업체, 투자자를 설득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4.4. 기업가정신 역량

기업가정신 역량이란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해 도전정신과 목표의식을 갖고 구성원들을 이끌어나가고, 창업자 자신의 능력을 개발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디자인 창업의 기업가정신 역량에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 리더십, 문제해결, 자기개발이 하위역량으로 도출되었으며, 도 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비즈니스 모델 구축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의 사업모델들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IT창업과 마찬가지로 디자인 창업에서도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면접 참여자들도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하여 독창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것을 실현가능한 모델로 구축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하였다.

(13)

이에 본 연구에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하위개념으로 독자적인 수익 모델과 체계적인 업무 계획 등이 포함되었다.

다른 회사와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으면서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는 그런 모델을 구축해야만 했어요. 그걸 어필해야지만 투자를 받을 수 있었구요. (참여자 9)

(문제가 생겼을 때) 이때 명확한 플랜이 있다면 어떻게든 해결할 수 있어요. (참여자 10) 매년 고정된 일정이 몇 개 있어요. 해외 시장조사랑 페어, 시장 휴무 같은걸 중심으로 1년 치랑 계절별 계획을 일단 세우고, 그 다음에 월별 생산 계획을 세워요. (참여자 7)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란 독자적인 창업 모델수립을 위한 업무 기획 능력을 의미한다.

(2) 리더십

창업가란 리더십을 갖고 구성원들을 이끌어나가는 사람으로, 희생과 노력이 끊임없이 요구되 는데, 이는 디자인 창업도 예외가 아니었다. 본 연구의 디자인 창업자의 리더십 역량의 하위개 념으로 도전정신, 확고한 비전제시, 인내심, 새로운 시장 기회 포착 등이 포함되었다.

어떻게 한 번에 성공하겠어... 실패를 걱정하면 애초에 시작을 못하게 되는 거 같아. (참여자 8)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 이거는 모 모든 기업가들이 하는 얘기 아닌가요? 당연한 거 같아요.

(참여자 4)

특히 창업을 실현화하기 위해서는 창업에 대한 확고한 목표가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직원들과의 비전 공유는 애사심과 즐거움을 상승시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이 일하는 사람들도 한 식구라고는 하지만 그들도 사람인지라 비전이 안보이고, 일이 힘들면 떠나게 되어 있어요. 일이 힘들어서 떠나려 하는 친구는 내가 앞으로의 비전을 보여주고, 성장가능 성을 보여주면 붙잡을 수 있지만, 비전이 안보이는 경우에는 붙잡을 수도 없어요. (참여자 5)

이러한 리더십은 디자인 창업가가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이는 리더십을 창업자의 역량으로 도출한 박동건, 최대정(2003), 이찬 외(2010)의 연구와 같은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리더십이란 디자인 창업가가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 기 위해 자신감과 비전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3) 문제해결

일본의 창업 디렉터인 우마다 타카아키, 정윤아(2018)는 창업가란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사 16)이라고 하였다. 즉,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해서는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해나가야만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예기치 못한 문제를 만났을 때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긍정 적 태도로 극복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문제해결의 하위개념으로 위기관리 능력, 긍정적인 태도 등이 포함되었다.

대표의 역량이 가장 빛을 바라는 때가 예상하지 못했던 사고나 문제가 생겼을 때입니다. (참여 자 10)

말하는 대로 된다고 잘 할 수 있다, 잘 될 것이다 하고 계속 되새겨요. (참여자 3)

사고가 터졌을 때 누구 탓을 한다거나, 부정적인 액션을 절대 하지 않아요. 포커페이스 까지는

16) 우마다 타카아키, 정윤아, 『퍼스트 스타트업』, 비전코리아, 2018, p.188

(14)

아니지만 해결 할 수 있어, 괜찮아 이런 표현을 일부로 더 해요...(중략) 제 표정, 말투가 회사 분위기를 좌지우지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요. (참여자 10)

이러한 맥락으로 본 연구에서의 문제해결이란 창업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고 해결 하려는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한다.

(4) 자기개발

디자인 창업자들에게는 자기개발과 함께 미래를 설계하고 창업을 구상하는 시간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디자인 창업가들은 자기주도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자기개발 또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의 자기개발 역량 의 하위개념으로 신기술 습득을 위한 융합적인 지식과 경험, 다양한 활동 참여, 자기 한계 극복 등이 포함되었다.

외국어는 당연하고, 저는 2D 디자인 베이스라 3D 프로그램을 틈틈이 공부하고 있어요. (참여 자6)

야간 MBA를 가려고 준비하고 있어요. 경영을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어요. (참여자 7) 디자인 워크샵을 참여한 적이 있는데 거기서 만난 사람들을 다 SNS 친구를 맺었어요. 지금까 지도 연락하고, 서로 조언도 해주고 그런 사이에요. (참여자 9)

창업동아리로 시작했는데, 이젠 다들 CEO에요... (참여자 3)

특히 내가 갖고 있는 능력과 커리어를 분석하여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이 필요한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단점과 자기 한계를 극복하여 발전해나가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하였다.

내 지금의 수준, 위치를 객관적으로 알고 있어야 해요. 그래야 발전도 있고, 극복도 할 수 있 죠... (참여자 2)

나를 알아야 전략도 세울 수 있는 법입니다. (참여자 10)

이러한 기업가정신 역량은 창업가가 기업의 발전을 위하여 마땅히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박소 연(2010), Orhei et al.(2015)의 연구와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기업 가정신 역량이란 성공적인 디자인 창업을 위해 도전정신과 목표의식을 갖고 구성원들을 이끌 어나가고, 창업자 자신의 능력을 개발함을 의미한다.

4.5. 자산관리 역량

자산관리 역량이란 디자인 창업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무형 재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함을 의미한다. 기업이 갖고 있는 모든 경제적인 부분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 결과 브랜드 가치, 자금 운용, 세무회계가 하위역량으로 도출되었으며, 도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브랜드 가치

디자인 창업기업에는 독자적인 브랜드 가치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디자인 창업 기업 모두 한 가지 디자인 및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모든 마케팅과 영업을 자산의 핵심 디자인 및 제품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브랜드 가치의 하위개념으로 디자인 및 제품 가치 중시, 대표 디자인 및 제품 만들기, 지식재산권 관리 등이 포함되었다.

초반에는 스타 제품을 만들려고 그거에만 집중 했어요...(중략) 지금 쓰는 이 문양이 우리 회사 의 시그니처가 됐죠. (참여자 7)

(15)

(고객들에게) 각인을 시키고 싶었어요. 그래서 더 강하게, 세게 디자인 한 경향도 있어요. (참 여자 9)

특히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디자인의 저작권과 특허에 대해 관심을 표현하여 우리나라 디자인 창업 생태계의 고질적 문제인 디자인 모방 문제 등에 관심이 높았다. 특히 최근 디자인이 중요 시 되면서 사회적으로 디자인 분쟁, 법률에 대한 이슈가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디자인 회사들 은 자연스럽게 자신들의 디자인을 지키기 위한 방법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계속 몇몇 디자이너들이 안된다는 거 알면서도 이슈로 띄우기 위해서 일부러 소송도 하고 뉴스 도 내보내려고 해요. 그리고 요즘엔 다들 저작권을 중요시 여기는 추세이기도 하구요. (참여자 6)

과거에는 무지했어도, 이제는 특허, 저작권, 변압법 등 디자이너도 이런 법률에 익숙해져야 하고 중요성을 깨달아야만 합니다. 실제로 클라이언트들 중에 저작권에 관해 관심을 갖는 분들 이 많이 늘어나기도 했어요. (참여자 10)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브랜드 가치는 독창적 디자인(제품)의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디자인(제 품)의 가치와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려는 지식과 노력을 의미한다.

(2) 자금 운용

디자인 창업자들은 자금운용 능력이 다자인 창업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여기에는 자금 확보와 운용계획, 사용내용 파악이 포함되어 있다.

9월-10월쯤 되면 여름상품 안 팔리기 시작할 거니까 그거 맞춰서 8월 말쯤? 부터 세일 들어가 서 빨리 빼내야죠. 빼내야지 돈이 굴러가는 거니까... (참여자 7)

제일 먼저 확보된 예산을 가지고 디자인 개발에는 얼마를 쓸 건지, 제품 생산에는 얼마를 쓸 건지, 영업에는 얼마를 쓸 건지, 또 광고, 유지비, 인건비 이런 식으로 나눕니다. (참여자 9)

특히 모든 면접 참여자들은 회사에서 사용되는 자금의 사용 내역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디자인 창업가들은 순익계산을 통해 기업의 성장 여부를 판단 할 수 있으며, 시장의 흐름을 살펴 가능한 지출을 줄 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우리는 매장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중간에서 워낙 떼가는 게 많아서 순익계산을 잘해야 해요.

수수료가 생산원가 만큼 들기도 해서... (참여자 7)

생산할 때 적게 안 해 줄려고 하니까 최대한 이야기를 잘해서 최대한 조금 만드는데... 그것도 눈치싸움인 것 같아요. (참여자 1)

따라서 자금운용이란 기업의 운영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지출 계획을 세우고 사용하려는 지식 과 노력을 의미한다.

(3) 세무회계

세무회계는 과반수이상의 창업자들이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분야인 동시에 창업자 본인이 직 접 처리하고 싶어 하는 분야이기도 하였다. 경력이 있거나 창업 기간이 2년 이상인 창업자들은 세무회계를 잘 알고 있어 2년 미만의 창업자들에 비하여 자신감을 갖고 시작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세무회계의 하위개념으로 세무회계의 이해, 재무구조의 건전성 등이 포함되 었다.

(16)

(전에 다녔던 회사는) 무역회사였어요. 거기서 제가 회계도 하고 다 했었어요. 그래서 (창업 이) 자신 있었어요. 제일 골치 아프고 어려운 게 회계·세무 일이라는데 나는 해봤었으니까 ... (참여자 5)

빚도 재산이라고, 대출을 받는 것은 좋다고 생각해요. 다만 내가 밀리지 않고 갚아나갈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해야죠...(중략) 연말정산 할 때 대출이 점점 줄어드는 거 보면 잘하고 있구 나 생각해요. (참여자 7)

장행수(2009)와 강희정(2017)의 연구에서도 재무·세무·회계와 관련된 역량이 도출되었으나 디자인 창업가들의 자산관리에는 기업의 재무·세무·회계뿐만 아니라, 지적재산권 관리나 대표 적 디자인 제품을 출시하여 사업성과를 내야 하는 것 까지 조금 더 포괄적으로 해석되고 있었 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자산관리 역량이란 창업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무형 재산을 효율적 으로 관리하고 사용함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한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5개와 하위역량 15개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 <표 4>와 같다.

핵심

역량 역량 개념 조작적 정의

디자인 역량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아이디어 발성, 다른 부서와의 협동작업, 자 유로운 의사소통, 아이디어를 위한 나만의 방법

독창적 디자인(제품) 개발 시 필요한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소통과 사고 방법.

디자인 기술 디자인 전문성, 신속한 출시, 컴퓨터 프로그 램 활용 능력

새로운 디자인(제품) 개발 시 요구되는 빠르고 전 문적인 기술 활용 능력.

시장조사 트렌드 조사, 온라인 시장조사, 오프라인 시 장조사, 경쟁사 조사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최신 아이디어, 디자인(제 품), 트렌드 조사와 경쟁사 조사 연구.

네트워 크 구축

역량

협력업체 관리 협력업체들과의 장기적인 관계유지 노력, 콜 라보레이션, 계약 내용 이행

디자인(제품) 개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과정에 서 관련업체와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 계약관계를 중시.

고객관리 소비자의 욕구 파악, 고객의 의견 수렴, 클 레임 해결

디자인(제품) 개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과정 에서 고객의 의견을 적극 수용.

인사관리 우수한 인력 영입,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직원 관리

구성원 각자의 능력을 개발하여 좋은 성과를 거 두도록 관리하는 역량.

자금조 달 역량

자금지원 활용 초기 자금 조달, 국가기관의 창업 지원 정책 회사 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 자본 조달 및 투자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

프레젠테이션 질적 성장 지원 정책, 발표 기술, 사업계획 서 작성

사업 계획과 비전을 고객과 투자자에게 설득시 키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

기업가 정신 역량

비즈니스 모델

구축 독자적인 수익 모델, 체계적인 업무 계획 독자적인 창업 모델수립을 위한 업무 기획 능력.

리더십 도전정신, 확고한 비전제시, 인내심, 새로운 시장 기회 포착

디자인 창업가가 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가 기 위한 자신감과 비전을 제시.

문제해결 위기관리 능력, 긍정적인 태도 창업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고 해결 하려는 긍정적인 태도.

자기개발 신기술 습득을 위한 융합적인 지식과 경험, 다양한 활동 참여, 자기한계 극복

창업자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업에 필요한 활동에 참여하고, 개발하려는 태도.

자산관 리 역량

브랜드가치 디자인(제품) 가치 중시, 대표 디자인(제품) 만들기, 지식재산권 관리

독창적 디자인(제품)의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디 자인(제품)의 가치와 지적재산권(특허, 창작권)을 보호하려는 지식과 노력.

자금운용 자금 확보와 운용계획, 자금 사용 내역 파악 기업의 효율적인 자금 사용을 위하여 계획을 세 우고, 배분하여 사용하는 지식과 기술.

세무회계 세무회계의 이해, 재무구조의 건전성 기업의 수입과 지출을 기업회계 기준에 따라 운 영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

<표 4> 디자인 창업의 핵심역량

참조

관련 문서

- 건물 남측창을 통한 태양광을 바닥이나 벽에 배치된 축열재의 표면에 흡수하 여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난방에 이용함. - 여름철 과열방지를 위하여 처마깊이

③ 수요자가 선택하지 않은 중간결과물(본 계약 제5조에 따라 공급자가 수요자에게 제출한 최종결과물을 제외한 스케치, 렌더링 등)에 대한 권리는 공급자에게 있으며,

첫째는 학과에 제출하는 캡스톤

디자인 측면에서 보면 미술중점반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학생들의 요구와 의미 있는 변화 측면에서 더욱 긍정적일 것이나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 아갈 많은 학생들에게 의미

특히 농업 분야에서 식물의 생육과 광합성에 필수적인 광원 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작물에서 관련 실험이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기능과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여 내가 원하는 형태의 플랜스틱을 디자인 해보고 그렇게 디자인 한 이유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에 대한 기본지식, 요소, 컴퓨팅 사고 관련 교수모형, 수업적용을 위한 토론 등을 포함한 교사연수를 통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의류를 디자인 하면 개인 맞춤형 의류디자인의 플렛 폼에 저장되어 있는 의류 디자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가 개인의 취향 에 따라 요소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