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神話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神話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神話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

61) 李 仁 敬**

❙국문초록❙

본 논문에서는 ‘母性(모성)’을 모티브로 한 여신형상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성의 이미지 중 ‘모 성’은 남성이 모방하거나 대신할 수 없는 여성고유의 특징으로 가장 대표적인 여성의 원형이라 할 수 있기 때 문이다.

우선 Ⅱ장에서는 선사시대의 여신상과 여신, 여성숭배를 살펴서 생물학적 속성을 바탕으로 한 ‘모성’ 모티브 가 문화에서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이며 여성의 주체의식의 핵심임을 이해해보았다. Ⅲ장에서는 ‘모성’ 모티브 가 투사된 중국신화 속 여신 이야기를 살펴보았다. 우주와 인류창조의 어머니 여신 女媧, 단편적이기는 하지 만 모성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부계사회의 산물인 感生神話 속 여신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高禖 제사에 서의 여신 이야기를 통해 모성 모티브가 어떻게 반영 되었는지를 살펴 이에 따른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 해해보았다.

[주제어] 모성 모티브, 여신, 여성숭배, 생식, 모성신

❙목 차❙

Ⅰ. 들어가는 글

Ⅱ.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母性’ 모티브

Ⅲ. 신화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와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

Ⅳ. 나오는 글

* 위 연구는 2014학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 단국대학교 강의전담조교수 / renjing999@naver.com

(2)

Ⅰ. 들어가는 글

중국의 女神은 중국의 역사 이전 시기의 원시숭배, 원시종교 및 巫術文化의 번성을 명시한다.1) 여신의 모 습은 전 세계에 걸쳐 神像이나 神話 등을 통해 등장하였는데, 이런 신비한 숭배의 풍속은 선사시대 인류사회 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女神像은 선사시대 인류사회 발전 과정의 한 산물이다. 그것은 이 시기 인류사회의 혼인상태, 인지능력과 숭배 풍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상징적 표상이기 때문이다. 신화 속 여신 역시 여성의 상징적 원형이 반영된 하나의 문화코드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신 형상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여성성을 상상하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母性’을 모티브로 한 여신형상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여성의 이미 지 중 모성 즉 ‘어머니’라는 형상은 남성이 모방하거나 대신할 수 없는 여성고유의 특징으로 가장 대표적인 여성의 원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선사시대로부터 지금까지 모성은 남성과 구분되거나 능 가하는 여성의 힘이며 주체의식의 원천일 수 있었다. 하지만 여성문화의 본질이라 할 만한 모성의 여성원형 은 부계사회의 가부장적 통념아래 순종하고 종속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주체적 모성을 여성의 본질적 한 계로 규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변화된 여성에 대한 인식은 신화에도 반영되어 능동적 독립적 형상 의 여신을 수동적 종속적 형상의 여신으로 전환시켰다. 현재까지 여신과 사회발전 과정을 다룬 많은 연구에 서는 바로 이 부분에 주목하여 주로 설명되었다.

신화는 분명 성스럽고 낭만적일 수만은 없는 사회의 어떤 이데올로기가 반영되기도 혹은 은폐되기도 하는 이야기이다.2) 많은 신화들이 가부장제 사회의 산물이고 거기에 명시적으로나 암묵적으로 특정한 가부장적 통념을 담기도 하고, 이데올로기를 은폐하여 특정집단에서 성스럽게 여겨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영향으로 인해 신화 속에서 男神과는 대비적으로 여신은 그 역할이 폄하되거나 부정적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여신에 투사된 여성의 단편적인 속성일 뿐이다.

종족을 대표하며 혈연관계의 중심을 구체화 한 ‘姓’은 인간의 태어난 뿌리와 그 혈통의 계승을 드러내는 상징적 문자이다. 농업생산력의 증대, 사유제와 전쟁을 통해 남성은 막강한 힘을 얻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모계 ‒ 부계로 사회가 변천했음에도 불구하고 혈통관계의 중심을 상징하는 ‘姓’은 남성의 문자로 전환되지 않 았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혈통이 모계승계였음을 보여주는 흔적이며 부계사회로 전환 이후에도 변할 수 없었던 여성의 대표적 원형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분명 여성 이미지의 긍정적 요소라고 할 수 있 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하여 생물학적 속성에만 치중된 여성의 원형이라는 부정적 견해도 있지만 생물학적 남 성과는 다른 여성만의 속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면 현대사회에서 여성은 보다 적 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을 것이며, 생명에 대한 경시가 팽배한 현재의 사회풍조에서 여성의 긍정 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1) 徐子峰, 「新石器時代中晩期中國女神問題略論」, 󰡔遼寧師範大學學報󰡕, 2005, 116. 2) 차옥숭 외, 󰡔동아시아 여신신화와 여성정체성󰡕,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18~19.

(3)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을 대표하는 ‘모성’ 모티브가 투사된 중국신화 속 여신을 통해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해해보고자 한다. 특히 ‘모성’ 모티브와 관련된 여성 원형은 선사시대의 생식숭배와 밀접한 관계 가 있으며, 이것은 또한 중국문화의 한 일면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Ⅱ장에서 는 모계 ‒ 부계로의 발전과정을 혼인형태 변화 등과 함께 살펴보고 이에 따른 여신과 여성숭배 전통을 알아보 도록 한다. 여신, 여성숭배는 선사시대 생식숭배 즉 生育의 주체였던 여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기인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 씨족의 번성과 보존의 중심이었던 원시의 ‘어머니’가 그 원형이 되어 숭배되었음을 선사 시대의 여신상과 여신, 여성숭배를 살펴서 생물학적 속성을 바탕으로 한 ‘모성’ 모티브가 문화에서 여성의 긍 정적 이미지이며 여성의 주체의식의 핵심임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모성’ 모티브가 투사된 중국신 화 속 여신 이야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에는 다양한 직능과 형태의 여신들이 많이 있었지만 본 논문에서 는 주로 ‘모성’ 모티브가 투사된 여신 형상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우주와 인류창조의 어머니 여신 女媧,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모성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부계사회의 산물인 感生神話의 여신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高禖 제사에서의 여신 이야기를 통해 모성 모티브가 어떻게 반영 되었는지를 살펴 이에 따른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해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신화 속 여신 이야기 중 소수민족의 신화를 참고하기는 하지만 주된 연구범위로 포함시키지 는 않으며, 각각 주제를 대표하는 여신을 선별하여 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Ⅱ. 고대 중국의 생식숭배와 ‘母性’ 모티브

1. 모계부계로의 발전과 여신, 여성숭배

(1) 모계 ‒ 부계로의 발전과 生育관념

구석기에서 신석기에 이르는 오랜 기간 동안 인류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맺어진 모계 혈연공동체에서 아버 지에 대한 인식과 함께 야기된 부계 혈연공동체라는 과도기적 과정을 겪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환경은 남녀 의 혼인관계를 비롯한 생활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야기된 남녀 兩性에 대한 인식은 문 자와 신화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고대 신화는 고대사회의 거울과 같다고 하였듯이 모계로부터 부계로의 전환은 여신숭배에서 남신숭배로의 변화를 이끌었다.3) 모계씨족사회의 형성은 고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모계란 혈통이 어머니를 중심으로 승계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어머니만을 분명히 알 수 있었던 생활환경과 밀접한

3)謝麗芳, 「上古神話中的兩性崇拜」, 󰡔呂梁敎育學院學報󰡕, 28: 3, 2011, 126. 신화는 모계씨족사회에서 시작되어 부 계씨족사회에서 번성하였고, 노예제사회에서는 극성을 이루었다가 점차 쇠퇴해졌다. 이런 변화와 맞물려 신화의 양성숭배의 현상이 형성되었다고 하였다.

(4)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역사이전의 고대사회는 생산력이 지극히 낮고 사람들의 認知도 그다지 발달하지 못했 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을 고작 대자연의 일부로 인지하며 대자연의 질서와 동일하게 짐작하거나 인간에서 대자연의 모습을 짐작하는 생활을 하였다. 그래서 역사이전시기의 사람들은 생명이 있는 자연만물은 그것이 무엇이든 인간처럼 영혼이 있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생각은 당시 유물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인간에게는 없는 어떤 모종의 힘에 대한 경외심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이런 경외심은 어떤 신의 의지에 의해 주관되는 것이라는 생각과 맞물리면서 신에 대한 숭배로 드러나게 되었다. 토템숭배도 이와 같은 맥락 에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신에 대한 원시적 숭배는 모계씨족사회 여신에 대한 숭배에도 영향을 끼 쳤을 것이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모계씨족사회에서는 여성이 씨족의 주체였기 때문에 여성을 각종 자연을 운 용하는 신 곧 여신으로 숭배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옛날 태고시절에는 임금은 없었다. 그 백성들은 함께 모여 사는 군집생활을 하였고, 어머니는 알지 만 아버지는 알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친척, 형제, 부부와 남녀의 구별이 없었다.4)

여기서 ‘어머니는 알아도 아버지는 알지 못했다.’라 한 것은 여성이 그 공동체 사회의 주체이며 중심이었 음을 나타낸 것이다. 당시 사람들은 남녀 양성관계와 생육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 문에, 여성은 생명의 주체로서 공동체인 씨족의 후대를 이어주는 숭배의 대상일 수밖에 없어서였다.5)

혼인의 발전과정에서 다른 씨족 간에 다수로 맺어지던 群婚이 배우자가 있는 군혼, 즉 對偶婚이 등장하게 되면서 남녀의 사회문화적 지위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변화는 모계로만 승계되던 혈통이 부계로 승계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는 점이다. 대우혼 시기는 모계에서 부계사회로의 과 도기적 시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원시농경 단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농경생활이 시작되면서 생산력은 점차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남성의 노동력은 점차 중시되었다.6) 남성의 사회적 공헌이 나날이 증가하면서 대우혼 시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父子관계는 모계사회를 동요시켰고, 이것은 모계에서 부계로 전환되는 계기를 이끌 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여성은 더 이상 神格이나 권위 있는 대상으로 존숭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이 라는 양성관계로 그 사회적 지위가 변화되었다. 사회생산력이 계속해서 늘어나게 되면서 사회생활의 중심도

4)張雙棣 外 譯注, 󰡔呂氏春秋譯注󰡕, 長春: 吉林文史出版社, 1993. 「恃君覽」, “昔太古嘗無君矣, 其民聚生群處, 知母不知父, 無親 戚兄弟夫妻男女之別。

5)邢燕萍·李玉芬, 「中國古代女性社會地位變遷的漢字文化考察」, 󰡔楚雄師範學院學報󰡕 第27: 1, 2012, 14~15. 이 당시 원시민들은 의식이 미분화된 상태였으므로 대지가 만물을 生育시키듯이 여성도 대지처럼 신비로운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이 라 여겨 여성을 숭배했다고 한다.

6)宋兆麟 저, 洪熹 역, 󰡔生育神과 性巫術󰡕, 東文選, 1998, 21. 역사이전 시기 인간은 채집과 어업, 수렵에 종사하다가 점차 농업과 가축사육을 생각해내고 이를 실행하였다. 이 중 채집은 여성들이 주로 담당했으며 원시 농경 시기에는 여성들이 주로 농업을 담당하며 가축사육까지도 함께 역임하고 있었기 때문에 안정된 삶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밥 하고 옷감을 짜 는 일에 이르기까지 인류에게 안정된 衣食을 마련할 핵심원을 제공하였던 여성의 역할 때문에 어업과 수렵을 위주로 한 불안 정한 생산 활동 중심의 남성의 역할보다 경제적 중요도가 컸었다고 한다. 원시 농경은 본문에서 언급한 농경시기와는 차이가 있는데, 남성이 중심이 된 농경 시기는 발명된 도구나 기술에 의해 농사를 지으며 생산력을 급증시켰던 때로, 자연을 정복하 거나 발명을 주도하거나 적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는 모습으로 남성을 형상화했던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5)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경외의 대상이기만 했던 자연으로부터 벗어나 자연을 인식하게 되고 다시 그것을 정복 하고자 하는 인식이 싹트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사람들은 자연을 정복할 수 있는 힘을 숭배하게 되 었고, 그 힘의 중심에 있던 남성은 자연스럽게 남성신 혹은 영웅으로 숭배되었던 것이다. 이로부터 남성 영 웅이 창조되어 자연을 정복하거나 발명을 주도하거나 싸움에서 승리하는 형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신화의 중심내용과 인물에도 변화를 촉진시켜 남성중심의 신화가 점차 많아지게 되었다.7)

인류의 번성은 남녀의 交合과 여성의 생육에 의존하는 것이다. 하지만 오랫동안 인간은 이런 생육의 진정 한 원인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생육과 관련된 남성의 역할을 인식하지 못하여 아이를 낳는 것이 여성에 의해 서만 실현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모계씨족사회에서 생육의 밖으로 밀려났던 남성의 존재는 아 버지를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통해 여성 특히 女陰과 관계있는 생육을 感生의 이미지로 발전시켰고, 이것은 다시 남녀 양성의 교합에 의한 생육관념으로 발전시켰다. 혈통은 모계에서 부계승계로 점차 변화되어 대우혼 은 원시 부계가정의 一夫一妻, 그리고 확고한 일부일처제를 기반으로 한 부계사회로 점차 발전하였다.8) 그러 니까 생육관념의 변화는 사회 권력의 중심이 점차 남성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분명히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 다. 이와 같은 사회의 변화는 생식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초래하였다. 男根숭배가 여음숭배를 대신하게 되었 고 이것은 다시 여성 조상에서 남성 조상에 대한 숭배로, 나아가 남신이 여신을 대신하는 문화적 변화를 견 인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2) 女神像과 女神 숭배

구석기 시대에는 흙으로 빚은 여성상을 우상으로 숭배하였다. 중국의 여성 숭배 기원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신석기 시대에 형성된 紅山文化의 유적과 유물에서는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9) 중국 遼寧省 喀左縣 東山嘴 홍산문화 유적지에서 제사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흙으로 빚어진 여성상이 발 견되었다. 또 遼寧省 홍산문화 유적에서 대규모의 女神廟가 발견되었다. 묘에서는 대량의 인물상 파편들이 남아있었는데 이 파편들은 여성의 특징을 뚜렷하게 나타내고 있었다고 한다. 특히 놀라운 것은 거의 사람크 기에 가까운 여신상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유적지의 특징으로 보아, 女神廟는 제사를 지내던 장소이고 여신 상은 제사의 주요대상이었다고 추측되었다.10)이로부터 5천여 년 전 고대 중국에서는 여신 숭배현상이 이미

7) 夸父, 羿, , 黃帝와 蚩尤 등의 남신이 이와 같은 예에 속한다.

8) 李學槿 主編, 󰡔禮記正義󰡕,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禮記·昏義󰡕, “남자와 여자의 구별이 지어진 이후라야, 비로소 남 편과 아내 간에 바른 도리가 생기는 것이다. 남편과 아내 간에 바른 도리가 생기고 난 이후라야, 아버지와 자식 간에 친애 함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아버지와 자식 간에 친애함이 생겨난 이후라야, 임금과 신하가 각기 그 자리를 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혼례는 예의 근본이다.’라 말한다.(男女有別, 而後夫婦有義; 夫婦有義, 而後父子有親; 父子有親, 後君臣有正。故曰: 昏禮者, 禮之本也。)” 여기에서는 남녀의 분별을 통해 친자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국가가 완성된다고 하 였으니, 이것은 一夫一妻 혼인이 부계사회의 완성에 중요함을 설명한 것이라 하겠다.

9) 송정화, 「紅山文化의 신화·종교적 의미」, 󰡔중국어문학지󰡕16, 2004. 48~51쪽 참조. 지금까지의 발굴을 기초로 할 때 최초 여신상의 출현은 구석기 말기라 볼 수 있지만 제대로 구현된 여신상의 흔적은 아직까지 중국에서 발굴되지 않았고 단편적인 상징들만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기원전 3500년에서 2200년 무렵 內蒙古 赤峰市 동북쪽 교외 紅山에서 발원하였다는 신 석기 시대의 문화 유적지에서 발굴된 다양한 여신상과 그와 관련된 유물 등은 당시 여신 숭배와 여신에 관한 연구에 실질적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0) 徐子峰, 앞의 논문, 116~117. 여기에서 열거한 홍산 문화 유적지를 참고해 인용하였고, 이에 대한 설명도 첨가해 정리하

(6)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아주 이른 시기에는 여인의 생육 능력이 신성한 힘으로 여겨져 신이 관할하 고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찬미하고 감사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창조력 혹은 신의 가장 초기 개념에서 여성, 모성, 부녀, 聖母를 숭배하는 형식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11)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시 조 여신은 女媧이다.

여신 女媧는 이와 같은 속성을 그대로 형상화한 대표적인 大母神이다. 이에 대해 󰡔說文解字󰡕에서는

媧는 예전의 신령스럽고 성스러운 여성으로, 만물을 만들어 내는 존재이다.12)

라 하였다. ‘만물을 만들어 내는 존재’라고 한 것은 어머니를 표상하는 여성의 전형을 말하는 것으로, 이런 여성원리는 하루에도 일흔 번씩 변하며 신들을 化生시켰다는 이야기에도 투사되어 있다.13)고대 원시사회에 서 인류에게 가장 중요시 된 것은 생산이었기 때문에 그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힘 즉 생식을 찬미하고 숭배 하여 그 주체였던 여성을 숭배하였던 것이다. 이런 여성원리가 女媧 여신에게 그대로 투사되었기 때문에 ‘’ 를 ‘神聖母’라고 풀이하였던 것이다. 이 외 西王母, 羲和, 常羲 등의 여신도 이와 같은 예에 속한다.14)

여신숭배는 독특한 종교 신앙의 하나로 간주되어진다. 심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고대인들은 여성의 음 부를 통해 생명체가 탄생된다는 ‘女陰生育’ 기능에 대해 신비롭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 개체의 지속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인간은 ‘낳고 기르는(生育)’ 문제에 민감하여 이를 가장 중시하였다.15) 群婚制 시기에 태어난 아이들은 전적으로 어머니와 함께 생활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고대인들에게 있어 생육의 문제는 곧 어머니에게만 속한 것으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說文解字󰡕에서 ‘也’는 여성의 음부를 상징하는 글자라 하였다.16) 처음에는 여성을 대표하고 생육 기능을 상징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하지만 고대인들은 생명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있을지라도 그 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길은 없었을 것이므로, 여음을 상징하는 물건은 신비한 의미를 띄기 시작하면서 점차 여성에 대한 흠 모의 심리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 증거로는 여신의 음부 형태가 크게 강조되었던 구석기 시대의 유물을 들 수 있다. 존경과 흠모의 대상이었던 여성이 어느 정도 신비로운 의미를 띄게 되면 신의 품격을 부여받고 결 국 신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 이런 사회문화적 상황으로 인하여 생명과 존속의 주체였던 여성

였다.

11) 魏勒, 󰡔性崇拜󰡕, 中國靑年出版社, 1988, 41.

12) 臧克和 外 校訂, 󰡔說文解字新訂󰡕, 北京: 中華書局, 2002. 󰡔說文解字·女部󰡕, “女媧, 古之神聖女, 化萬物者也。

13) 楊帆 外 注譯, 󰡔山海經󰡕, 合肥: 安徽人民出版社, 1999, 415. “열 명의 신이 있는데, 이름을 女媧의 배라고 한다.(有神十 , 名曰女媧之腸, 化爲神。「大荒西經」)”에서 女媧의 배는 女媧의 배가 변하여 신이 되었다는 뜻이다.

14) 劉勤, 󰡔性別文化視域下的神話敍事硏究之:女神論󰡕,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3, 44~45. 신화학자들은 여와를 비롯 한 위 본문의 여신들의 신격은 원시 대모신에서 비롯된 것이라 설명한다. 그리고 이런 대모신의 신성함은 여성의 생식 기반으로 한 것이라 하였다.

15) 진스추앙 저, 안동준·김영수 역, 󰡔도교와 여성󰡕, 창해, 2005, 31~33. 16) 󰡔說文解字·へ部󰡕, “, 女陰也。

(7)

을 사람들은 神으로서 숭배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모계씨족사회 초기의 이와 같은 神格의 여성원리, 즉 여 신과 여성에 대한 숭배는 신화와 문자에 고스란히 투사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생식숭배와 ‘母性’ 모티브, 그리고 女神의 기원

고대 여신에 대한 숭배는 여성생식에 대한 숭배에 기원한다. 이로부터 탄생된 신화 속 최초의 여신들은 모두 생식을 신격의 핵심으로 삼았다. 이런 생식여신들은 후대에도 결코 사라지지 않았으며 그 중 일부는 계 승되거나 발전되었다. 후대 생식여신들은 조상여신 즉 시조여신 부류로 치중되어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신의 기원이 곧 여신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일까? 여신의 출현은 인류번성에 대한 숭배와 경외 그리고 생식 원인에 대한 신비감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편적인 여신 형상 곧 인격화된 여신은 이후로 발전을 거듭하면서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장에서 다루고 있는 생식 모티브와 여신 의 기원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고대의 생육관념의 발전과 여신 형상의 발전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고 대의 生育觀에서는 최초 자연이 만물을 낳았다는 지극히 간단한 관념으로부터 시작된다. 이후 이런 관념은 신령한 感應 즉 토템과 여성에 의한 생육으로, 그리고 다시 남녀교합에 의한 생육으로 발전되었다.17) 특히 자연과 토템에 의한 생육 단계에서는 여성이 자녀를 낳아 기를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여성이 어떻게 생 식할 수 있는지도, 그리고 그것이 남녀교합의 산물인지도 전혀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때의 여신은 아직 보편적 형상의 것은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어떤 자연이든 동식물과 합체이든 간에 아직은 인격화가 된 신이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들의 특징은 분명 여성생식과 관계가 있다. 한 종족의 자손을 번성시키고자 하는 소망으로 여신의 모습을 특징화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楚나라 巫山神女는 본래 姑 媱山의 䔄草였고, 여신 女媧는 어미 개구리의 뜻이었으며, 納西族의 여신 巴丁喇木은 청개구리와 어미 호랑 이의 뜻이었고 珞巴族과 漢族의 여신은 태양신이었다.18) 이와 같은 예를 통해 자연신이나 토템이 여신과 관 계있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둘 사이의 결합은 여성의 확대된 생식숭배에 기인한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어떤 자연물이 인류를 낳았다 한다면 인류의 기원신앙이 생육신앙과 결합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고 하였듯이 여기서의 결합 역시 생식숭배와 관련하여 여신과 결합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19)

사람의 인식이 발달됨에 따라 여신의 인격화된 형상은 필연적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이와 함께 여성생식숭 배는 독립적인 형태로 등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여성생식이 자연이나 동식물의 외형적 껍데기에 가려져 있다가 이를 벗어나니 숭배의 핵심으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이상의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여신은 그 형상이 등장하면서부터 생식을 모티브로 한 모성적 여신 즉

‘어머니 여신’의 모습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화에도 바로 이와 같은 가장 원시적인 속성이 반영되었던 것이

17) 宋兆麟 저, 洪熹 역, 앞의 책, 379~393.

18) 원시 상고시대에는 민족이나 지역에 따라 뱀, 개구리, 호랑이, 호로박, , 물고기, 새 등을 토템으로 하였는데, 이것들은 모 두 다산과 풍요를 소망했던 생식숭배와 관련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다시 여성생식과 여신의 특징으로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19) 宋兆麟 저, 洪熹 역, 앞의 책, 382.

(8)

다. 이와 관련하여 리안 아이슬러(Riane Eisler, 1931~)는 󰡔성배와 칼󰡕에서 고대 농경사회에서는 여신을 숭 배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여성의 신성화에 대한 중요한 증거를 농업 문명 발상지 세 곳 등 에서 찾았다고 하였다. 또 여기서 여성이란 땅과 마찬가지로 생물학적 특성상 출산을 하고 영양분을 공급하 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20)

전 세계에 분포된 구석기, 신석기 유적지에서는 대량의 나체 여신상들이 출토되었다. 나체 여신상의 실질 적 함의는 여성의 특징과 생육기능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 한다.21) 여신 숭배는 역사이전 인류의 생식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현상은 구석기 말기로부터 신석기 시대 전체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보편적이며 신비 한 원시종교현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나체여신상들은 풍만한 유방과 비대한 엉덩이 모습 을 하고 있고, 구석기의 도상의 경우에는 여성의 하체나 소머리 등의 동물의 머리 부분이 드러나 있기도 한 것이다.22)

이와 관련된 또 다른 증거를 漢字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여성 글자 ‘母’는 바로 원시의 여신상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母의 형상은 ‘균형을 잃을 정도로 커다란 한 쌍의 젖을 안고 꿇어앉은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1 2

<그림 1> ‘母’의 자형 1. 甲骨文 2. 金文

이것은 곧 ‘젖을 먹임으로써 생명을 길러내는 생육의 존재’인 어머니의 형상으로, 자녀에게 수유하는 것이 최대의 가치 있는 일로 간주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식을 기르기 위해 드러내 보인 젖의 형상 은 󰡔說文解字󰡕에도 ‘자식을 안고’, ‘자식에게 젖을 먹이는’ 것으로 풀이되어 있다.

母는 다스리다의 뜻이다. 女의 뜻에 따른다. 자식을 안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혹은 자식 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23)

자식에게 젖을 먹이는 어머니의 모습은 태고로부터 계속되어 온 여성의 생물학적 속성과 관계된 것으로 자손을 낳고 기르는 생육은 여성의 특징이며 여성만의 힘으로 그 기능이 강조되어 문자에 투사된 것이라 할

20) 리안 아이슬러 저, 김경식 역, 󰡔성배와 칼󰡕, 비채, 2006, 68. 21) 徐子峰, 앞의 논문, 117.

22) 마르치아 엘리아데 저, 이은봉 역, 󰡔종교형태론󰡕, 한길사, 2002, 156. 대기와 풍요의 신이 암소의 모습을 한 생식신으로 등장한 것은 중국 뿐 아니라 아프리카, 유럽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된다고 하였다. 같은 책, 237. 또 풍요에 대한 신 으로 특징지어지는 황소의 뿔은 대보신의 표장이며, 이것은 신석기 문화에서 도상이든 소 형태의 우상이든 간에 풍요의 대 여신이 현존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였다.

23) 󰡔說文解字·女部󰡕, “, 牧也。從女, 象褱子之形。一曰象乳子也。

(9)

수 있다. 여기에서 母를 ‘다스리다’라고 한 것은 씨족 내에 세대 간의 구분이 생긴 후 자신보다 항렬이 높은 여성을 보편적으로 母라 칭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24)

여성의 생식적 기능이 母에 투사된 것처럼 여성생식숭배는 인격화 된 여신의 형상에도 반영되었다. 女媧, 西王母, 羲和와 常羲 등은 모두 생식 여신이다. 또 소수민족신화에 등장하는 여신들 역시 생식 여신으로 이 들의 신격 중 가장 중요한 것 역시 생식이었다. 물론 각 부족의 여신마다 숭배의 정도차이는 있고 이후 여신 들의 직능이 분화되거나 확대되었을지라도 그런 직능들은 모두 ‘생식’에서 파생되어 확장된 것이므로 생식 모 티브를 여신의 원형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생육의 주체가 여성이라는 인식은 ‘비롯하다’는 뜻의 ‘始’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始는 甲骨文과 金文에서 태아의 머리가 아래로 향해 있는 ‘台’에 ‘女’가 덧붙여진 것으로,25) 許愼은 이것을 “始는 여자가 비롯하는 것” 이라 풀이하였다.26) 다시 말해 갑골문과 금문의 형상과 관련하여 보았을 때 임신은 생육의 주체였던 여성의 상징이며 그 여성으로부터 인류는 시작되었기 때문에 생식 모티브는 곧 여신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桂馥은 “始란 처음 태어난 것을 말한다.”고 하여 여성으로부터 인류가 처음 시작된 것임을 설명한 것이라 하였다.27)아버지는 모르는 상태에서 어머니는 한 종족 공동체의 중심일 수밖에 없었으며, 생명과 관련된 모 든 시작은 생육의 주체인 여성으로만 상상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모계사회 초기 여성은 신격으로 숭배될 수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여성의 특징화하는 생육을 대표하는 ‘모성’은 여성을 숭배의 대상이 되게 하였고, 이것은 신화에 그대로 투사되어 어머니 여신으로 형상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Ⅲ. 신화 속 女神에 투사된 ‘母性’ 모티브와 여성의 긍정적 이미지

1. 위대한 어머니 여신(大母神):우주와 인류의 어머니

고대사회는 여성과 자연의 생리적 주기를 동일시하였기 때문에 󰡔山海經󰡕에서 여성 변신의 예가 많은 것이 라고 하였다.28) 󰡔산해경󰡕 속 여신들 성별의 모호함은 상상계에서 원시적 여성 이미지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신들 대부분은 자연과 친밀한 관계로부터 영원한 생명력과 창조라는 공통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중국의 여신들이 변형 과정을 거치면서도 남신에 배척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숭배 받을 수 있었 던 이유도 바로 이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생육의 주체를 상징하는 모성 모티브와 陰의 역할을 강조하는 도

24) 維志成 저, 임진호 외 역, 󰡔문자문화학󰡕, 문현, 2011, 311. 殷商 甲骨文에서도 어머니 항렬의 모든 여성들을 母라 칭했는 , 이 때 이들은 母를 각 시대의 군주를 가리킨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25) 穀衍奎, 󰡔漢字源流字典󰡕, 北京: 華夏出版社, 2006, 154. “태아가 뒤집어진 모습으로 곧 머리가 아래로 향해있는 태아의 모양이다. 임신한 것을 뜻한다.(胎兒形的倒形, 卽頭朝下的胎兒形, 表示懷胎之意。)”

26) 󰡔說文解字·女部󰡕, “, 女之初也。

27) 邢燕萍·李玉芬, 앞 논문, 15쪽 재인용. 桂馥, 󰡔義證󰡕, “始言初生也。

28) 송정화, 「󰡔산해경󰡕 신화의 여성 이미지 분석」, 󰡔중어중문학회󰡕 29, 2001, 503~504.

(10)

교에서 여성적 원리의 가치를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이다.29)

뱀이 허물을 벗고 재생되듯이 뛰어난 변화 능력을 지닌 여신 女媧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창조의 어머니 여신이다. 또 女媧는 생명창조와 관련된 이미지 뿐 아니라 세상을 구제해 재생시키고 풍요와 다산을 주관하 는 다양한 직능의 여신으로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죠셉 켐벨(Joseaaph Campbell, 1904~1987)이 선 사시대 여신숭배가 다신교이며 일신교라고 주장한 것과 관련이 있다. 여러 장소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형태의 여성숭배 상징물이나 형상들은 대부분 닮아있는데, 이것은 여신이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숭배 받았던 사실 때문이며 이런 의미에서 여신숭배가 다신교이며 일신교라 할 수 있다고 하였기 때문이다.30)그러므로 다양한 이미지와 직능으로 숭배 받았던 女媧를 비롯한 다른 중국 여신들도 이와 비슷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女媧라는 大母神이 만들어낸 우주창조에 대한 이야기이다.

아주 먼 옛날, 우주의 사방이 무너지고 온 세상은 땅들이 갈라지고 찢겨나가는 재난에 휩쓸렸다. 하 늘은 대지를 더 이상 덮을 수가 없었고, 땅도 만물을 더 이상 실을 수가 없었다. 땅속에서는 활활 타는 불길이 끊임없이 치솟았으며, 넘치는 강물과 홍수는 그칠 줄을 몰랐으며, 맹수들이 들끓어 여리고 힘없 는 백성들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었다. 이에 女媧는 다섯 빛깔의 아름다운 돌을 다듬고 구워서 하늘의 터진 틈들을 기워, 뭇 별이 빛나는 아름다운 하늘을 만들었다. 그런 다음 홍수 속에 어슬렁거리는 커다 란 자라의 굵고 튼튼한 다리를 잘라서, 우주의 사방에 기둥을 세워 하늘을 떠받쳤다. 홍수의 주범인 검 은 용을 잡아 죽임으로써 범람하는 홍수로부터 온 세상을 구해 냈다. 홍수는 멎었으나 온 땅은 이미 늪지대로 변하여 도저히 사람들이 살 수 없었으므로, 女媧는 늪가에 우거진 갈대들을 배어다 땅위에 쌓아서 여기에 불을 질러, 그 재로써 대지를 말리고 대지를 소생시켰다. 이렇게 하여 푸르고 아름다운 하늘이 만들어지고, 우주의 사방의 질서도 바로잡혔으며, 홍수도 마르고, 천하도 평안해졌다. 사나운 짐승들은 죽어 없어졌고, 착한 백성들은 女媧의 덕으로 다시 살아났다. 마침내 사람들은 대지에 등을 대고 누워서, 드넓은 하늘을 품에 안을 수 있게 되었다.31)

이상의 이야기는 기존의 우주질서가 홍수라는 재난으로 인해서 混沌으로 휩쓸려 파괴되고, 그 파괴된 우 주의 질서를 다시 재건하는 과정을 그린 신화이다.32) 女媧의 우주창조 전말을 살펴보면 맨 처음, 女媧는 오

29) 진스추앙 저, 안동준·김영수 역, 앞의 책, 116~118. 여성숭배가 도교 안에서 전면적으로 계승된 것은 그 밑바탕에 主陰 사상이 결정적인 작용을 하였다고 한다. 老子로 대표되는 도가학파 사상의 주된 원천은 󰡔歸藏󰡕인데, 이것은 坤卦를 으뜸으 로 한다. 坤은 땅을 대표하며 이것은 곧 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陰은 우주적 관점에서 陽에 상대되는 여성성을 상징한 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歸藏󰡕에서는 陰을 받드는 주음사상이 밑바탕에 깔려있다 할 수 있고, 이것은 도교학 파에 수용되어 한나라 이후 도교의 주요 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노자는 󰡔道德經󰡕에서 그의 주된 사상인 를 항상 모성의식과 같은 것으로 관련짓기도 하였다.

30) 리안 아이슬러 저, 김경식 역, 앞의 책, 67쪽 재인용.

31) 趙宗乙, 󰡔淮南子譯注(二十二子詳注全譯)󰡕, 哈尔滨: 黑龍江人民出版社, 2003. 󰡔淮南子·覽冥訓󰡕, “往古之時, 四極廢, 九州裂, 天不兼覆, 地不周載, 火爁焱而不滅, 水浩洋而不息, 猛獸食顓民, 鷙鳥攫老弱. 於是女媧鍊五色石以補蒼天, 斷鼇足以立四極, 殺黑龍以濟冀州, 積蘆灰以止淫水. 蒼天補, 四極立, 淫水止, 冀州平, 狡蟲死, 顓民生. 背方州, 抱圓天.”

32) 이런 유형의 창세신화를 홍수신화라 하는데, 홍수로부터 시작하는 지구상의 모든 신화는 女媧의 그것처럼 죽음과 재생 라는 공통의 모티브를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그것은 시작의 신화이기 때문에 신화의 세계에서는 이를 原型回歸的 창세신화 라 한다. 그러나 開闢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뜻에서 중국인들은 이를 女媧補天신화라 부른다.

(11)

색의 아름다운 돌들을 빚고 다듬어서 그것으로 하늘의 터진 틈을 기운다. 둘째, 女媧는 자라의 다리를 잘라 우주의 사방하늘을 떠받침으로써 안정적인 우주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셋째, 女媧가 감행한 것은 黑龍의 살해였다. 혼돈의 우주질서를 원형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果斷의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흑용이 지닌 ‘黑’은 어둠과 죽음의 이미지이다. 따라서 흑용의 신화는 긍정적 비전의 신화라기보다는 홍수와 같은 파괴성을 지닌 사나운 惡龍의 신화라 할 수 있다. 흑용으로 인해 지상은 혼돈과 공포와 죽음에 휩싸였다. 따라서 흑용의 살 해는 혼돈으로부터의 질서회복이라는 분명한 명제를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살해가 곧 시작의 신화’라는 측면 에서, 그것은 우주어머니로서의 위력을 드러낸 지엄한 용단이었으며 창세의 顚末的 행위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女媧는 갈대를 태워 그 재로써 대지를 소생시켜 놓는다. 갈대는 습지대에서 왕성하게 자라는 식 물이다. 女媧는 그 무성한 갈대를 쌓아 불을 지름으로써 물에 젖어 있던 음습한 대지를 건조시키고 죽었던 대지의 기능을 소생시키어 대지에 생명력을 불러 넣어줌으로써 인류가 새롭게 소생한 땅에서 혜택을 누리게 하였다. 이처럼 女媧는 중국인들 그 원초의 공간에 존재하고 있던 위대한 어머니였다. 그녀는 첫째 아름다운 별들이 총총한 푸른 하늘을 만들어 준 여유롭고 아름다운 어머니, 둘째 자라의 다리를 잘라 하늘과 땅의 질 서를 바로잡아 주고, 셋째 흑용을 죽여서 홍수를 막아주던 과감하고 적극적이며 無所不爲의 용감한 어머니, 넷째 갈대를 태워 대지에 생명을 불어넣어 기름지게 살려낸 지혜로운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女媧는 양육자로서의 지혜와 용기를 보여준다. 그것은 혹은 관대하고 혹은 강인하고 혹은 엄격한 어머니로서의 면모이며 선과 악을 통합한 우주적 권능의 어머니 상이다. 그리고 이것은 고대 중 국인 집단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어머니에 대한 무언의 무의식의 투사이다. 󰡔淮南子󰡕에서 “빛나는 그 공적을 생각할 때, 위로는 구천에 통하고, 아래로는 황토에 이르며, 명성은 후세에 전하여지고, 광휘는 만물에 비추 인다.”33)라고 한 것은 중국인 자신들의 원시의 어머니 여신이며, 우주의 대모신인 女媧의 공적에 대하여 그 들 스스로가 내린 찬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편적 기록이기는 하지만, 인류근원에 대한 무의식도 女媧라는 여성원리에 의존하고 있다.

천지가 처음 열렸을 때, 아직 사람이 없었다. 女媧는 황토를 빚어 사람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그 러나) 아무리 애를 써도 많은 사람들을 한꺼번에 빚어낸다는 것이 수월치 않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새끼줄을 진흙 속에 담갔다가 휙 들어올렸다. 뚝뚝 떨어지는 진흙들로 하여금 사람이 되게 하였던 것 이다.34)

창조의 신비를 지닌 女媧는 마침내 흙에 생명을 불어넣어서 온 세상의 사람을 만들어낸다. 흙으로 인간을 창조하였다는 모티브는 비단 중국에만 국한되었던 것은 아니다. 대지는 모성과 무한한 결실의 힘을 드러내는 하나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은 흙과 자궁 그리고 생식행위와 농경 작업

33) 󰡔淮南子·覽冥訓󰡕, “考其功烈, 上際九天, 下契黃壚, 名聲被後世, 光輝熏萬物.”

34) 李昉 等 編, 󰡔太平御覽󰡕, 臺北: 商務印書館, 1986. 󰡔太平御覽󰡕 卷78, 後漢, 應邵,󰡔風俗通󰡕, “俗說天地開闢, 未有人民, 媧摶黃土作人, 劇務力不暇供, 乃引繩於泥中, 擧以爲人.”

(12)

을 동일시하였다고 한다.35) 농경생활을 하던 사람들은 만물을 낳고 오곡을 싹 틔우는 대지를 생명을 낳고 기르는 여성의 생식능력과 동일시하였다. 󰡔說文解字󰡕에서 “흙은 땅이 만물을 토해 낳는 것이며, 二는 땅의 윗부분과 땅의 가운데 부분을 형상화 하였고, 丨은 사물이 나오는 모습이다.”라고 설명하였듯이,36) 땅이란 고대인에게 죽은 대상이 아니라 생명을 출현시키는 살아있는 존재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위에서 女媧가 흙으로 인간을 창조했다는 것은 남성에 의한 인간창조보다는 지극히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서 흥미를 끄는 부분은 女媧가 진흙 속에 새끼줄을 넣었다가 들어 올려 거기서 뚝뚝 떨어지는 진흙방울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세계민족들의 인간창조는 일반적으로 한 사람 혹은 남녀 한 쌍을 만들어내는 내용인데 비하여, 女媧의 경우는 단지 몇 사람을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대량의 인간 을 만들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부분 역시 흙의 다산성과 여성의 다산성의 유대로 이해해볼 수 있지 않을까? 여성은 우주적 풍요의 중심과 결합되어 있어 풍요와 다산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을 배분할 수 있 는 특권을 획득하게 되었다는 엘리아데(M. Eliade, 1907~19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다면 이것은 농경사회의 현저한 특징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37)그러므로 女媧에 의한 인간창조는 여성의 다산 ‒ 논밭 의 풍요, 그리고 어머니 여신에 의한 대량의 인간창조라는, 고대인들의 생명과 풍요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보여준 것이리라 짐작해볼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수수께끼 같은 우주와 인류를 창조한 위대한 어머니 여신은 과연 어떻게 존재할 수 있었을 까? 바로 이와 같은 의문을 屈原(B.C.340~B.C.278)도 가지고 있었기에 女媧에 대해 언급하기를 “등극해 帝 가 되었으니, 누가 그녀를 (그 자리로) 인도하여 숭상하였을까? 女媧는 형체가 있는데, 그녀는 도대체 누가 만들었나요?”라 하였던 것이다.38) 이에 대해 後漢의 학자 王逸(약89~약158)은 女媧는 人頭蛇身으로 하루에 도 일흔 번씩 스스로 변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이의 도움 없이 自生할 수 있는 존재라고 하였다.39) 이 것은󰡔산해경󰡕에서 “서북쪽 바다 밖, 대황야의 모퉁이에……열 명의 神이 있는데, 이들을 女媧의 창자라 부른 다. 女媧의 창자가 변하여 神이 되었기 때문이다.”라 한 것이나,40) “사람의 얼굴에 뱀의 몸을 하였으며, 하루 에도 일흔 번씩 조화를 부려 그 배 속에서 이 神들을 化生시킨 것이다.”라고 한 것과 유사한 내용이다.41) 이것들은 모두 대모신이라는 女媧의 신격을 말하는 내용이다. 女媧의 창자나 배로부터 열 명의 神들이 화 생되었다고 한 것은 생명의 창조자로서 女媧의 기능에 최고의 神性을 부여한 것이다. 다시 말해 女媧는 곧 인류의 창조자 이전에 이미 신들의 창조자로서, 신들 중 최고신이었다는 말이니 자생할 수 있는 존재, 즉 ‘신 성모’라 한 것이다. 결국 생육과 관계된 여성만의 권위와 특징은 남성이 모방하거나 대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 대표적인 여성 원형인 모성을 대모신 女媧에게 반영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35) 마르치아 엘리아데 저, 이은봉 역, 앞의 책, 330.

36) 󰡔說文解字·土部󰡕, 地之吐生萬物者也。二象地之下、地之中, 丨物出形也。 37) 마르치아 엘리아데 저, 이은봉 역, 앞의 책, 346.

38) 金開誠 外, 󰡔屈原集校注󰡕, 北京: 中華書局, 1999. 「天問」, “登立爲帝, 孰道尙之? 女媧有體, 孰制匠之?”

39) 金開誠 外, 󰡔屈原集校注󰡕, 375쪽 재인용. 王逸說, “傳言女媧人頭蛇身, 一日七十化, 其體如此, 誰所制匠而圖之乎?”

40) 󰡔山海經·大荒西經󰡕, “西北海之外, 大荒之隅,……有神十人, 名曰女媧之腸, 化爲神.”

41) 󰡔山海經·大荒西經󰡕 女媧,……人面蛇身, 一日中七十變, 其腹化爲此神

(13)

많은 여신들은 고대인들의 자연과의 투쟁에서 얻은 상상력으로부터 나왔고, 이로부터 우주와 인류의 기원 에 관한 문제를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생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생식숭배를 바탕으로 한 생육의 주 체였던 여성을 형상화한 여신은 최초의 신이였다고 하였던 것이다.42)女媧는 만물을 만들어냈다고 하였으니 우주와 인간에 대한 창조도 여기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여성생식숭배의 흔적을 엿볼 수도 있다고 한다. 이것을 여성 음부가 갖는 자연적 기능에 대한 과장의 발로로 이해하여 여성의 중요한 작용과 여성이 누린 숭고한 권위를 은유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43) 그러므로 女媧의 우주와 인류창조신 화는 모계씨족사회의 발전 단계에서 전성기적 사유의 결정체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2. 感生의 어머니 여신:신성한 인물의 어머니

感生神話는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의 과도기적 사회배경이 반영된 始祖母 여신의 이야기이다.44) 생육 의 문제를 오로지 여성생식과 관련된 것으로만 숭배하였던 모계사회 고대인들은 사회가 부계사회로 발전함 에 따라 새로운 인식의 정립과 국가 성립의 정당성을 근거로 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감생신화에서의 ‘신 성한 인물 ‒ 신성한 어머니’의 구조는 선사시대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어머니 ‒ 자손’ 관계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비록 정치적 목적으로 인물의 신성함을 부각시키기 위한 감생에 의한 탄생 이야기였다 할지라도 모자 관계에서 어머니는 여전히 존귀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典籍에 묘사된 신성인물의 잉태과정에 대한 설명이 다소 불분명하지만 여기에는 고대 여성 생식숭배에 대한 관념은 분명하게 드러나 있어, 이것은 감생신화 구성의 주된 요건이 되었다. 따라서 감생신화는 어머니 혈통으로만 결정되었던 모계사회의 흔적이 라 할 수 있으며, 모계사회 생육의 주체였던 여성에 대한 숭배가 감생신화에서 모성 모티브로 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에서는 모성을 모티브로 한 어머니 여신에 대한 숭배가 재현된 감생신화를 통해 부계사회에서 수동적 모습으로 변형되었다는 여성의 폄하된 이미지를 재고해보도록 하겠다.

(1) 三皇五帝의 어머니

女媧 여신처럼 독립적 능력에 의해 자손을 생산한 것은 아니지만 감생신화에서의 어머니는 동식물이나 기 이한 사물 등에 의해 감응되어 자손을 생산하였다. 대부분의 감생신화는 부계사회 성립 이후에 만들어진 것 이지만 어머니로부터 태어나 자란다는 모자관계의 긴밀한 끈을 배제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탄생과정에 신비 로움을 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성은 여전히 생육의 중심에 있었기 때문에 남성의 생육 기능이 인식된 이 후에도 자손 생산과 여성의 특수한 연관성에는 변화가 없었던 것이다.

한자 ‘姓’의 造字 이유도 이와 비슷한 경우에 속한다. 姓은 씨족의 명칭이기도 하였던 토템이 발전된 것으

42) 葉舒憲, 󰡔高唐神女與維納斯󰡕,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7, 5. 여기에서 저자는 만물을 창조한 신은 원래 天父인 남 신이 아니라 地母였던 여신이었으며, 天父관념 또한 地母관념보다 후대에 발생한 것임을 주장하였다.

43) 잔스츄앙 저, 안동준·김영수 역, 앞의 책, 40.

44) 아버지가 배제되고 어머니가 異物에 感應되어 임신을 하고, 그로 인하여 신성한 아들을 출생하는 신화를 感生 혹은 感應神 話라고 한다.

(14)

로, 이것은 한 부족의 시조모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45)姓에 대해 󰡔說文解字󰡕에서는 “姓은 사람이 태 어난 바를 나타낸 것이다. 옛날의 신성모들은 하늘에 감응되어 자식을 낳았기 때문에 그들을 天子라 칭하였 다.”46)고 설명하였다. 먼저 姓이란 각자 혈통의 뿌리를 모름지기 낳아준 모계에서 찾도록 지적해주고 있는 문자이다. ‘어미는 알아도 아비는 알지 못하는’ 상황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사람이 ‘태어난 바’라 하 였으니, 이것은 姓이 그 혈족의 시조이며 그 시조모가 생활하는 곳이 姓으로 설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淸 朱駿聲의 󰡔說文通訓定聲󰡕에는 姓에 관련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있다.

天子가 덕을 세울 때는 그 태어난 바를 따라서 姓을 받았다. 神農의 어머니는 姜水에서 살았고, 黃 帝의 어머니는 姬水에서 살았으며, 舜의 어머니는 姚墟에서 살았기 때문에 그들은 어머니가 살았던 곳 의 연고를 따라서 그들의 姓을 삼은 것이다.47)

이처럼 아주 먼 옛날 백성들에게는 姓이 없었고, 다만 훌륭한 인물이 태어나면 낳아준 그 어머니의 연고를 찾아서 그것으로 姓을 삼았던 것이다. 결국 ‘姓’이라는 문자가 설명하는 내용은 인간의 근원이 여성이라는 사 실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사회 권력의 중심이 남성에게 옮겨갔을 때에도 여전히 姓으로 혈통을 나타냈 듯이 신성한 인물, 즉 남성 영웅들도 대부분 아버지는 배제된 채 어머니와 異物에 의한 감응으로 탄생하였다 고 한 것이다. 결국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혈통계승도 모계에서 부계로 변화하였지만 사유의 중심에는 생육의 주체 여성 즉 어머니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부재는 곧 근원의 불분명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고대인들은 神力이 生殖力을 통해 전이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토템신이 모체에 들어가 생식 자 체가 이루어진 것이라 믿었던 것이다.48) 그래서인지 고대의 신성 인물들의 어머니는 하나같이 感應에 의해 아들을 낳았다. 특히 感天의 자식들은 하늘의 자식이라 하여 天子라 하였다. 三皇과 五帝 역시 그렇게 태어 났다. 그러다보니 현실적으로 이들에게는 아버지가 없었다.

큰 발자국이 뇌택에 있어, 화서가 그것을 밟고 복희를 낳았다.49)

황제의 어머니 부보는 번개가 북두성을 휘감고 추성의 빛이 들판을 비추고 있는 것을 보고 이에 감 응하여 임신하였다.50)

요임금의 어머니 경도는 붉은 용과 혼인하고 이상과 결합하여 요를 낳았다.51) 45) 잔스츄앙 저, 안동준·김영수 역, 앞의 책, 51~52.

46) 󰡔說文解字·女部󰡕, “, 人所生也。古之神聖母, 感天而生子, 故稱天子。

47) ()朱駿聲, 󰡔說文通訓定聲󰡕, 北京: 中華書局, 1998. “天子建德, 因生以賜姓。按神農母居姜水, 黃帝母居姬水, 舜母居姚虛, 以爲姓。

48) 劉勤, 「上古女神生殖主題流變當論」, 󰡔靑海民族文化硏究󰡕 第19: 3, 2008, 98. 49) 󰡔太平御覽󰡕 卷78, 󰡔詩緯含神霧󰡕, “大迹出雷澤, 華胥履之, 生宓犧。

50) 嚴一萍 選集, 󰡔竹書紀年(平津館叢書)󰡕, 藝文印書館(影印). 󰡔竹書紀年󰡕, “黃帝母附寶, 見雷繞北斗, 樞星光照野, 感而孕。 51) 󰡔竹書紀年󰡕, “堯母慶都與赤龍合婚, 合伊常, 堯也。

참조

관련 문서

고대 기와의 제작기술과 변천양상...

때때로 보호하여 주시어 신의 은덕을 입었사오니, 감히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펴놓고 올리오니 흠향 하시옵소서.... 이에 감동하여

처음으로 八卦를 만듦 神農: 백성에게 農耕을 가르쳤으며, 시장을 열어

트로이전쟁 관련 신화에 따르면 트로이 전쟁은 트로이의 패리스 왕자가 메넬라우스의 부인 헬렌을 유혹한 사건에서 유래하며, 이

고대 근동의 종교와 이스라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를 중심으로.. Wright). • The Old Testament against

고대 그리스의 사당에서는 요가, 운동, 명상 등이 치료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집트인들은 음악이나 댄스를 이용해

피겨사상 실내링크 처음 등장 동하계 올림픽 석권선수 탄생 -미국 이건(복싱, 봅슬레이).

고대 그리스의 클리스모스(klismos)-그리스 민주주의에서 넓은 범위의 사용자들에게 위엄과 균형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