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거주지역적 특성이 미얀마 종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거주지역적 특성이 미얀마 종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김인아**

목 차

1. 서론

2. 여카잉의 공간적 특성과 무슬림의 성장 3. 꺼잉족의 거주 공간적 특징과 종족관계 4. 독립 이후 버마족과의 종족관계 5. 결론

<국문초록>

공식적으로 135개의 다종족으로 구성된 미얀마는 그 지리적 환경 또한 산지와 평원, 델타로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종족의 거주 지역적 특징은 그 종족의 생활양식을 결정하고 나아가 종족사회 운명의 변화 방향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얀마 여카잉 지역의 경우 서부 여카잉 지역에서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아쌈 지역에 이르는 거대하고 험준한 습곡 산맥이 미얀마 중앙평원지역으로부터 여카잉 지역을 차단하고 있으며, 오히려 여카잉은 서쪽에 위치한 인도의 벵갈지역으로 개방되어 있었던 공간적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서쪽 지역으로부터 이슬람 문화와 무슬림 인구의 이동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인도 지역과의 잦은 접촉과 상호 관계맺음으로 인해 여카잉은 동부 미얀마와는 달리 상당 수준 인도화된 모습을 띠었다.

한편 기독교도 소수집단으로 알려져 있는 꺼잉족은 여카잉 지역의 무슬림 집단 처럼 밀집된 공동체를 형성하지 못하고 다양한 지역에 산재해 거주했다. 이러한

* 본 논문은 동아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졸고에 대해 유익한 조언 을 해주신 익명의 심사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조교수

(2)

거주지역의 취약성 때문에 자신들의 정치적 세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기반이 매 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약점을 지녔다. 따라서 전통시대 내내 버마족의 압제에 무기력하게 고통 받아야 했다. 이들이 기독교도 집단으로 부상하게 된 것은 바로 이러한 거주지역적 취약성으로 인한 종족집단 규합의 필연적 느슨함을 강화시키 기 위한 대안으로 기독교를 적극 수용한데 있다.

거주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미얀마 지역 내로 오랜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유입 해온 여카잉의 무슬림과 집단의 생존을 위해 기독교를 수용해 규합해온 꺼잉족의 버마족과의 사회적 관계맺음과 역사적 전개 양상을 버마족 중심주의적 입장에 서 서 종교적 차원으로만 접근해 바라볼 간단한 문제는 아닌 것이다. 거주공간적 특 성에 따라 종족 문화의 다양화가 일어나고 여기에 따라 집단의 운명이 제각각 달 리 전개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미얀마의 종족집단간 갈등 문제는 기존의 시각에 서 탈피하여 새롭게 재고해볼 문제일 것이다.

주제어 : 미얀마, 버마, 여카잉, 무슬림, 꺼잉, 종족분쟁

1. 서론

중국과 인도의 사이에 위치하여 협곡의 세계로도 불리는 동남아시아는 일반적으로 대륙부와 도서부로 크게 구분된다. 대륙부와 도서부의 구분에 는 지형적 모습은 생태공간이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도 적 용된다. 대체로 동남아시아는 5개의 생태구역이 존재한다. 하천이 발달하 지 못한 도서부는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고산지대와 이를 중심으로 저 지대가 존재한다. 이와 달리 대륙부는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확장된 산지세 계, 큰 규모의 하천이 관통하는 유역에 발달된 평원 및 그러한 하천이 바다 와 만나는 하구에 형성된 델타로 확연히 구분된다.

이러한 복잡한 생태구역의 존재는 동남아시아의 종족 분포에도 크게 영 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지형적 특성에 따라 종족들의 분포나 거

(3)

주지역이 결정되어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등 제반 분야에 있어서 주도권을 행사하는 동남아의 다수종족들은 대개 농경지를 확보하고 교통이 편리한 평원에 거주하며, 세계적인 주요 종교를 수용하고 앞선 문명세계를 구축하 였다. 이에 반해 소수종족들은 거의가 산지에 거주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다수종족의 세력 하에 종속적인 정치, 경제 구조를 유지해왔으며, 느슨한 사회구조가 존재하여 대체로 다수종족에 동화되는 아픈 역사를 겪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동남아시아에 있어서 특히 대륙부에서 종족의 분포는 지형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다시 말하면 종족의 거주 지역은 그 종족 의 생활양식을 결정하고 나아가 종족 정체성의 지속 또는 변화 방향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얀마 여카잉(Rakhine)1)지역의 경우, 서부 여카잉 지역에 서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아삼(Asam) 지방에 이르는 습곡 산맥이 미얀 마를 동서로 갈라놓고 있으며, 서쪽에 위치한 여카잉은 미얀마 동부 중앙 평원지역과의 동서 교류보다는 오히려 인도 벵갈지역으로 열려있는 지형 적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여카잉은 인도로부터 유입해온 무슬림들이 집중 적으로 분포하는 양상을 띠게 되었으며, 여카잉의 생활양식 또한 상당히 인 도화 된 모습을 지녀서 상좌불교가 뿌리내리고 있는 미얀마의 중앙 평원지 역에 거주하는 버마족의 그것과는 매우 상이한 모습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일반적으로 기독교도로2) 알려져 있는 꺼잉(Kayin)족3)의 경우 원래 산지 의 거주민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이들의 거주지는 실로 다양했다. 산지,

1) 여카잉은 주로 ‘라카잉(Rakhine)’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카잉어에 존재하는 ‘r’은 미얀마어에서는 ‘y’로 발음되기 때문에, 라카잉은 미얀마어로 ‘여카잉’이라 발음하는 것 이 올바른 표현이다. 여카잉은 영국 식민지배기에는 ‘아라칸(Arakan)’이란 명칭으로 사 용되기도 했다.

2) 일반적으로 기독교도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대다수가 불교도이며, 반군활동을 주 도하고 있는 집단이 기독교도이다.

3) ‘꺼잉족’은 ‘카렌족(Karen)’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은 라틴어의 전사 과정에서 생겨난 오류로 현지인들의 실제적 발음과는 거리가 먼 표현이다. 따라서 ‘꺼잉’이 현지 어 발음에 가까운 올바른 표기이다.

(4)

평원, 델타 등 거의 모든 지역에 걸쳐 꺼잉족의 존재가 발견됐다. 다시 말해 꺼잉족이 다수를 차지하는 일정한 집중지역이 존재하지 않았다. 미얀마의 독립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꺼잉족이 에야워디(Ayeyarwaddy)4)델타와 태국 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동부 산악지역을 자치구로 요구했지만 이것이 버마족 에 의해 묵살된 것도 꺼잉족이 절대 다수를 이루고 자치권을 행사할 수 있을 만한 밀집지역이 부재하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는 거주 지역적 특성은 꺼잉족으로 하여금 주변 종족으로의 동화 또는 새로운 정체성 의 재생산이라는 귀로에서 자신들의 운명을 고민해야 했다.

종족의 문화나 사회구조가 지형적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사실을 감안한다 면 여카잉 무슬림과 꺼잉족은 버마족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종족적 정체성을 발전 또는 유지시킬 수 있었다. 이들의 확연히 구분되는 종족적 차별성은 향후 버마족과의 갈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소수종족의 문제를 권위주의적 (authoritarian) 군부지배로 인한 정치적 억압에서 비롯된 다수종족과 소수 종족과의 갈등구도라는 정치적 관계에만 초점을 두거나, 단순히 종교적 충돌 이라는 문화적 문제로 접근해온 기존의 연구(Lintner 1994; Smith 1991; 박 장식 1993)에서 탈피해, 본고에서는 종족이 거주했던 공간지리적 특징을 통해 종족관계가 어떻게 전개해 나갔으며 이것으로 인해 버마족과의 종족적 관계 맺음의 양상은 어떠한지를 역사적으로 버마족과 가장 첨예한 갈등관계를 이어온 여카잉 무슬림과 기독교도 꺼잉족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여카잉의 공간적 특성과 무슬림의 성장

여카잉은 서부 여카잉 지역에서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아쌈(Asam) 지방 에 이르는 거대한 습곡 산맥(여카잉 산맥)이 미얀마를 동서로 갈라놓고 있다.

4) 본고에서는 종족명칭 및 지명 등 모든 미얀마어의 영문표기를 1989년 국명표기의 변경 에 따른 미얀마정부의 표기개정을 준용하여 작성했다.

(5)

따라서 여카잉 지역은 동부 미얀마와의 교류 보다는 오히려 서부 인도지역으 로 열려있었다. 특히 여카잉 북쪽으로 오늘날의 방글라데시의 갠지스강 하구 델타에 위치한 순디바(Sundiva)섬, 라무(Ramu)지역, 치타공(Chittagong)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인 방가(Vanga, 또는 Banga)는 여카잉과 상호 밀접 한 관계를 맺어왔다. 한편 여카잉 연안지대는 아래 <지도 1>에서와 같이 네 개의 주요 정치중심지로 구분된다.5)껄라당(Kaladan)강과 레묘(Lemro) 강 델타 유역인 더냐와디(Dhanayeati), 산도웨이(Sandaway)지역 인근의 라 마워디(Rammawati), 체두바(Cheduba) 섬지대에 위치한 메가워디(Meghawati), 란쁘레(Ranprei 또는 Ramree) 섬지대에 위치한 드와라워디(Dwarawati)가 그것이다.6)이 가운데 더냐와디는 먀웃우(Mrauk-U)7)왕조 초기(1430-1603 년)의 정치적 중심지로, 나머지 세 개의 중심지는 이곳 다냐와디에 위치한 먀웃우의 영향 하에 놓여있었다. 여카잉 연대기에 따르면 먀웃우의 정치적 영역은 <지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17세기 중엽까지 위 네 개의 지역 외에 도 북부의 방가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다.8)여기서 동쪽 미얀마 보다는 서쪽 인도와의 접촉이 잦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5)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ichigan, 1999), pp.2-23.

6) ‘Ibid. p.24’

7) ‘옛 도시’를 뜻하는 ‘묘하웅(Myohaung)’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제1차 미얀마-영국 식민지전쟁(1824-1826년)이 종식된 후 아잡(Ajab, 오늘날의 싯뜨웨(Sittwe)지역이 신 흥 항구도시로 떠오르면서 만들어진 명칭이다.

8) ‘Ibid. ppp.20.’

(6)

<지도 1> 여카잉 연안지역의 정치중심지9)

<지도 2> 1630년대 여카잉의 영역10)

9) ‘Ibid. p.21’

(7)

여카잉 지역을 미얀마의 에야워디 하천지대로부터 고립시킨 여카잉 산 맥은 무려 해발 1만 피트가 넘는 매우 험준한 장벽이다. 또한 이 산맥은 벵 갈만으로 이어지면서 여카잉 연안지대의 최남단에 위치한 드와라워디 지 역을 북부 지역과 차단시켰다.11)여카잉의 지배자들은 여카잉 산과 산지민 들을 그들의 권력 하에 통제하려는 어떤 시도도 행하지 않았지만, 여카잉 산맥이 자연스럽게 이들 지역을 차단하면서 정치적인 분리가 일어났다.12) 한편 여카잉 왕국의 연안지역은 벵골만에 집중되어 있는 여러 강 유역 해 안지대와 섬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13), 결과적으로 이 거대한 만의 지형적 조건은 드와라워디 하에 놓인 세 개의 하위 중심지역내 거주민의 생활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즉, 이들 세 개의 하위 중심지역은 여카잉의 해안지 대에 적응하는 서로 다른 방식을 독자적으로 취했다.14) 그러나 북부 방가 지역과 더냐워디 지역 사이에는 어떠한 자연적 장벽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 문에 여카잉의 지도자들은 동쪽 미얀마보다는 북서쪽 방가에서 발생하는 정치․군사적 정세에 더욱 주위를 기울였다.15)

방가와 여카잉은 연중 내내 높은 수준의 강우량을 나타내 기후적인 조건

10) Galen, Stephan Egbert Arie, “Arakan and Bengal, The rise and decline of the Mrauk U Kingdom from the fif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ty AD”, PhD Dissertation, (Universiteit Leiden, 1971).

11) Stamp, Dudley. Asia : A Regional and Economic Geography. (London: Methuen, 1967), p.387.

12)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ichigan, 1999), p.22.

13) Stamp, Dudley, Asia : A Regional and Economic Geography. (London : Methuen, 1967), pp.387-404; Comstock, G. S, “Notes on Arakan : by the Late Rev. Comstock”,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 (1851), p.222.

14)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ichigan, 1999), p.23.

15) ‘Ibid. pp.22-23.’

(8)

또한 유사했다. 이러한 기후적 특징은 미얀마의 여타 지역과는 확연하게 차 별되는 부분이다. 특히 여카잉의 연중 강우량은 무려 5,000미리에 달하는데, 더냐와디를 시작으로 호우가 집중되다가 동부 내륙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를 띤다. 따라서 방가와 여카잉은 기후적인 유사성으로 인해 상호 연결 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양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민의 생활문화 양식도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양 지역 간 거주지역의 자연환경적 유사성으로 인해 인간, 종교, 문화의 이동이 험준한 산맥으로 차단된 동쪽 세계와는 달리 활발하게 이루 어질 수 있었다. 따라서 서쪽 지역으로부터의 무슬림 역시 어려움 없이 여 카잉 지역 내로 유입해 올 수 있었다. 여카잉 지역에 무슬림 공동체가 본격 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5세기 후반에서 17세기 말까지 동남아의 해 상무역이 번성하면서 무슬림 상인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부터지만, 그 이전 에도 여카잉 지역으로의 무슬림 도래에 전승들이 다수 존재한다. 여카잉 지 역에 최초로 도래한 무슬림에 대한 전승은 8세기로, 이시기 무슬림 상인들 이 조난을 당해 라마워디(Ramawady, 오늘날의 양비애(Yanbye) 섬 구역에 당도하자 더냐워디 구역에 정착하도록 했다는 전승이 존재한다. 9세기경에 도 여카잉 궁중의 고위 관직자들, 즉 뱅갈어, 페르시아어 및 아랍어 필경사 (筆耕士)나 환관 등이 무슬림들인 경우가 존재했었다.16)

여카잉 지역 가운데 더냐워디는 특히나 인도와의 잦은 접촉으로 오랫동 안 인도화가 진행된 지역이다. 따라서 불교 외에도 힌두교의 흔적이 많이 엿보였다. 더냐워디에 위치한 먀웃우의 왕조는 인도의 무갈(Mughal)제국 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다. 특히 1576년 무갈제국의 점령으로 이슬람화의 가속화가 진행된 동부 뱅갈 지역과의 접촉이 잦았는데, 먀웃우 왕조는 뱅갈 지역의 정세에 따라 여카잉의 지위가 좌우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1530년 까지는 뱅갈에 정치적으로 종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7)그 근거로 최초의

16) ‘Ibid. p.146’

(9)

11인의 여카잉 국왕들이 여카잉식 왕명(王名) 이외에도 또 다른 이슬람식 명칭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무슬림 신앙고백인 깔리마(Kalima) 가 새겨진 메달을 사용했다는 점으로도 추측할 수 있다.18)지배자들은 1430 년부터 1638년까지 페르시아어로 쓰인 동전을 사용하고 술탄처럼 이슬람 식 의복을 착용하기도 했다.19) 이렇다보니 궁중에는 왕의 이러한 이슬람 전통 모방을 돕는 무슬림 신하들이 존재했다.20)

불교를 수호하는 지배자가 이슬람식 문화를 통용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카잉 지역은 인도로 열려있었던 세 계로, 이는 훗날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연결하는 문화적 교차로의 역할 을 담당했고, 동서로부터 유입해 온 이슬람교, 힌두교, 상좌불교, 대승불교, 밀교를 포함하는 이질적 종교가 서로 뒤섞여있는 종교 혼합주의적 특징을 나타냈다. 이러한 지역적 특징으로 인해 이종(異種) 종교 문화의 차용이 어 떠한 거부감 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여카잉은 먀웃우 왕조의 밍빙왕(재위 1531-1553)을 시작으로 왕국이 번 성을 누렸는데, 이때 국왕은 도시의 팽창에 따른 노동력의 확보를 위해서 노예사냥을 시작했다. 사냥의 대상 지역 역시 동쪽의 미얀마가 아닌 서쪽의 뱅갈지역이었다. 16-17세기에 걸친 뱅갈지역의 무슬림 노예사냥은 근대 초 기에 여카잉 지역의 무슬림 공동체 형성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21). 역

17) 박장식,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 : 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뺷동남아연구뺸 제23집 1호, 2013, 247면.

18) Harvey, G. E, History of Burma: From the Earliest Times to 10 March 1824, the

Beginning of the English Conquest,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1925), p.140.

19) Aye Chan, “The Development of a Muslim Enclave in Arakan(Rakhine) State of Burma(Myanmar)”, SOAS Bulletin of Burma Research, 3(2), (2005), pp.396-420.

20)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University of Michigan, 1999), p.146.

21) ‘Ibid. p.150’

(10)

사학자 탈리쉬(Shiahabuddin Talish)의 연구에 따르면, 포르투갈 침입자들 만 노예들을 매매했고, 여카잉족들은 노예를 농업이나 기타 산업 분야에서 노동력으로 활용했다.22)

여카잉족의 버마족 세력으로의 본격적인 흡수는 버마의 꽁바웅왕조 (Konbaung, 1752-1865)의 보도퍼야(Bodawpaya, 재위 1782-1819년) 왕에 의해 정복되면서 부터이다.23)이 시기 여카잉 지역은 두 개 구역으로 나뉘 는데, 북부 지역은 이슬람 문화권역 및 인도의 정치권에 흡수되고, 중부와 남부 지역은 에야와디(Ayeyarwaddy)강 유역에 세력을 둔 상좌불교 문화 권에 흡수되었다. 따라서 여카잉은 뱅갈 지역의 이슬람, 미얀마 중앙평원의 상좌불교가 뒤섞인 공존의 공간이었다. 오늘날 미얀마 불교도와 무슬림간 의 쳠예한 갈등의 형태와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3. 꺼잉족의 거주 공간적 특징과 종족관계

앞서 살펴본 여카잉 무슬림이 서쪽으로 열려있었던 여카잉 지역의 공간 적 특성으로 인해 뱅갈 지역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유입해와 여카잉 지역 내 에 집중적으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던 집단이라면, 미얀마에서 오늘날 기독교도 소수종족으로 알려져 있는 꺼잉족의 경우, 역사적으로 그 거주지 역이 매우 다양하게 산재했다. <지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꺼잉족의 거주 지역은 미얀마 하부지역인 에야워디 델타유역과 싯따웅(Sittoung)강, 땅르윙(Thanlwin, Salween)강 유역, 서남부 해안지역, 그리고 미얀마와 태 국의 접경지역인 산악지대 등 넓게 산재하여 분포한다. 꺼잉족의 하위종

22) Talish, Shihabuddin, “The Feringi Pirates of Chatgaon, 1666 A.D.”,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3, (1907), p.422.

23) Harvey, G. E, History of Burma: From the Earliest Times to 10 March 1824, the

Beginning of the English Conquest,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1925), p.267.

(11)

24)으로 분류될 수 있는 뽀(Po)족은 주로 해안지대에, 스고(Sgaw)25)족은 에야워디 델타유역에, 브웨(Bwe)족은 고산지대에 거주하고 있다.26) 따라 서 이들 하위 집단 간에는 언어, 종교, 의식주와 같은 물질생활의 전통, 생 계경제의 유형, 전통관습 등 문화적 요소의 차이도 심하다. 특히 고산지대 에 거주하는 브웨족은 평야지대에 거주하는 뽀족과 스고족과는 확연히 구 별된 문화적 전통을 지니고 있는데27), 이는 고산지대의 지리적 조건 때문 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농경방식에도 차이를 갖고 있어 인구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주변 종족과의 접촉을 통해 외부 문화 를 받아들일 수 있는 내부적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던 데에 기인한다.

꺼잉족은 밀집지역을 뚜렷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있어 미얀마 전통시대에 는 자신들의 종족적 정체성을 뚜렷하게 발현시키기 어려웠다. 따라서 전통 시대에는 종족적 세력을 규합하지 못하고 일찍이 버마족의 정치적 세력 하에 놓여 실로 험난한 사회적 고난을 겪어야만 했다. 왕명에 의하여 세금을 징수 하고 징수 내역을 보고하기 위해 1764년에서 1836년까지 기록한 세수자원 조사의 보고서인 싯땅(Sittan)28)에서 당시 꺼잉족이 처했던 고단한 사회적

24) 1931년 영국 식민지하에서 시행된 인구조사통계에 나타난 꺼잉족 하위종족은 무려 16개 에 달할 정도로 그 하위분류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25) 버마족은 스고족을 ‘버마꺼잉’(Bama Kayin)이라 칭하면서 ‘딸라잉꺼잉’(Talaing Kayin) 또는 ‘몽꺼잉’(Mon Kayin)으로 부르는 뽀족과 구별하고 있다(박장식, 「미얀마 까렌족의 분리주의 운동」, 뺷동남아연구뺸 제4집, 1995, 263면.

26) Benedict, Paul K, Sino-Tibetan : A Conspectu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p.127.

27) LeBar, F. M., G. C, Hickey, and J. K. Musgrave(eds.), Ethnic Groups of Mainland

Southeast Asia, (New Haven: Human Relations Area File, 1964), p.58.

28) 각 성읍은 인근의 여러 촌락을 관할하고 있었다. 각 촌락의 수장을 ‘더지’(Thugyi)라 불렀고, 그 지위를 양도하거나 세습할 수 있었다. 따룽왕(Tharlun, 재위 1629-1648년)은 1635년부터 더지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 지배영역을 조사하는 작업을 시행했다. 더지의 출신과 영역의 범위 및 경계 등을 기록한 조사보고서를 제출하도록 명했는데, 그 보고서 가 싯땅이다. 싯땅을 통하여 각 더지의 현황을 파악하여, 종래에 성읍의 성주의 지배하 에 있던 촌락을 중앙의 직접 관할 하에 편입시켜 지방의 징수권자와 관할구역을 파악하

(12)

<지도 3> 꺼잉족의 종족 분포도29)

상황을 추측할 수 있다. 대체로 미얀마의 왕조시대에 있어서 꺼잉족의 존재에 대한 기록은 성읍(城邑)30)따웅우(Taungoo, Toungoo)와 하부지역 목떠마

여 왕실은 세금을 원활하게 징수하고자 했다.

29) Smith, Martin, Ethnic Groups in Burma : Development, Democracy and Human

Rights, (London : Anti-Slave International, 1995), p.224.

(13)

(Mouktama, Martaban), 한따워디(Hanthawaddy)31), 버떼잉(Pathein)의 싯 땅에서 중점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1783년에 기록된 따웅우 관할지의 싯땅에 는 총 16개의 꺼잉족 거주 촌락이 존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미얀마 하부지역의 싯땅에서도 꺼잉족에 관한 언급이 상당수 존재한다. 또한 그들 꺼잉족이 거주하는 각각의 성읍이 중앙의 국왕의 통제 하에 놓여있다는 점도 언급하고 있다. 1773년 싱뷰싱(Hsinbyushin, 재위 1763-1776년)의 태국의 아유타야(Ayutthaya) 정군을 징집하는 과정에서 약 2천여 명의 몽(Mon)족 이 동원되었는데, 이들 몽족은 이윽고 반란을 일으켜 목떠마에 주둔하는 버마 족 군대를 공격하고 그들의 왕국을 건설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몽족의 반란은 즉각 진압되고 목떠마에 남겨진 몽족은 모두 처형되었는데32), 이때 인력확보 가 중요했던 당시에 상당수의 꺼잉족이 버마족에 의해 강제 징집에 동원되었 다. 꺼잉족은 이러한 고통을 피하기 위하여 오늘날 태국 영토까지 도망치기도 했다. 아래는 싱뷰싱 치세기에 버마족과 아유타야간의 전쟁으로 겪은 꺼잉족 의 고통에 관한 증언이다.

버마족은 꺼잉족의 논과 재산을 모두 강탈했고, 꺼잉족 여성도 강제로 데려갔 다. 우리는 기근에 시달려야 했고 많은 사람들이 죽어갔다. 때로는 우리 꺼잉족 이 버마족이 행군하는 군사들을 위한 식량을 짊어져야하기도 했다. 병이 있어 노역을 제공할 수 없는 사람은 재산을 갈취 당했고, 재산이 없는 사람은 노예가 되어야 했다.33)

30) 성읍은 미얀마어로 ‘묘(myo)’라 불리는데 이는 ‘일정한 구역을 둘러싸고 있는 벽’이란 뜻으로, 각 마을공동체 단위가 지닌 폐쇄성을 상징하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오늘 날 현대어의 묘는 ‘도시’, ‘시장’의 의미로 사용된다.

31) 오늘날의 버고(Bago, Pegu)지역

32) Tin Aung, Kong-baung-zet Maha Ya-zawin-daw-gyi. Vol. 4. (Rangoon : Let-ti- man-daing Press, 1967), pp.494-495.

33) Smeaton, Donald M, The Loyal Karens of Burma. (London :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Ltd, 1887), pp.157-160.

(14)

또한 꺼잉족은 다른 종족에 비해 자신들에게만 지어지는 과중한 세납의 의무로 고통 받았다. 아래는 왕실 지사 파견 관리인 흘룻또(Hluttaw)의 관 할 하에 있는 찌다웅 유와(Kyidaung ywa)에 거주하는 꺼잉족의 세금 납부 에 관한 기록으로, 당시 꺼잉족이 은화의 납부에 대해 상당한 억압을 느끼 고 있었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45의 해34)에 나의 조부이신 응아쉐쪼(Nga Shwe Kyo)는 꺼잉족으로서 은화 를 상납할 의무를 지녔고 이를 충실히 수행하셨다. 그러나 58의 해가 되던 해에 조부께서 돌아가시자, 조부께서 지어왔던 은화 상납의 의무가 고스란히 내 부친 과 나에게 옮겨왔다. 우리는 은화 납부의 의무를 수행하고 싶지 않았으나, 부친 은 그러한 의무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다(1805년 1월 6일 기록).

당시 다른 마을 종족들은 대부분이 곡물이나 물소로 세금을 납부했지만 꺼잉족만은 곡물 납부에서 제외되며 대신 은화를 납부해야 했다.35)은화를 납부하는 관습은 세습화 되어있었고 이때 가웅(gaung)이라 불리는 은화 담 당관에 의해 징수되었다. 꺼잉족에 대한 이러한 은화 조세의 징수는 따웅우 왕조(1486-1752)를 넘어 꽁바웅왕조(1752-1885)까지 계속 이어졌다. 18세 기 중엽이후 더지의 세습제는 사라졌지만, 꺼잉족에 대한 과중한 세금 징수 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대다수의 꺼잉족은 다양한 지역에 흩어져 거주하면서 여러 개로 산재한 집단들을 규합할 수 있는 자신들만의 새로운 지식, 권력, 지도력을 갈망했 다. 그러나 밀집된 거주 지역을 형성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흩어져 산재한 꺼잉족을 단일한 정치세력 내로 응집시키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냐 웅양(Nyaungyang)왕조36)시기 말기에 버고(Bago) 거주민에 의해 옹립된

34) ‘45의 해’는 미얀마력을 의미하는데, 이를 서력으로 바꾸면 1783년을 뜻한다.

35) Ito, Toshikatsu.“Karens and the Kon-baung Polity in Myanmar”, Acta Asiatica, 92, (2007), p.98.

(15)

한 지도자37)가 꺼잉족 출신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그의 실제 출신에 대해 서는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며 더욱이 그의 통치 기간은 1740년에서 1747년에 걸친 매우 짧은 기간에 불과했다.

밀집지역을 형성하지 못한 꺼잉족은 따웅우왕조시대 말엽에서 꽁바웅왕 조시대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겪어야했던 버마족, 몽족, 타이족과의 반목 관계가 꺼잉족으로 하여금 이주, 단합, 대립의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의 종족 적 정체성38)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왕조시대에 있어서 꺼잉족이라는 종족집 단의 의미는 정치적인 이념이나 특정한 종교와 같은 문화적 요소에 의한 형성이라기보다는, 다양한 공간에 흩어져 거주하면서 종족세력을 규합하지 못한 꺼잉족 사회의 생존과 관련되는 요인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39)

왕조시대가 종식되고 영국의 식민지배기를 겪으면서 꺼잉족은 집단 생 존을 유리한 방향으로 모색하기 위해 영국 선교사로부터 기독교를 수용한 다.40) 이것은 과거 전통시대 버마족의 압제에 대한 항거의식과 사회적 향

36) 이 왕조는 버잉나웅(Bayinnaung, 재위 1551-1581년)의 아들인 냐웅양(Nyaungyang) 의 성주가 1597년 주변의 성읍을 차례로 복속시키고, 따웅우왕조에 반기를 든 잉와를 정복하여 건립한 왕조로, 따웅우왕조의 왕통을 계승했다는 의미에서 ‘제2차 따웅우왕 조’, ‘따웅우복고왕조’로도 불린다. 왕조의 명칭을 대개 왕도의 지명에서 붙이는 미얀마 의 전통에 따라 ‘제2차 잉와왕조’로 칭하기도 한다.

37) 그는 ‘떠밈토 붓다게띠(Smin Htaw Buddhaketi, 꺼잉어)’라는 인물로 동북부 샨(Shan)주 의 변두리에 위치한 산간지역에 모여살던 꺼잉족의 한 부류인 그웨(Gwei)족을 자신의 정치적 세력의 기반으로 삼아 스스로를 ‘줄무늬 코끼리 통치자’라 칭하며(Htin Aung,

A History of Burma. New York and Lond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7, p.153.)

왕으로 선포한 인물이다. 그의 출신에 대한 기록은 모호하나 대체적으로 꺼잉족 출신 (Lieberman, Victor B. “Ethnic Politics in 18-Century Burma”, Modern Asia Studies 12(3). 1978; Htin Aung, A History of Burma, New York and Lond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7)으로 추정하고 있다.

38) 왕조시대 꺼잉족의 종족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김인아, 「미얀마 꺼잉족(Kayin)이 종족성 변화와 그 현대적 의미」, 뺷동남아연구뺸 제22집 1호, 2012 참고.

39) ‘같은 책, 53면’

40) 영국 식민 진출 이후 꺼잉족 사회의 기독교 개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김인아, 「영 국 식민 진출 이후 미얀마 꺼잉 사회의 형성과 변화」, 뺷아시아연구뺸, 제17집 2호, 2014

(16)

상에 대한 열망이 표출된 현상으로, 밀집된 거주지역을 형성해 지역 내 공 통의 문화를 공유하면서 종족적 세력을 다질 수 없었던 느슨한 거주공간적 특징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생존 대안적 장치였다. 기독교를 통해 재생산된 꺼잉족 정체성은 훗날 버마족에 항거하는 민족주의 운동으로, 더 나아가 천 년 왕국 건설에 대한 염원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4. 독립 이후 버마족과의 종족관계

최근 발생하고 있는 로힝자(Rohingya)41)로 알려진 여카잉 지역 출신 무 슬림에 대한 유혈사태를 보고 있노라면, 전통시대에 이슬람과 상좌불교가 대체적으로 평화롭게 공존했던 여카잉 지역의 과거 역사를 무색하게 만든 다. 로힝자를 여카잉 무슬림 전체로 확대할 수 있냐는 논란42)은 지금까지 도 뜨겁게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로힝자 사태는 여카잉 지역 무슬 림 사회 전체에 대한 분노로 발전했다. 무슬림은 곧 미얀마 국민이 아니라 는, 종교를 기반으로 한 종족 갈등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카잉 지역을 지형적으로 무슬림과의 접촉이 많았던 인 도의 뱅갈 지역으로 열려있었고 이슬람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아온 공간 이라는 점에서 미얀마 내 무슬림 사회에 대한 역사적․문화적 당위성은 그 리 간단하게 결론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참고.

41) ‘로힝자’는 국내에서 보통 ‘로힝야’란 명칭으로 종종 사용되고 있다. 이는 로힝자를 라틴 문자로 전사(轉寫)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이다. 실제로는 ‘hin’과 ‘gya’로 음절을 나누 어야 하며, ‘gy’는 우리 음가로 ‘지읒’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로힝야의 실제 현지어 명칭인 ‘로힝자’란 용어로 표기한다.

42) 로힝자 정체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박장식,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 : 종교기반 종족분쟁의 배경과 원인」, 뺷동남아연구뺸 제23집 1호, 2013, 247면 참고.

(17)

방가로 열려있던 여카잉 지역이 동부 버마족 세력으로의 본격적인 흡수가 일어난 것은 꽁바웅왕조의 보도퍼야 왕에 의해 정복되면서부터라는 점을 앞서 살펴봤다. 버마족의 지배권 하에 놓이게 되자 여카잉족은 점차 버마족의 문화에 동화되었고, 버마족 역시 여카잉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 때문에 약 20퍼센트의 여카잉 인구가 과세 징수와 중노동을 피해 나프 (Naf)강 북부로 이동하기도 했다. 같은 시기에 불교도 여카잉 예술가와 숙련 공들은 미얀마 중부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들어갔다.43)즉, 18세기 이후부터 여카잉과 중앙평원지역과의 상호 교류가 과거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일어났 으며 이 시기에 여카잉은 버마족 불교문화에 영향을 받아 여카잉 정체성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것은 추후에 여카잉 지역에 거주하는 무슬림에 대한 불교도 여카잉족의 인식 변화로 이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여카잉 내 무슬림의 입지도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이것이 오늘날에 이르러 무슬림에 대한 집단혐오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거주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미얀마 지역 내로 오랜 기간 동안 점진적으로 유입해온 여카잉의 무슬림을 종교적 차원으 로만 접근해 매도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한편, 지역적으로 다양한 공간에 거주했던 꺼잉족은 오늘날 미얀마 국경을 넘어서 태국의 변방에도 분포한다. 영국의 식민지 종식에 따라 버마족 중심의 독립 논의가 진행되는 데에 따른 꺼잉족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서 결성된 꺼잉민족협회(Karen National Association, 이하 KNA)은 1962년 발 생한 쿠데타로 전권을 장악한 네윈(Ne Win)의 등장 이후 줄곧 미얀마 정부군 의 총공세를 받아왔다. 미얀마 정부군의 무자비한 공세와 함께 발생한 KNU 내부의 분열은 꺼잉족 피해자들을 태국과 미얀마 국경지대인 매솟(Mae Sot) 지역으로 몰려들게 했다. 매솟은 북쪽으로 매라맛(Maeramat), 남쪽으로 폽

43)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999), pp.254-265.

(18)

프라(Phopphra), 동쪽으로 딱(Tak), 서쪽으로는 미얀마와 경계를 맞대고 있 는 곳으로 현재에도 국경을 넘는 난민들의 행렬이 줄을 잇고 있는 곳이다.

1996년 이후 미얀마 군사정부는 소수민족 반정부 무장집단의 배후지로 여겨 졌던 미얀마 동부 산지의 정부통제권 강화를 위하여 대규모의 정부군 병력을 파견했고, 군사작전에 방해가 된다고 여겨지는 민간인 거주지를 강제로 이주 시키는 정책을 자행하고 있다. 2006년 한 해에만 약 76,000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고, 그 중에서 주로 꺼잉주와 버고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약 43,000명의 꺼잉족이 집단 이주를 당했다.44)

이렇듯 독립 이후 나타나는 꺼잉족의 버마족과의 갈등관계는 꺼잉족의 거주 형태 특성으로 인해 전통시대 내내 사회적 고난에 시달리다 집단적 단합의 목적으로 기독교를 수용한데에 기인한다. 거주지역이 다양한 꺼잉족 은 버마족 중심의 권력 행사 아래에서 잦은 인구이동을 행해야 했다. 과세의 징수와 강제 징집을 피해 꺼잉족의 인구이동이 이미 전통시대부터 잦았기 때문에 꺼잉족은 인구동원 능력이 결여되어 자체적인 중앙권력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었다. 따라서 꺼잉족 역사에 대한 버마족의 전통적인 관념은 ‘몰역사적’, ‘비문명적’으로 나타났다. 버마족이 규정하는 꺼잉족 사회 의 열등함이란 사실 인종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환경적인 것에 의해 형성되었 던 것이다. 사회적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독교 수용은 상좌 불교 문화가 오랫동안 뿌리내린 버마족과의 충돌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5. 결론

미얀마 영토는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확장된 산지와, 에야워디, 딴르윙 (Thanlwin, Salween), 싯따웅(Sittoung)과 같은 거대 규모의 하천이 관통하

44) TBBC(Thailand Burma Border Consortium), “Relief Programme: July to December 2007(Including Revised Funding Appeal for 2008)”, (2007).

(19)

는 유역에 발달된 평원, 그리고 그러한 하천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에 형성된 델타로 확연히 구분되는 지리적 특성을 지녔다. 특히 오늘날 미얀마는 공식적 으로 여카잉족, 꺼잉족, 꺼친(Kachin)족, 몽족, 친(Chin)족, 꺼야(Kayah)족, 버마족, 샨족 등 8개의 주요 종족과 각 종족의 하부집단까지 포함하여 무려 135개나 되는 종족으로 분류하고 있는 다종족 사회이다. 거주 지역에서 나타 나는 생태공간적 차이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다양한 종족의 삶과 운명에 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카잉 지역은 서부 지역에서 인도의 북동부에 위치한 아쌈 지방에 이르 는 험준한 산맥으로 인해 미얀마의 중앙 평원지역과의 교통이 오랫동안 단 절되었던 반면, 서부 인도지역으로 활짝 열려있었던 세계다. 특히 치타공을 포함하는 방가는 여카잉과 오랫동안 상호 밀접한 정치적․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따라서 방가를 포함한 서쪽 지역에서 유입해온 무슬림들의 여카 잉 지역으로의 오랜 정착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오늘날 여카잉 지 역에 형성된 무슬림 공동체와, 여카잉 무슬림들이 스스로를 미얀마의 토착 인임을 주장하는 역사적 근거는 이러한 공간지리적 특성에서 출발한다. 물 론 오늘날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는 로힝자 무슬림의 존재를 여카잉 무슬림 전체로 확대 해석할 수 있느냐에 대한 학술적 논쟁은 뜨겁지만, 이미 로힝 자와 여카잉 토착 무슬림간의 경계가 무색해질 만큼 미얀마 내 거주하는 전체 무슬림에 대한 유예 없는 혐오와 타자화(他者化)가 거세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여카잉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역사성을 이해하는 자세가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미얀마의 무슬림은 여카잉 지역에 밀집해 공동체를 형성했다면, 꺼잉족 의 경우 다양한 지역에 흩어져 살았던 거주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중앙권 력을 형성할 가능성이 적었고, 따라서 대규모 인구동원 능력이 결여되어 자 신들의 정치세력 형성에 있어 그 기반이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는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이미 왕조시대에 꺼잉족은 버마족으로부터 가혹한

(20)

압제에 시달려야만 했다. 특히 1740년대부터 1820년대까지 버마족 왕조와 시암(Siam)45)이 벌인 치열한 전쟁의 과정에서 꺼잉족을 강제로 징집하여 용병으로 이용하거나 정탐꾼이나 짐꾼을 역할을 부과하고 곡식도 강제로 수거하였다. 게다가 버마족은 꺼잉족에게만 은화로 세금을 납부한 의무를 부과했는데, 이 때문에 꺼잉족은 과중한 납세의 부담과 기근으로 고통을 받 아야 했다. 따라서 꺼잉족은 영국이 미얀마로 진출해오면서 제1차 영국-미 얀마전쟁에서 승리한 시점에 미얀마 지역으로 유입해 들어오기 시작한 기 독교 선교사들과 접촉하기 시작했고, 거주공간적 취약성에서 비롯된 느슨 한 종족 정체성을 단단하게 규합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기독교를 적극 수용 하게 된다. 1931년 영국 식민지하에서 시행된 인구조사통계에 나타난 꺼잉 족 하위종족은 무려 16개46)에 달할 정도로 매우 다양하고 이들 집단의 거 주 공간도 복잡했기 때문에 기독교는 이들을 하나로 규합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장치였다. 더욱이 기독교의 종교의 특징은 꺼잉족이 처해 있었던 거주 공간적 취약성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이 되어주었 다. 기독교로의 개종은 그들이 더 이상 미개한 부족이 아니라 지배종족인 버마족과의 관계에 있어서 동등한 차원의 종족이라는 신념을 갖게 해주었 다. 이와 같이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꺼잉족의 종족 정체성은 미얀마 독립 이후 꺼잉족로 하여금 반란을 일으키게 한 계기가 되었다47). 만약 꺼잉족 이 전통시대부터 밀집된 종족거주지역을 뚜렷하게 형성했다면 꺼잉족의 운명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띠었을 것이다.

45) 1939년에 국가의 명칭이 시암(Siam)에서 태국(Thailand)로 바뀌었다(Wyatt, David,

Thailand: A Sort History, Chiang Mai: Silkworm Books, 2004, pp.242-243).

46) 1931년도 영국 식민정부가 실시한 인구조사에서 나타난 꺼잉족의 하위집단 16개는 스 고족, 빠꾸족, 웨와우족, 모네쁘와족, 브웨족, 브렉족, 꺼잉뷰족, 뽀족, 모쁘와족, 따웅두 족(빠오족), 버다웅족, 잉뽀족, 게코족, 꺼잉니족, 자예잉족, 딸라잉깔라시족, 기타 꺼잉 족으로 구성된다.

47) Keyes, Charles F, “Ethnic Adaptation and Identity : The Karen on the Thai Frontier with Burma”, Philadelphia: Institute for the Study of Human Issues, (1979), pp.20-21.

(21)

따라서 다양한 지리적 조건을 내포하는 미얀마의 환경을 고려한다면 135 개나 되는 다종족들의 역사적 전개 또한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 졌을 것이 다. 이들 집단과 중앙 평원의 버마족과의 사회적․역사적 관계의 형태에 대해 서도 기존의 버마족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다각도로 접근해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수많은 종족집단으로 구성되어있는 미얀마연방에서 무슬림이나 꺼잉족 사태와 같은 종족갈등은 역사적으로 끝없이 반복되는 고질적이고 만성적 인 문제임은 틀림없다. 따라서 각 소수종족집단과 중앙 평원의 버마족과의 사회적․역사적 관계의 형태에 대해 기존의 버마족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다각도로 접근해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인아, 「미얀마 꺼잉족(Kayin)이 종족성 변화와 그 현대적 의미」, 뺷동남아연구뺸 제22집 1호, 2012, 53면.

박장식, 「영국 식민 진출 이후 미얀마 꺼잉 사회의 형성과 변화」, 뺷아시아연구뺸 제17 집 2호, 2014.

______, 「미얀마(버마)의 종족집단과 종족분쟁」, 뺷지역연구뺸 제2집 4호, 1993, 57~

76면.

______, 「미얀마 까렌족의 분리주의 운동」, 뺷동남아연구뺸 제4집, 1995, 263면.

______, 「미얀마 여카잉 무슬림(로힝자)의 딜레마 재고(再考) : 종교기반 종족분 쟁의 배경과 원인」, 뺷동남아연구뺸 제23집 1호, 2013, 247면.

Aye Chan. “The Development of a Muslim Enclave in Arakan(Rakhine) State of Burma(Myanmar).” SOAS Bulletin of Burma Research. 3(2), 2005, pp.396~420.

Benedict, Paul K. Sino-Tibetan : A Conspectus.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p.127.

Charney, Michael W. “Where Jambudipa and Islamdom Converged: Religious Change and the Emergence of Buddhist Communalism in Early Modern

(22)

Arakan, 15th-19th Centur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999.

Comstock, G.S. “Notes on Arakan: by the Late Rev. Comstock.”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 1851, p.222.

Galen, Stephan Egbert Arie. “Arakan and Bengal, The rise and decline of the Mrauk U Kingdom from the fif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ty AD.” PhD Dissertation. Universiteit Leiden, 1971.

Harvey, G. E. History of Burma : From the Earliest Times to 10 March 1824, the Beginning of the English Conquest. London : Longmans, Green and Co, 1925, pp.140~267.

Htin Aung. A History of Burma. New York and Lond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7, p.153.

Ito, Toshikatsu. “Karens and the Kon-baung Polity in Myanmar.” Acta Asiatica.

92, 2007, pp.89~108.

Keyes, Charles F. “Ethnic Adaptation and Identity : The Karen on the Thai Frontier with Burma.” Philadelphia: Institute for the Study of Human Issues.1979. pp.20~21.

LeBar, F. M., G. C. Hickey, and J. K. Musgrave(eds.). Ethnic Groups of Mainland Southeast Asia. New Haven: Human Relations Area File, 1964, p.58.

Lieberman, Victor B. 1978/1987. “Ethnic Politics in 18-Century Burma.” Modern Asia Studies. 12(3). 1978.

Lintner, Bertil. Burma in Revolt : Opium and Insurgency Since 1948. Boulder, Westview Press, 1994.

Smeaton, Donald M. The Loyal Karens of Burma. London :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Ltd, 1887, pp.157~160.

Smith, Martin. Burma : Insurgency and the Politics of Ethnicity. London : Zed Books, 1991.

Smith, Ethnic Groups in Burma : Development, Democracy and Human Rights.

London : Anti-Slave International, 1995, p.224.

Stamp, Dudley. Asia : A Regional and Economic Geography. London : Methuen, 1967, pp.387~404.

Talish, Shihabuddin. “The Feringi Pirates of Chatgaon, 1666 A.D.”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3, 1907, p.422.

(23)

TBBC(Thailand Burma Border Consortium). “Relief Programme : July to December 2007(Including Revised Funding Appeal for 2008).” 2007.

Tin Aung. Kong-baung-zet Maha Ya-zawin-daw-gyi. Vol. 4. Rangoon: Let-ti- man-daing Press, 1967, pp.494~495.

Wyatt, David. Thailand : A Sort History. Chiang Mai : Silkworm Books, 2004, pp.242~243.

(24)

Abstract

Influence of geographic location of residency in Myanmar ethnic group

- Emphasis on Rakhine muslims and Kayin people -

48)Kim, In-a*

Southeastern Asian tribes’ distribution on the continent is related to the geography and proximity, especially. To reiterate, geographic location of residency determines the lifestyle and moreover defines the identities of ethnic groups and developments. In case of Kayin region of Myanmar, because mountains located in Asam region of northeast of India divides the west and east of Myanmar, Rakhine located in the east was more open to the Bengal region of India than prairie region of middle eastern Myanmar. Therefore the Rakhines were influenced by the muslims from India, and the lifestyle became alike in conjunction to the Burman living in the middle prairie region of Myanmar.

Kayin people were known to be Christians living in mountains but in reality their regions varied. They were discovered in all kinds of regions including mountains, prairies, delta and etc. To reiterate there was no central region that had the most Kayin population. During the process of declaring independence of Myanmar, Kayin demanded designated territories on the eastern mountains bordering Ayeyarwaddy delta and Thailand, but the reason for dismissal was that they had no sufficient populated regions to compete with the surrounding tribes. This characteristic of Kayin hindered their future prospects of its identity apart from surrounding ethnic groups destiny into hands.

If not for the fact that tribal culture and social aspects are greatly influenced by geography, Rakhine muslims and Kayin people have developed into established identities or maintain themselves. The clear

* Dong-A University

(25)

tribal differences later developed into conflicts with the Burman To reiterate, geographic location of the ethnic groups influenced the relation ship between ethnic groups.

Key Words : Myanmar, Burma, Rakhine, Arakan, Muslim, Kayin, Ethnic Comflict

<필자소개>

이름 : 김인아

소속 :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전자우편 : taprohm@dau.ac.kr

논문투고일 : 2018년 1월 14일 심사완료일 : 2018년 2월 13일 게재확정일 : 2018년 2월 20일

참조

관련 문서

기후변화에 따른 북아메리카 지역의 ‘부정적인 영향’(Nagative Impact)과 ‘긍정적인 영향’(Positive Impact)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적인

○ 본 연구에서 활용된 앱기반 피드백(에너지 절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에 너지 다이어트 ’) 디자인적 특성이 에너지 절전 지식획득 및 쾌락적 가치인 지에 미치는

I. 특정 생물종이 생태계 전체에 미치는 영향 판단 II. 멸종위기종 관련 홍보품이 사람들의 인식 개선 에 미치는 영향

전신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인체 균형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구.. 발목테이핑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배 등 29) 은 최근에 상아모세포주인 MDPC-23세포에 NFI-C를 과발현 또는 발 현 억제시킨 후 DSPP와 BSP mRNA의 발현 확인을 통하여 상아모세포

여가경험이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여가경험이 정서적애착에

총 참여기간에 따른 e- 스포츠 참가유형의 차이 스포츠 참가유형이 간접참여에 미치는 영향 e-.. 스포츠 참가유형이 직접참여에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인구통 계학적 특성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구성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