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모형 연구 -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모형 연구 -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투고일_2019.12.10. 심사기간_2020.01.01-14. 게재확정일_2020.01.16.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모형 연구 -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A Study on Design Thinking Class Model for Problem Solving Ability - basic formative design case using emotion 문재호_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신진우(교신저자)_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Moon, Jae Ho_Industrial Design Dept. Semyung University / Shin, Jin Woo(Corresponding author)_Industrial Design Dept. Semyung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디자인 씽킹 2.2.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2.3.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IDEO) 2.4. 감정의 이해 3. 사례연구 3.1. 수업 모형 제안 3.2.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3.2.1. 발견하기 3.2.2. 해석하기 3.2.3. 아이디어내기 3.2.4. 실험하기 3.2.5. 발전시키기 3.3.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73.

(2)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씽킹 수업 모형 연구 -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사례 A Study on Design Thinking Class Model for Problem Solving Ability - basic formative design case using emotion 문재호_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신진우(교신저자)_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Moon, Jae Ho_Industrial Design Dept. Semyung University / Shin, Jin Woo(Corresponding author)_Industrial Design Dept. Semyung University. 요약 중심어 디자인 씽킹 문제해결 조형디자인 디자인 프로세스 감정. ABSTRACT Keyword Design Thinking, Problem Solving Process Formative design Design Process Emotion.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 문제를 고민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는 일은 인간의 몫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 능력 을 키우기 위해 디자인 씽킹 사고법 훈련이 필요하다. 디자인 씽킹 사고법으로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균 형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배움으로써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씽킹 사고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조형 감각 함양을 위한 체계화된 수업 모형을 마련하여 사례 연구를 하였다. 사례 연구는 기본적인 조형 교육과 더불어 학습자 고유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는 감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에게 내재되 어 있는 내적 욕구인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사고에 기초한 문제해결 능력 훈련으로 의도한 바를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며 디자인 적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나누고 기존 규칙에 얽매이 지 않고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자는 감정에 대해 유연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며 자신 의 문제와 연결하여 인식하였다. 다양한 결과물을 경쟁이나 배타적이지 않게 받아들여 창의성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체계화된 학습 전략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목표 의식과 내면 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종합과정 훈련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발적 인지 전략 학습 과정을 통한 결과물을 얻음으로 성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앞으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적용하여 다양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여 신뢰성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It is up to humans to think about the problems of the rapidly changing times and cope with the new environment. Design thinking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our ability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way, students can learn how to solve problems by balancing intuitive thinking and analytical thinking, thus exerting influence and increasing valu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systemic instruction model was developed and case studies were developed to develop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formative sense by us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 in basic design education.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utilizing the emotions that can express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s well as the basic education on the formative arts.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empirical value of emotion, the internal desire inherent in the learner, and solving the probl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raining of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design thinking can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the intentions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learners have been able to share the empirical value of emotions and present new expression possibilities without being tied to existing rules. Second, the learner communicated and sympathized with the emotion flexibly and connected with his problem. It was observed that various outcomes were not competition or exclusively sublimated into creativity. Third, a systematic learning strategy based on design thinking enabled a comprehensive course training to produce a result that satisfies the internal desires and goals that are appropriate for learners. This enables learners to maximiz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by obtaining results through the voluntary cognitive strategy learning process. In the future, various research cases applying this educational model are prepared to expect reliable effects.. 본 연구는 2019년도 세명대학 교 교내학술연구지원 사업의 결 과임. 174.

(3)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의 문제를 고민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는 일은 인간의 몫이다. 당면한 문제를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균형을 이루어 영향력을 발휘하고 가치를 높여주는 사고 법이 있다. 바로 디자인 씽킹 사고법이다. 이러한 디자인 사고 과정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 역량이며 인간다운 문제를 설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 으로 쓰이고 있다. 국내 대학에서도 디자인 사고 과정을 도입하여 교육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의 제품 설계(김형 모, 2015; 이상선 등, 2015; 정은경, 2015 권영국과 임성택)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사회 참여 교육의 방법론으로도 확대되고 있다(박상혁 등, 2016; 유진영, 2017). 그뿐만 아니라 디자인 사고 과정의 경험을 통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고(변현정, 2015), 공감 능력을 개발 하려는 시도도(구자준, 2017) 있었다.1) 그러나 디자인 사고 교육 과정에서 인간의 욕구 이해 와 공감하기를 교육과 연결하여 학습하는 시도는 많지 않다. 이에 디자인 씽킹 교육 과정에서 인간 욕구의 이해와 공감하기를 조형 디자인과 연결하여 학습 자의 공감 능력과 조형 감각을 함양을 위한 체계화된 학습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조형 교육의 일반적인 목표가 ‘창조적인 표현활동을 통해 기능, 형태, 구조 등의 기초적 감각을 경험하고, 재료가 갖는 물성 실험과 표현 기법의 개발을 통해 자신만의 표현 특성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때 학습자에게는 조형 정보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감수력, 조 형 정보를 토대로 조형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상상력, 그리고 형성된 조형 이미지를 올바르 게 전달할 수 있는 시각화 능력이 요구되어 진다.2)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조형 교육과 더불어 학습자 고유의 특성을 표출할 수 있는 감정을 활용하여 조형 디자인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학습자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욕구의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인식하고 개성을 어필할 수 있는 교육 과정 제안을 목표로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 대상은 충북 지역 소재의 S 대학교에서 2019년 1학기 조형 디자인 수업(1~5주 차, 주 차별 4시간)에서 진행하였다. 디자인학부생 32명을 대상을 4명씩 8조로 나누어 참여하였다. 해당 교과목은 디자인하면서 근본이 되는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으로 조형의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표출하여 여러 가지 생각들을 개념화하고 시각적 조형 표현으로 조형 감각을 키우고 구체화하는 능력 함양하는 과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인간의 욕구를 이해와 공감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감정’을 주제로 잡았다. 조형 활동은 아무런 인과 관계 없이 떠오르는 아이디어의 조합으로 어떤 것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경험에 의한 축적된 사고 과정을 거쳐 내부로부터 끄집어내어 자기표현을 하는 것을 진정한 조형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음으로 감정을 다루는 표현 수업은 의미가 깊다. 수업에서는 감정을 8가지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으 나 논문의 지면상 ‘분노’라는 주제만 대표 사례로 제시하였다. 분노는 문제가 되는 것과 싸우기 위한 감정으로 학습자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초적 욕구를 공감 언어와 스케치로 드러냄으로써 조형 감각과 결합하여 형태를 만들어 과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2. 이론적 고찰 2.1. 디자인 씽킹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은 건설적인 미래의 결과를 생산하려는 의도를 가진 문제 기반 또는 문제 중심 사고이다.3) 이러한 과정을 체험하면서 사용자의 욕구를 공감하고 이해하면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욕구를 파악하는 감수성이 높아지고, 더 나은 해결안을 선택하는 안목이 생기게 된다(Dunne & Martine, 2006). 로저 마틴(Roger Martin)은 디자인 씽킹은 1) 이정은, 「욕구 중심 디자인 사고과정 경험의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2018, p,105 2) 박종찬, 「조형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발상 접근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2010, p.23 3) https://ko.wikipedia.org/wiki/디자인_싱킹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75.

(4)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의 균형을 이루어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사고법이라고 하였다. 현재 는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디자인 씽킹은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방법이다. 인간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문제해결 수업은(박상혁 등, 2016 ; 조옥희, 황경 혜,2016)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를 충전시키고 학습전략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4) 2.2.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는 주어진 문제와 일정한 관계를 맺 은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 및 분석하고, 해결책의 발상 및 조합을 통해 프로토타입의 제작 및 평가, 완성품 출시 등 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디자인 산출물이 최종적으로 나오 기까지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일련의 프로세스를 디자이 너는 거치게 된다. 디자인 프로세스는 문제를 인식하고 설 정하고 이해하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각 을 통해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다양한 접목기술에 관해 서 연구하는 과정을 말한다(그림 1 참조).5) 분석, 종합,. <그림 1> 디자인 프로세스 개념도. 실현, 평가, 연구 등의 관정을 통해 상황적 맥락에서 문제 를 해결하고 도출하며, 요소별로 각각의 과정을 가지고 있다. 2.3.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 (IDEO) 세계에서 혁신적인 디자인 기업인 IDEO6)사는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과 함께 교육자들을 위한 디자인 씽킹 교육 방법으로 ‘디자인 사고 과정 툴킷’을 개발 하였다. 총 5단계인 발견하기, 해석하기, 아이디어 내기, 실험하기, 발전시키기의 과정을 제시하였다(그림 2 참조).7). <그림 2> IDEO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툴킷 IDEO. 4) 이정은, 앞, 2018, pp,105-106 5) 이민주, 「디자인권 중심 지식재산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p.68 6) https://www.ideo.com 7) Riverdale,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에디더월드, 2014, p.17 176.

(5) 디자인 프로세스는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발전시키는 구조적 접근법으로 단계별로 디자인 사 고를 행동으로 구현한다. 디자인 챌린지를 발견하는 것에서부터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에 이르 기까지의 과정을 돕기 위해 다섯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인 발견하기는 제안할 아이디어들의 탄탄한 기초가 되며, 학습자들의 니즈를 깊이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발견하기 단계는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도록 영감을 받는다. 두 번째 단계인 해석하기는 흥미 있는 관점을 찾아내며 아이디어들 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갖는다. 사고의 분류와 통합과 스토리텔링의 기술로 아이디어들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을 찾아낸다. 학습자들의 이야기를 의미 있는 통찰로 바꾸어 주며 이를 통해 훌륭한 영감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 아이디어 내기 단계는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브레인스토밍 활동으로 현실적인 제약 조건 없이 다양한 생각들을 마음껏 펼쳐 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통해 아주 많은 아이디어를 이끌어낼 수 있다. 네 번째 실험하기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들을 현실화한다.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은 아이디어를 가시화하고, 제작 과정에서 몰랐던 것을 배우며, 다른 사람들과 그것을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매우 초기의 프로토타입 일지라도, 거기에서 어떻게 생각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것인지, 때에 따라서는 직접적인 답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전시키기 단계는 도출된 컨셉을 시간을 갖고 지속해서 개발해나가는 과정이다. 아이디어 실천을 위해 다음 단계를 계획하고, 아이디어를 실천할 사람들과 소통하며 전체 과정 을 문서로 만드는 것을 포함하게 된다. 대부분은 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포착되는 미묘한 징후도 중요하다. 본 사례 연구에서는 표 1과 같이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 사고 툴킷 5가지 단계인 발견하기, 해석하기, 아이디어 내기, 실험하기, 발전시키기의 과정을 활용하여 감정을 활용한 기초조형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표 1> IDEO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 단 계. 세 부 과 정 해결할 문제가 있다 : 나는 어떻게 이 문제에 접근할 것인가?. 1. 발견하기 1-1. 문제 정의하기 / 1-2. 조사 준비하기 / 1-3. 영감 수집하기 무엇인가 배웠다 : 나는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해석하기 2-1. 이야기해보기 / 2-2. 의미 찾아보기 / 2-3. 기회 포착하기 기회를 포착했다 : 나는 무엇을 만들어낼 것인가? 3. 아이디어 내기 3-1. 아이디어내기 / 3-2. 아이디어 다듬기 아이디어가 있다 : 나는 이것을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4. 실험하기 4-1. 프로토타입 만들기 / 4-2. 피드백 받기 새로운 것을 시도했다 : 나는 이것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 인가? 5. 발전시키기 5-1. 평가해보기 / 5-2. 경험 구축하기 출처: Riverdale,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에디더월드, 2014, p.18 재정리. 2.4. 감정의 이해 어떤 현상이나 일어난 사건에 대해 마음에서 일어나는 느낌과 기분을 감정(emotion)이라 말 한다. emotion의 어원을 보면 'e + motio'에서 유래된 단어로 이것은 밖으로(e) 움직이다 (move), 흥분하다(excite), 휘젓다(stir up), 동요시키다(agitate)다는 의미를 가진다. 감정은 외부 자극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간의 마음에 발생한 결과라기보다는 인간의 마음속에서 발생 한 것이 정신적, 신체적, 행동적으로 표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8) 8) 정현원, 「감성의 개념 및 어휘 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8, p.13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77.

(6) 심리학자 로버트 플루치크(Robert Plutchik, 1980)는 대표적인 기본감정이 있다고 말한다. 기본 감정은 보편적으로 느끼는 감정으로 기쁨, 신뢰, 두려움, 놀라움, 슬픔, 기대, 분노, 혐오의 감정이 있다. 이러한 기본 감정을 바탕으로 감정을 세분화하고 분류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림 39)을 보면 여덟 가지 기본 감정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기본적인 감정과 혼합되 어 펼쳐지며 서로 관련되는 다양한 감정들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어떤 감정이 반대인지, 어떤 감정이 다른 것으로 쉽게 변화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플루치크의 감정의 바퀴는 우리가 더 넓은 시야로 감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10) 본 연구에서는 플루치크의 8가지 기본 감정을 중심으로 학습자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욕구의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인식하고 개성을 어필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림 3> 로버트 플루치크 감정의 바퀴. 3. 사례 연구 3.1. 수업 모형 제안 선행 연구된 창의적인 입체 조형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모델 안11)을 바탕으로 단계별 학습 과정을 재구성하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조형 디자인 수업 모형12)을 마련하였 다(표 2 참조). 기본적인 조형의 요소와 원리, 조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과정별 사고법 훈련 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감각적으로 표현법을 익힌다. 단계별로 아이디어를 만들고 발전시키 는 틀을 갖추었다.. 9) http://www.fractal.org/Bewustzijns-Besturings-Model/Nature-of-emotions.htm 10) https://www.6seconds.org/2017/04/27/plutchiks-model-of-emotions 11) 문재호, 신진우, 「창의적인 입체조형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모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Vol.24(1), 2018, p.232 12) 문재호, 신진우,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수업모형 사례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2019, p.362 178.

(7) <표 2>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적용한 조형 디자인 수업 모형. 단계.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1. 2. 3. 4. 5. 발견하기. 해석하기. 아이디어내기. 실험하기. 발전시키기. 어떻게 이 문제에. 어떻게 해석할. 무엇을 만들어. 어떻게 만들어. 어떻게 발전시킬. 접근할 것인가?. 것인가?. 낼 것인가?. 낼 것인가?. 것인가?. Step7.. Step9.. 아이디어 만들기. 프로토타입. -생각 시각화,. 만들기. 및 아이디어 스케치. -재료탐색 및 제작. Step1.. Step4.. 문제 이해하기. 이야기 해보기. -주제이해, 팀 구성. -주제 경험 공유. Step2.. Step5.. 조사 준비하기. 의미 찾아보기. -주제 파악/ 탐색. -디자인 컨셉 도식화. Step3.. Step6.. 아이디어 다듬기. 영감 수집하기. 기회 포착하기. -아이디어 실현 검토. -주제 확장 Mind-map. -이미지 Sketch. 및 재료선정 구상. Step8.. ⦁조형 개념이해. 세부과정. ⦁팀구성. ⦁주제 관련 작품 이미지 자료조사. ⦁주제 선정. ⦁디자인 컨셉 도식화. ⦁주제탐색 Mind-map. ⦁이미지 Sketch. ⦁아이디어 Sketch ⦁재료 조사 및 탐색 ⦁제작 과정 Sketch. Step10.. 피드백 받기 -제작 결과 피드백. ⦁재료 쓰임, 표현방법 익힘. Step11.. 평가해보기 -문서화 작업(PPT) 및 평가. Step12.. 다음 계획 세우기 -작품교류 소통 및 성찰 하기. ⦁PPT 발표, 평가 ⦁작품 소통, 자기 성찰. ⦁작품 만들기 ⦁제작 과정 피드백. 3.2. 감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교육 사례 감정을 8가지 주제(기쁨, 신뢰, 두려움, 놀라움, 슬픔, 기대, 분노, 혐오)로 나누어 진행하였으 나 논문의 지면상 ‘분노’라는 주제만 대표 사례로 제시하였다. 분노는 문제가 되는 것과 싸우기 위한 감정으로 학습자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초적 욕구를 공감 언어와 스케치로 드러냄으로써 조형 감각과 결합하여 형태를 만들어 과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마인드맵으로 확장한 조형 언어를 이미지로 그려내고 평면과 입체로 재구성하였다. 4명의 학생은 본명이 아닌 A, B, C, D 학생으로 표기하였다. 3.2.1. 발견하기 어떻게 문제를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단계로 우리가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지 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한 단계이다. 1) 문제 정의하기 (Step 1) 문제 정의하기(Understand Challenge)는 시작 전 4명씩 한 조를 이뤄 팀을 구성한다. 플루치 크의 8가지 감정 특징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2) 조사 준비하기 (Step 2) 조사 준비하기(Prepare Research)는 플루치크의 8가지 감정에 대한 감정별 카타고리를 탐색 하는 시간을 갖는다. 감정이 갖는 표정을 조원들이 서로 간단한 아이콘으로 표현하며 기쁨, 신뢰, 두려움, 놀라움, 슬픔, 기대, 분노, 혐오에 대한 감정을 익힌다(그림 4 참조)..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79.

(8) <그림 4> 주제 탐색 감정 표현. 3) 영감 수집하기 (Step 3) 영감 수집하기(Gather Inspiration)에서는 마인드맵으로 감정에 대한 8가지 주제를 확장한다. 학습자는 그림 카드를 보고 과거 떠오르는 경험을 통해 어떠한 감정을 느꼈고(기쁨, 신뢰, 두려 움, 놀라움, 슬픔, 기대, 분노, 혐오) 그 이유는 무엇이 이었는지 전후 사정(맥락)에 몰입하여 간단한 단어들로 표현한다. 그룹별로 학습자들을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서로 다른 의견을 이해하 는 데 도움이 된다. 단어를 연상하며 학습자는 경험치로 영감을 수집할 수 있다(그림 5 참조).. <그림 5> 감정 어휘 관찰. <그림 6> 감정 공유, 이야기 나누기. 3.2.2. 해석하기 해석하기 단계를 통해 학습자들이 감정을 해석하는 생각과 관점들은 더 진화하고 변화하게 된다. 1) 이야기해보기 (Step 4) 이야기해보기(Tell Stories)는 마인드맵을 통한 감정에 대한 어휘를 관찰한 정보를 정리하면 서 수집한 것들을 문장들로 기술하지 않고, 이야기 형태로 나누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감정에 대해 유연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여 인식한다(그림 6 참조). 2) 의미 찾아보기 (Step 5) 의미 찾아보기(Search for meaning)는 그림 5~6과 같이 마인드맵으로 주제를 자세히 살펴보 고 어떤 주제가 가장 흥미로운지 등에 관해 깊게 탐구하는 시간을 갖는다. 조원들과 다른 의견 은 있는지, 어떤 키워드가 가장 흥미로운지에 대해 의미를 찾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3) 기회 포착하기 (Step 6) 기회 포착하기(Frame Opportunities)에서는 감정의 분노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키워드를 찾아 서 정리한다. 대표적인 키워드를 추출하는 이유는 많은 감정의 카타고리에서 특정 주제의 감정 180.

(9) 으로 작품을 만들기 위해 자신의 경험과 연결시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분노의 주제 에서 찾은 대표 키워드는 배고픔, 성난, 밉살스러운, 싸움, 옷이 맞지 않아 화난, 약이 오른, 성적, 기운 없는, 눈시울이 뜨거운, 야근이다. 다양한 감정 언어를 마주하며 새로운 아이디들을 <표 3> 키워드 추출. 만들어 내는 원천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표 3 참조).. 감정 대표 언어. 3.2.3. 아이디어 내기 ① 배고픔. 제약적인 조건 없이 생각들을 마음껏 펼쳐내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단계이다.. ② 성난 ③ 밉살스러운 ④ 싸움. 1) 아이디어 내기 (Step 7). ⑤ 옷이 맞지 않아 화난. 아이디어 내기(Generate Ideas)는 조별로 많은 종류의 비현실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⑥ 약이 오른 ⑦ 성적. 편안하고 긍정적인 스케치 분위기를 만든다.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것은 조원들의 열정과. ⑧ 기운 없는. 에너지로 표현될 수 있다. 선택한 키워드별로 아이디 스케치를 하고 분류한다(표 4 참조).. ⑨ 눈시울이 뜨거운 ⑩ 야근. <표 4> 조별 감정 이미지 스케치. 감정 키워드. 성난. 싸움. 약 오른. 눈시울이 뜨거워지는. A 학생. B 학생. C 학생. D 학생. 2) 아이디어 다듬기 (Step 8) 아이디어 다듬기(Refine Ideas)는 아이디어의 핵심적인 부분을 파악해서 실현 가능성을 확인 해 본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디어들을 더욱 진화, 발전 시켜 추상적 아이디어 스케치를 얻을 수 있다(표 5 참조). <표 5> 조별 감정 추상적 아이디어 스케치. A 학생. B 학생. C 학생. D 학생. 3.2.4. 실험하기 실험하기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들을 현실화한다.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아이디어를 가시화하고 제작과정을 통해 재료의 물성과 만들기의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게 된다. 조원들과 이것을 공유 하면서 잘 못한 생각을 개선하게 된다. 초기 프로타입으로 생각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면 좋을지 답을 얻을 수 있다.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81.

(10) 1) 프로토타입 만들기 (Step 9) 프로토타입 만들기(Make Prototypes)는 학습자들이 아이디어를 실제적인 형태로 표현하며 어떻게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지 의논하는 데 도움을 준다. 조형 디자인에 앞서 재료의 물성을 파악하고 2D를 입체로 표현하며 공간 지각력을 훈련하게 된다(표 6 참조). <표 6>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 제작과정. ① 색지에. ② 스케치. ③ 입체모양. ④ 조명활용. 스케치. 자르기. 잡기. 촬영. A 학생. B 학생. C 학생. D 학생. 4) 피드백 받기 (Step 10) 피드백 받기(Get Feedback)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데 가장 가치가 있는 방법의 하나다. 어떠한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지 파악한다. 그렇게 선택된 내용을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을 수정, 보완하여 발전시킨다. 3.2.5. 발전시키기 발전시키기 단계는 도출된 컨셉을 시간을 갖고 지속해서 개발해나가는 과정이다. 1) 평가해보기 (Step 11) 평가해보기(Track Leanings)는 도출된 컨셉을 발전하고 학습자별 컨셉이 지니는 영향력을 발현하는 과정이다. 분노라는 한 가지 주제를 통해 다양한 결과물의 아이디어를 비교하고 구상 하면서, 학생들의 다양성을 알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조원들과 함께 소통의 시간을 가지면서, 초기에 발견한 내용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다시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갖는다(표 7 참조). <표 7> 프로토타입 작품 설명. A 학생 / 붉은 눈. B 학생 / 혼돈의 눈동자. C 학생 / 분노의 먹구름. D 학생 / 폭발 10초전. 분노라는 감정에 휩싸인 사람의 붉 어진 눈에 보이는 것을 표현하였다.. 사람의 눈동자 형태의 오브제에 수 업 시간에 조사한 분노의 키워드들. 작품 색은 분노를 느끼면 화가나 빨 개지는 얼굴의 색을 표현하기 위함. 폭발 10초 전은 화산 모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분노가 폭발하는 이미. 울퉁불퉁하게 성남으로 표현하였고. 이 화수분처럼 분출하여 시각적으로. 이다. 싸움을 번개 모양과 약 오른. 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선택하였다.. 날카로움으로 싸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운데에 있는 눈 모양은 눈. 분노가 표출되는 것을 표현하였다. 종이를 비틀어 눈의 형태를 형상화. 느낌은 튀어 오르는 공 모양으로 표 현하였다. 가운데는 눈물을 상징하. 주위가 뾰족하게 튀어나온 부분은 분노가 여러 방향으로 튀어 따갑고. 시울이 뜨거워지게 형상화하였다.. 해 보았다.. 는 선을 그려서 표현하였다.. 아픈 느낌을 표현하였다.. 182.

(11) 2) 다음 계획 세우기 (Step 12) 다음 계획 세우기(Move Forward)는 결과에 대한 경험을 PPT로 작성하여 공유하고, 다음 단계를 계획하며 전체 과정을 문서화한 것을 말한다(그림 7 참조).. <그림 7> 조별 문서화 작업 결과. 3.3. 결과 학습 성과에 대해 학생들이 그림 8과 같이 개인별 성찰일지를 작성하였다. 실습으로 무엇을 얻었는지, 향후 활용 가능성과 조별 학습을 통해 얻은 성과에 대한 응답이다(표 8 참조). <표 8> 질의응답 (A, B, C, D 학생 취합). 질의 내용. 응답 내용 - 감정을 평면적 혹은 입체적을 만들며 추상적인 것을 눈에 보이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감정에 대하여 조금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으며 학생들과 소통하며 타인의 감정. 실습으로 무엇을 얻었는가?. 이 전이 되는 느낌마저 받았다. - 추상적인 감정이라는 소재를 내 느낌과 표현력만으로 그려내고 작품으로 만들어 내면서 성취감을 얻게 되었고, 내적인 동기부여가 되었다. - 인간이 느끼는 감정이 일차원적인 것이 아닌 다차원 세분화적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실습으로 나를 먼저 이해하고 소통해야지, 타인을 공감하게 됨을 알게 되었다. - 감정에 대한 거리감이 가까워져 타인과 다른 창의적인 작품을 어렵지 않게 구현해 낼 수 있을 것 같다. - 향후 감정이라는 오묘한 느낌을 직접 전달해 볼 수 있고 추상적인 모든 것에 구체화 혹은 감정 이. 향후 활용 가능성은?. 입을 시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인간의 감정에 대해 이해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감정적 유형을 파악하여 그 성격에 대해 맞추어 응 대할 수 있을 것 같다. - 디자인할 때 단계별로 주제에 맞는 이미지를 상상하면서 디자인을 구현할 수가 있을 것 같다. - 디자인 씽킹 과정별로 서로 어색하지 않게 재밌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다 보니 좋은 결과물을 성취했다고 생각한다.. 조별 학습을 통해 얻은 성과는?. - 학생들과 함께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들이 나누며 고정된 틀에 박히지 않게 되었다. - 같은 감정이라도 각자의 표현과 생각이 달라 재미있는 결과물과 성과를 얻게 되는 다양성을 배웠다. - 조별 학습을 통해 협동심을 배울 수 있었다. - 각자의 장점을 살려 완성도 있는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이번 수업으로 모르는 학생들과 친해질 수 있으며, 원래 잘 알고 있던 학생들과도 새로운 가치관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첫째, 학습자는 감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공유하며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게 되었다. 둘째, 눈에 보이지 않은 감정을 다차원적으로 세분화하며 표현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껴 향후 다양한 과제에 도전이 가능하며, 디자인에 대한 구현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감정을 타인과 교류하며 다양한 감정에 대한 고정관념이 해소되었다. 또한, 조별 활동으로 협동심을 배우고, 새로운 가치관을 형성하며 디자이너로서 창의 활동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 기초조형학연구 21권 1호 (통권97호). 183.

(12) 다. 넷째, 디자인 씽킹 훈련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석하면서 아이디어를 발전 시켜 결과물을 얻는 과정에서 무에서 유를 창조함을 배우게 되었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사고 과정을 활용하여 학습자 내면에 내재된 감정적 경험 가치를 표출하 여 기초 조형 디자인 수업모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디자인 사고에 기초한 수업 모형을 단계별로 훈련하여 의도한 바를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며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의 감정 경험적 가치를 나누고 기존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감정에 대해 유연하게 소통하고 공감하며 자신의 문제와 연결하여 인식하였다. 학습자별 제시한 창의 적인 아이디어도 경쟁이나 배타적이지 않게 받아들여 창의성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이 관찰되 었다. 셋째, 디자인 사고 과정에 기반하여 체계화된 학습 전략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목표 의식과 창의적으로 내면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결과물을 만들면서 통합에 대한 종합과정 훈련 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체계화된 과정 속 자발적 인지 전략 학습 과정을 통한 결과물을 얻음으 로 성취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앞으로 디자인 씽킹 교육 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 사례를 마련하여 신뢰성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향후 더 나은 기초 디자인 교육 모델의 기반을 마련하 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재휘 등, 『광고심리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Riverdale,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에디더월드, 2014 이민주, 「디자인권 중심 지식재산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정현원, 「감성의 개념 및 어휘 체계 정립을 통한 공감각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논문, 2008 강미정, 이수진, 「가추법과 디자인 씽킹」, 기호학 연구, 38(1), 2014 김정아, 오인균, 「디자인 씽킹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방법론 연구」, 인제대학교디자인연구소, Vol.15(3), 2016 문재호, 신진우, 「감정의 경험적 가치를 활용한 기초 조형 디자인 수업모형 사례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2019 문재호, 신진우, 「창의적인 입체조현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모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1), 2018 박종찬, 「조형교육에 있어서 창의적 발상 접근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2010 이정은, 「욕구 중심 디자인 사고과정 경험의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2018 https://ko.wikipedia.org/wiki/디자인_싱킹 http://www.fractal.org/Bewustzijns-Besturings-Model/Nature-of-emotions.h https://www.ideo.com http://www.6seconds.org/2017/04/27/plutchiks-model-of-emotions. 184.

(13)

참조

관련 문서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전시 패션 디자인 Fashion Design

본 연구는 특히 기술·가정 교과목에 비주얼 씽킹 기법을 도입하는 교육 방 안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업 주제 선정 및 내용 재구성 방안과 수업차시 별 지도안

첫째는 학과에 제출하는 캡스톤

또한 공공 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오픈 API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디자인 씽킹 과정을 통해 창의적인 설계를 할

본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디자인 씽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UN이 선정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달성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본 연구회에서는 디자인 싱킹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창의적 인 제품을 제작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발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디자 인

본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디자인 씽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UN이 선정한 지속가능개발 목표(SDGs)를 달성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그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